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본원적 경쟁 우위 전략에 따른 디자인 함축적 정보에 관한 연구

        임재훈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9 No.-

        경영과 디자인의 공통점은 이윤의 추구를 통한 기업의 성공에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디자인에 대한 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업마다 좋은 디자인을 창출해 냈다고 해서 모든 기업들이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전략 경영 연구의 본원은 기업의 성공의 원인을 밝혀내고 그것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에 세계적 경영학자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 교수는 기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경쟁 우위를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하여 원가 우위, 차별화 우위, 집중화 우위의 3가 지 본원적 경쟁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디자인경영 학자인 모조타(Mozota)교수는 이러한 전략의 선택에 따라 디자인 의 심미적 포지셔닝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각기 다른 경쟁 우위 전략을 선택하고 있는 유럽의 6개의 세계적 가구기업들의 제품들의 조사, 비교를 통해 디자인이 담고 있는 함축적 정보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3가 지 본원적 경쟁 우위 전략에 따라 어떠한 디자인 전략을 구축해야 할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디자인이 포함하고 있는 함 축적 정보의 규명을 위하여 학부 및 대학원 생 72명이 설문평가에 참여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원가 우위 전략 기업들의 제 품의 경우 합리적이고 직관적이며 단순한 정보를 포함하는 모더니즘(Modernism) 시대의 표준화된 디자인의 경향을 보이 며 이와 반대로 차별화 우위 전략의 기업들은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시대의 은유적이고 체험적이며 감성적인 디 자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업 내 세분화된 영역에서 집중화 우위 전략을 선택하고 있는 기업들은 모더니즘(Modernism)과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의 경향이 둘 다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원가 집중 화를 선택하느냐 차별화 집중화를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는 3가지 본원적 경쟁 우위 전략에 따라 그에 맞는 디자인 전략을 구축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기업이나 디자이너들이 디자인 경영 전략을 구 축하는데 있어서 참조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A common goal of management and design is company’s success via pursuit of profits therefore lots of companies have interested in the investment for design. However, it is not true that all companies are able to success by good design. The origin of strategy management research is to reveal the cause of success and keep it sustainably. Hence, Michael Porter who is a well-known scholar in management insists that companies have to get competitive advantages and there exist three generic strategies those are cost advantage, differentiation, and focus for success. Moreover, Mozota who is a noted scholar in design management asserts that design aesthetic positioning can be different by three generic strategi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products of six world-famous furniture companies those are building different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in Europe and then analyzed the differences of implicative design information through comparison of the products for discussion what design strategy can construct depending on the three generic strategies. 72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students engaged in the survey to examine the implicative information in design and as the result,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roducts of cost advantage strategy companies show tendencies of Modernism design that includes rational, intuitive, simple implicative information as standardized design.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discovered the products of the companies that carry out differentiation strategy imply metaphorical, experiential, and emotional information in design as post-modernism design and it is also exposed that the products on focus strategy have both tendencies of cost advantage and focus strategy because the companies that carry out focus strategy have to choose either costfocus strategy or differentiation-focus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ns that idealized design strategies can be built as per three generic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and it expects that the result can be referred for building design management strategy for companies and designers

