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 문제 만들기와 해결 과정에 나타난 가추 유형 분석

        이명화,김선희 대한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학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수학 문제 만들기와 문제 해결 활동에서 나타나는 가추를 분석하였다. 가추는 연역과 귀납 추론에 비해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Toulmin의 틀과 규칙 상정에 따라 가추를 선택적 가추와 창의적 가추로, 그리고 선택적 가추는 조작적 가추와 이론적 가추, 창의적 가추는 학교 수학 수준의 창의적 가추와 학문 수학 수준의 창의적 가추로 분류하였다. 중학교 2학년 학생 4명을 대상으로 4개의 과제에 대해 문제를 만들고 해결하도록 하고, 문제 만들기와 해결 과정에 가추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문제 만들기 과정에서는 조작적 가추와 이론적 가추, 학교 수학 수준의 창의적 가추와 학문 수학 수준의 창의적 가추가 모두 발현되었다. 문제 해결 과정에서는 선택적 가추의 조작적 가추와 이론적 가추가 발현되었다.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 모든 가추 유형이 발현되었다는 것은 수학적 창의성 교육을 위해 문제 만들기가 더 확대되어야 할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bduction in mathematical problem-posing and problem- solving activities. Abduction is more concerned with creating new things than deduction and inductive reasoning. According to the student's rules, abduction are classified as selective and creative. Selective abduction is again classified into ‘manipulative selective abduction’ and ‘theoretical selective abduction’. Creative abduction is again classified into ‘little creative abduction’ at the level of mathematics in school and ‘big creative abduction’ at the level of academic mathematics. Four middle school sophomore students performed problem-posing activities on four tasks. As for the results of analysis on abduction types by problem-posing stages, all four abduction types were observed. But at the problem-solving stages, manipulative selective abduction and theoretical selective abduction were frequently used, while creative abduction was never used. Thus, for the education of mathematical creativity, deepening and expanding problem-posing is necessary that all the type of abduction has been expressed in the problem-posing activity.

