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성폭력 위기개입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학교에서의 위기개입 방향을 중심으로

        유형근(Yu, Hyung-Keun),박선하(Park, Seon-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 목적은 청소년 성폭력 위기개입에 관한 국내 연구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위기개입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활용하여 총 51편의 연구들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시기, 대상, 방법, 내용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에 따라 주제와 개입방법이 점차 다양해졌다. 둘째, 연구 대상은 학생, 성폭력 피해 청소년, 성별 구성이 혼성인 연구들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 문헌 연구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연구 내용을 개입 목적에 따라 예방적 개입과 치료적 개입으로 분류한 결과, 치료적 개입 연구가 예방적 개입 연구보다 더 많이 수행되었다. 위기개입 방법으로서 심리치료, 교육, 기타, 교육 및 심리치료, 활동 순으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주요 개입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에서의 청소년 성폭력에 대한 위기개입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crisis interven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cenes by comprehensively exploring the research trends and contents of adolescent sexual violence crisis interventions and analyzing them with a focus on the main intervention factors and effectiveness factors of crisis interventions. For this purpose, relevant literature was collected us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a total of 51 studies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research period, subjects,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intervention gradually vary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Second, the study targets were mostly students, teenagers affected by sexual violence, and mixed gender studies. Third, research methods were found to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order of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Fourth, as a result of classifying research contents as preventive interven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risis intervention, therapeutic intervention research was carried out more than preventive intervention research. Many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treatment, education, other, education and psychological treatment, and activities as methods of crisis interven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ain intervention factors and effectiveness factors of each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crisis intervention for sexual violence in schools.

      • KCI등재

        ADHD 아동 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1999-2008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정순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4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효율적인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중재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1999년부터 2008년까지의 ADHD 아동 교육 관련 석ㆍ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국회전자도서관 소장 ADHD 아동 교육관련 학위논문 중 박사학위논문 23편과 석사학위논문은 당해 연도별 논문 30% 기준 비율층화무선표집법에 의한 144편으로 총 167편을 선정하였다. 대상논문 중 중재전략을 적용한 113편의 실험연구는 중재환경, 중재전략 및 중재기간을 별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유형은 실험연구, 조사연구, 문헌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연구주제로 박사학위논문에서는 진단-평가, 중재방법, 문제행동 개선 순이었으나, 석사학위논문에서는 중재방법, 문제행동 개선, 행동특성 연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주로 ADHD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51명 이상의 남녀 모두를 포함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ADHD 진단평가준거로 DSM-Ⅳ와 다른 준거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연구는 중재환경으로 일반학교 교실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중재전략은 치료중심 중재와 인지행동수정 중재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중재기간은 26회기 이상 계속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향후 ADHD 아동교육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n analysis of M.A and Doctorial theses from 1999 to 2008 to study the trend in Korea on education for children with ADHD. A selection of 167 theses were made, 23 Doctorial theses and 144 M.A ones which were chosen by 30%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from each year M.A.' thesis at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selected theses were analyzed on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 and selection criteria. 113 theses, of which were proven in their effect with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analyzed on intervention setting, intervention strategy, and intervention perio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follows; Experiment research, survey, and literature analysis were the major topics the methodology of research. In Doctorial theses, the most researched topic was diagnosis evaluation, followed by intervention methods and improvement of problem behaviors, whereas in MA theses, the most researched was intervention method, improvement of problem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behaviors. Children with ADHD in elementary school were most favored subject. The number of subjects was generally over 51, and includes both male and female. The choice of major selection criteria for ADHD was mostly DSM-IV used with other instrument. In terms of intervention setting, regular school class rooms were found to be the most favored. Activity based interventions such as art therapy and play therapy and cognitive-behavior modification intervention were the most employed intervention strategies, and most researches went on over 26 ses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시각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관련 중재 연구 동향 분석

