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Regulation of Unilateral Economic Sanctions

        Rao Ning Ning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1 韓中關係硏究 Vol.7 No.2

        국제사회는 국제분쟁과 충돌로 평화적 해결을 부르짖는 기조 아래 일방적 경제제재 가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미국은 20세기 이래 전 세계에서 경제제재 수단을 가장 많이 사용한 나라로 주로 개발도상국이 제재 대상이다. 일방적 경제제재는 일방주의에 관한 것으로 유엔헌장의 취지와 기본원칙에 위배된다. 타국에 대한 일방적 경제제재는 다른 나라의 주권을 침해하는 것은 물론, 제재 목표국과 제3국 국민의 기본적 인권 향유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국제인권헌장의 인권원칙에도 위배된다. 이로 인해 역외 경제제재에 대한 국제사회의 ‘입법거부’가 잇따르고 있지만, 그 성과는 여전히 미미하 다. 이에 따라 유엔총회, 인권이사회, 경제사회이사회 등 인권보장기구들은 ‘일방적 강 제조치와 인권’이라는 의제를 놓고 일방적 경제제재를 조약·결의로 규제하면서 일방적 경제제재가 인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규탄하였다. 또 모든 국가가 국제법·국제인 권법·유엔헌장 기본원칙에 부합하지 않는 어떤 일방적 제재를 중단하거나 집행할 것을 촉구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방적 경제제재가 인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 유 엔 규제의 일방적 경제제재를 전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국이 다른 나라로 부터의 일방적 경제제재에 대응하는데 참고가 될 것이다. 즉, 각국은 앞으로 관련 제재 규정의 제정 및 시행에서 국제인권헌장에 따른 인권 의무를 적극적으로 이행하고, 충 분한 인권 존중과 보호를 목표로 제재 정책의 타당성을 심사해야 한다. 각국은 다른 나라로부터의 일방적 경제제재에 대응함에 있어 기존 유엔 규제의 일방적 경제제재 적용을 규탄하고 저지하는 메커니즘을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 한편, 한국과 중국은 UN회원국으로서 국제인권보장사업의 적극적 참여자이면서 한 때는 일방적 경제제재의 피해자로서 일방적 경제제재에 대한 유엔의 규제를 이해하고 지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과 중국은 유엔 다자체제에서의 중요한 역할을 인식하고, 국제사회에서 적극적 대화를 통해 일방적 경제제재에서 최소한의 인권보호에 대한 국 제사회의 공감대를 형성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촉진하는 데 공헌하여야 할 것이다. Unilateral economic sanctions are frequently used in the name of promoting peaceful settlement of international disputes and conflicts. Since the 20th century, the United States has become the country which has applied the most unilateral economic sanctions in the world, with developing countries as the main targets of its sanctions. Unilateral economic sanctions involve unilateralism and violate the purposes and basic principles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The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unilateral economic sanctions not only infringes the sovereignty of other countries, but also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enjoyment of basic human rights of the people of the target states and even third-party states, which violates the human rights principles of the International Bill of Human Right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enacted “blocking statutes” to resist the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unilateral economic sanctions, to little effect. In response, on the issue of “unilateral coercive measures and human rights”,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the Human Rights Council, the Economic and Social Council and other human rights protection bodies, regulate unilateral economic sanctions through treaties and resolutions, condemn the negative impact of unilateral economic sanctions on the enjoyment of human rights, and call on all countries to stop adopting or implementing unilateral sanctions that are not in line with international law,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The study of the negative impact of unilateral economic sanctions on human rights and fully understanding the measures of the United Nations to regulate unilateral economic sanctions will provide meaningful reference for countries dealing with unilateral economic sanctions. In futur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relevant sanctions rules, all countries should actively fulfill their human rights obligations under the International Bill of human rights, and review the feasibility of sanctions policies with the goal of fully respecting and protecting human rights. When dealing with unilateral economic sanctions from other countries, all countries should make full use of the existing mechanism of the United Nations to condemn and resist the use of unilateral economic sanctions. China and South Korea have always been actively involved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protection. As both the member states of the United Nations,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the regulations on unilateral economic sanctions adopted by the United Nations and advocating active dialogue under the multilateral mechanism of the United Nations will help engag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reaching a consensus on the minimum human rights protection in unilateral economic sanctions and promote the peaceful settlement of international disputes.

