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기술지식 생산 속성 및 동적 변화 분석

        임정빈(Jung-Beani Lim),김의석(Euiseok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5

        대학교의 역할과 가치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과거 교육, 연구, 봉사 중심의 대학교에서 교육과일치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중심대학으로 그리고 연구와 기업가적 가치 생산을 요구받는 현재의 기업가적 연구중심 대학의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대학교가 생산하는 지식도 변화하여 왔다. 과거에는 대학교에서 과학지식(학술논문) 생산에 큰 힘을 쏟았다면, 최근에는 기술지식(특허) 생산에도 많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기업가적 연구중심대학들이 생산하는 기술지식의 속성을 정의하고 그 속성에 따라 국내 대학교들이 생산하는 기술지식의 방향성을 연구하였다. 국내외에서 진행된 기업가적 대학과 지식흐름의 관한 연구를 선행연구로 보여주었고, 국내 대학에서 등록한 대학특허를 기반하고 재조정하여 도전적 기술지식과 혁신적 기술지식을 수치로 나타내었다. 도전적 기술지식은 특허에서 과학문헌을 인용하여, 과학지식에서 기술지식으로 도전적으로 전환한 기술지식을 가리키며, 혁신적 기술지식은 해외의 특허를 인용하며, 해외의 기술지식을 먼저 국내로 도입한 기술지식을 가리킨다. 연구 결과, 과학기술중점대학교의 도전적, 혁신적 기술지식 생산은 국내 종합대학보다 많았고, 시간 변화에 따라 국내 대학들은 모두 기업가적 연구중심대학의 기술생산에 많은 결과를 만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대학에서 암묵적으로 생산 및 전달되는 가치를 평가에 반영하지 못하였고, 해외 대학의 결과값도 포함하지 못한 점은 연구 한계점으로 남지만, 대학의 기술지식 속성을 고려한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roles and values of universities are chang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The roles of universities in the past were to provide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Later, research-oriented universities emerged with the convergence of education and research. Currently, this role has been transformed into that of an entrepreneurial research-oriented university. The knowledge that universities produce has also changed. In the past, universities focused on producing scientific knowledge (academic papers), but recently they are showing a lot of interest in producing technical knowledge (patents). In this paper, the attributes of the technical knowledge produced by entrepreneurial research-oriented universities were defined, and the direction of the knowledge produced by domestic universities was studied according to its attributes. Research on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and knowledge flow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was used as a preceding study, and both challenging and innovative technical knowledge were expressed numerically based on the university patents registered by domestic universities. Challenging technology knowledge refers to technical knowledge that has transitioned from scientific knowledge to technical knowledge by citing scientific literature in patents. Innovative technology knowledge refers to technical knowledge that cites foreign patents and introduces foreign technical knowledg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of challenging and innovative technical knowledge by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was higher than that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that all domestic universities were delivering results in their roles as entrepreneurial research-oriented universities producing technology over time. Unfortunately, the technical knowledge of universities was analyzed only based on patent information, so the value implicitly produced and delivered by them could not be reflected in the evaluation. Also, overseas universities were not included. Neverthel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opened a new chapter in the research of technical knowledge produced by universities.