      • KCI등재

        국내기업의 디자인경영전략 분석에 따른 신개념 CPI 전략구축 연구

        홍성수(Sung Soo Hong),홍경민(Kyung Min H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최근 한국기업들의 위상이 선진국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대등하고 앞서가는 기업들이 늘고 있으며 국제적인 기업으로 급속히 성장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국제화 되는 과정에서 디자인경영의 역할이 크게 기여하였다. 국제적인 경쟁력을 위하여 기업들이 디자인 경영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한 것이 20년 정도밖에 안되고 그것도 실질적으로 기업경영의 도입된 것은 10년 정도 일 것이다. 그렇다 보니 기업에서의 디자인 경영 시스템을 도입하여 기업경영을 체계적으로 적용한 기업은 그리 많지가 않아서 국가에서 디자인브랜드경영대상 제도를 도입하여 장려 차원에서 평가에 따른 포상을 하고, 그에 따른 지원과 혜택을 함으로서 국가 디자인 위상을 높이는 정책을 하여왔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현황은 아직도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을 확립하여 이를 적극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보다 체계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국내 기업들 중에서 디자인브랜드경영대상에 선정된 후 계속하여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기업경영에 활용하고 있는 기업들을 선정하여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의 활용 및 현황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디자인경영관리 기본이 되는 CI (Corporate Identity), BI (Brand Identity), CPI (Corporate Product Identity)에 대한 시스템을 잘 활용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보다 체계적인 활용 방안도 연구 하고자 한다. 그동안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디자인경영전략의 일환으로 CPI 전략시스템을 적극 활용하여 왔으며 그로 인하여 기업이미지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CPI 전략 시스템은 초기 단계이며 현재 진행 중이라고 할 수 있으며 CPI 전략시스템 구축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으며, 그 전략 체계도 확립되고 있지 않은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기본 목적은 국내 기업들의 디자인경영 전략을 분석함으로서 공통적인 전략, 우수하고 훌륭한 전략, 개선되어야 할 전략, 새로운 개념의 전략들을 발췌 정리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신개념의 CPI 전략체계를 구축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은 국내 기업의 디자인경영전략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디자인경영전략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CPI전략 구축을 위한 새로운 구축체계를 확립하고자 신개념의 CPI 전략 시스템을 체계화하도록 하는 연구내용이다. 또한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국내 기업의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에 관하여 분석하고 그에 따른 CPI 전략 시스템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개념의 CPI 전략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의 객관화를 위하여 선행 연구와 기존의 통계자료의 분석, 관련 기관을 통한 정보자료의 입수를 통하여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을 통하여 연구할 것이다. 이와 같은 신개념의 CPI 전략은 기존의 국내 기업들이 설정한 CPI 전략들이 심히 개념적이거나 실행 불가능한 비현실적인 전략들을 분석하여 더욱더 실질적이고 모든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실행가능 한 실제적인 CPI 전략의 새로운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국내의 많은 기업들이 향후 신개념의 CPI 전략을 도입 활용함으로서, 자신들만의 기업 특성화 이미지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Recently, more ``Korean-Corporations`` are expanding their businesses into other(oversea) countries and they are equal or getting better in their competition with advanced country as an international company is going to grow rapidly. Without a doubt, such a process of internationalization the role of design management have greatly contributed to the nations`s economic success. The companies started to introduce a design management system for a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at will be only about 20 years, and it has been used actually about 10 years to introduce the real corporate management. Thus, the companies that apply a systematic corporate management with design management in the companies did not have too much design management systems,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Design Brand Management Awar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 terms of encouraging and national policy has been improved for the design`s status by the supports and benefits. But the situations of domestic companies are not still actively using and establishing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well. Therefore, in order to find more systematic and useful application method, it needs to do the analysis and utilization of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and find the companies are utilizing their company management by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after selected ``The Design Brand Management Award`` in the domestic companies. In addition, this research studied more systematic utilization methods with an analysis of good using CI(Corporate Identity), BI(Brand Identity), CPI(Corporate Product Identity) system or not in the same context of the basic design management. In the meantime, developed countries actively utilized CPI strategy system that is a part of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from a long time ago, it is improved company images and it is given great contribution by using that. But CPI strategy systems of the domestic companies are basic stages and the works are now in progress, the structure of CPI strategy system was not properly installed. That strategy structure also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he reality. The basic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studying the extract and organization of the common strategy, the excellent and outstanding strategy, the improved strategy, the new concept of strategy by analysis of the domestic companies`s design management strategy. Also this is studying and building the new concept of CPI strategy structure. Therefore, the basic content of this studying is an analysis with present conditions of the domestic companies`s design management strategy and establishing a new construct system for the CPI strategy structure that is the core of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with this results, and the studying is a new concept of the CPI strategy`s systematization. In addition, a study of methods is building of a new CPI strategy system and understanding the present problems and improvements by analysis of the domestic company`s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and research of the CPI strategy system`s present condition.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preceding study and analysis of existing statistical data, the obtainments of information data by the related organization for the objective study with the disinterested and quantitative method. For such a reason, the new concept CPI strategy is new structure system of practical CPI strategy for the more practical and all company can use in common by analysis of the existing domestic companies, impractical set CPI strategies up, are quite conceptual or impossible to do. Therefore, this result of the study will help the improvement strategy of own specialized company images after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any use and institute the new concept CPI strategy system.