      • 인권친화적 기업문화 확산을 위한 외국에서의 동향

        안수현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2011 아세아여성법학 Vol.14 No.-

        The main concern in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international movements towards promoting the corporate responsibility to respect human rights. The final report of United Nations` Special Representative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in which the professor John Ruggie presents the Guiding Principl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tect, Respect and Remedy Framework. In his report, he states that the corporate responsibility to respect human rights... exists over and above compliance with 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protecting human rights. Professor Ruggie`s report gives some insight into the fact that the responsibility to respect human rights is a global standard of expected conduct for all business enterprises wherever they operate. It exists independently of States` abilities and/or willingness to fulfill their own human rights obligations, and does not diminish those obligations. However, his report has limit. In his conclusion, the corporate responsibility to respect human rights is simply another voluntary, global standard of expected conduct, without any legal basis to command compliance. The corporate responsibility to respect human rights is an understandable efforts to think the influence of large multinational corporation on the human rights and to the failure of States to comply with their international law obligations. However this approach has some limits in that the corporation`s responsibility to respect human rights can not substitute the State`s responsibility to protect the human rights and corporate`s responsibility is viewed as voluntary responsibility.

      • KCI등재

        The United Nations and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오영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5 평화학연구 Vol.16 No.2

        This article has explored the role of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bodies in relation to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It has provided a review of the growing roles of the United Nations in the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and institutions. It has also discussed the longstanding ideological tension between the category of civil and political rights and the category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The state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has been critically elucidated with special focus on the report of the Commission of Inquiry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last year and the ensuing discussion and follow-up measures. While there have been yearly introduction and adoption of draft resolutions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over the last two decades in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bodies, the Commission’s report is much more significant in that it represents a systematic and authoritative investigation into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In particular, the Commission provided a compelling ground for characterizing the North Korean case as the crimes against humanity.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case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illustrates that the category of civil and political rights should be given priority over the category of economic and social rights. In addition, this article, concurring with the Commission of Inquiry, contends that the state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pertains to the category of crimes against humanity. Thus, it is noteworthy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United Nations is exploring all the means available to address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including the roles of the Security Council,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 KCI등재

        A Study on the Public Awareness Towards Children’s Rights to Live in Better Environments - Based on the Analysis of Decision Case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Choi Hanna(최한나),Kim Minchul(김민철)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論叢 Vol.47 No.-

