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방법 연구의 동향과 과제

        장선영,고은현,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tendency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by analyzing th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which is there presentative journal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ethodology in Korea and finally put through the advanced proposals for educational methodology. The total articles were 217 which have been published for the last over 10 years (2003-2013). We analyzed the articles based on two criteria: research domains, research method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in the part of research domains, the teaching methodology accounted for 71.4% (155 articles) of the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domains were educational counseling (13.8%, 30 articles), educational evaluation (9.2%, 20), educational curriculum (2.8%, 6),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2.8%, 6). In the teaching methodology domain, the study of learning guidance model accounted for 38.2% (83 articles). Its hows that Korean educational methodology research has been mostly conducted on the teaching methodology, especially learning guidance model. Second,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s, survey study accounted for 45.2% (98 articles) of the total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literature study 14.3%, development research type I 11.5%, quasi-experiment study 10.6%, case study/qualitative study 7.8%, experiment study 6.9%, development research type II 3.2%, cost effectiveness study 0.5%, and others 0%. It is needed to be researched in the field of more qualitative study than quantitative one and also to expand the research domain and target learners in the future. 우리나라의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들을 연구하는 학문이 태동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발전을 모색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방법의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많은 이론들에 의해서 정립되었듯이 교육방법은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상황을 항상 고려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바로 이 원점에 서서 우리나라 교육방법의 현 모습과 발전 과제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을 다룬 전문 학술지인 ‘교육방법연구’ 2003년도에 발간된 15권 1호에서부터 2013년도의 25권 2호에 이르는 총 11권 28호, 217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질적인 교수학습 상황 속에서의 교육방법들이 현재 어떤 경향성을 띠고 있으며 이 속에서 어떤 교수와 학습의 요구가 있는지 교육방법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과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방법의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 분석에서는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주로 ‘교수방법’의 ‘학습지도 모델 연구’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 둘째, 교육방법의 연구방법에서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조사연구’의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향후 사례연구 및 문화기술연구와 같은 질적 연구들이 보다 다양한 연구영역에서 이뤄질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고등교육을 주로 대상으로 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유아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방법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교육방법의 의미고찰을 전제로 한 기업교육과 같은 다양한 성인교육에서의 교육방법이 필요하고,평생교육과 같은 범위로까지도 확대되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육방법연구 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윤옥한 한국교육방법학회 2023 교육방법연구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a total of 498 published 'Education Metho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during a period of 20 years, from 2002 (Volume 14, No. 1), to Volume 33, No. 4, published in 2021. The report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method research.'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itation index for the past two years (2019-2020) was 2.0.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each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prominent in the field with 324 articles (65%), followed by 92 practical studies (18%), 44 theoretical studies (9%), and 38 qualitative studies (8 articles; %).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each study subject, the most frequently used were multi-layered subjects (193 articles; 39%), followed by 191 articles (38%)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69 articles (14%)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nd 45 articles (9%)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each research topic, learning methods were addressed in the greatest number of studies (199 articles; 40%), followed by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methods (118 articles; 24%), teaching methods (109 articles; 22%), and research methods (72 articles; 14%).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can be evaluated as academic journals that clearly reveal the identity of the journal as a result of an analysis by citation index, type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방법학회지’에서 발행하는 ‘교육방법연구’ 논문을 2002년 제14권 1호부터 2021년 제33권 4호 까지 20년 동안 발행한 총 498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교육방법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2년(2019-2020)의 피인용지수는 2.0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방법별 현황 분석 결과 양적연구가 324편(6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이 실천연구 92편(18%), 이론연구 44편(9%), 질적연구 38편(8%)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별 현황 분석 결과 다층 대상이 193편(39%)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이 대학생 191편(38%), 중등 학생 69편(14%), 초등학생 45편(9%)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별 현황 분석 결과 학습 방법이 199편(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이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법 118편(24%), 교수 방법 109편(22%), 연구 방법 72편(14%)으로 나타났다. 교육 방법론 연구 학술지는 피인용지수,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주제별로 분석해 본 결과 학술지의 정체성이 분명히 드러난 학술지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상업교육연구』의 내용 및 방법론에 대한 분석