      • KCI등재

        양상적 사실에 대한 귀추적 접근의 문제점과 개념의 역할

        권희진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3 철학탐구 Vol.70 No.-

        This paper assesses an abduction-centered modal epistemology proposed by Stephen Biggs as a modal epistemology resolving the integration challenge and thus as an alternative to an intuition-centered (or conceivability-centered) one. In particular, it is argued that the abduction-centered modal epistemology should accommodate modal judgments originating from our grasp of concepts in order to provide its own correct modal judgments. Then, it is shown that the integration challenge arises again in the abduction-centered modal epistemology, which makes it unviable as an alternative theory. This paper proceeds as follows: In Section 1, the integration challenge is explained as a serious problem in the intuition-centered modal epistemology. Then, it is shown that this challenge provides a major motivation for the abduction-centered modal epistemology. The integration challenge is a problem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intuition or conceivability as a mental fact and modality as a mind-independent objective fact. Abduction is suggested as a method allowing justified belief about unperceptible things without depending on the entailment between mind and world. It is shown that Biggs regards abduction as such as a way to solve the integration challenge and proposes an abduction-centered epistemology based on this consideration. In Section 2, I explain Biggs’s abduction-centered modal epistemology by considering his discussion about the phenomenon that water repeatedly co-occurs with H2O. Then, it is explained that parsimony as an abductive principle supports a claim that water is identical with H2O (or a claim that H2O merely metaphysically necessitates water), yielding a correct modal judgment. However, in Section 3, I argue that modal judgments originating from our grasp of concepts are antecedent to ones from the abduction-centered modal epistemology. Then, I provide some examples of modal errors arising when the abduction-centered modal epistemology does not accept the antecedent modal judgments. This leads to an argument that in order for the abduction-centered modal epistemology to yield correct modal judgments, it should accommodate the antecedent modal judgments originating from our grasp of concepts, but in this case Biggs’s attempt to establish his modal epistemology as an alternative to the intuition-centered one is not successful. After responding to possible objections in Section 4, I introduce in Section 5 an attempt to tackle the integration challenge by appealing to an epistemology of essence and claim that such an attempt makes the abduction-centered modal epistemology even less attractive to accept. 본 연구는 직관이나 상상 가능성에 근거한 양상인식론이 직면하는 통합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적 이론으로 스테픈 빅스(Stephen Biggs)에 의해 제안된 귀추법에 근거한 양상인식론(혹은 귀추적 양상인식론)을 비판한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후자의 인식론이 올바른 양상적 판단을 제공하기 위해서 개념의 파악으로부터 유래하는 양상적 판단을 수용해야 한다는 점을 논증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통합문제가 귀추적 양상인식론에서 다시 발생하게 된다는 점을 보임으로써 이 같은 인식론이 대안적 이론으로서 성공할 수 없음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1절에서 직관 혹은 상상 가능성에 근거한 양상인식론에서 야기되는 통합문제를 설명하고, 이것이 귀추적 양상인식론의 주요 동기가 된다는 점을 보인다. 통합문제는 마음에 대한 사실인 직관이나 상상 가능성이 마음에 독립적인 객관적 사실로서의 양상성에 대해 갖는 관계의 불가해성에 관한 문제이다. 한편 귀추법은 마음과 세계 간의 함축에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지각의 범위를 넘어선 것에 대한 정당한 믿음을 갖게 해 준다. 이 같은 점에 착안해 귀추적 양상인식론이 통합문제를 해결할 대안적인 양상인식론으로 빅스에 의해 제안되었다. 본고는 2절에서 빅스의 양상인식론을 그가 제시한 예인 물과 H2O가 반복적으로 함께 나타난다는 현상에 대한 설명을 통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귀추적 원칙으로서 검소성은 물과 H2O가 동일하다는 주장(혹은 H2O가 물을 (단지) 형이상학적으로 필연화한다는 주장)을 지지하면서 올바른 양상적 판단을 산출한다는 점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고는 3절에서 개념의 파악으로부터 유래하는 양상적 판단이 귀추적 양상인식론에 선행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귀추적 양상인식론이 개념에서 유래하는 선행적인 양상적 판단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양상적 오류를 낳는다는 점을 설명한다. 또한 귀추적 양상인식론이 올바른 양상적 판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념의 파악으로부터 유래하는 양상적 판단을 수용해야 하지만, 이 경우 이러한 양상인식론을 직관이나 상상 가능성에 근거한 양상인식론의 대안으로 제시하려는 빅스의 계획은 성공할 수 없다는 점이 논증된다. 본고는 4절에서 귀추적 양상인식론의 가능한 반론을 살펴보고 이에 대응할 것이다. 끝으로 5절에서 통합문제를 양상인식론이 아니라 본질에 대한 인식론을 통해 해결하려는 시도를 소개한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들이 귀추적 양상인식론을 받아들이지 않아도 되는 또 다른 이유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수학 문제 만들기 유형에 따른 가추 유형과 가추에 동원된 사고 전략 분석

        이명화,김선희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 Vol.59 No.1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abduction and the thinking strategies by the mathematics problems posed by students. Four students who were 2nd graders in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problem posing on four tasks that were given, and the problems that they posed were classified into equivalence problem, isomorphic problem, and similar problem. The type of abduction appeared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problems that students posed. In case of equivalence problem, the given condition of the problems was recognized as object for posing problems and it was the manipulative abduction. In isomorphic problem and similar problem, manipulative abduction, theoretical abduction, and creative abduction were all manifested, and creative abduction was manifested more in similar problem than in isomorphic problem. Thinking strategies employed at abduction were examined in order to find out what rules were presumed by students across problem posing activity. Seven types of thinking strategies were identified as having been used on rule inference by manipulative selective abduction. Three types of knowledge were used on rule inference by theoretical selective abduction. Three types of thinking strategies were used on rule inference by creative abduction. 본 연구는 학생이 만든 수학 문제에 따른 가추 유형과 가추에 동원된 사고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다. 중학교 2학년 4명의 학생이 네 개의 과제에 대해 문제 만들기 활동을 하여, 동치문제, 동형문제, 유사문제를 만들었다. 동치문제의 경우 조작적 가추가 주로 발현되었다. 동형문제와 유사문제는 조작적 가추, 이론적 가추, 창의적 가추가 모두 발현되다. 가추에 동원된 사고 전략으로, 조작적 가추는 대상으로 인식하기, 패턴 찾기, 숫자나 그림으로 변환하기, 유추하기, 반대로 생각하기, 결합하기, 제거하기의 사고전략이 나타났다. 이론적 가추에서는 수학적, 경험적, 확산적 지식을 활용하는 사고전략이 나타났다. 창의적 가추에서는 상승화 전략, 형식화 전략, 창조적 전략이 나타났다. 결합하기, 제거하기, 수학적, 경험적, 타교과 지식의 활용, 문제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규칙을 접목시켜 만드는 창조적 전략은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된 사고 전략이다.