      • KCI등재

        주거 공간 내 제품의 유니버설디자인 전략 제안

        원지희,박지윤,우은제,김지해 한국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학연구 Vol.34 No.4

        Background Social distancing has been observed because of the COVID-19 quarantine guidelines. Hence, there was a care deficit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elderly, and children, causing physical accidents owing to difficulties in performing daily life activities independently in living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universal design strategy for products used in residential spaces to help solve these social problems. Method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we investigated cases of universal design of products used in residential spaces and organized their features. Since then, based on three rounds of Delphi surveys, the overall design of the products and their influence on universal design were evaluated. The evaluation results were analyzed to devise a universal design strategy. Strategies were derived by categorizing the characteristics with similar transition in the elements of the product. Additionally, we analyzed the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strategy.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ducts used in residential spaces based on space, strategies that should be applied preferentially to each space were derived differently. 'Add Safety Devices', 'Add Movement', and 'Physical Interaction Reduction' strategies in bedrooms/living rooms, kitchen, and bathrooms, respectively, were widely used. It will be helpful for universal design if the strategies, which should be used preferentially, present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first. Conclusions Designers and developers will be able to fulfill universal design guidelines by preferentially considering the universal design strategies that should be prioritized, as presented in this study. Additionally, the strategy presented in this study is a universal design strategy derived by categorizing the strategies implemented in products that are well-realized universal design. Therefor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of universal design research methods that can increase utilization in actual universal design. 연구배경 코로나 19 방역지침의 일환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진행되며 노약자, 어린이, 장애인 등의 돌봄 공백이 발생하였고 이는 주거 공간 내에서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어려워 발생하는 물리적인 사고를 일으켰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고자 주거 공간에서 사용하는 제품을 대상으로 한 유니버설디자인전략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문헌 연구를 통해 유니버설디자인이 적용된 주거 공간 내 제품의 사례를 조사하고,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후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및 제품별 특징의 유니버설디자인 영향력을평가받았다.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유니버설디자인 전략을 고안하고, 전략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제품의 특징에서 변화 방식이 유사한 특징끼리 범주화하여 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주거 공간 내 제품을 공간별로 분석한 결과, 각 공간별로 우선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전략이 다르게도출되었다. 침실/거실에서는 ‘안전장치 추가’, 부엌에서는 ‘움직임 추가’, 욕실과 기타에서는 ‘물리적 상호작용의 축소’ 전략이 많이 사용되고 가장 영향력을 많이 끼친 전략이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우선전략을 먼저고려한다면 유니버설디자인에 도움이 될 것이다. 결론 디자이너 및 개발자는 연구에서 제시한 우선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전략을 먼저고려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략은 유니버설디자인이 잘 실현된 제품이 실제로 사용한 전략을 범주화하여 도출한 유니버설디자인 전략이므로 실제 유니버설디자인에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유니버설디자인 연구 방법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개방형 기술혁신 기반의 지배적 디자인 기술개발 및 확보 전략 : 현대중공업의 HSP(High Skewed Propeller) 설계 및 생산 시스템

        안연식,김화영 한국데이터전략학회 2018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 Vol.25 No.1