        김희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41 No.1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중재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시각장애 아동 행동 중재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저널에 출간된 12편의 시각장애 아동 문제행동 관련 중재 연구들이 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출판 현황, 연구참여자, 중재 환경 및 특성, 연구방법 및 설계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장애 아동 문제행동 관련 중재 연구들은 2005년부터 2009년까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이후에는 연구들이 미흡하였다. 연구참여자의 경우 시각장애뿐만 아니라 시각중복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유아와 초등학생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 상대적으로 중고등학생 대상 연구는 드물었다. 중재 환경 및 특성은 학교 환경에서 교사에 의하여 긍정적 행동 지원 중재를 통해 수업 방해 행동을 감소하기 위한 중재가 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및 설계 분석결과 중다기초선설계가 주로 수행되었으며, 많은 연구가 유지와 관찰자간 신뢰도는 제시하였으나 일반화, 중재 충실도, 사회적 타당도는 제시하지 않은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시각장애 아동 문제행동 중재 관련 연구는 다양한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학교 차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소 및 주체를 대상으로 하는 중재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최신 기술을 활용한 행동 중재가 개발 및 적용되어 효과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에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related to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 for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proposed implications and research directions for behavioral intervention. 12 intervention studies related to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00 to 2024 were selected as papers for analysis.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publication status, research participants, intervention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method and desig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ntervention studies related to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were actively conducted from 2005 to 2009, but thereafter, studies were insufficient. In the case of research participants, studies were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i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s well as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and studies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relatively rare. The intervention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were mainly carried out by teachers in the school environment to reduce disruptive classroom behavior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method and design analysis, a multiple baseline design was mainly conducted, and many studies presented maintenance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but most of the studies did not present generalization, intervention fidelity, and social validity.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visual impairment Research on intervention for children’s problem behavior needs to be conducted not only at the school level but also at various locations and subjects with a variety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behavioral interventions using the latest technology are developed and applie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 KCI등재

        중년여성 우울 중재프로그램 국내 연구 동향

        한진덕,이근매 한국미술치료학회 2018 美術治療硏究 Vol.25 No.1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51 episodes of middle - aged female depression published in Korea from 2007 to 2016, and 30 episodes of KCI catalogs. This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middle-aged women. According to analysis criteria,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year of publication, study subjects,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s, researchers' major,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statistics and descriptive statistics by percentage.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study of middle - aged women 's depression program has been conducted steadily from 2007 to 2016. Second, the analysis of middle - aged women 's depression intervention program showed more than 5-20 people. Thirdly, it can be seen that intervention studies on depression are most frequently reported in the field of art therapy. Most of the intervention programs were counseling theoretic approach. Fourth, in th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type was quantitative research, research design was single group design, and depression test tool used BDI. Total sessions were 6-10 sessions, week sessions were once a week, session sessions were 61-90 minutes. Fifth, researchers majored in education, counseling, and psychology maj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a basis for more effective program implementation of the depression intervention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but also suggests research direction.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중년여성 우울 관련 학위논문 51편, KCI등재지 논문 30편, 총 81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더욱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중재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은 분석기준에 따라 발표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내용별, 연구방법, 연구자 전공을 연구동향을 나누었으며, 빈도, 백분율에 의한 기술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 우울 프로그램 연구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중년여성 우울 중재프로그램 연구의 연구대상별 분석결과 5-20명이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내용은 우울에 대한 중재 연구는 미술치료 영역에서 가장 많이 보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담이론적 접근 유무는 대부분의 중재프로그램이 상담이론적 미접근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방법에서 연구유형은 양적연구, 연구설계는 단일군설계, 우울검사 도구는 BDI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진행회기는 6-10회기, 주당회기는 주1회, 회기시간은 61-90분이 많았다. 다섯째, 연구자 전공의 경우 교육ㆍ상담ㆍ심리전공자가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중년여성 대상의 우울 중재프로그램의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근거 마련뿐만 아니라 연구방향성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심리적 위기개입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손미영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5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2 No.2

