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수업계획서의 학습자 중심성 분석

        김주연(Kim, Joo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수업계획서의 작성 시기와 이수 구분이 수업계획서의 학습자 중심성에 미치는 영향을 커뮤니티 요인, 권한과 통제 요인, 평가 요인으로 나누어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시내 A대학교의 2015-2학기 수업계획서 165개와 2020-2학기 수업계획서 162개를 11개 요인, 4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과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활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커뮤니티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권한과 통제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수업계획서 작성 시기 및 이수 구분은 평가 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업계획서에서 학습자 중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교수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여러 시간대 및 전화, 이메일 등을 포함한 더 많은 경로 및 기회 제공, 학습 결과와 연결된 과제와 활동, 방법,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이론적 근거 제공, 수업 시 협력 요구, 더 많은 팀 프로젝트 수행, 과제 유형, 분량, 마감일, 학습 내용 등의 개발에 학습자들의 더 많은 참여 권장, 수업에 더 많은 지식을 가져오거나 생성할 책임을 학습자에게 부여, 학습 결과 및 평가 수단에 무게를 둔 수업계획서 작성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of learner-centeredness of university syllabus by community, power and control, and evaluation factors. Methods The analysis targets were 327 syllabi for the 2015-1 and 2020-2 semesters at A university in downtown Seoul, and a total of 11 factors were analyzed on a four-point scale.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multi-variate variance analysis(MANOVA).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d influence of the community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confirmed. Second,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d effect on the power and control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confirmed. Third, the period to develop the syllabus and the classification of teaching/major subjects had an effect on the evaluation factor,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confirm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some solutions such as multiple time zones for learners to access professors and more routes and opportunities including phone, e-mail, etc., providing rationale for tasks and activities, methods, policies and procedures linked to learning outcomes, asking for collaboration and more team projects in class, encouraging learners to be mo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ssignment types, volumes, deadlines, contents, etc., giving learners the responsibility to bring or generate more knowledge to the class, developing syllabi that focused on learning outcomes and evaluation methods and standards to improve learner-centeredness in future syllabus.

      • KCI등재
      • KCI등재

        개별화된 온라인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안

        최은지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evelopment plan to implement a differentiated curriculum tailored to the needs of individual learners for online Korean language curricula. A individulaized curriculum is a curriculum that is design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urpose, ability, level, environment, conditions, and learning style of individual learners so that it can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dividual.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meaning of individulaized curriculum within the broad framework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Next, online curricula of native language dissemination institutions that teach English, Spanish, and German as well as Korean were analyzed to examine what methods these institutions are using for individualizing curricula. Based on this, this study sets King Sejong Institute's 'online Korean' advanced course as the base and proposes a plan to develop an individualized Korean curriculum. The individualized curriculum methods proposed in this paper include a blend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tilizing 'content learning + real-time online class', a modular syllabus design and module-based course registration system, a monthly semester system, a nonscheduled entry system, and a minimal unit system. If this method is used, various learners from different countries around the world will be able to experience a more flexible curriculum according to their needs. Through this, the convenience of learning will be increased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will be more accessible.

      • KCI등재

        수업계획서의 구체성에 대한 교수-학생의 인식 연구

        오미자(Oh Mi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는 수업계획서의 구체성에 대해 교수와 학생이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6개 대학의 수업계획서를 분석하여 8개 대분류와 36개 소분류로 구성 요소를 분류하였다. 설문은 8개 대분류 영역 중 수업 진행 정보(시간, 교과목명, 교수자명 등), 교재, 기타 사항 등 3가지를 제외하고, 5개 영역에 대한 구체성(교과목 정보, 수업 목표 및 내용, 수업 방법, 과제, 평가방법)에 대해 교수와 학생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은 학생 11,114명, 교수 81명에 답한 내용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학생은 5가지 영역 모두 평균 4점대로 나타나 모든 영역에서 수업계획서가 구체적으로 작성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의 경우 5가지 영역 중 2가지 영역인 교과목 정보와 평가 방법의 구체성에서만 평균 4점대를 보여 학생과 교수의 인식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계획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에 대한 개방형 설문 결과 개선 사항으로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의 인식 변화’, ‘선 이수과목’, ‘비연관전공자 수강가능 여부 표시를 위한 시스템 변경’, ‘주기적 수업계획서 업데이트 가능’을 필요성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the specificity of syllabu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To examine how much they think it important to prepare syllabu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syllabus from six colleges, classifying components of syllabus into eight categories and 36 sub-categor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professors and students about the specificity of five categories, including course information, lesson objectives and contents, lesson methods, assignments, and assessment methods. From the eight categories, the survey excluded three categories, such as lesson procedure information (time, course name, teacher’s name), teaching materials, and other matters. As a result of analyzing responses from 11,114 students and 81 professors, it was found that students scored an average of 4 points in all the five areas, which showed they thought it important to prepare syllabus specifically. Professors scored an average of 4 points in only two areas, which show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Also, as a result of performing an open questionnaire survey about preparing syllabus specifically, three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rovement: i) professors’ perceptions of syllabus be changed, ii) system be changed to indicate prerequisites and whether students of unrelated majors can register for the course, and iii) syllabus need to be updated periodically.