        This study presents a research model that demonstrates the dominant design technology strategy for developing and securing dominant design technology based on open innov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strategic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acquisition of design technology, production technology, and production system of propeller which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ship propulsion system required by ship owners and shipbuilders. By studying large propellers for ships, it is possible to embody a strategic model that can be used as a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of dominant design that is effective in technology field of other industries. In this study, HSP (High Skewed Propeller) strategy of Hyundai Heavy Industries, which occupies the largest global market share (47.5%, 2007) for more than 30 years until now, is analyzed as a successful case to verify this strategic model. The development and acquisition strategy model of dominant design techn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four stages : dominant design project strategy, dominant design engineering technology strategy, dominant design production technology strategy, and dominant design production system strategy. The strategic model summarizes the key activities at each stage. In addition, the steps and core activities of this strategic model were confirmed through the case study. As a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of HSP products, Hyundai Heavy Industries utilized open innovation technology to cooperate with outside, that is, collabora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with KAIST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team, and succeeded in achieving technology development of dominant design of HSP products by linking it with HSP technology development and acquisition strategy.

      • KCI등재

        CPI 전략에 의한 신개념 자동차 디자인 연구

        홍경민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1 No.-

        The automobile industry provides the best affluence and convenience in human life than any other industry in the world. It's not just the basic role of the car,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the additional uses for human life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and provided. Therefore, recently automobile manufacturers are designing and producing new models that are more advanced for their customers. The research about numerous convenient facilities for passengers continues in addition to providing services for operation and utilization about all the motorists and facilities. A company's systematic design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for a corporate strategy on this. Recent design strategies are the reality that analysis and research about user interface, market trends, high technology, regional differentiation strategies, etc. So, car-manufacturing companies need to develop a design strategy that fits the corporate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automotive designs according to the specific nature of the car. It can be seen as a CPI(Corporate Product Identity) strategy of a company that is important as a way to build a design strategy. This study establishes a unified strategy for corporate products and applies them to design development for the success of business in the automobile industry. According to this, The study establish a basic CPI(Corporate Product Identity) strategy to generate profit between businesses and consumers. Based on this, it is a study of new concept car design. In the study of automobile design according to the new trend of consumers, car design was developed by selecting single people. Therefore, innovative design elements for the new concept were collected using the CPI strategy of the automotive company.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present new car design concepts and studied car design style. 자동차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그 어느 산업보다 인간 생활에 있어 최상의 풍요로움과 편리함을 제공해 주고 있다. 자동차의기본적인 역할인 교통수단뿐만 아니라 인간 생활을 위한 부가적인 용도들이 계속하여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자동차 생산 기업들은 고객들을 위하여 더욱 차원이 높은 신모델들을 디자인 생산하고 있다. 모든 자동차 운전자들과 시설에대한 조작과 활용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동승자들에 대한 수많은 편의시설에 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이에대한 기업전략을 위해서는 기업의 체계적인 디자인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최근 디자인 전략은 사용자 중심(UI Design), 시장의 경향, 높은 과학 기술, 지역에 따른 차별화 전략 등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자동차 생산 기업은자동차라는 특수성에 따라 자동차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업 특성에 적합한 디자인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디자인 전략을수립하는 방법으로 중요한 것이 기업의 CPI(Corporate Product Identity)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자동차 산업의기업들이 사업의 성공을 위하여 기업 제품에 대한 통일된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것을통하여, 본 연구는 기업과 소비자 간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본적인 CPI(Corporate Product Identity) 전략을 수립한다. 이를 기반으로 신개념의 자동차 디자인을 연구하는 것이다. 소비자층의 신개념 경향 변화에 따른 자동차 디자인 연구에서, 독신자층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동차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자동차 기업의 CPI 전략을 활용하여 신개념을 위한 혁신적인 디자인 요소를 수집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자동차 디자인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을 위한 협업플랫폼 개발 연구