        한홍진 한국상업교육학회 2007 상업교육연구 Vol.15 No.-

        상업교육 연구의 핵심적인 학술전문지인 『상업교육연구』의 내용과 방법론을 분석하는 것은 상업교육 연구를 평가해보고 발전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상업교육연구』의 내용과 그 방법론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0년~2006년 사이에 『상업교육연구』에 발표된 213편의 논문에 대해 내용분석을 하였다. 분석은 발간 연도, 연구 유형, 연구자의 특성, 연구 영역, 연구 대상 기관, 연구 주제, 사용언어, 표본의 크기, 자료수집 방법, 회수율, 통계분석 방법에 초점을 두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전체 연구의 53.0%가 조사연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43.7%가 문헌연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 관련 학문에 대한 연구가 전체 연구의 51.7%이며, 학교 교육 관련 연구가 48.3%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기관에서는 전체 연구의 47.9%가 기업체 대상 연구이고, 36.6%가 직업교육기관인 실업고와 전문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나타났다. 연구 주제에서는 회계․세무, 직업교육발전방안, 마케팅, 금융․보험․증권 등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사용 언어는 97.2%가 국어를 사용하였고 6편만이 외국어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연구의 경우 설문지가 주로 이용되는 자료수집 방법이었으며, 주로 이용되는 통 계분석 방법으로는 기술통계, t-검증, F-검증, 회귀분석 등으로 나타났고, 고급통계기법인 공변량구조분석도 11편에서 이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methodologies of papers in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which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for the Business Education had published since 2000. A total of 213 articl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coding system. The coding system for analysis included the following aspects of business education research: publication year, types of research, author characteristics, fields of research, focused-institutes, research topics, population and subjects, mode of data collection, language used, statistical techniques used. This study also reviewed the methodologies of papers within each type of research.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mong 213 research articles, 53%(113 articles) were classified as the survey research and 43.7%(93 articles) of them were literature review. 2) Of all the 213 articles, 51.7%(110 articles) were the researches on the subject-matters(business administration, economics, accounting, international trade, electronics) and 48.3%(103 articles) were those on education. 3) In the focused-institutes for research, 47.9%(103 articles) were companies and 36.6%(78 articles) were vocational high schools and community colleges. 4) In research topics, Accounting․Taxation, Scheme to promote vocational education, Marketing, Financing․Insurance․Securities were main ones. 5) Among 213 articles, 97.2%(207 articles) used Korean for research and only 2.8%(6 articles) were written by foreign languages. 6) In the survey research, the most common mode of data collection was the questionnaire. 7)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ologies mainly used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test, regress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was used in 11 articles.

      • KCI등재

        한국 교사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자서전적 방법의 이론적 기초 탐색

        한혜정 ( Hye Chong Ha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1

        이 글은 W. F. Pinar의 자서전적 방법을 한국 교사교육에 실제 적용하기 위하여 그것의 이론적 기초를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글이 시도한 자서전적 방법의 실제적 적용을 위한 이론적 기초 탐색은 `자서전적 방법의 네 단계를 거친 후 도달하게 되는 인식의 최종 상태와 그러한 최종 상태까지의 인식의 발달 과정은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가?`와 `자서전적 방법이 추구하는 인식의 발달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적 원리는 무엇인가?`라는 두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자서전적 방법에 가정된 인식의 발달 단계는 1) 감정적 무감각으로부터의 탈피, 2) 거리두기, 3) 교만의 인식에 대한 깨달음, 4) 자기개입적 인식, 5) 메타인식 등 다섯 단계로, 자서전적 방법에 가정된 방법적 원리는 1) 자유연상의 원리, 2) 낯섦의 원리, 3) 감정이입적 동일시의 원리 등 세 가지로 규정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자서전적 방법은 반성적 사고에 대한 열정과 헌신을 가진 교사를 양성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고, 이러한 자서전적 방법을 교사교육에 적용함으로써 실현하고자 하는 것은 다양한 목소리가 상호소통하며 공존하는 새로운 교육문화를 창출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ages of development of perception and the methodological principles presupposed in W. F. Pinar`s Autobiographical method for its implementation in Korean teacher education.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tages of development of perception presupposed in the Autobiographical method are divided into the five ones, 1) free from emotional white-out, 2) distancing, 3) realization on arrogant perception, 4) engaged perception, 5) meta-consciousness. The methodological principles presupposed in the Autobiographical method are the three ones, 1) free-association, 2) alienation, 3) empathic identification. The principle of free-association means that use of the rational, logical, and critical aspects should be avoided through the entire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the Autobiographical method. The principle of alienation demands that the subject should be given chances to look strangely at herself/himself and her/his familiar environments. The principle of empathic identification insists that the subject empathically identify herself/himself with others` world. It is that she/he can willfully and playfully inhabit more than one world at the same time as a matter of necessity and of survival. Finally, this paper suggests some other theoretical or methodological studies needed afterward for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utobiographical Method in Korean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EBS 관련 영어교육 분야 연구 동향 분석