      • KCI등재후보

        감사효율성 제고를 위한 국․공립대학, 국립대학 법인 및 사립대학의 회계기준 비교분석

        김우영,김영철,유지연 감사연구원 2017 감사논집 Vol.- No.28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accounting standards for national universities, national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for efficient supervision and auditing.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the current laws that are the basis of accounting standards for national universities, national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and analyzed the legal basis. In addition, we analyzed different accounting standards applied to college accounting and found common elements and differentiating fa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ational University Accounting Act introduces accrualism and double entry bookkeeping. However, most of the regulations are in the form and terminology of cash-based and single-entry bookkeeping, and they are ambiguous in their budgeting, financial status and financial operation charts. Financial accounting rules of private universities appear to be similar to the National University Accounts Law except for some details.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National University Accountancy Act and the financial accounting rules is that they prescribe accounting principles, financial reports and financial statements. However, it did not provide concrete accounting treatment guidelines, so it could not clearly define the distinction. The financial accounting regulations of the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rivate school financial accounting rules, and it was judged that they were not suitable for university accounting. The special rules for financial accounting applied to private universities prescribe budget, accounting and settlement, and it is analyzed that it provides a big framework of university financial accounting. This paper proposes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long-term proposals to improve audit efficiency are the accounting standards integ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s, and private universities. Second, the short-term view suggests that audit efficiency are the maintenance of laws and regulations under the current system of national universities,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s and private universities accounting standards.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the university accounting professionals by suggesting ways to improve the university accounting enviro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설립형태, 운영방식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회계감독과 회계감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업무 유사성이 높은 국립대학, 국립대학 법인 및 사립대학에 대한 회계기준의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립대학, 국립대학 법인 및 사립대학 회계기준의 근거가 되는 관련 현행 법률을 검토하여 법적 근거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행 대학회계에 적용되고 있는 상이한 회계기준을 검토하여, 공통요소와 차별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립대학 회계법이 발생주의와 복식부기를 도입하였다고 하지만, 대부분의 규정은 현금주의와 단식부기의 용어와 형태를 띠고 있으며, 예산 편성과 재정상태표 및 재정운영표와 연계성이 모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대학의 재무회계규칙은 제4절 계약 등 일부 내역을 제외하면 국립대학회계법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대학 회계법 시행규칙은 제2절 회계원칙 및 재무보고서와 제3절 재무제표를 규정하고 있는 점이 재무회계규칙과의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으나, 구체적인 회계처리 지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 차별점을 명확히 규정지을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대학 법인 재무․회계 규정은 사립학교 재무회계규칙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대학회계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립대학에 적용되는 재무회계특례규칙은 예산, 회계 및 결산을 규정하고 있어 대학 재정회계의 큰 틀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감사효율성 증대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 감사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장기적 관점의 제언은 국립대학, 국립대학 법인 및 사립대학의 회계기준 통합이다. 두 번째, 감사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단기적 관점의 제언은 국립대학, 국립대학 법인 및사립대학 회계기준의 현 체계유지하의 법령 정비이다. 본 연구는 대학회계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대학회계 관련 전문가들에게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19세기 독일대학, 나치시기 독일어권 망명학자 그리고 미국대학의 성장

        손승남(Son, Seung-Nam)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으로 고등교육의 세계적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대학의 성장배경을 19세기 독일대학과 20세기 나치시기 미국 망명 독일학자들의 영향에서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빌헬름 폰 훔볼트의 대학이념과 개혁에 힘입어 새롭게 단장한 19세기 독일대학들은 학문적 명성과 과학의 우수성으로 많은 미국지식인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었다. 그 당시 독일대학에서 유학한 많은 미국지식인들은 고국으로 돌아와 독일대학의 이념을 미국적인 연구중심대학으로 탈바꿈시켰다. 그 전형이 바로 대학원 중심 연구대학으로 새롭게 문을 연 존스 홉킨스 대학이다. 독일대학의 전성기는 히틀러 등장 이후 막을 내리고, 나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한 독일어권 지식인들이 미국대학과 학문의 발전에 다시금 결정적인 기여를 하게 되었다. 미국대학의 학과에 소속되거나 다양한 연구소를 설립하여 활동을 펼치면서 망명학자들은 물리학, 생물학과 같은 자연과학 분야는 물론 철학, 심리학, 사회학과 같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도 탁월한 족적을 남겼다. 역사적 아이러니 중의 하나는 19세기 독일대학을 전형으로 미국의 연구중심대학이 탄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1세기 독일연방정부의 대학개혁 화두는 어떻게 미국의 ‘하버드’와 같은‘엘리트 대학’을 창출할 것인가에 관심이 쏠려 있다는 사실이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the growth of American research universities based on the impacts of the German universities in the 19th century and the refugee scholars from Germany in the 20th Nazi dictatorship. After the educational reform initiated by Wilhelm von Humboldt, the academic reputation and scientific excellence of the German universities in the 19th century lured plenty of American students to German universities. Those American intellectuals who studied in Germany launched American research universities affected by the idea of German universities. Johns Hopkins pioneered the concept of the modern research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and influenced most of leading American research universities such as Harvard, Yale, Cornell and Chicago. Ironically, American universities had another chance to flourish, as German refugee scholars escaping from Nazi oppression emigrated to America and made a profound impact on American science and higher learning. They left a significant mark not only in natural sciences like physics and molecular biology but also in social sciences such as psychology and sociology. Majority of them was appointed to the faculty members of leading universities and they created new research institutes featured by the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the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and the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Although American research universities were originated and shaped from the German model, one of the historical irony is that the current German reform of higher education so called ‘brain up’ policy entirely aims to create ‘elite universities’ like Harvard.