        본 연구는 국내 심리적 위기개입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총 140편의 논문을 대상으 로 기초사항,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개입대상, 개입방법과 같이 6가지 기준을 설 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위기개입 연구는 1981년부터 시작되어 2010년대 이 후 증가 추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대상은 내담자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고, 전문가, 전문 가-내담자, 준전문가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주제는 위기개입 방향성 제안, (준)전문 가 지각 연구, 성과 연구, 개관 연구 순이었다. 넷째,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다섯째, 개입대상은 외상성 사건 생존자가 가장 많았고, 청소년, 가족 순이었 다. 여섯째, 개입방법은 가족상담, 개인상담, 집단상담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 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내 심리적 위기개입 연구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in psychological crisis intervention in Korea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 total of 140 articles published in KCI-registered journals were reviewed based on six criteria: basic information,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intervention targets, and intervention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research began in 1981 and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2010s. Most studies targeted clients, followed by professionals, combined groups, and paraprofessionals. Major research topics included intervention directions, perceptions of (para)professionals, intervention outcomes, and literature reviews. Qualitative methods were most commonly used. Intervention targets were mainly trauma survivors, adolescents and families. Family counseling was the most frequent intervention method, followed by individual counseling and group counsel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crisis intervention research.

      • KCI등재

        자폐성장애 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 2014년~2023년 국내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김은경,김선희,안미선 한국특수교육학회 2025 특수교육학연구 Vol.59 No.4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in the education of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published in domestic special education journals over the past decade. A total of 687 studi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4 and December 2023 were selected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ligned with the study objectives. The selected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opics, types, and target populations. Additionally, a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tervention methods in 251 studies categorized as intervention research.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imary research topics were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cognitive learn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and challenging behavior reduction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in that order. Regarding research types, intervention studies were most common,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 studies. The majority of studies focused o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D,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elementary school-aged students. The detailed 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indicated that most studies targeted one or three participants, predominantly males, and were conducted in segregated settings. Although the severity of disabilities was often unreported, studies focusing on participants with severe disabilities or those with minimal verbal language abilities were prevalent. The intervention implementers were primarily researchers, with frequent mention of their roles and expertise. Intervention settings were most commonly therapy rooms, and the number of intervention sessions typically ranged from 11 to 15. Among experimental designs, multiple baseline designs across participants were the most frequently employed. Most studies reported intervention fidelity, social validity,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In terms of intervention outcomes, the most commonly addressed area was social skills, followed by challenging behaviors, communic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Intervention strategies predominantly involved reinforcement, modeling, prompting, and visual suppor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ASD education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중재관련 연구 분석: 고기능 자폐장애 및 아스퍼거증후군을 중심으로

        박은미,김수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1

        This study is what analyzed the domestic researches related to intervention targeting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out of the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analytical subjects included totally 26 pieces of the researches that have been released so far from following the year in 2000. It specifically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 research relevant to intervention, a design-based characteristic, independent variable & dependent variable, and moder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earches of targeting high-functioning autism included 11 pieces. The researches of targeting Asperger syndrome included 15 pieces. A steady research is being performed on the whole. But a research was slightly sluggish in the years of 2000, 2001, 2003, 2006, 2015. In terms of a research design method, a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was the largest with totally 18 pieces. Examining dependent variables, a research related to sociality was the largest. A research relevant to behavior was following it. As for independent variables, a research that used a single intervention was the largest. It was being applied in order of a program intervention and a package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on moderating effect,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in 24 pieces of theses among totally 26 pieces of the analysis-subject theses. 2 pieces were shown to have partially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a discussion was made about the future educational support direction for students who have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중 고기능 자폐장애와 아스퍼거증후군을 대상으로 한 중재관련 국내연구들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은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발표된 총 26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중재관련 연구의 일반적 특성, 설계상 특성,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중재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기능 자폐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1편, 아스퍼거증후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15편이었으며, 전체적으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반해 2000년, 2001년, 2003년, 2006년, 2015년에는 다소 연구가 부진하였다. 연구 설계방법은 단일대상연구 설계가 총 18편으로 가장 많았다. 종속변인을 살펴보면 사회성관련 연구가 가장 많았고 행동관련 연구가 그 뒤를 잇고 있었다. 독립변인은 단일중재를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프로그램중재, 패키지중재 순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중재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총 26편의 분석대상 논문 중 24편의 논문에서 중재효과가 있었고, 2편은 부분적인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기능 자폐장애 및 아스퍼거증후군을 지닌 학생들의 향후 교육적 지원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작업치료에서의 중재 충실도 연구 동향 분석