      • KCI등재

        가추법 교육활동이 예비교사의 창의적 연구가설 설정에 미치는 영향

        허영주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experience of abduction's educational program changed pre-teachers' creative hypotheses mak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8 pre-teachers who selected randomly out of 3 different universities. These pre-teachers were assigned to any one of the two groups which includ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provide to an account of abduction's concept, process, features and 'form of abduction' in generating hypothesis through abduction for experimental group. The data collected after experiment carried out ANCOVA with pretest score as covariate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experimental group' score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s. It means that experience of abduction's educational program has positive effect for the creative hypotheses making. Also, experimental group' score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s, regardless of sex, academic year, grade level. Only, score of pre-teachers who study nature science and engineering are less increase than score of pre-teachers who study social and human scienc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In conclustion, I proposed that provide to abduction's education program for pre-teachers and teachers in methodological approaches education. Also, it proposed for abduction's education program that varied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methods give aid to abduction's process, practical use methods of abduction's form, investigation of sensitive factor with abduction process certainly be studied. 이 연구는 가추법을 설명하고 가추법 양식을 제공하는 가추법 교육활동이 예비교사들의 창의적 가설설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지를 알아보며, 창의적 가설설정 능력의 향상 정도가 예비교사들의 성별ㆍ전공계열ㆍ학년ㆍ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개 대학의 교직과정 이수 학생 488명을 대상으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분류한 후, 실험집단에게 가추법 교육활동을 제공하였다. 연구가설의 창의성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결과에 대한 일원 공분산분석(One-Way ANCOVA)을 실시한 결과, 가추법 교육활동이 제공된 실험집단이 가추법 교육활동이 제공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연구가설의 창의성이 유의적으로 더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경향은 예비교사의 성별ㆍ전공계열ㆍ학년ㆍ성적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하게 높아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예비교사의 연구방법론 교육내용으로 가추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효과적인 가추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추법의 각 과정을 도울 수 있는 전략들에 대한 연구, 가추법 교육활동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의사소통 방법의 구안, 가추법 양식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가추법 과정에 수반되는 감성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등이 후속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헤이그 아동탈취협약 적용사건에 관한 각국의 판결 및 이행입법의 쟁점별 분석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Database(INCADAT)를 대상으로-