        아동관련 국제협약은 국제사회 아동인권의 지침이 된다. 국가인권위의 아동인권 결정례는 아동인권에 대한 사회적인 변화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법적, 정책적인 변화는 국민들의 인식변화로 이어지고 확산될 때 아동에 대한 실질적인 인권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국제 사회와 한국의 국가인권위는 각종 협약과 결정례를 통해 아동인권에 대해 가이드를 주고 있다. 국제협약과 인권위의 결정은 아동인권에 대한 인식변화를 내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체벌, 두발, 징계, 학교폭력에서의 아동인권 차별 결정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체벌의 경우 일관된 입장에서 아동의 신체의 자유 침해를 판단했다. 두발제한의 경우 헌법상 인격권의 침해라는 판단을 내렸다. 더 나아가 개성의 발현권과 자기결정권도 침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내에서의 징계에 있어서도 과거에는 쉽게 무시되었던 절차적인 아동인권이 강조되고 있었다. 폭력사안 조사시에 학습권을 침해하지 않아야 한다거나 의견제출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기관장 평가 항목에 국가인권위 권고 수용지수 도입 등 여러 정책적 개선방안들은 아동의 인권과 관련된 사건에서는 효과가 크지 않았다. 이보다 아동과 학부모에게 눈높이에 맞게 인권에 대한 기초를 교육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국가인권위는 아동인권 침해사례가 발생하였을 때 가해자 상대로 시정권고 등 행정적 조치에 그치지 않고, 인권교육을 수료하게 하는 등 국민 개인의 인권인식 개선을 위한 기반마련에 집중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국가인권위는 아동인권에 있어서도 헌법 제37조 2항의 본질적 침해 금지 원칙을 실현하는 기관이 되어야 할 것이다. 아동인권의 적극적 보장을 위해 국가인권위의 시정권고가 법무부의 시정명령이 될 수 있는 보완적 입법도 기대한다. 학교폭력 가해자에게 의견 진술 기회를 주지않은 사안에 대한 인권위의 시정명령이 있은 후 판결의 변화가 있었던 최근 사안은 가치가 있다. 아동인권에 대한 국제기준의 변화는 선언적인 부분도 있지만 국내법으로 편입된고 반영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국가인권위의 아동인권에 대한 결정례는 아동인권을 보호하고 더 나은 환경에서 살 권리를 지향한다. 이를 통해 국민의 인식변화도 가져오고 법원 판결에도 적극적으로 반영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International Convention on Children is a guide to child human right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addition, the NHRC"s decision on children"s human rights implies social changes in children"s human rights, and such legal and policy changes can lead to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s and lead to real human rights improvements for children when they spre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integrated thinking to this problem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rights through the use of original policie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South Korea"s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re giving guidelines on child human rights through various conventions and precedents. The decisions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and the Human Rights Commission imply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human rights. In the case of corporal punishment, the child"s body infringement was judged from a consistent position. In the case of hairstyle restrictions, the Human Rights Commission ruled that it was an infringement of personal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Furthermore, it was found to infringe on the right to express and self-determination of Individuality. In terms of discipline in schools, procedural child human rights, which were easily ignored in the past, were also emphasized. It should not infringe upon the right to learn or guarantee opportunities for argument when investigating violent issues. According to the research, various policy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the recommendation of the NHRC and introduction of acceptance indexes, were not effective in cases involving children"s human rights. Rather, it is necessary to educate children and parents on the basis of human rights. In addition, the NHRC believes that it is also important to focus on laying the foundation for improving the awareness of the human rights such as completing human rights education, rather than merely administrative measures when cases of child human rights violations occur. In terms of child human rights,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should also become an institution that realizes the principle of banning intrusions under Article 37(2) of the Constitution. In order to actively guarantee children"s human right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s recommendation for correction can be a corrective order for the Ministry of Justice. There was a correction order from the NHRC on issues that did not give the perpetrator of school violence an opportunity to state his opinion. The latest issue, which has changed the district court"s ruling, is meaningful. Changes in international standards on child human righ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be reflected in the domestic laws, although there are some declarative aspect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s decision on child human rights will bring about changes in public perception and actively reflect in court rulings.

      • KCI등재

        Business and Human Rights : Current Developments in Malaysia

        Aishah BIDIN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과기업연구 Vol.9 No.3