        유영미,우희순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1

        목적 : 본 연구는 중재 충실도의 정의와 이론적 배경 및 구성 요소를 살펴보고, 문헌 고찰을 통하여 작업 치료의 중재 충실도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문헌고찰 연구로서 2000년 1월 이후부터 2020년 12월까지 최근 20년 동안 국외 학회지에 게재된 문헌 중 작업치료 중재 충실도와 관련된 문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문헌은 중재 충실도의 구성 요소 측면과 작업치료 분야에 따른 중재 충실도 경향성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문헌은 총 5편이었으며, 대상 문헌을 분석한 결과 중재 디자인과 중재 제공자 교육, 중재 전 달이 포함된 문헌은 총 5편이었으며, 중재 수렴이 포함된 연구는 3편이었다. 마지막으로 중재 효과의 전 이가 포함된 논문은 한 편도 없었다. 작업치료 분야에 따른 중재 충실도의 경향성 분석 결과 5편의 연구 중 감각통합 중재의 중재 충실도 문헌이 2편, 작업 수행 코칭 문헌이 1편, 메타인지 재활 중재 문헌이 1편, 노인의 우울증 향상 중재가 1편이었다. 결론 : 작업치료 분야의 중재 충실도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감각통합 중재를 중심으로 한 중재 충실도 평가 개발과 이를 적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이후로 여러 분야에서 중재 충실도를 개발한 연구가 지속되었다. 최근에는 중재 충실도의 구성 요소가 많은 부분에서 반영된 연구가 있었으며, 이는 작업치 료 분야에서도 중재 충실도에 관한 높은 관심과 중요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국내 작업치료의 여러 분야 에서도 중재 충실도 개발 연구가 증가해야 하며, 중재 충실도를 평가할 수 있는 중재 충실도 측정 연구 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finition of intervention fidelity,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mponents, and examine the trends of intervention fidelity research in occupational therap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Methods: As a literature review study, this research was based on studies related to the intervention fidelity of occupational therapy among those studies published in foreign journals during the past 20 year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20. The target literature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components of intervention fidelity and the tendency of intervention fidelity according to occupational therapy fiel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ies, there were a total of five studies that included intervention design, training providers, and delivery of intervention, and three studies that included the reception of intervention. Finally, none of the studies included the enactment of intervention skil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ndency of intervention fidelity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therapy field, two studies on intervention fidelity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e study on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one study on metacognitive rehabilitation intervention, and one study on daily therapy to improve depression and functional outcomes for older adults were found. Conclus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end of intervention fidelity research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fidelity evaluation centered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and research applying the same were mainly conducted, and research on intervention fidelity in various fields has since continued. Recently, there have been studies by which many components of intervention fidelity have been reflected, which is a result of high interest and importance of intervention fidelity in occupational therapy. In various fields of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fidelity should increase, and studies on measurement evaluations of intervention fidelity are also expected.