        곽민희 ( Min Hui Gwak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24 No.1

        최근 우리나라는 국제결혼과 이혼에 수반하여 다민족가족화가 진행되고 있고, 이로 인해다양한 국제가족법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가운데 부모에 의한 아동탈취의 문제는 기존의 가족법상의 실체법적인 문제와 국제사법적ㆍ절차법적인 문제를 포함하는 cross-border case로서 다양한 논점과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국제화와 더불어 그 다민족가족의 해체로 인해 급증하는 가족법상의 문제의 심각성은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현실화 되고있다. 그 중에서 사실상 혼인관계의 파탄과 다문화가족의 해체로 인한 국제아동탈취의 문제는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특히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적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1980년에 헤이그국제사법회의는「국제아동탈취의 민사적 측면에 관한 헤이그 협약」(Convention on the Civil Aspects of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이하, 헤이그아동탈취협약 또는 협약)을 제정하였다. 우리나라는 헤이그아동탈취협약에 가입하면서 협약의 국내실시를 위한 이행법률을 2012년 12월 11일 제정하였고, 지난 2013년 3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비교적 초기부터 협약에 가입한 미국, 영국, 호주 등의 선진국에서는 이미 협약의 적용과 해석에 관한 상당한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에 협약에 가입한 국가로서 아직 법원에서 적극적으로 협약 적용사건을 다루어 본 예가 없기 때문에, 선진 체약국의 경험을 토대로 아동반환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협약의 기본원칙과 아동의 최선의 이익의 관점의 적용에 관한 해석기준을 정립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 우리 법원이 협약 적용사건을 다루는 데 있어서 유용한 참고가 될 수 있는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공식 판례데이터베이스에 게재된 1199건의 판결을 대상으로 그 내용과 해석경향을 분석하는 것을 주된 연구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비교법적인 검토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우리 법체계 내에서 협약의 바람직한 해석, 적용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그러한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서, 비교법적 관점에서 각 체약국의 실무상 재판례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에 착목하고 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향후 우리 법원의 실무의 방향을 설정하고 바람직한 협약의 운용을 위해서 실무상 기초자료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ternational parental child abduction is a global problem affecting several thousand children each year. The primary international instrument, intended to protect children from the harmful effects of their wrongful removal or retention across frontiers, is the Hague Convention of 25 October 1980 on the Civil Aspects of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This multilateral treaty, which now has 93 States Parties, does not seek to adjudicate on issues of custody but gives effect to the principle that ordinarily an abducted child should be returned promptly to his / her home State. Korea ratified the Hague Convention on the Civil Aspects of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the Hague Convention) on December, 2012. To implement the Convention into domestic law, Korea enacted the Implementation Law for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on 11 December, 2012. Once sent back the child``s local authorities can determine where and with whom the child should live. The 1980 Hague Child Abduction Convention is also designed to secure protection for rights of access. In 1999,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consistent interpretation and thereby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1980 Convention, the Permanent Bureau of the Hague Conference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established The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Database (INCADAT).127)128) This Article will examine INCADAT Cases whether an adjustment of the Hague Convention and the courts`` application of it is required in order for states to comply with the Best Interests of Child Principle. The starting point for this assessment will be an explanation of the basic premises and content of the Hague Convention. Thus, PartⅡ will present the basic contours of this Convention. PartIII examines and explores case law analysis and jurisprudences of INCADAT under the Hague Convention and the current use of a “best interests of the child” standard in contracting States. This Part also discusses the changes that would be required to incorporate a “best interests of the child ” approach into the substance and procedure of the Hague Convention. Finally, this Article concludes that it is noteworthy that recently, some courts have begun to reflecting a so-called shift to a “child-centered” paradigm in their judgments in abduction cases. INCADAT cases and its Analysis in this article is used by judges, Central Authorities, legal practitioners, researchers and others interested in this rapidly developing branch of law.

      • 학습자의 귀추적 추론 양상 분석을 통한 국어사 탐구 교육 연구

        강지영 ( Kang Jiyou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1 先淸語文 Vol.48 No.-

        Instinctual explanations are required when the individual facts observed were surprising things that had been unexpected or unexplainable within their perception. The act of abduction occurs to explain the continuity of the observed surprise by making a connection with other evidence.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had been structured in a way that lis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and such approaches which could not uncover the relevance do not comport with the cognitive structure of learners. Hence, it is problematic since it can inhibit the interest and necessity of learners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In this regard, this paper is based on the fact that abduction, which is thought to be an instinctive on a daily basis, can operate as a logic to associate the modern Korean language and past Korean language which were considered as individual factors originally. In chapter Ⅱ, the study examined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nd reestablished the concept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o identify what was required for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he curriculum was reviewed, and the cognitive survey on 32 teachers and 479 learners was conducted. After that, the goal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as reset. In addition, the definitions and types of abduction was reveiwed from Korean language historyinquiry educational perspective. In chapter Ⅲ,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 of abductive inference in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o draw implications which could be applied in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 structured inquiry task which was created to induce abductive inference was presented to 131 learners, and it was analyzed based on the type of abductive examined in chapter Ⅱ. As a result, four aspects -‘reasoning aspect (ga)’ which was referred as who could not conduct observationd, ‘reasoning aspect (na)’ which was referred as who can conduct only observation, ‘reasoning aspect (da)’which was referred as who could not conduct creative abduction, but connect observation to knowledge of grammar, and ‘reasoning aspect (ra)’which was reffered as who can conduct creative conduction - were derived. Since most of the learners to conduct type 3 1 of abduction well, ‘reasoning aspect (ga)’was uncommon. The number of‘reasoning aspect (da)’was small, because learners tend to conduct type 3 of abduction together when they solve the problem about type 2 of abduction. ‘reasoning aspect (da)’was rarely found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so it was captured through a small group discussion. Thus, ‘reasong aspect (na)’ was the most dominant factor among four aspects. Therefore, most cases of difficulties in performing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were mostly based on the occurrence of errors in type 2 of abudction,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scaffolding. Also, it was found out that the process of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is required as a result of aspect analysis. In chapter Ⅳ, the paper set a design principles of education, which were ‘principles of inquiry topic selection’, ‘principles of inquiry procedure structuring’, and appropriate inquiry topics were selected and inquiry procedures were structured. Also, this study prepared constructive frame which can include the dimensions of ‘method’ and ‘strategy’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showed the actual contents composition by inquiry topic. This paper has an edcational significance in review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inquiry educational perspective.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hich emphasized pedagogical justice and education contents. Also, it is meaningful since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from a macro perspective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history inquiry education by introducing ‘abd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 pedagogical meaning because it observes the learners’ abductive thinking, and prepares the actual education contents composition.