        이 글에서는 기업으로부터 인권을 보호하고 UN 기업과 인권 이행 지침을 적용하기 위해 기업에게 어느 정도까지 의무를 부과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한다. 말레이시아에서 기업의 인권 침해와 관련된 문제로는 주로 노동권, 지속가능한 발전과 토착민의 권리, 인신매매, 부패와 올바른 거버넌스의 부재가 거론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UN 글로벌 콤팩트의 참가국으로 인권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UN 글로벌 콤팩트 10대 원칙을 준수하고 있다. 120여 개의 말레이시아 기업이 ‘지속가능한 팜유에 관한 라운드테이블’에 가입해 있으며 UN 세계 인권 선언을 준수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인권위원회가 작성한 기업과 인권 국가 행동계획 전략 프레임워크는 구체적이고 달성 가능한 행동계획을 제시하였다.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 말레이시아 기업 위원회 역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인권 보호를 위한 국제적 기준을 강조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연방 헌법은 기업으로부터 인권을 보호할 국가의 의무에 관해 규정하지 않지만, 법원의 해석을 통해 이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Noorfadilla 판결은 국회의 비준 없이도 UN 여성차별철폐협약을 적용할 가능성을 인정하였다는 점에서, 국제 인권 관련 원칙들의 적용을 위한 좋은 선례가 될 것이다. 말레이시아 정부 기구는 기업의 인권 침해 문제를 다루고 있고, 이 중 일부는 권한을 위임받아 직접 인권 침해를 조사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들은 위반 행위를 처벌하거나 보상을 할 권한을 갖지 않는다. 말레이시아 법제에서 기업은 형사 책임의 주체가 되지만, 직접 규제가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또한, 말레이시아 기업들은 지속가능성을 고려할 압박을 받고 있음에도 실제적 노력을 잘 기울이고 있지 않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이행 지침을 수행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국내법으로 제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to what extent obligations must be imposed on companies to protect human rights fro and applying the UN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In Malaysia, the violation of corporate human rights are mainly addressed by or related to labor right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digenous rights, human trafficking, corruption and the lack of good governance. Malaysia is a participant in the UN Global Compact and complies with its ten principles, including human rights. More than 120 Malaysian companies have joined the Roundtable on Sustainable Palm Oil and comply with the United Nations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e Human Rights Commission of Malaysia (SUHAKAM) introduced its Strategic Framework on a National Action Plan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for Malaysia Bursa Malaysia and the Companies Commission of Malaysia (SSM) also emphasizes international standar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human rights protection. The Malaysian Constitution does not prescribe the state"s obligation to protect human rights from corporations, but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court interpretation. The Noorfadilla ruling is a good precedent for the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principles, in recognition of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UN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Malaysian government agencies deal with corporate human rights violations, some of which are mandated and directly investigate human rights violations. However, these bodies do not have the authority to punish or compensate for violations. In Malaysian legislation, companies are subject to criminal responsibility, but are not directly regulated. In addition, Malaysian companies are not making substantial corrective efforts, even though they are under pressure to consider sustainability. The Malaysian government will need to not only carry out implementation guidelines, but will also make efforts to establish domestic laws.