      • KCI등재

        사립대학 세무담당자의 세무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 과세당국의 세무조사가능성과 사립대학의 제재여부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김종태,김지엽 한국세무학회 2015 세무학 연구 Vol.32 No.3

        Due to the decreasing number of the students in the private universities, the private universities are faced with the financial difficulties, and are willing to conduct various profitable projects for their financial structure improvement.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tax decision making in the private universities is more important and the tax authorities are willing to extend the periodic tax audit over the private universities, the effects of the audit probability by the tax authorities and the sanctions like the performance evaluation on decision-making of the tax accountants by private universities are studied and analyzed in this paper. The within-subjects field study with the questionnaires, containing the hypothetical tax decision making task, is used. The relevant data are collected from the tax accountants working in the private universities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audit probability by the tax authorities leads to decreasing the aggressive tax decision making by the tax accountants in the private universities but the effects of the audit probability on the decision-making of the tax accountants in private universitie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tax penalties due from the increasing tax audit probabilities by the tax authorities do not belong directly to the burden to the tax accountants in the private universities. On the other hand, the sanctions to the tax accountants by the private universities lead to decreasing the aggressive tax decision making and the effects of the sanctions like the performance evaluation on the decision-making of the tax accountants in private universitie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tax accountants are aggressively willing to evade the sanctions like the performance evaluation to them, as the incorrect tax decision making leads to the additional tax penalties to the private universities. Depending on the tax audit probabilities, the effect of the aggressive tax decision making by the sanction to the tax accountant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tax accountants, who are more conservative, compared to the tax accountants working in the profit organization, working in the private universities, as the non profit organization, are more sensitively influenced by the sanctions like the disadvantageous performance evalu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tax audit probabilities by the tax authorities, which is precedent to the san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for the top management in the private universities to consider the compensation to the tax accountants, as the sanction to the tax accountants in the private universities, as one of the internal control points, would influence the negative effect on the reasonable tax saving. The tax authorities could improve the tax audit procedure, through reviewing the internal control points like the sanctions in the private universities in the tax planning stage. 본 연구는 사립대학의 학생 수 감소로 인한 재정의 어려움으로 수익사업을 통한 재정확보의 필요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세무의사결정이 보다 중요해지고 있는 사립대학의 현실과 과세당국의 사립대학에 대한 정기적인 세무조사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과세당국의 세무조사가능성과 사립대학의 제재여부가 사립대학 세무담당자의 세무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립대학에 소속된 사립대학 세무담당자를 대상으로 가상적인 세무의사결정과업을 집단 내 실험방식(within-subjects design)으로 설계한 설문지를 이용한 현장실험(field study)을 통해 분석에 필요한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과세당국의 세무조사가능성은 사립대학 세무담당자의 공격적인 세무의사결정을 감소시켰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무조사가능성 증가로 인한 사립대학의 가산세 등 추가세금부담 위험은 세무담당자가 직접적으로 부담하는 비용은 아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사립대학의 제재여부는 사립대학 세무담당자의 공격적인 세무의사결정을 감소시켰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무담당자의 잘못된 세무의사결정으로 향후 세무담당자가 소속된 사립대학에 추가세금부담이 발생하는 경우에 세무담당자는 인사고과 불이익 등의제재를 적극적으로 회피하려는 성향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세무조사가능성의 차이에 따라 사립대학의 제재여부가 세무담당자의 공격적인 세무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영리법인에 비해 비영리법인인 사립대학에 소속된 세무담당자의 보다 보수적인 성향으로 인해 제재 가능성의 선행요인인 세무조사가능성 수준에 대한 고려 없이 인사고과 불이익과 같은 제재가 있는 지 여부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사립대학 경영진의 경우 내부통제제도 중 제재는 합리적인 조세절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보상과 같은 당근책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과세당국의 경우 사립대학에 대한 세무조사 계획 시 사립대학의 내부통제제도에 대한 검토를 통해 세무조사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경기도-대학 간 효율적 연계 협력을 위한 연구

