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가정에서의 소비윤리 교육경험과 교직관이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미경,황보영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가정에서의 소비윤리 교육경험과 교직관이 윤리적 소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교직관과 윤리적 소배행동의 전반적인 경향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 유아교육과 학생 3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 기초분석과 Cronbach α 신뢰도 계수, t-검증,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 수준은 공직관, 전문직관, 노동직관, 성직관 순으로 나타났고 교직관의 모든영역에서 중간점을 상회하였다. 단계별 윤리적 소비행동은 기초단계, 성장단계, 성숙단계 순으로 소비윤리행동 단계가 높아질수록 윤리적 소비행동 수준은 낮아졌다. 윤리적 소비행동에 대한 변수들의 영향력은 가정에서의 윤리적 소비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전문직관과 성직관이 높을수록 윤리적 소비행동을 많이 하고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윤리적 소비행동의 향상과 관련하여 교원양성교육과정에서 교직관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thical consumption educational experience and perspective affects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2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in the Busan and Gyeongnam regions. The collected data treated with SPSS Win. 25.0 and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rough Cronbach α, t-test, one-way ANOVA,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ducational perspective scores were all above median values. The official educational perspective scor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professional, and Holy Order educational perspectives. As the level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increased, the measured score for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decreased. The average score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decreased as the level of ethical consumption increased in the order of basic, growth, and maturity levels. The results of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regarding educational experience in ethical consumption in family, and higher professional educational perspective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The Holy Order educational perspective also had a positive effect, except for on the basic level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erspective training on shaping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o improve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현장에서 2인칭 관점 윤리의 구현과 지속 -노들 장애인 야학에서 활동가와 장애 당사자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정진영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20 도시인문학연구 Vol.12 No.2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ethics of the second person perspective are practiced and sustained in daily lives. For this study, I conducted field work from October 2018 to June 2020. The field work was conducted at the ‘Nodeul-Yahak’ which is an organization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located in Jongno-gu, Seoul. Nodeul-Yahak is an organization with complex characteristics such as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living community and lifelong learning cente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ethics of the second person perspective are represented by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In other words, in Nodeul-Yahak, activists practice ethics of second person perspective by taking responsibility and intervening in the liv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ealization of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is not a result of active choices by activists. Rather, Activists are called to take responsibility for others. This suggests that unlike the view of modern liberal ethics, actors who have free will and reason are not the only ones who construct and practice ethics. Second, this ethics of responsibility face struggles as the relations last for a long time. Activists are not sure that their choices would work as ‘goo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t the same time, they face the question of 'Who is the sufferer?' However, such pain, struggle and conflict do not function as a condition that makes ethics impossible. Rather, pain, struggle and conflict are part of the ethics. The ethics of the second-person perspective are realized in the process of welcoming the struggling self, and even the risk that the position of the sufferer would change and be overturned. The practice of embracing pain, struggle and conflict creates ethics in itself by cracking the premise of self-identity and other's fixed weakness. In other word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liminating pain, struggle and conflict is not a condition of ethics, but rather embracing those is an expression of ethics in itself. 본 논문에서는 구체적인 일상에서 2인칭 관점의 윤리가 어떻게 구현되며 지속되는가를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8년 10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노들 장애인야학에서 현장연구를 진행하였다. 노들 장애인야학은 교육기관, 생활공동체, 사회운동 단체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는 단체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인칭 관점의 윤리는 책임의 윤리로 표상된다. 즉 노들야학에서 활동가들은 장애 당사자의 삶에 대해 책임을 지고 개입하는 것으로 2인칭 관점의 윤리를 실천해나간다. 이때 활동가들이 책임의 윤리를 구현하는 것은 능동적인 선택이라기보다 관계 속에 놓이게 된 결과이다. 활동가들은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타자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호명 받는다. 이는 근대 자유주의적 윤리의 시각과는 상이하게, 이성적이고 개별적인 행위자만이 윤리를 구현해내는 것은 아님을 제시한다. 둘째, 이러한 책임의 윤리는 관계가 장기화되며 여러 위기에 직면한다. 활동가들은 본인들의 선택이 장애당사자에게 좋음으로 작용할지 확신하지 못한다. 동시에 ‘누가 약자인가?’라는 질문에 직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통, 분투, 갈등이 윤리를 성립 불가능하게 하는 조건으로 기능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고통, 분투, 갈등은 2인칭 윤리의 일부로 자리한다. 2인칭 관점의 윤리는 분투하는 나 자신, 나아가 타자의 약자성이 변화하고 전복될 수 있다는 위험까지 환대하는 과정에서 발현된다. 고통, 분투, 갈등을 끌어안는 실천은 자기동일성 및 타자의 고정된 약자성에 대한 전제에 균열을 냄으로써 그 자체로 윤리를 만들어낸다. 다시 말 해 본 연구는 고통과 분투의 제거가 윤리의 조건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포용해내는 과정에서 윤리가 발현될 수 있음을 제시 한다.