      • KCI등재

        ‘큰 수의 법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가추법의 유형 분석

        이윤경,조정수 대한수학교육학회 2015 수학교육학연구 Vol.25 No.3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abduction appeared in the exploration activities of ‘law of large numbers’ in order to figure out relation between statistical reasoning and abduction. When the classroom discourse of students was analyzed by Peirce’s abduction, Eco’s abduction type and Toulmin’s argument pattern, students used overcoded abduction the most in the discourse of abduction. However, there composed a low percent of undercoded abduction leading to various thinking, and creative abduction used to make new principles or theories. By the CAS calculators used in the process of reasoning, students were provided with empirical contex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bstract probability, through which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rgumentation centered on the reason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not only to understand the abduction, but to build statistical context with tools in the learning of statistical reasoning is important. 본 연구는 통계적 추론과 가추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큰 수의 법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가추법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Peirce의 가추법, Eco의 가추법 유형, Toulmin의 논증패턴을 바탕으로 통계 수업담화를 분석한 결과, 가추법에 해당하는 수업담화에는 과대 코드화된 가추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반면에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를 유도하는 과소 코드화된 가추법과 새로운 법칙이나 이론을 만드는 창조적 가추법은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추론과정에 사용된 계산기는 추상적 확률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경험적 맥락을 통해 학생들이 추론을 중심으로 한 논증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통계 수업에서는 가추법에 대한 이해와 함께 도구를 이용한 통계적 맥락 형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국제아동탈취의 민사적 측면에 관한 헤이그협약과 한국의 가입

        석광현 ( Kwang Hyun Suk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서울대학교 法學 Vol.54 No.2