        김성하,최성환,이은정,황선아 경기연구원 2015 정책연구 Vol.- No.-

        Traditionally, the university has sought after the truth and has trained the human resources. However, as the society demand that the university contribute to the social development, the university should collaborate with the local government in growing the society. Then,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university to realize its own role as local-university. But most of the universities in Korea has been confronted with the common difficulty. It is that the universities must restructure its organization as considering the growing number of the universities, the government financial aid,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s, etc. This is the universities in Gyeonggi-Do as well. So in this study, we examine firstly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universities in Gyeonggi-Do :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universities, the number of the students, the level of the university tuition fees and the scholarship, the accommodation of the hall of residence, etc. Then, we carried out a survey including the professors and the students of the universities in Gyeonggi-Do and analysed the findings to look at the information. It seems that most of the universities in Gyeonggi-Do require the aid or the support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at they feel the necessity of the cooperation between Gyeonggi-Do and the universities in Gyeonggi -Do. The local government should organize actively the system of the cooperation with the universities and the local-society. It means that this system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local-society and of Gyeonggi-Do. For the efficient 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Gyeonggi-Do and the universities in Gyeonggi-Do, we propose : Firstly, Gyeonggi-Do shuold have the ultimate goal of the 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Gyeonggi-Do, the universities in Gyeonggi-Do and the local society. Secondly, this connection and cooperation should not infringe on the universities’ right of autonomy. Finally, Gyeonggi-Do should enact an ordinance to formalize the council of development between Gyeonggi-Do, the universities in Gyeonggi-Do and the local society.

      • KCI등재

        윤석열 정부의 지방대학 정책의 전망과 과제 - RISE와 글로컬대학 30 정책 추진을 중심으로 -

        채윤정(Yoon Jung 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9

        수도권 대학의 신입생 충원율에 비해 지방대학은 큰 감소를 보이는 등 지방대학이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는 교육뿐만 아니라 지역의 경제발전과 관련되어 있으며, 지방대학의 약화는 지역 소멸과도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지역 발전을 위해 지방대학 육성 정책이 필요하다. 최근 정부는 RISE와 글로컬대학 30 정책을 내놓았다. RISE는 지방자치단체가 대학을 지원하고 지역 발전과 연계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고, 글로컬대학 30은 대학 경쟁력 향상과 지방대학 육성을 목표로 지역 발전과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을 통해 지방대학이 지자체의 지원을 받아 인프라 개선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할 수 있으며, 지자체와 대학, 산업체 간의 협력을 통해 지역 경제발전과 정주여건 개선할 뿐만 아니라 지역의 특화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대학을 육성하여 지방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의 혁신과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대학의 여건과 특성에 맞는 재정지원, 지역혁신 주체간의 협업과 지원체계 구축, 학문 분야의 균형 발전, 안정적인 대학재정지원대책 마련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지방대학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대학과 지자체 간의 협력과 책임감이 필요하며, 지속가능한 대학 재정 운영의 자율성 확대, 지역인재 유출 방지를 위한 산업체 유치와 지역인프라 개발, 소외된 학문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등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지방대학 정책의 성공적인 안착이 가능해질 것이다. Compared to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local universities are showing a large decrease and facing a crisis. These problems are related not only to education but also to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disappearance of the region. Therefore, a policy that nurtures local universities is necessary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proposed a policy called the Glocal University 30 with RISE. RISE establishes a system in which local governments support universities and link them with regional development, while Glocal University 30 aims to improve university competitiveness and foster local universities, simultaneously pursuing regional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hrough these policies, local universities can receive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infrastructure an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universities, and industries is expected to help develop the local economy and improve settlement conditions. Additionally, it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universities and promote regional innovation and development by fostering universities with world-class competitiveness in regional specialized fields. However, to achieve this, tasks such as providing financial support suitable for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establishing collaboration and support systems among regional innovation actors, balanced development of academic fields, and preparing stable financial support measures for universities remain.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governments are necessary for the success of local university policies, expansion of autonomy in sustainable university financial management, the attraction of businesses to prevent the outflow of local talent, development of local infrastructure, and active support for neglected academic fields. Through this,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local university policies will be possible.