      • 체육대학 예절교육에 관한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긍정적, 부정적 인식분석

        곽은창(Kwak, Eun-Chang),강민재(Kang, Min-Jae) 경희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원 2011 태권도과학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대학 예절교육에 관한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긍정, 부정적 인식을 파악하는데 있었다. 연구대상으로 한국대학교(가명) 체육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714명이 설문작성을 하였고 최종 696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Flanagan의 주요사건기록지를 이용해 남녀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예절교육에 대한 남녀 간의 인식 차는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절교육의 긍정적인 측면을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 ‘단합, 동기애 함양’, '기본적 예절 습득‘과 '위계질서 확립’의 순으로 나타났다. 예절교육의 부정적인 측면을 밝힌 학년별 분석에 의하면 1학년의 경우 ‘신체, 정신적 피로와 압박, ‘강압적 분위기’와 ‘비인격적 대우가 압도적으로 많이 보고되었다. 4학년의 경우에는 ‘본 취지와 다르게 실시’, ‘강압적 분위기’, ‘신체, 정신적 피로와 압박’, ‘없다’, ‘비인격적 대우’ 순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체육대학 내의 형식과 상하관계를 중시하는 문화가 존재하고 있으며 예절교육이 본연의 목적이나 취지와 다르게 실시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on ethic instruction of Physical Education, based on student’s perception.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714 Physical Education Students and total 696 questionnaires out of 714 were uesd for the data analysis. The critical incident report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not much gap between male and female perspectives. With regard to the positive perspective, as an important factor, ‘cooperation’, ‘brotherly affection’, ‘basic etiquette’, and ‘respecting authority’ were turned up in order. In respect of the negative perspective, on the freshman basis, bad experiences were overwhelmingly high in three aspects: ’pressure on body and mind’, ‘imperative mood’, and ‘inhumanity’. In respect of the negative perspective, on the senior basis, ‘implementing another instruction unlike ethic instruction’, ‘imperative mood’, ‘pressure on body and mind’, ‘nothing’, and ‘inhumanity’ were turned up in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ceremonialism and authority exis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ollege. In addition, the ethic instruction has been conducting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purpose.

      • KCI등재

        Brain Death and Life Ethics from the Perspectives of Religions

        Yoo,Kyoung-dong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9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2 No.3

        After brain death criteria was first established at Harvard University in 1968, Korea included brain death in mthe guidelines for the determination of death, through the organ transplant law in February 1999. Since then, various legal, medical, ethical, and social issues regarding the determination of death related to brain death have surfaced,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s of comparative religion regarding the position towards the brain death. The author will examine the life ethics related to the brain death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atholicism, Protestantism, Judaism, Buddhism, Hinduism, Islam and Confucianism. Three arguments will be unfolded through this paper at large. Firstly, internal and external perspectives on the brain death will be briefed, and secondly, issues related to brain death will b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s of various religions, and thirdly, a few proposals will be mad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fe ethics. Through this paper’s various religion’s organic perspectives on the entire human life overcoming biological or reductionist perspectives regarding the brain, the author expects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life to deepen in relation to the brain death.