      • KCI등재

        국제인권조약의 국내적 적용

        박선욱(Park, Seonuk) 한국법학회 2013 법학연구 Vol.49 No.-

        종래 인권 보호는 국가의 의무로 여겨져 왔으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나치가 저지른 극심한 인권침해 상황으로 국제사회는 인권과 기본적 자유의 증진이 국제연합(UN)의 기본 목적 중의 하나임을 결의하고 국제적 차원에서 인권을 보장하기에 이르렀다. UN은 세계인권선언과 국제인권규약 및 기구들을 통하여 국가의 인권 보장을 도모해 왔다. UN헌장 제1조에서 UN의 기본 목적 중의 하나는 “인종, 성별, 언어 또는 종교에 따른 차별 없이 모든 사람의 인권 및 기본적 자유에 대한 존중을 촉진하고 장려함에 있어 국제적 협력을 달성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따라 UN은 인권의 국제적 보호 및 증진을 위해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해왔으며 국제적 인권보호의 기본인 세계인권선언과 국제인권규약을 제정하고 이후 여러 인권에 관한 협약들을 만들어가고 있다. 또한 인권협약을 통한 이행 의무를 국가에 부여하고 규약마다 이를 보고하는 제도를 규정하면서 이 보고서를 검토하는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인권보호를 위한 UN의 제도에 대해 검토하고 국제인권조약의 국내적 적용에 있어서 발생 가능한 문제들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즉, 국제인권법을 국내적으로 이행하는데 있어서 기본적 전제가 되는 국제인권법과 국내법의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나아가 우리나라 법체계에서 국제인권조약의 국내적 적용을 위한 구체적 방법에 대해 몇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movement is of relatively recent orig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has developed, with the establishment of necessary institutions for its implementation and enforcement. As the movement is rooted in the world community’s response to the excesses inflicted upon humanity by the Nazi regime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the founders of the United Nations ensured that the Charter would reflec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Thus, Article 1 of the Charter lists among the purposes of the U.N. “to achiev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promoting and encouraging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for fundamental freedoms for all without distinction as to race, sex, language, or religion.” In addition, the U.N. General Assembly create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n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to promote and protect human rights and to provide effective remedies. The U.N. promotes both the universal ratific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major human rights treaties and ensures the enforcement of universally recognized human rights norms.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tec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with specific reference to the cor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treaties and system. While acknowledging some of the weaknesses of the UN human rights treaty system, this article nonetheless views this system as a vehicle for strengthening the globally accepted notion of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and as a viable framework for the domestic implementation of those rights. As domestic courts expand their use of treaties to interpret domestic law, what is needed is a fully articulated theory regarding judicial use of human rights treaties. Judges and scholars must develop an evaluative framework betwee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gal regimes. Finally, observ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have been led initiatives to improve human rights.