      • KCI등재

        변혁기 대학체제 개편과 국공립대통합네트워크 담론 비판: 미국 및 프랑스 사례와 관련하여

        윤지관 ( Yoon Jikwa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9 No.-

        한국 대학의 근본적 개혁을 위한 기획 가운데 가장 지속적이고 영향력 있는 것은 국공립대통합네트워크론이다. 대학의 평준화를 이념적 기반으로 하는 이 담론은 대학서열화를 완화하고 입시지옥을 해소한다는 명분 하에 제기되어 지금까지 20년 가까이 많은 논의를 낳았고 특히 개혁지향적인 현 정부 들어와서 그 실행여부가 초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 논문은 이 담론의 이론적 근거로 제시되어온 해외 사례와 비교하여 현 시점에서 이 대학통합론의 이념적 기반과 현실성 문제를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대학통합론은 프랑스 파리대학의 통합사례와 캘리포니아 주립대체제를 모델로 하여 이를 한국적 상황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같은 적용시도는 두 가지 점에서 근본적인 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면이 있다. 1) 이 두 대학의 통합이 1960년대 학생 수가 급증하고 대학이 팽창하던 시기에 이를 관리하고 근대화하고자 하는 ‘자연스러운’ 과정에서 나온 것인 반면 한국의 대학통합논의는 학생 수의 급감으로 구조조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인위적인’ 기획으로 요구되고 있고, 2) 미국이나 프랑스의 경우 국공립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이같은 통합이 대학 및 교육 일반의 변화에 전체적인 영향을 준 반면 한국의 경우는 사립이 대다수 이므로 국공립대 통합이 주는 효과는 매우 제한적이다. 국공립대 통합안이 전제하고 있는 대학평준화의 이념을 추구하기보다 대학특성화에 역점을 두는 것이 사회문제로서의 대학문제에 대처함에 있어서도 더 시대상황에 맞고 현실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국립대 통합보다 구조조정과정에서 사학들을 공영화하여 고등교육에 대한 국가의 공교육적 기반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현 시점에서 더 일차적인 개혁과제라고 할 수 있다. One of the most lasting and influential projects for radical reform of Korean universities is a discourse on networking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The discourse, proposed with a level equalization of universities as its ideological basis has raised variou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in the past 20 years. It was proposed as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disastrous’ hierarchical structure of universities and ‘hellish’ entrance exam competition. This paper aims at reexamining the efficacy of its ideological proposition and its practicability at the present time in reference to such foreign cases, which have worked as model cases for this discourse: the reformation of the University of Paris and the California master plan for higher education in the 1960s. The two different contexts, however, should be considered in applying the cases to Korean university reform. 1) The foreign cases of united universities were formed ‘naturally’ in the expanding phases of higher education while the Korean project pursued ‘artificially’ in the midst of reconstructing process. 2) The foreign cases had an overall influence on education in general as most of the universities in those countries were public or national, while the effect of Korean project will be very limited as most of the university students attend private universities. Besides those differences, the new situations surrounding universities such as globalized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is making the idea of standardization of universities obsolete. Korean university reform should not be centered on the integration of universities but on their characterization and enhance the specific strengths of each group of universities.