        이소이 ( Lee Solee ),이돈일 ( Lee Donil ),이은영 ( Lee Eun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상업공간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디자인적 요소가 요구되고 이와 관련된 전문 회사들의 협력을 토대로 디자인 프로젝트가진행된다. 그러나 공간디자인은 프로세스와 프레임 워크적인 연구는 부족하고 전문적인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을 위한 실행 차원에서의 디자인 개발 도구로 상업공간 디자인의 활성화를 위한 특성 요인 구축과 프로세스 활용으로 한정한다. 실무자들은 상업공간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와 상업공간 디자인 경영전략 구축에 통합적으로관리, 소통하며 공유할 수 있도록 활성화 되어 져야 한다. 연구의 목적은 시대적 요구를 받아들여 최근 상업적 공간들의대표적인 디자인경영 전략을 ‘협업 플랫폼’으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한다. (연구방법) 상업공간 디자인의 전략적 목표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의 개념은 가치 있는 수단이다.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과정으로 소비자와 기업, 디자이너 외 다양한 통합적 소통 프로세스 과정을 설정하고 상업공간의 디자인 전략 과정에 있어 개념, 요소, 절차가 무엇인지 명확한 요인을 도출하여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분석의 틀을 개발하여 실행 체계 검증을 위해 분포도와 빈도를 분석한다.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 기준으로 분석하여 객관적인 가치를 도출하며, 상업공간 디자인이 진행될 때 사용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한다. (결과) 상업공간 디자인에서 협업플랫폼은 디자인 전략이 진행될 때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진행이 이루어지게 되며 각 진행단계에 따라 공간디자인 세부요소의 우선순위와 중요도에 따라 상황, 시간, 장소에 맞게 플랫폼 세부요소를 선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해관계자 중심의 시각에서 프로세스진행 순서와 디자인 요소에 대해 파악하여 협업적 플랫폼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주체자 관계 간에 따라 마케팅 플랫폼 구성요소에서 어떤 것들을 강조하여 진행해야 하는 지, 혹은 중복되는 작업에 대한 기준 부재를 해결, 적합한 인력구성에 대해 역량을 파악 할 수 있다. (결론)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은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못하였고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되며 학제적 접근이 요구되는 디자인 컨설팅 연구이다. 협업플랫폼 프레임 개발로 다양한 상업공간디자인 전략 구축에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의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고, 효과와 가치를 증명함으로 상업공간 디자인의 본질적 가치뿐만 아니라, 기업의 미래 사회에서 추구 될 새로운 공간디자인 가치를 구체화 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상업공간의 디자인 협업플랫폼 전략은 기업에게 새로운 시장 개척과 무형의 자산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하고, 방법론을 구축하여 필수적 요소들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commercial space design (CSD) development process, it is difficult to find specific operational cases that can be managed by design, design, and marketing departments. Losses and conflicts occur frequently due to such work and work vacancy. In addition, process and framework research is insufficient, as is specialized research. This study is a design development tool at the execution level for a CSD strategy and is limited to the establishment of characteristics and process utilization for the activation of CSD. Practitioners can integrate, manage, communicate, and share the CSD development process and strategy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new way to pursue the needs of the times and of recent commercial spaces with a design management strategy as a “collaboration platform.” It was significant to create a space business model that fits the paradigm shift in the platform to establish a CSD strategy process, and derive the elements necessary for a simple CSD for a collaboration platform to present practical application guidelines. (Method) As a process to create new value, various integrated communication processes other than consumers, companies, and designers are set, and clear factors of concepts, elements, and procedures in the design strategy process of commercial spaces are deduced to study application plans. We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 and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frequency to verify the execution system. We further analyze the CSD strategy standards to derive objective values and present a roadmap that can be used when CSD progresses. (Results) The study’s purpose is to create a spatial business model for the paradigm change through the platform to establish the CSD strategy process and derive the factors necessary for CSD through the collaboration platform. (Conclusions) The expected effects of the framework based on the collaboration platform for the CSD strategy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① Establishment process of detailed design elements through integrated thinking and communication among stakeholders. ② Shortening the time of overall design development and reducing costs by making decisions through decision-making. ③ Time shar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real-time feedback by sharing collaboration platform tools among stakeholders. ④ Establishment of a corporate identity and identity of space, progressive distribution, and selection of detailed elements of space design. ⑤ Improving the brand and company’s image according to the matching target images of actual spaces to be installed in the future as well as spaces to be designed as per consumer needs (in other words, detailed development of an open type collaboration platform that can support user participation).