      • KCI등재

        「2015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국어사 교육 내용 설계

        양영희 ( Yang Younghee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4

        본고는 「2015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법` 영역의 변화에 방점을 두서, 그것의 한 부분으로 인정되는 국어사 교육이 이러한 경향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변해야 하는가라는 의문을 제기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변화의 중심은 교육 내용에 있다는 생각 아래, 국어사 교육의 내용을 구성해 보는 데 논의의 초점을 모으고, 다음 두 가지 측면을 내용 설정의 준거로 삼았다. 첫째, 국어사 교육이 학습자에게 어떤 능력을 길러줄 것인가이다. 둘째, 국어사 지식이 비단 과거의 국어 양상에 대한 지식이 아니라 학습자들이 현재 사용하는 언어의 근간이며, 그것을 운용하는 원리로 사용되고 있음을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교육 내용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이다. 본 논의는 이에 대해 세 가지 관점, ① 현대 국어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차원, ② 현대 국어 운용의 원리를 탐구하는 차원, ③ 현재 진행 중인 변화를 파악하는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설정한 문법 내용은 `나/너`의 주격형인 `내/네`, 사동형 `재우다: 태우다`, `먹거리: 놀토, 먹방`과 같은 조어 방식, `의존명사(만)> 조사(만)`으로의 명사화와 `접미사(님)> 2인칭대명사(님)`으로의 역문법화 등이다.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change of the grammar field on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suggests questions regarding how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should keep up with the trend as a sector of i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ost crucial aspect of the change is the contents,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ccording to two criterions as follows. The first criterion is related to what kind of learner ability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should enhance. Secondly, which contents should be taught is discussed in order to help learners recognize that Korean Language History is not only related to the past history of a language, but also it is the foundation of their language and its operating principles. This paper approaches these problems according to three perspectives: first, intensifying the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second, examining the operating principles of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third, identifying current changes. Based on this context, grammar contents are discussed, such as `Nae/Ne` as the subjective case of `Na/Ne`, causative case `Jae woo da; Tae woo da`, coinages of `Muk gu ri; Nol to, Muk bang`, normative transformation of bound noun(Man)>postposition(.Man), degrammaticalization of `suffix (Nim) >second person pronoun(Nim)`, to name a few.

      • KCI등재

        한국어 숙달도 평가 동영상 강의 콘텐츠 개발 연구 - 한국어능력시험(TOPIK) Ⅱ를 중심으로 -

        박수연,이은경,윤경원,권제은,지현진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3 언어사실과 관점 Vol.58 No.-

        본고의 목적은 요구분석을 통해 한국어능력시험(TOPIK) 동영상 강의 콘텐츠 개발 원리를 마련하고, 이 원리에 입각하여 개발된 강의 콘텐츠 사례를 소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습자 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각 언어권별 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토픽 II 동영상 강의 콘텐츠 개발 원리를 확정하고 교수요목을 설계한 후, 오리엔테이션과 듣기, 읽기, 쓰기의 세 영역을 포함한 총 21회의 동영상 강의를 제작하였다. 이 동영상은 한국어 편 영상을 기본으로 하여 중국어, 베트남어 교수진이 같은 내용을 자신의 모국어로 강의하는 시리즈물로 구성하였다. 아울러 동영상 강의 콘텐츠 개발 시 학습자들이 집중할 수 있는 강의 시간을 고려하였으며 학습자들의 모국어를 고려하여 각 언어권별 모어화자가 직접 강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시의성을 고려하여 최근 기출 문제를 최대한 반영하였고 학습자들의 동기와 흥미 유발을 위해 퀴즈, 질문 상황 시연 등의 장치를 마련하여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아울러 ‘준비-분석-연습-평가-정리’ 5단계로 강의를 구성하여 체계적인 입력 과정을 설계하였으며 문제 유형별 전략 학습을 통해 배운 내용을 효과적으로 내재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동영상 강의 콘텐츠 개발은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교육 콘텐츠 개발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