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학생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김동규 ( Kim Dongkyu ),우정한 ( Woo Jeongha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장애학생의 효과적인 SW교육을 위해 장애학생에게 SW교육을 직접 실행하는 특수교사의 SW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문헌 및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온라인 방식을 통해 특수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결과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χ<sup>2</sup>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장애학생의 SW교육 목적, 영역 및 배경지식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SW교육 지도역량 구비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또한 장애학생 SW교육, AI교육 및 메이커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며, SW교육이 장애학생의 정보화 능력, 진로탐색 및 사회성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장애학생 SW교육에서 교육과정의 편성, 교사연수 및 정책적 지원은 비교적 적절하다고 인식하였으나, SW교육 운영, 난이도 및 자료 개발·보급에서는 보통 또는 부정적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학생 SW교육 요구에서는 SW교육 자료 개발·보급 및 교사의 지도역량 강화가 필요하였고, SW교육 실시는 정보통신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교과전담교사가 지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결론] 장애학생의 효과적인 SW교육을 위해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기초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each SW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effective SW education.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53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an online method. Response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χ<sup>2</sup>-tests. [Results] First,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purpose, domain, and background knowledge of SW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generally high, but the teachers' ability to teach SW education was somewhat low. And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SW education, AI education, and Mak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high, and it was perceived that SW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ICT abilities, career search and socia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of the SW curriculum, teacher training, and policy support were perceived as relatively appropriate, but the general or negative perception was high in SW education operation, difficulty, and development·distribution of materials. Second, regarding the needs for SW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evelopment·distribution of SW education materials and teaching competency are required and it was perceived that it was appropriate for the SW education to be conducted by a teacher in charge of the ICT subject. [Conclusion] For effective SW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SW⋅AI 기초교양에서의 핵심역량 성과 평가도구 개발

        장은실,오경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2

        As a result of current trends, a level of SW⋅AI competency for digital innovation has become a necessity, not a choice, SW-AI competency has also developed as a purpose not only for training specialist personnel, but also for providing universal SW⋅AI basic education. Howev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universal SW⋅AI basic education, it is advisable that we systematically educate SW⋅AI basic education in stages. A university offers various elective courses related to SW⋅AI for all students. Schools have expanded th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SW⋅AI basic education after they have completed the required elective courses. However, expanding the opportunities for SW⋅AI basic education does not automatically strengthen their skills. Therefore, educators are aiming to strengthen the learners’ problem-solving skills by developing evaluation tools for core competencies in SW⋅AI elective courses and by applying these skills in algorithm courses. A performance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in SW⋅AI basic education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of higher-order thinking and for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The tool was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stages: clarifying class goals, developing core challenges,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developing and applying assessment tools, and analyzing the evaluation results. The tool was applied in an algorithm course for problem solving and helped learners understand what to focus on when performing challenges. It also provided them with guidance for learning to enhance their various competencies through feedback. Indeed, a survey of self-assessment by learner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emester showed that the necessary competencies for solving core challenges had improved.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were not majoring in SW⋅AI basic education stated that having to program in order to solve problems and being responsible for programming in team projects was a burden for them. In this study, we found that if the learner’s ultimate competencies are concretely embodied as behavioral indicators and challenges are set based on this criterion, the learner can concentrate more on practical competency enhancement. However, in regards to the SW⋅AI basic education subject, we confirmed that there is a need for us to clarify the core challenges and evaluation criteria for evaluating core competencies. In the future, we will apply various core competency performance evaluation tools to various SW⋅AI basic education subjects to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Through this process, we will continuously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W⋅AI basic education and systematically enhance competencies thereby. 디지털 혁신을 위해 필요한 SW⋅AI 역량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이는 전문 인재 양성 목적 외에도 보편적 SW⋅AI 기초교육을 위한 목적으로도 발전하게 된 것이다. 보편적 SW⋅AI 기초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SW⋅AI 기초교양 교육을 단계별로 체계화하여 교육하는 것이 좋다. A대학교에서는 전교생이 수강할 수 있는 다양한 SW⋅AI 관련 선택교양 교과목을 개설하였다. 즉, SW⋅AI 필수교양 교과목을 이수한 뒤 학습할 수 있는 SW⋅AI 기초교육의 참여기회를 확대하여 제공하였다. 그러나 SW⋅AI 기초교육의 기회를 확대하여 제공한다고 해당 역량이 강화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SW⋅AI 기초교양에서의 핵심역량 성과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알고리즘교과목에 적용하여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SW⋅AI 기초교양에서의 핵심역량인 고차적 사고와 정보 및 기술 활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성과평가도구는 수업 목표의 명확화, 핵심 과제 개발, 평가 준거 개발, 성과 평가도구 개발 및 적용, 평가결과 분석의 단계를 거쳐 개발하였다. 개발한 성과 평가도구를 문제해결을 위한 알고리즘 교과목에 적용해 본 결과, 학습자들은 무엇에 초점을 두고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지 알 수 있었고, 피드백을 할 때도 성과 평가도구를 중심으로 안내하여 역량 강화를 위한 학습을 지속하는데 도움을 제공하였다. 학기 초와 학기 말에 진행한 학습자 자기평가 설문조사의 역량 변화 결과를 통해서도 핵심 과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역량들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SW⋅AI 기초교양에서 비전공자가프로그래밍으로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과 팀프로젝트에서 프로그래밍을 담당하는 역할은 큰 부담이 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가 궁극적으로 강화해야 할 역량을 행동지표로 구체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과제를 설정하여 수업을 진행할 경우, 학습자의 실질적인 역량 강화에 보다 집중할 수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그러나 SW⋅AI 기초교양 교과목에서는 핵심역량 평가를 위한 핵심 과제와 평가 준거를 보다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핵심역량 성과 평가도구를 다양한 SW⋅AI 기초교양 교과목에 적용하여 개선점을 도출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SW⋅AI 기초교육의 효과를 높일 것이며, 이를 토대로 SW⋅AI 기초교육을 체계화하여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 KCI등재