      • 주얼리 이미지가 디자인 경영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종선(Kim, Jong S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7 No.-

        본 연구는 주얼리 분야에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디자인 경영의 필요성을 시사하기 위하여 주얼리 이미지가 디자인 경영 전략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주얼리 업체를 대상으로 경영자, 디자이너, 판매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디자인 이미지의 하위 요소와 디자인 경영 전략의 하위요소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초통계분석,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과정에서 파악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얼리 디자인 이미지는 디자인 경영 전력에 영향을 준다. 주얼리 디자인 이미지의 하위 요소인 ‘심미성’, ‘독특성’, ‘여성성’, ‘고귀성’, ‘효율성’, 그리고 ‘간결성’ 중 비용 절감 지향 디자인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미성’, ‘여성성’, ‘고귀성’이고, ‘심미성’, ‘효율성’, ‘여성성’은 이미지 지향 디자인 전략과 시장 지향 디자인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미성’과 ‘여성성’은 세 가지 전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심미성’은 세 가지 전략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문적으로 주얼리와 관련된 연구를 한다거나 실무적으로 주얼리 회사를 운영을 한다면 주얼리 관련 분야 중에서 특히 주얼리 디자인에 대해 관심을 갖고 주얼리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회사의 경영 전략을 세워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jewelry image on design management strategy, in order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design and the necessity of design management in the field of jewelry. To examine this, the survey of 300 managers, designers, and merchandisers working in the jewelry industry was conducted. The empirical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components of design image and those of design management strategy by using basic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18.0 WIN program. The main contents comprehended in the study process are as follows. The jewelry design image affect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Among the lower elements of the jewelry design images, like "esthetics", "uniqueness", "feminism", "nobleness", "efficiency" and "simplicity", the elements that affect the cost reduction-oriented design strategy are "esthetics", "feminism" and "nobleness". And, the "esthetics", "efficiency" and the "feminism" showed to affect the image-oriented design strategy and market-oriented design strategy. Especially, the "esthetics" and the "feminism" are the elements which affect these three strategies and the "esthetics" was the most affecting element for those three strategies. Hence, when doing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jewelry or operating jewelry firms, it is critical to pay a special attention to jewelry design and recognize its importance to develop a company’s management strategy.