      • KCI등재후보

        종교적 관점에서 본 뇌사와 생명윤리

        유경동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9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2 No.3

        1968년 하버드대학에서 최초의 뇌사판정기준을 세운 이후, 국내에서도 1999년 2월 장기이식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뇌사가 사망의 기준에 포함되었고,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시행령[시행 2018. 10. 16.] [대통령령 제29230호, 2018. 10. 16., 일부개정]”에 뇌사 판정의 기준이 좀 더 구체적으로 세워졌다. 그 후 뇌사와 연관된 죽음의 판정에 관한 법, 의학, 윤리, 그리고 사회적으로 많은 이슈들이 있어왔는데, 비교 종교적 관점에서 뇌사에 관한 입장이 연구된 적은 없다. 필자는 본 논고를 통하여 가톨릭, 개신교, 유대교, 불교, 힌두교, 이슬람교, 그리고 유교의 관점에서 뇌사와 관련된 생명윤리관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크게 세 가지 논지를 전개하고자 한다. 첫째, 2000년대 영어권의 연구 자료들을 중심으로 뇌사 판정에 관한 관점을 간략한 다음, 둘째, 각 종교의 관점에서 뇌사에 관한 쟁점을 살펴보고, 셋째, 생명윤리의 관점에서 몇 가지 제언을 하도록 하겠다. 이 논문을 통하여 뇌사와 관련하여 뇌와 연관된 생물학적인, 또는 환원론적인 관점을 넘어서 인간의 삶 전체를 유기적으로 보는 각 종교적 관점을 통하여 인간의 생명에 대한 이해가 좀 더 깊어지기를 기대한다. After brain death criteria was first established at Harvard University in 1968, Korea included brain death in the guidelines for the determination of death, through the organ transplant law in February 1999. Since then, various legal, medical, ethical, and social issues regarding the determination of death related to brain death have surfaced,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s of comparative religion regarding the position towards the brain death. The author will examine the life ethics related to the brain death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atholicism, Protestantism, Judaism, Buddhism, Hinduism, Islam and Confucianism. Three arguments will be unfolded through this paper at large. Firstly, internal and external perspectives on the brain death will be briefed, and secondly, issues related to brain death will b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s of various religions, and thirdly, a few proposals will be mad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fe ethics. Through this paper’s various religion’s organic perspectives on the entire human life overcoming biological or reductionist perspectives regarding the brain, the author expects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life to deepen in relation to the brain death.

      • KCI우수등재

        자율주행 자동차 사고 상황에 대한 한국인의 윤리적 판단

        이혜원,정은경 한국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0 No.1

        We have conducted two studies to confirm Koreans’ perceptions of ethical judgment of Autonomous Vehicles(AVs). Based on prior studies that examined people’s ethical standards on the accident situation of AVs, we wanted to find out whether the low support for utilitarian decision of AVs, and for sparing young lives, which were presented as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culture in prior research were also seen in Korean samples (Study 1), and whether the ethical judgment on AVs depends on the perspectives: driver and observer (Study 2). In Study 1, we examined the ethical judgment of Koreans based on the two conditions number of people and age conditions and verified the subjective difficulties of the accompanying choices. In Study 2, we ascertained whether ethical judgment, subjective difficulties in choice, and assessment of accident responsibility vary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between observers and drivers. Results in Study 1 provided that the participants made a decision to save more lives and young lives. Considering both the number of people and the age, overall, the tendency to judge by applying the number of people criteria preferentially rather than the age standard was confirmed. Study 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thical judgments based on perspectives. Pedestrian priority was significantly higher shown in the observers group who had nothing to do with the accidents. Drivers group reported more subjective difficulties in making decisions. When asked who was responsible for the accidents,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 manufacturer was the most responsible regardless of the point of view, followed by the driver. On the other hand, they answered that pedestrians were least responsible. 본 연구는 200여 국가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자율주행자동차의 사고 상황에 대한 도덕적 기준을 살펴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존 연구에서 타 문화권과 다른 동양 문화권의 특성으로 제시된 다수와 젊은 연령에 대한 상대적으로 낮은 선호가 실제로 한국인에게서 나타나는지, 그리고 자율주행자동차관련 윤리적 판단이 운전자와 관찰자라는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인원, 연령 조건에 따른 한국인의 윤리적 판단을 확인하고 이에 동반되는 선택의 어려움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2에서는 관찰자와 운전자라는 관점 차이에 따라 윤리적 판단, 선택의 어려움, 사고 책임평가가 달라지는 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1의 결과, 다수와 젊은 연령에 대한 선호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인원과 연령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는 예외적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연령기준보다는 인원수 기준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여 판단하는 성향이 강했다. 연구 2에서는 관점에 따른 윤리적 판단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찰자집단이 운전자집단보다 보행자를 우선하여 살리려는 성향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운전자집단이 의사결정에 대한 주관적 어려움을 유의하게 높게 보고했다. 사고의 책임 주체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자동차 회사, 운전자, 보행자 순으로 책임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함의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생명과학기술, 생명윤리, 그리고 생태학적 관점의 관계 고찰 - 로이스 로리의 『더 기버』를 중심으로