        불균등한 SW·AI 경험이 교육격차에 미치는 영향: 체험 활동 프로그램의 AI교육 사례 중심으로

        장은실,오경선 한국미래교육학회 2021 미래교육연구 Vol.11 No.4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면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SW·AI 인재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SW·AI 인재 확보를 위해 전 세계는 SW·AI 교육에 많은 예산과 시간을 들여 인재를 양성하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대한민국도 2015년부터 교육과정을 개편하면서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 SW 교육 내용을 반영하였다. SW중심대학과 AI대학원 교육지원 사업을 통하여 고등 교육기관에도 대규모 예산을 투자하여 SW·AI 인재양성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SW·AI 교육의 양과 질이 모두 부족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 대상의 체험 활동 프로그램에서 AI 교육 격차가 발생하는 원인이 SW·AI 사전 경험 차이라는 관점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체험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대상으로 SW·AI 경험별 재미, 어려움, 만족도, 기대 정도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분석한 결과, SW·AI 경험이 AI교육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SW·AI 교육을 균등하게 받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교육격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체계적이고 연속적인 SW·AI 교육이 될 수 있도록 SW·AI 교육을 필수 교과로 전환하여 수업 시수 확대 등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can be said that securing SW·AI talent is very important to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In order to secure SW·AI talent, the world spends a lot of money and time on SW·AI education and puts great effort into nurturing talent. The Republic of Korea also reflected the SW education content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by reorganizing the curriculum from 2015. Through SW-oriented universities and AI graduate school education support projects, large budgets are also invested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focus on nurturing SW·AI talents. However, in reality, there are high voices of concern that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W·AI education are insufficient.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cause of the AI education gap in the experiential activity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is the difference in prior SW·AI experience.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ential activity program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level of fun, difficulty,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by SW·AI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a significant result that SW·AI experience is affecting AI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educational gap that may occur due to the failure to receive SW·AI education equally. For this, SW·AI education should be converted into a required subject so that SW·AI education can be systematic and continuous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and the number of hours of classes should be expanded systematically.