      • KCI등재

        외재적 인지부하 이론에 기반한 디자인 전략 연구 : 학습 콘텐츠의 학습 효율성을 중심으로

        장초학(Zhang, Qiao He),양재범(Yang, Jae Bum)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포스트 코로나(POST-COVID-19) 시대에서는 대면 수업방식이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학습자와 교사,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학습 교류가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해 학습자들이 집에서 독학하는 현상이 갈수록 보편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자인 전략을 통해 학습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중요해졌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기초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콘텐츠를 전통적인 형식의 학습 콘텐츠와 디자인 전략 형식의 학습 콘텐츠로 구분하였으며, 두 팀의 실험 대상자들에게 서로 다른 2가지 유형의 학습 콘텐츠를 무작위로 나눠 실험하였다. 그리하여 두 팀의 실험 차이를 비교해 본 연구에서의 디자인 전략에 대한 실행 가능성과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 학습 콘텐츠의 시각적 디자인 전략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외재적 인자부하 이론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경험 모델, 지식 시각화의 디자인 원칙 및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 등을 결합해 학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시각적 디자인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공간 능력을 학습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삼아 그 변수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으며, SPSS 20.0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디자인 전략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2단계의 실험 논증을 진행하였다. 1단계의 실험은 학생들이 디자인 전략형 학습 콘텐츠를 읽고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디자인 전략이 사용자들의 열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2단계 실험은 유형별 학습 콘텐츠를 비교해 디자인 전략이 인식과 기억(학습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론: 첫째, 본 연구의 디자인 전략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콘텐츠에 대한 열독 경험을 개선시켰으며, 둘째는 디자인 전략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켰다. 셋째는 공간능력이 뛰어난 학생이 디자인 전략형 학습 콘텐츠를 사용할 때, 그 학습효과가 더욱 컸으며, 실험 분석을 통해 학습 콘텐츠의 시각적 디자인에서 디자인 전략을 사용하면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일상적인 학습과정에서 공간적인 훈련을 강화해 학습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을 제안하며, 본 논문에서는 인지부하 이론과 시각적 디자인을 결합해 학습 콘텐츠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he era of Post-COVID-19, the Face-to-Face teaching mode has changed to Non-Face-to-Face teaching, with less learning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between students. It is increasingly common for students to teach themselves at home. In the case of Self-study , the study of improving learning efficiency through designing strategies becomes very important. This study is based on this situation.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to divide the learning content into Traditional Learning Content and design strategy learning content . At the same time, 2 groups of different types of learning content were randomly distributed to 2 groups of experimental subjects for experiment. The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design strategy in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experiments. It mainly takes the visual design strategy of Learning Content as the research object. Based on external cognitive load theory, this paper develops a visual design strategy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by combining user experience model, design principles of knowledge visualization, and specific design methods. In this paper, spatial ability is added as an influence variable of learning efficienc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this study, SPSS20.0 software was use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design strategies in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students were asked to read design strategy learning content and fill in a questionnaire to test the impact of design strategies on users reading experience. The second phase of the experiment: compare different types of Learning Content experiments to examine the impact of design strategies on cognition and memory (Learning Efficiency).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the design strategy of this study improved students reading experience of learning content. Second, designing strategies can improve students learning efficiency. Thirdly, students with strong spatial ability have better learning effect when they use Design Strategy-based Learning Content . Through experimental analysis, in the visual design of learning content, the use of design strategies can improve learning efficiency. At the same time,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strengthen the training of sense of space in the daily learning process to assist the improvement of learning efficiency. This paper combines cognitive load theory with visual design, providing a new direction for learning content design.

      • KCI등재

        산업디자인 전략을 통한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 연구

        홍경민(Kyung Min Hong),홍성수(Hong Sung S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현대의 변화하는 시장과 문화적 환경에서 디자인은 기업목적을 정의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기업책임의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전략이 미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면, 산업디자인이 가진 무한의 능력은 우리시대의 변화하는 가치에 대응해야하는 기업들에게 많은 것을 제공할 수 있다. 기업의 성공을 위해 디자인을 자원으로 관리하는 기업이 시장 점유율과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산업디자인을 기업 성공의 전략으로 활용함으로서 경쟁력 확보와 지속적인 기업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산업디자인 전략은 기업의 목적 달성을 위해 디자인 자원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확보하고 배분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방침이라고 할 수 있다. 산업디자인 전략을 위한 프로세스와 방법론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디자인 주도의 혁신적인 제품 개발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제품과 디자인개발에 따른 산업디자인 전략이 구축되어야하고 이를 위해서는 혁신적인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게 되고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을 위하야 신개념의 디자인 개발 시스템이 도입되어야하는데 이 시스템이 본 연구의 중심이되는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이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화두 중에 “이종분야간의 융합” 이라는 새로운 문화트렌드가 각 분야에서 확산되고 있다. 디자인 분야에서도 디자인 융합(Fusion, Crossover)시스템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으며 일부기업에서는 이미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산업디자인 전략이 구축되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신개념의 디자인 트렌드인 크로스오버디자인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 개발을 유도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과 결과로는 산업디자인 전략 구축, 산업디자인 전략을 위한 제품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체계 확립, 혁신제품 디자인 도입을 위한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내용으로는 산업디자인 전략에 대한 이론적이며 실제적인 연구를 포함하여 제품의 혁신적인 디자인 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최근의 디자인 트렌드, 문화 트렌드, 사회 환경 변화 등을 통하여 조사, 분석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산업디자인 전략과 제품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그리고 크로스오버 디자인 시스템의 연구를 위하여 선행 연구논문 관련 참고문헌, 연구기관의 정보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조사 분석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산업디자인 전략을 통한 크로스오버 시스템 구축은 향후 기업에서의 디자인 전략 및 개발과정에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어 기업성장의 주역이 될 것이다. In today`s changing market and cultural environment may desig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corporate responsibility by helping define business objectives. If strategies are for performing tasks of the future, infinite ability of industrial design can provide companies which need to respond to the changing values in our times. It is not surprising that company, manage design as resources for the success of its business,is able to secure its market share and competitive advantage, make sure of their competitiveness and drive business growth continuously utilizing industrial design as corporate strategies for success. Industrial design strategy can be called policies which determine how to acquire design resources efficiently and allocate them to achieve corporate objectives. The most factor among processes or methodologies for the industrial design strategy would be developing innovative products driven by design. Thus, industrial design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with ongoing development of product and design. To do so, an innovative design development is required and a system of new conceptual design development should be introduced to develop innovative and creative design. It is the crossover design system that would be the centerpiece of this study. The most-talked-about categories of these days in every field is a new cultural trend : “Convergence between the two kinds of area”. The movement of adopting design combining system (Fusion, Crossover) has been detected in the field of design, some companies are already taking advantage of the cross-ever design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industrial design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success of company and, through this, encouraging creative and innovative design development by acquiring new concept of design trend; crossover design system. The objective and the result of the study is building strategy of industrial design,establishing product design development process system for the industrial design strategy, and building crossover design system for adopting innovative product design. In this research,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crossover design system, for promoting innovative design development of products, was researched and analyzed through recent design trends, cultural trends, and social environment change, etc. includ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ies about industrial design strategy. In research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in a systematic and objective way utilizing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preceding references, and information data from research institutions for the study of industrial design strategy, product design development process, and crossover design system. Establishing crossover system, through the industrial design strategy presented in the finding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business growth as a new concept of design development process in the future corporate design strategy and development process.