      • KCI등재

        국내 리듬 중재 연구의중재 구성 및 논거에 대한 고찰

        정현주,임정현,황수연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8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5 No.1

        With the recent emphasis on evidence-based research and practice, the field of music therapy has called for rigorous reviews of the scientific data and for therapeutic rationales for research proced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tudies that used a rhythm task as a therapy intervention in terms of whether they provided a rationale for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intervention. The components included activity rationale, music rationale, intervention validity, intervention format (individual or group), intervention development (contour), duration, and intervention provider. A total of 41 studies were selected: 22 studies were implemented by music therapists and 19 by professionals in other related fields. In terms of seven assessment categories, only 10 studies were found to report more than four items which are related to a rationale of interventions. The 10 studies identified were further examined to determine if their intervention rationale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the study included a researcher-formulated intervention or an existing music therapy protocol. Of the 10 studies, six used a researcher-formulated rhythm intervention, and four used an existing music therapy protocol. Those studies that used an existing music therapy protocol also provided a clear rationale for music selection, whereas those that used a researcher-formulated rhythm task tended to provide an activity ration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searchers need to be clearer about their interventions and provide an evidence-based rationale for why and how they use a rhythm task. 최근 근거중심의 연구와 실제가 강조되면서 중재 연구들이 보다 엄격한 논거를 토대로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리듬 과제를 사용한 중재 연구의 특성과 치료 목표별 리듬 과제를 고찰한 후 중재 구성 및 논거를 분석하였다. 선정 기준에 부합한 총 4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7개의 중재 항목 및 논거 제시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재제공자 전문성과 중재 구성틀, 중재 기간, 중재 형태, 중재 절차, 활동 및 음악에 대한 논거 제시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총 7개 중재 관련 항목 중 4개 이상 항목에 논거를 제시한 연구는 10편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논거에 대한 추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10편 모두 중재제공자, 중재 구성틀, 활동 논거 및 음악 논거를 제시하였으나 중재 유형(개별 또는 집단)과 구성된 중재 기간에 대한 논거는 동일한 수준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리듬 중재 유형에 따른 논거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존의 프로토콜을 활용한 4편의 연구는 활동 논거와 음악 논거가 명료하게 제시된 반면 연구자가 구성한 중재를 활용한 6편의 연구는 음악 논거보다는 활동 논거를 중점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음악치료가 근거 중심의 학문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중재 항목의 타당성과 중재 구성에 대한 논거를 더욱 충실히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교사의 정신건강문제 예방 및 치료적 개입 관련 국․내외 연구 현황

        이혜은(Lee Hye Eun),김지혜(Kim Ji 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preven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eacher s mental health problem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es. From 1991 to 2018, 67 articles were selected from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an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were six categories: basic inform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alysis methods, measurement tools and research topics. As a result of the study, for trends by year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have been consistently in progress until now. Second, for the trends of study subjects, studies using a mixture of various teachers were 53.33% in domestic studies and 43.24% in international studies, but studies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subject are insufficient. Third,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most used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and mixed researches, qualitative researches, and literature researches were very small compared with quantitative researches. Fourth, analysis methods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order of analysis of varianc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Fifth, measurement tools have been used variously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In particular, domestic studies have been used measure tools translated from overseas studies, so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er scale suitable for domestic situation was requested. Lastly, research on coping-related research in domestic studie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research in international studies took a large part, and in Korea, interest in preven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studies was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important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for preven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eacher s mental health problem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정신건강 문제를 위한 예방 및 치료적 개입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1991년부터 2018년 까지 국ㆍ내외 학술지논문 총 67편을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고, 연구동향을 분 석하는 기준은 기본정보, 연구대상, 연구방법, 분석방법, 측정도구, 연구주제의 6가지 영역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연도별 동향은 국․내외 연구 모두 최근까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다양한 교사들을 혼합한 대상을 적용한 연구가 국내 53.33%, 국외 43.2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지만 대상별 특성을 반영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셋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국․내외 모두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양적연구에 비해 혼합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었다. 넷째, 분석방법은 변량분석, t-검증, 상관분석 순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다섯째, 측정도구는 국내․외 연구 모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특히 국내연구에서는 대부분 번안된 국외측정도구가 사용되고 있어서, 국내 상황에 적 합한 교사용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가 요청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별로 살펴보면, 국내연구는 대처관련 연구가, 국외연구의 경우 치료적 개입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국내연구의 경우 예방 및 치료적 개입 연구에 대한 관심이 요청되 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정신건강 문제를 위한 개입과 관련하여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