        이지영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7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research studies conducted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in relation to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EBS). A total of 67 academic articles, published by professional scholarly journals in Korea from 2000 to 2018, are found relevant. The established categories for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nnual trends, researchers, scholarly journals, research topics, subjects, research methodologies, and languages for writing. The major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s: (1) the history of EBS as well as English education policies had an influence on the number of and the topics of the research articles; (2) the research articles were produced by a wide range of researchers, and thus, there were only a few researchers who have consistently published relevant articles; (3) there was no research article about young children before schooling, college or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4) most preferred research topics were related to the EBS educational contents, especially for the national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CSAT), while there was only one research article about making use of the contents; and (5) research conduct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was inadequate and quantitative research articles were found more than qualitative ones. These findings brought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studies such as a call for more research about effective applications of EBS contents to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more balanced research on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for diverse learners, and more research through direct observation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to reflect the reality of instructional contexts that are using EBS. 이 연구의 목적은 EBS와 관련된 영어교육 분야의 논문들을 검색하여 종합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018년까지 국내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총 67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연도별 추이, 연구자, 학술지,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수행 방법 및 결과 도출 방법, 그리고 집필 언어를 분석 범주로 삼았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EBS의 연혁상 특징과 영어교육 관련 정책은 해당 논문의 게재 빈도수와 연구 주제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게재 학술지 분포도와 연구자의 층은 넓었으나, 10%의 연구자들만이 지속적인 연구 성향을 보였다. 셋째, 연구 대상으로는 초등 및 고등학교와 연관된 연구가 선호되고 있었다. 넷째, EBS가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에 대한 활발한 연구에 비해,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연구 수행 방법과 관련해서는 교재 분석이나 설문 조사와 같은 연구 방법이 선호되었고, 연구 결과 도출 방법에 관련해서는 정량적 방법이 가장 선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추후 연구로는 EBS 영어교육 콘텐츠의 효과적인 실제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미취학 학습자, 대학생, 성인 등 다양한 학습자를 위한 연구, 그리고 교수 학습의 실제를 정성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연구 등이 더 요구되는 바이다.

      • KCI등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인간발달․가족」분야에 대한 20년 연구 동향 분석;성과와 과제

        조병은,이현정,이종희,주현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whi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last 20 years. A total of 93 studies were analyzed in the area of nature and philosophy of Home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 and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Research topics mainly examined in the area of curriculum development,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adolescent and family relations. Reviews in methodological issues result in the heavy usage of survey metho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nvenient sampling and descriptive studies. Although research o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in Home Economic Education has increased in quantity, there are greater needs to develop studies with representative subjects, various research methods,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to capture the rich complexity of individual development and family life. Limitations on previous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실린 인간발달과 가족분야에 관한 논문을 교과교육학(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가정과교육과정, 가정과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과내용학(인간발달, 가족학)으로 나누어 연구주제,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여 연구동향과 성과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93편의 논문을 5영역에서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연구는 다른 주제의 연구에 비해 연구가 매우 부족하였으며, 주로 가정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가정교과의 당위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가정과 교육과정의 이해 연구는 최근 들어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가정과 교육과정의 체계, 가정과 교육과정과 수업과의 관계, 가정과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주된 연구는 가정교과 교과서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였다. 이론을 적용하여 교과서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적었고, 주로 출판사별로 비교하거나 외형적인 분석을 하고 교과내용의 구성을 연구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가정과 교수ㆍ학습 및 평가에 관한 연구는 가정과 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수ㆍ학습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가정과 평가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가정과 교과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가정과 평가에 대한 연구가 더욱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넷째, 인간발달과정에서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발달 특성과 문제를 다루고, 부모됨과 부모역할에서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역할을 주로 다루어 대부분의 연구가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을 위한 가정과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가족관계와 가족문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가족환경 특히,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교과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교과내용에 관한 연구보다 적어 가정과 교육의 현장적용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연구되어져야 한다. 또한 편의표집으로 설문지를 통한 한사람의 응답으로만 수행된 조사연구가 많아 다양한 연구방법, 현장적용연구의 확대 등의 문제는 향후연구가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