        최훈 ( Choi¸ Hoon ),김대영 ( Kim¸ Dae-young )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15 영어권문화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io-technology and bio-ethics through ecological perspectives and to find examples in literature for the inter-relationships and activating public’s ethical discourse. This study explores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bio-technology and bio-ethics because if our human society ignores bio-technology’s positive fruits due to some faults, it will lack elements of human’s fundamental quality of life as well as the uncertainty of our survival. Therefore, our human society needs various resources to sustain its quality of life through diverse discourses, from different viewpoints such as ethics and literature as well as science-technology.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effectiveness and biodiversity and to connect them to bio-ethics' possibility based on an ecological perspective. To find the social control's problems of human society, First, this study analyzes biodiversity decreases. Also, it relates biodiversity to the absence of bio-ethic consciousness. With these theoretical basis, this study suggests that Lois Lowry's work, The Giver, exemplifies inter-relationships among bio-technology, bio-ethics, and ecological perspectives. The reason to find this inter-relationship in the literature is that the literary works can easily connect each disciples and interpret each other. In addition, because literature can also have relations with the pubic audience, it can widen some discourses in the public. With this interdisciplinary aspect among bio-tech, bio-ethics, and literature, this study would like to reveal new approaches to a variety of problems in human society, to have some discussion, and to find proper reponses for these problems.

      • KCI등재

        통합사회 과목의 윤리·지리적 관점에 기반한 예화 구조 연구

        방민권 ( Min Kwon Bang ),최재영 ( Jae Yung Choi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사회 과목의 윤리적 관점을 분석하고, 균형 잡힌 윤리적 관점을 위한 대안을 지리적 관점과의 결합을 통해 모색해 보는 것에 있다. 윤리적 관점은 크게 의무론적 관점과 목적론적 관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통합사회 과목의 윤리적 관점은 목적론적 관점이 강조된 목적론적 편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리적 관점, 특히 사적 지리 개념에 기반하여 심리적 거리 예화 구조와 인지 부조화 예화 구조를 설계하였고, 인지 부조화 예화 구조는 사적 지리의 스케일에 따라 의무론 모델과 목적론 모델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 두 예화 구조를 통합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예화에 실제로 적용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thical perspective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subject and to explore alternatives for a balanced ethical perspective by combining it with geographical perspective. The ethical perspective can be divided into the deontological perspective and the teleological perspective. The ethical perspective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subject shows a teleological bias emphasizing the teleological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psychological distance example structure based on geographical perspective, especially the concept of private geography, and the cognitive dissonant example structure. The cognitive dissonance example structure is divided into the deontology model and the teleological model according to the scale of private geography. And we applied these two example structures to the examples presented in a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