      • KCI등재

        SW영재 학부모의 SW교육과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교육 만족도와 참여 의향을 중심으로

        이재호,류지영,송용준,장준형,전미란,진석언,정홍원 한국영재학회 2022 영재교육연구 Vol.32 No.4

        This study analyzed the parents' perceptions of SW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in 2022 using educa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survey for parents of 40 gifted classes in 2022 were classified into national gifted education and private institution gifted education in terms of gifted education, and classified into SW public education and SW private education in terms of SW education.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eac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tention,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parents who participated in SW public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parents who participated in SW private educ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gifted education were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gifted education of private institu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 KCI등재

        장애학생 SW교육 운영에 대한 참여자의 인식과 요구: 희망학교 SW 교실을 중심으로

        김영걸,권기홍,우정한,선석근,김현선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the sw education participants(instructors, operating teachers and homeroom teachers) who teach and operate sw education(Hope School SW Class) for disabled students for effective sw education.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82 sw education participants’through an online method. Response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OVA and -tests. [Results] First, the perception of sw education participants’about pre-recognition of sw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were generally high, the operation of sw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was properly conducted and the participation of disabled students was also high. In addition, sw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helped improve disabled students' creativity, problem-solving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Second, regarding the needs for sw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Unplugged and Physical Computing are needed in educational contents and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students are needed in educational method. [Conclusion] The perception of sw education participants’about recognition of sw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were high and effective sw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students are needed. Based on sw education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need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목적] 본 연구는 장애학생 SW교육 프로그램인 ‘희망학교 SW교실’에 참여한 참여자(지도강사, 운영교사,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장애학생 SW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조사연구로 문헌 및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희망학교 SW교실’참여자 18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식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결과는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과 교차분석 및 기술방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장애학생 SW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사전인식은 참여자 모두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장애학생 SW교육 운영은 적절하게 이루어졌으며 장애학생의 참여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장애학생 SW교육은 장애학생에게 유익하였고 창의력, 문제해결력 및 의사소통 능력 등의 향상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학생 SW교육에 대한 참여자의 요구에서 교육내용으로는 언플러그드와 피지컬 컴퓨팅 등이 필요하고, 교육방법으로는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SW교육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결론] 장애학생 ‘희망학교 SW교실’참여자들의 장애학생 SW교육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고, 효율적인 장애학생 SW교육을 위해서는 장애학생의 특성과 교육적 요구를 고려한 SW교육 내용과 방법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SW 교육과 연계한 AI 기반 체험교육 프로그램 개발

        유영길(Yu, Young Kil),강종표(Kang, Jong-Pyo),이동영(Lee, Dong You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육과정의 SW 교육과 연계한 인공지능 기반의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공지능의 다양한 용어와 교육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 인공지능 관련 내용을 SW 교육과 연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분야를 탐색하였다. 현재 초등교육 과정에서 사용하는 실과 교과서의 로봇 및 SW (관련) 단원에서 인공지능과 연계할 수 있는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현재 초등 실과 교육과정에서 로봇 교육 및 SW 교육과 연계할 수 있는 엔트리 SW의 다양한 인공지능의 관련 내용을 파악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초등 실과교육에서 로봇 교육과 SW 교육과 연계한 인공지능 기반 체험 교육프로그램을 5개 과정으로 선정하였다. 5개 과정의 체험교육 프로그램은 ㈜네오피아와 함께 개발한 자율주행 자동차의 체험교육 프로그램, 생체 인식 체험교육 프로그램, IoT의 생활 체험교육 프로그램, AI 플레이어 체험교육 프로그램, 머신러닝 체험교육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체험 교육프로그램을 로봇 교육 및 SW 교육과 연계한 인공지능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학습지도안 등과 함께 제시하였고, 다양한 웹 버전의 제공자와 함께 운영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자료는 교육대학의 예비교사와 현직 교사들에게 필요한 인공지능에 대한 기본 지식과 이해에 필요한 내용과 체험교육용 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자료는 초등현장에서 필요한 SW 교육과 연계한 인공지능 관련 교육을 위한 지침으로써 인공지능 교육의 현장 적용이 가능한 수업자료와 체험교육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예비교사와 현장에 적용하여 인공지능 관련 체험교육을 진행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더 완성도 높은 프로그램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I-based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 that is connected to the SW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 do so, various terms and education-related contents of AI were examined, and the fields that could be applied by linking AI-related contents with SW education were explored. The contents that can be linked to AI in the robot unit and SW unit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 currently used in the elementary education field were analyzed. Using this knowledge as a foundation, the contents of various AIs provided that can be used by utilizing the entry SW linked to robot and SW education in the current experiential education course were compared. Based on this, an AI-based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 that is linked to robot education and SW education was selected into five courses. The five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s are as follows: an autonomous vehicle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 developed with Neopia, a biometrics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 an Internet of Things (IoT), life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 an AI player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 and a machine learning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 These developed programs will be able to provide the necessary basic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AI as well as experiential education and practice to th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of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addition, as a guideline for AI-related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SW required in the elementary field, it can be provided as instructional materials and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AI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program will be applied to pre-service teachers and on-site to correct and supplement the problems that occur in AI-related experienti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초등SW교사연구회 활동과 초등교사의 SW교육 인식의 연관성 연구