      • KCI등재

        북한 인권침해의 반인도․ 반민족 범죄행위론

        윤우 법무부 통일법무과 2012 統一과 法律 Vol.- No.10

        인권은 평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 사실은 ‘유엔 헌장’(1945)과 ‘세계인권선언’(1948)에 명시되어 있다. 북한의 인권침해는 한반도 평화와 통일, 그리고 한민족의 장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된다. 그것은 또 ‘반인도’ 범죄 행위인 동시에, ‘반민족’ 범죄 행위이다. 첫째, ‘반인도’범죄행위 라는 사실은 북한의 인권침해 실태가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규정’(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의 제7조 1항 ‘인도에 반한 죄’(Crimes against humanity)1)에 모두 저촉되는 행위라는 것만으로도 입증 된다(‘인도에 반한 죄’ 11개항 중 제10항 ‘인종차별’만이 예외인데, 이는 북한에 해당되지 않는 항목이다). 둘째, ‘반민족’범죄로 되는 것은, 정치적 견해를 달리하는 인민들을 격리 수용하여 사실상 ‘절멸’시키고, 주민을 성분에 따라 차별하는 등으로 민족의 존엄과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한편 무자비한 처형․고문․강제노동․식량-영양 공급차질 등으로 수백만의 인적자원과 역량을 훼손시킬 뿐 아니라 차세대의 육체 및 정신건강과 두뇌발전을 해침으로써 민족의 장래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엔은 지난 2003년 이래 해마다 ‘북한인권결의(안)’를 채택하면서 개선을 촉구하고 있으나 북한의 인권 상황은 여전히 세계 최악의 상태이다. 북한 당국은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인권개선 촉구를 ‘내정간섭’이라고 비난하다가 이제는 “북한에 대한 고립 압살 책동”이라고 비난 · 거부하고 있다. 그러나 유엔 안보리가 1990년대 초 이래 유럽과 중동 아프리카의 대규모 인권침해를 유엔 헌장 제7장 ‘평화에 대한 위협’으로 규정하고 군사적 · 비군사적 조치를 취하는 등 ‘인권’은 이제 국경을 초월하는 인류 공통의 문제로 되었으며, 최근(3.22)에는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이 투표 없이 채택되기도 했다. 한편 북한 주민들은 자유와 민주주의를 경험한 바 없기 때문에 인권침해자(가해자)는 물론, 피해 주민들조차도 대부분 인권 의식이 희박한 편이지만 최근에는 그들의 인권 의식도 커가고 있다. 북한의 인권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국제사회 특히 유엔의 노력이 계속 강화되어야 한다. 북한이 가입한 국제인권규약의 이행 의무와, 주민보호에 관한 국가책임을 준수토록 촉구해야 한다. 그리고 유엔 결정에 대한 북한의 불복과 관련하여, 안보리가 ‘반인도 범죄’행위를 근거로 개입할 필요도 있다. 둘째, 북한 당국자(가해자)들을 포함한 남북한 동포 모두와 국제사회가 북한의 인권 침해 실태를 바로 보고, 그것이 ‘반인도- 반민족’범죄행위 임을 깨닫도록 해야 한다. 북한 인권 개선의 일차적 책임은 북한 당국과 주민들 자신에게 있기 때문이다. 또 “인권은 거론할 때 개선이 있고 침묵할 때 진전이 없다”는 것이 역사의 교훈이기 때문이다. Human Rights has a deep interrelationship with peace, as is clearly stated in the UN Charter(1945) and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1948). The North Korean authority's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are acts of 'Crimes against humanity' and simultaneously 'Crimes against the Nation'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Crimes against humanity' can be simply proved when evaluating the acts of the North Korea regime with Article #7-1 in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Article #7-1 consist of 11 items of crimes, for all of which North Korean is guilty, except the 10th item, 'apartheid' which is not applicable in North Korean society. Secondly, it also constitutes 'Crimes against the Nation' because the North Korean regime's human rights violations injure the future and prosperity of Korean Nation by 1) damaging the dignity and image of the Nation, and 2) eliminating human resources through a virtual exterminate of large numbers of dissenters in political camps without any lawful procedures ; ruthless executions ; torture ; forced labor ; and apathy towards hungry people. Moreover, they undermine human equality by discriminating against people according to their social or political backgrounds and 'elements'. The most pressing of problems is the malnutrition of pregnant women, women in childbed, and children, as it might seriously affect the next generation's physical and mental health, especially in cerebral development. The UN has adopted resolutions on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DPRK) every year since 2003 and calls for improvement. However,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North Korea continues to be the worst in the world. Despite all thes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condemned the resolutions of the Unite Nations as "interference in domestic affairs" or "international crushing to death of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most people in the North have little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because they have never experienced freedom and democracy. However, the human rights has already transcended national sovereignty since the UN consolidated its guiding roles of human rights since 1990s. The UN Security Council classified the atrocities occurring in the former Yugoslav states, Rwanda as direct violations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menace to peace' situation. As a result the UNSC approved some military and/or non-military measures in these areas since the early 1990s. The UN upgraded its Commission on Human Rights to Human Rights Council along with establishment of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UPR) mechanism which appraises the human rights situations for all UN member states every four years. The UN also founded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n 2002, and furthermore nominated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PRK in 2004. In addition, on last March 22, 2012, the UN Human Rights Council adopted the Resolution on Human Rights Situation in DPRK by consensus even though three countries expressed their wills of opposition. And the North Korean people's notion of human rights grows gradually. In order to improve human rights situations in North Korea,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reinforce its efforts. It also might be necessary that the UNSC interfere for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based on the 'Crimes against Humanity'. Simultaneously, every North Korean, including the government officials -the violators- and South Korean should be convinced that North Korea's human rights abuses are not only 'Crimes against humanity' but also "Crimes against the Nation', and so need to enlighten the value and importance of Human Rights.