      • KCI우수등재

        정부 대학평가에 대한 대학 특성별 인식 비교

        서지영(Seo, Jiyoung),서화정(Seo, Hwajoung),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구조개혁평가와 대학기본역량진단의 평가내용, 평가운영과 관련된 사항과, 정부의 대학평가 체제 정립에 있어 주요 문제로 제기되는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의 관계 설정 등에 대한 대학 특성별 인식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한 주요 논의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내용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진단) 지표 유지 여부에 있어서는 수도권대학과 대규모대학은 학생 충원율(신입생 충원율, 재학생 충원율), 졸업생의 취업률 등의 성과 측면에, 비수도권대학과 중규모대학은 교양교육과정, 전공교육과정, 학생 학습역량지원, 진로 및 심리상담 등 과정 측면에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다. 학생 충원율이나 졸업생 취업률의 경우에는 오롯이 대학만의 노력으로 개선하기가 쉽지 않으며, 3차례에 걸친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대학의 조직운영, 학과구조, 교육과정, 교수임용, 학사관리 등은 상당정도 평가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현재의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면서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지표 설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평가 운영과 관련된 인식에 있어 진단지표의 타당성 제고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음에도 국·공립대학, 비수도권대학, 중규모대학은 평가의 지속 여부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진단 결과가 대학혁신지원사업과 연계되면서 일부 대학에서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등록금 동결이라는 재정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일정 정도 기여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진단 결과가 재정지원을 위한 선별 기능과 수요자의 대학 선택 정보로서의 기능 이외에 대학이 진단 결과를 스스로 확인하고 향후 대학 운영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의 관계 설정에 있어 정량지표 산출식 연계와 함께 대학의 평가 부담 완화를 위해 정량지표, 정성지표의 지표 특성을 반영한 역할 분담, 재정지원 대상 선정을 위한 선정평가와 운영 현황에 대한 성과평가로의 역할 분담 등 다양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perceptions of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and the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considered problematic in establishing the government s university evaluation system. In this study, discussions and conclusions focus on the results of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The evaluation contents, evaluation procedures, and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s and large universities ranked relatively high in terms of student recruitment rates and the employment rates of graduates, while universities in non-metropolitan areas and medium-sized universities ranked relatively high in terms of liberal arts curriculum, student learning skills, and career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In the case of student recruitment rates and the employment rates of graduates, it did not appear easy for universities to improve solely by their own mea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erly respond to the COVID-19 pandemic with governmental assistance and reset indicators for higher education innovation. Second, there was a relatively high awareness of the need for enhancing the feasibility of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evaluation process. However, the perception of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non-capital-area universities, and medium-sized universities was relatively high. This is because the financial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freezing of college tuition fees have forced universities to try to solve their financial problems through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the way universities comply with the assessment is expected to require improveme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ccreditation and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should be actively reviewed, including quantitative indicators, role shar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indica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 한국과 미국 대학의 비교분석 - 생산비, 가격 및 보조금

        이진순(Jin S. Lee)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07 공공경제 Vol.12 No.1

          본고는 한국과 미국 4년제 대학들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대학들의 상대적 낙후성의 경제적 원인을 탐구한다. 한국대학들도 미국대학들과 마찬가지로 각 대학이 사회적 기부자원에 의존하여 지원하는 학생보조금 규모에 따라 서열이 결정되는 측면이 강함을 확인한다. 미국대학에 비해 한국대학 교육의 질이 평균적으로 뒤떨어진 경제적 원인은 한국대학 학생1인당 평균교육비가 미국대학의 1/3에도 미달하며, 對 1인당 GDP 비율 면에서도 미국대학의 2/3에 불과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격차는 등록금보다는 사회적 기부자원의 격차에서 비롯된 것이다. 나아가 미국과 달리 한국에 세계수준의 대학이 드문 경제적 원인은 관치교육으로 인해 대학 간 차별화와 상위권 대학 간 경쟁압력의 미흡이다: 변이계수로 측정한 대학 간 차별화 정도는 학생1인당 교육비의 경우 미국 0.86인데 비해 한국은 0.77이며, 순 등록금의 경우 미국 0.94인데 비해 한국은 0.26에 불과하여, 한국은 미국 명문대학들과 같은 高品質ㆍ高價格 대학이 결여된 하향평준화 된 대학시스템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is an inquiry into the economic causes of lower educational quality of universities in Korea compared to that of universities in the US,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cost, price, subsidy and hierarchy of the four-year universities in two countries, utilizing two data sets at the university level. Although it is conventional wisdom in Korea that the universities in Korea form strongly hierarchical structure solely based on SAT scores, this study finds that they are also economically stratified by the differences in student subsidies on the basis of the amount of donative resources, similarly to the universities in the US. An economic cause why the average educational quality of Korean universities is regarded to be far lower than American universities is simply that the average educational spending per student in Korean universities relative to per capita GDP is only two thirds of that in American universities. This difference comes mainly from the large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donative resources available to the universities. The degree of institutional differentiation in Korea is also much lower than that in the U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is 0.77 of the average educational spending in Korea compared to 0.86 in the US; 0.26 of the net tuition in Korea compared to 0.94 in the US. In particular, there is no private institution of high quality and high price in the under-differentiated hierarchy of Korean universities, comparable to the top prestige universities in the US.