      • KCI등재

        다섯 가지 텍스트 해석 방법을 활용한 읽기 중심 교육 모형의 개발

        김미란(Kim Mi-Ra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2 리터러시 연구 Vol.- No.5

        한국의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글쓰기 교육은 읽기를 통한 쓰기가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의 비중이 높은 데 반해 읽기-쓰기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모형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그중 쓰기 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읽기 교육 모형의 개발은 아직 본격적으로 시도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쓰기 교육의 모형 개발이 시급했던 터라 읽기 교육 모형까지 고민할 수가 없었던 저간의 사정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바로 그러한 점 때문에 글쓰기 수업에서 선택되는 읽기 교육의 수준은 낮은 편이다. 글쓰기 교수자들이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텍스트의 수준은 높은 편이지만, 텍스트를 읽는 방법은 10여 년 전의 교육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이 영역은 여전히 미답 상태에 놓여 있다. 그 점에서 읽기 교육 모형을 개발하는 것은 생각보다 시급한 과제이다. 한국의 대학 글쓰기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많지만 읽기 교육 모형의 개발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중요한 과제인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를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대학 글쓰기 교육의 질적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그 점에서 본고에서 제시하는 읽기 교육 모형은 읽기 교육을 활성화시키는 데에만 목표가 한정되어 있지 않다. 이를 통해 ‘읽기를 통한 쓰기’ 혹은 ‘쓰기를 위한 읽기’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본 연구는 쓰기 교육의 활성화를 최종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그 전제가 되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론 없는 방법론은 토대가 허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읽기-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진척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미국에서 이루어진 이론적 모색 과정과 그 결과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글을 서술하였다.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을 위해서는 존 피터스가 개발한 텍스트 해석을 위한 다섯 가지 방법을 활용하였다. 정서적 관점, 윤리적 관점, 수사학적 관점, 논리적 관점, 사회적 관점이 그것이다. 그런데 읽기와 쓰기를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한국 대학에서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읽기 교육 모형 개발에 초점을 두기는 하되 읽기-쓰기 교육의 통합적 관점을 유지하면서 쓰기 교육과의 연계성을 살리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In Korean academic writing, reading to writing is the most important teaching method. But concrete models for it are not developed sufficiently. Especially, models for reading education are not tried to develop so far. This is caused by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models for writing education. The matter must have been settled without delay. But that is why the level of reading education is not high. Although the level of reading texts which are offered by professors is high, teaching methods for reading are not changed for about 10 years. It means this area has been stalled for a long time. In that respect, developing the models for reading education is a most urgent task. Even if there are so many problems to solve for Korean academic writing, this is very important and urgent task we can t delay no more. Therefore in this paper, I place great importance on developing the models for reading education, and contribute to qualitative for growth Korean academic writing through it. For this purpose, I offered theories which are the premises of it. Methodology without no theory is very fragile. However in Korea, the study and research are not accumulated enough, inevitably in this paper, I introduced theories and methodologies for reading and writing by American scholars. Especially, to offer a concrete reading education, I used John peters’method. His method for reading education is very useful because it includes emotional, ethical, rhetorical, 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s. But in Korean universities, it is common to adopt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to write, I proposed the method of reading education which is maintained the connection with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La perspective éthique de la didactique des langues-cultures

        Hoda Khayat,Hamid Reza Shairi,Rouhollah Rahmatian,Roya Letafati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2014 에피스테메 Vol.0 No.12

        The ethical dimension of teaching is rooted in dynamicity which in turn is in an interrelated and trans-individuality space. This dynamicity is generated by forces which reflect the ways human subjects act. Insofar as ethics opens a perspective to the other individual, the ideal and the new action, we are in a deictic orientation which gives the symbolic gestures a pragmatic dimension. Thus, the interaction ethico-didactic provides teaching-learning process with a performative and anthropological sense. So, it would be interesting to use the applied predicates which relate the educational subject with other individual. In which sense are these predicates available to create ethical-didactic activities?Our task is therefore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predicates which would lead us to an action or a social project created by the ethical se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