      • KCI등재

        도덕과 인권교육 방안

        최형찬(Choi Hyeong Ch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0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하는가를 묻는다. 이러한 물음은 도덕의 핵심 주제이다. 도덕은 인 간다운 삶에 대한 논의를 포함한다. 인권은 인간다운 삶의 필요조건이다. 그런 만큼 도덕과 인권은 공통점을 갖는다. 인권 실현을 위해서는 교육이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교과교육을 통한 인권교육은 중 요하다. 도덕과는 교과교육을 통한 인권교육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 왔다. 인권은 도덕과 교 육과정의 핵심내용 성취기준 중 하나이다. 한편 교과를 통한 인권교육은 교과간 중복 문제 를 야기한다. 도덕과 또한 다른 교과와의 중복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 그런 만큼 도덕과 의 특성을 살린 인권교육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논자는 도덕과 인권 단원 구성 방안을 제안한다. 그것은 도덕과 인권 단 원의 핵심 내용 성취기준이 ‘인간의 존엄성’, ‘인권의 보편성’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 러한 핵심내용 성취기준에 대한 도덕 논증이 필요하다. 논자는 이를 ‘인권의 도덕적 정당 화’라고 주장한다. 이는 인권에 대한 도덕적 탐구이자 인권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덕과의 특성을 살리는 인권교육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Humans ask how they should live. This is a key topic of morality. Morality involves the discussions about human life. Human rights is human being’s rights. It is a requisite for human life. Therefore, morality and human rights have common ground. Realization of human rights needs education. In that sense,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subjects curriculum is important. Moral subject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subjects. Human rights are one of the key content-performance standards of moral subject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Subjects’ human rights education gives rise to overlapping problem between subjects. Moral subject is not free from this problem with other subjects. Therefore, review of human rights education reflected moral subject’s traits is needed. In this regard, this proposes construction principles of human rights units in moral subject. They are ‘human dignity’ and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which should be key content-performance standards of human rights units in moral subject. These standards need to be argued from moral perspective. This article calls it moral justification of human rights. It is a moral quest and internalization of human rights. By doing so, human rights education enhancing the moral subject’s traits can be achieved.

      • KCI등재

        기업의 인권존중 책임에 관한 검토 - 국제기준을 중심으로 -

        김종일 ( Jong-il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20 법과 정책연구 Vol.20 No.4

        기업의 인권존중책임에 대해 기업의 자발적 이행과 실천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더욱이 대기업이 미치는 영향력은 이미 국가의 수준을 넘고 있기 때문에 국제사회는 이를 규범화하려고 노력을 해왔다. 기업이 국제기준을 철저히 준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국 정부에게 감시·집행 의무를 부과하는 국제조약을 제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주장은 그 노력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접근은 기업의 인권 문제가 윤리적 선택의 문제가 아닌 특정한 권리침해의 문제로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법제화가 기업의 인권경영을 위한 유일한 대안인가에는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제사회에서 강제성이 높은 규범화는 실제 의제화되기도 어렵고 실현되기도 어렵다. 그리고 이러한 제도화에 대한 가입을 행위 주체들이 꺼려할 수도 있다. 하지만 문화접변의 방법은 행위주체들이 내면적으로는 설득되지 않지만 사회적 압력에 견디지 못해 사회적 대세에 순응하여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 유엔 기업과 인권 이행지침(UNGPs)을 작성한 존 러기가 언급한 것처럼 기업의 인권존중책임의 근거는 국제사회가 기업이 그렇게 할 것이라고 하는 사회적 기대에 있다는 것이며, 이는 문화접변의 방법의 메커니즘인 사회적 압력과 다르지 않다고 본다. 이제 기업의 인권존중책임 여부에 대한 더 이상의 논의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남은 과제는 이러한 책임을 어떠한 방식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이를 어떻게 이행하게 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따라서 우리의 기업들도 이제는 인권존중 책임 또는 인권경영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받아들여야 한다. 또한 기업의 인권존중 책임의 이행을 위한 국제기준이 더욱더 정교하게 만들어지는 것과는 별개로, 국가의 기업의 인권존중 책임을 위한 정책적 노력, 그리고 인권존중 책임의 주체인 기업의 적극적 이행 의지와 실행이 함께 움직일 때 기업의 인권존중 책임은 실현될 것이다. It is not easy to expect companies to voluntarily implement their responsibility for respecting human right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made efforts to institutionalize corporate responsibility for human rights. One of the efforts is that it is most effective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treaty imposing surveillance and enforcement obligations on governments in order to ensure that enterprises comply thoroughly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approa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t the issue of corporate human rights as a matter of specific rights violations, not of ethical choice, bu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whether legislation is the only alternative to the management of corporate human rights. Legislation that is compulsor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difficult to set as an agenda in reality and difficult to implement. And member states may be reluctant to join this institutionalization. But according to the method of acculturation, Companies are not persuaded internally, but they can not withstand social pressure, so they can adapt to social trends and change their behavior. As John Ruggie, who reported UNGPs, noted, the basis for corporate responsibility to respect the human rights is that there are social expectations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elieves that businesses should do so, and I think this is no different from social pressure, the mechanism of methods of acculturation. There seems to be no further discussion on whether companies are responsible for respect for human rights. The remaining challenge is how to get companies to fulfill these responsibilities. Our companies should now accept responsibility to respect the human rights or social expectations for human rights management. In addition, apart from creating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e implementation of corporate responsibility to respect the human rights, the government's policy efforts for corporate responsibility to respect the human rights, and the willingness and execution of companies to actively implement the responsibility to respect the human rights move together. The responsibility to respect the human rights will be realized.