      • KCI등재

        대학 보직자가 생각하는 지역혁신과 지방대학 역할 이해

        염민호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at in-depth understanding regional innovation and the role of local universities that university administrative professors think. The two research questions include: First,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ies in the Gwangju and Jeonnam-do region, and regarding the status,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professors in the local universities? Second, how do they think about regional innovation and the role of local universities? By employ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techniqu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administrative professors working for major universities in the area.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mmon theme identified in the percep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ies in the region was 'employment', but the recognition of the recruitment of new students and other issues differ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university to which the interviewees belong. The perception of the local innovation and the role of local universities was multi-layered and complex, and can be broadly summarized into eight themes: emphasizing survival and substantial change on the concept of innovation, local innovation biased 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emphasizing social value and context, etc. The author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results in three themes: the sensitivity of using key terms, respecting university’s initiative and establishing a legal basis for local governments to be involved in local universities, a reflective approach within universities. Finally, the role of local universities for regional innovation were specifically presented dividing institutional reforms and consciousness change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보직자가 생각하는 지역혁신과 지방대학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문제는 두 가지다. 하나는 광주전남지역 대학의 현황은 어떠하며, 그에 대한 보직자의 인식은 어떠한가이다. 다른 하나는 광주전남지역 소재 주요 대학의 보직자가 생각하는 지역혁신과 지방대학의 역할은 어떠한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방법에 속하는 반구조화 면담기법을 활용했다. 면담은 주요 대학의 보직자 13명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결과, 광주전남지역 대학의 현황에 대한 보직자의 인식에서 확인한 공통 주제는 ‘취업’이었으나, 신입생 충원, 교수 연구역량, 대학원 진학에 대한 인식은 보직자가 속한 대학의 규모에 따라 달랐다. 지역혁신과 지방대학 역할에 대한 보직자 인식은 다층적이고 복잡했는데, 크게 여덟 가지 주제로 압축할 수 있다: ‘혁신개념에 생존과 실질변화 강조’, ‘산학협력에 치우친 지역혁신’, ‘사회적 가치와 맥락도 중시’, ‘내밀한 지역사회 문제’, ‘지방대학 역할에 대립된 태도’, ‘지자체-대학 연계는 지역특성 기반 교류협력 강조’, ‘대학주도의 연계협력과 지자체 역할확대’, ‘대학혁신은 교육과정과 교수업적평가에 초점’ 등이다. 논의에서는 이 연구의 결과가 주는 의미를 세 가지 대주제로 나눠 제시했다. 첫째, 지역혁신과 지방대학이라는 용어는 그 용어를 사용하는 집단과 개인이 처한 상황과 맥락에 따른 접근을 전제해야 하며, 지역혁신의 개념화 작업에서는 경제적 관점의 산학협력과 정치적 측면의 민주주의를 함께 중시하는 균형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혁신의 주체로 대학의 주도권을 존중하되 지방정부가 지방대학의 운영과 재정에 관여할 수 있는 법적기반을 만들어야 한다. 셋째, 지방대학의 역할에 대한 대학 내부의 반성적 접근이 필요하다. 결론에서는 지역혁신을 위한 지방대학 역할을 제도개혁과 의식개혁으로 나눠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