        부모의 일방 기타 가까운 가족이 하는 유괴를 아동의 탈취(child abduction)라고 부른다. 헤이그국제사법회의는 국제적으로 불법 탈취된 아동의 신속한 반환을 실현 하기 위하여 1980년 “국제적 아동탈취의 민사적 측면에 관한 협약”(“탈취협약”)을 성안하였다. 탈취협약은 약식의 사실확인에 기초한 절차를 통하여 불법 탈취된 아동의 신속한 반환(즉 원상회복)과 면섭교섭권을 보장하고 어느 체약국법에 기한 양육권 및 면접교섭권이 다른 체약국에서 존중되도록 보장한다. 탈취협약은 중앙당국 간의 국제공조제도와, 법원 또는 행정당국에 의한 아동반환의 메커니즘을 구축하는 혼합 체계(mixed system)를 취하고 있다. 탈취협약은 UN의 1989년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CRC)”에 규정된 아동의 기본권의 실현을 돕는 것이다. 정부는 2012년 12월 탈취협약에 가입함으로써 89번째 체약국이 되었고 탈취협약은 2013. 3. 1. 우리나라에서 발효되었다. 국회는 탈취협약 가입을 위하여 2012. 12. 11. “헤이그 국제아동탈취협약 이행에 관한 법률”(“이행법률”)을 제정하였다. 필자는 탈취협약 가입을 환영한다. 헤이그국제사법회의는 1999년 이래 탈취협약의 일관된 해석과 효율적 운영을 촉진하고자 탈취협약의 적용사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즉 “The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Database(INCADAT)”를 운영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탈취협약의 주요내용(Ⅱ.), 이행법률의 주요내용(Ⅲ.)을 살펴보고, 탈취협약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아동의 반환과 면접교섭권의 확보에 관한 우리 국내법(Ⅳ.), 국제가사소송?비송법제의 정비(Ⅴ.)와 관련 형사문제(Ⅵ.)를 논의한다. 특히 장래 논란의 대상이 될 탈취협약(제12조, 제20조와 제13조)상의 반환거부사유를 주의 깊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Kidnapping of a child by one of the parents or a close relative is called “child abduction”, as opposed to a classic kidnapping conducted by a person who is not related at all to the child. In order to ensure the prompt return of a wrongfully abducted child under such child abduction, the Hague Conference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Hague Conference”) adopted in 1980 “the Convention on the Civil Aspects of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Convention”). The objects of the Convention are twofold: first, the Convention is to secure the prompt return of children wrongfully removed to or retained in any Contracting State; and second, the Convention is to ensure the rights of custody and of access under the law of a Contracting State are effectively respected in the other Contracting States. The Convention adopts the so-called “mixed system” in that it combines the international assistance among central authorities and the return of children by courts or administrative authorities. The Convention is one of the means to achieve the fundamental rights of children protected under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of 1989. In December of 2012, Korea has become the 89 th Contracting State to the Convention and the Convention has taken effect on March 1, 2013 in Korea. In December of 2012,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has enacted the “Act implementing the Hague Child Abduction Convention” (“Implementation Act”). First of all, the author welcomes Korea`s accession to the Convention. Since 1999, the Hague Conference is operating “The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Database (INCADAT)” to ensure uniform interpretation and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Conven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on cases which have applied the Convention. The author deals with the following issues: major contents of the Convention (Chapter II), major contents of the Implementation Act (Chapter III), the Korean domestic law on return of children and establishment of right of access (Chapter IV), future streamlining of international family and non-contentions litigation (Chapter V) and the criminal law issues related to wrongfully abducted children (Chapter VI). In particular, the grounds on which return of children can be refused under the Convention in Articles 12, 13 and 20 should be reviewed carefully because those will be controversial subjects in the Korean courts in the future.

      • KCI등재

        일반논문 : 다문화가정의 미성년 자녀 탈취에 관한 연구

        김아영 ( A Young Kim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5 법과 사회 Vol.0 No.48

        세계화, 교통 통신의 발달로 국가 간 인적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국제혼인, 국제이혼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여러 가지 사회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최근 국제 혼인 파탄 시 일방 배우자가 국외로 아동을 탈취하는 사례가 있었으며, 앞으로 이와 유사한 사례는 계속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2013년 3월 1일부터 “헤이그 국제아동탈취협약 이행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국내에 “국제적 아동탈취의 민사적 측면에 관한 협약”의 내용이 발효되었다. 이 글은 우리나라에서 다문화 가정의 미성년 자녀 탈취와 관련된 문제 및 현주소를 짚어보고자, 다문화 가정의 미성년 자녀탈취에 관한 국제법 및 국내법적인 규율 내용과(II) 아동탈취에 관한 실무상 대응방안을 검토해보고(III), 나아가 탈취 협약의 국내 적용에 있어서 논의되어야 할 부분을 살펴보고자 한다(IV). 마지막으로 아동탈취사안에서 실효성 확보를 위해서는 미국의 여권발급경보프로그램과 같은 사전적 예방조치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고, 형사법적인 제재와 함께 가사조정제도를 활성화시켜 실용적이고 장기적인 해결책을 제공해야 하며, 또한 신청인에게 많은 비용 부담이 예상되므로, 무자력자는 물론 국내에 상거소가 없는 외국인을 위해 적극적인 법률구조제도를 마련해야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V). As the movement of people between countries increases due to both glob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is also increasing. Accordingly, various social problems have arisen as the result of the break-down of these marriages. Recently, there was a case in which a spouse took their children out of the country whilst in the middle of divorce proceedings. Similar cases are highly likely to occur in the future. Fortunately, “The Convention on the Civil Aspects of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has come into force in Korea following the enforcement of the Hagu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on March 1, 2013. In order to examine issues related to the parental abduction of mino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evant international and domestic laws. Important matter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on child abduction in Korea are also reviewed. The convention on child abduction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applicable only to those countries that have joined. Because many of the major countries involved in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have not joined, this study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urge those countries to do so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 of child abduc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