      • KCI등재

        도덕 교과서의 인권 관련 내용 분석

        최형찬(Choi Hyeong Ch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5

        이 글은 도덕과의 인권교육과 관련하여 중학교 도덕 교과서를 분석한다. 먼저 도덕 교과서 제작 기준인 도덕과 교육과정을 살펴본다.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인권교육’의 도입은 2007 개 정 교육과정부터이다. 그리고 현행 수시 개정 교육과정까지 계속되고 있다. 도덕과 교육과정 은 인권 단원과 인권교육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타 교과와 비교해 볼 때 도덕과가 인권 교육의 핵심교과임을 잘 보여준다. 다음으로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인권 단원’과 ‘인권 단원’ 이외의 내용을 분석한다. ‘인권 단원’은 인권 자료, 선언, 개념, 기관?단체 등의 적절성 여부 를 검토한다. ‘인권 단원’ 이외에서는 책임?의무와 권리의 서술 빈도를 살펴본다. 분석 결과 ‘인권 단원’은 외국 사례에 편중되거나 일부 개념 설명 등이 미흡하였다. ‘인권 단원’ 이외에 서는 대부분 책임?의무와 권리를 균형 있게 서술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일부 교과서는 권리 보다 책임?의무 중시의 서술을 하고 있었다. 더불어 교육과정상에 나타난 인권 관련 개념이 나 내용 서술이 미흡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필자는 결론으로 인권 관련 개념, 사례, 내용 등 의 보완을 제안한다. This analyses middle school moral textbooks concerning human rights education. Firstly, this reviews the curriculum of moral subject, the base of textbooks. Human rights education in moral subject was first introduced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continuing to the constantly revised one of today. Moral subject curriculum includes ‘human rights unit’ and contents. Compared to the other subjects, moral subject is central subject of human rights education. Secondly, this analyses the contents of ‘human rights unit’ and the other units in middle school moral textbooks. In ‘human rights unit’, this examines if human rights’ material, declarations, concepts, organizations or groups are relevant. In other units, this counts the description frequencies of responsibilities & duties, and human rights & rights. These analyses reveal that ‘human rights unit’ leans too much on foreign cases or lacks enough explanation of some concepts and that other units are balanced in description of responsibilities & duties, and rights. With all this, some textbooks describe responsibilities & duties more than rights. As well, they lack proper descriptions of some human rights-related concepts or contents in moral subject curriculum. In conclusion, this suggests supplementations of human rights-related concepts, cases, and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