      • KCI등재

        경영적 관점에서의 성공적인 디자인 경영 전략에 관한 연구 - 애경산업 사례를 중심으로 -

        김정래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1 No.-

        경쟁의 강도가 높아지고 기술의 진부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제품과 기업의 수명주기는 짧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생존을 넘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하여 디자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시장을 선도해나가는 디자인 경영 전략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디자인 경영 연구는 디자인과 경영의 융합적특성으로 연구자의 관심사항에 따라 디자인적 접근과경영적 접근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다양한 사례를 통해 조직의 실질적인 디자인 경영 도입 및 구체적 전략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례별 연구는제한적이다. 특히, 시간의 흐름에 따라 디자인의 역할이 기업과 제품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고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는 기업 수준의 전략적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경영적 관점에서 심도 있게분석한 사례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디자인 경영의 성과를꾸준히 인정받고 있는 애경산업의 성공적인 디자인경영 전략 사례를 경영적 관점에서 구성주의 근거이론방법론을 이용하여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최고 경영자의 기업수준 전략과제 채택, 디자인중심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디자인 경영 인재교육이핵심성공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자인 경영은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기업이 반드시 습득해야 할 전략이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 볼때 디자인 경영 도입과 구체적 전략 수립에 관심이높은 기업들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Product and company life cycles are becoming shorter as competition becomes more intense and technology becomes more obsolet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design management strategy that leads the market with the design competitive advantage to grow continuously beyond the survival is increasing. Although many research relating to design management, which is a multidisciplinary characteristic of design and management is in progress with design approach and management approach according to interests but, Case study that can help out companies to establish concrete and practical design management strategies introduced through a variety of cases is limited. In particular, it is evident that the role of design emphasizes the strategic role of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and product brands and leading change and innovation with the passage of time, Case studies from management perspective are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ccess case of Aekyung Industry which has been steadily recognized the achievement of design management in korea and abroad by using the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from the management point of view. As a result, CEO's company-level design strategy, Design-oriented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Design management talent education helped to drive successful design management strategy. Design management is a strategy that companies must master in a highly competitive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that are interested in starting design management and establishing concrete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