        정효진,양창모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학교와 수업 연구 Vol.6 No.1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remote and large- scale group training for SW education is examined through a questionnaire. In order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SW education, a plan to utilize the Elementary SW Teachers Research Group, which is a voluntary organization of teachers, was proposed. With the introduction of SW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trend of increasing the need for SW education, it is crucial for all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promote instructional expertise in SW education. Although SW education training has been conducted steadily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eachers in this form of education, the training thereof has not connected with the curriculum and systematization of the training process. Furthermore, the contents of SW education have been insufficient. Consequently, voluntary meetings and research groups at home and abroad are conducted to improve teachers’ awareness and expertise in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analysis, the research members were able to increase their awareness of software education and expertise in technology knowledge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training conducted in the research group. It was possible to increase content teaching knowledge expertise in the process of sharing knowledge among members, and sharing the experience of SW education classes through other members in research schools. In order for SW education to be properly positioned in elementary education, it is necessaryimperative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correct direction that SW education is pursuing, and training that can motivate the need for SW educ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lass expertise can be enhanced by training by asking questions freely in a comfortable atmosphere as well as sharing knowledge and exchanging opinions.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tise through training, in which teachers learn and create together rather than transferring knowledge unilaterally.

      • SW교육 선도학교 사례 분석을 통한 SW교육 중심 초등 융합인재교육 방안

        이소율(Yi, Soyul),이영준(Lee, YoungJun)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7 융합교육연구 Vol.3 No.1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사물 및 현상을 통합적이고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켜줄 수 있는 융합인재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학습자들의 컴퓨팅 사고력의 함양을 위한 SW교육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초등 교육의 성격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융합인재교육에 대하여 살펴보고, 초등 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의 실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초등에서 SW교육을 중심으로 융합인재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시사점을 이끌어냈다. 또, 초등 SW교육 선도학교의 SW교육 중심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세 가지 사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각의 사례에서 드러난 교과 융합 방법과 초등에서의 융합인재교육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ing methods of SW education–centered elementary STEAM education through case analysis of SW education leading school for cultivate creative and converged people who are future human resourc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r this,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STEAM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we discussed how to implement the STEAM education in elementary efficiently. And this led to the suggestion that it is more advantageous to conduct STEAM education centered on SW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an other school level.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ase of SW education relative with subjects in curriculum, the case of SW education centered STEAM project education, and the case of SW education using interactive art. We discussed the how to integrate of the subjects in each case and the STEAM education methods and practices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해외 사례 검토를 통한 국내 SW교육 교사교육의 발전 방안 탐색

        허희옥 ( Heeok Heo ),서정희 ( Jeonghee Seo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3

        우리나라에서 SW교육은 21세기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중요한 교육정책의 하나이다. 정보과 교육이 강화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교육부에서 발표한 SW교육 활성화 추진 정책이 그 중요성을 잘 말해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국, 핀란드, 에스토니아, 미국의 교사교육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SW교육 교사교육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각 나라별로 SW교육에 관련된 학교 교육과정 혹은 교육 내용을 조사하고 이를 가르치는 교사의 교육에 대한 현황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SW교육 교사교육의 발전을 위한 7가지 실천 전략을 도출하였다: 첫째, SW교육에 관련된 교사의 역량을 규명한다; 둘째, SW교육과 교과교육을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증진한다; 셋째, 코딩 기능 숙달이 아닌 교육적 변화를 수용하고 주도할 수 있는 마인드 형성을 강조한다; 넷째, 교사 공동체 활동을 활성화하고 지역별 교사교육 지원센터를 운영한다; 다섯째, 교사교육 방식에서 비형식학습 방법을 도입하기 위한 디지털 인증 시스템을 운영한다; 여섯째, 교사교육의 참여자간에 다양한 의견과 자료를 공유하기 위한 온라인 시스템을 운영한다; 일곱째, 교사의 역량에 적합한 맞춤형 교사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른 국가들의 사례 분석, SW교육의 의미 재조명, 예비 교사교육 강화 등에 관련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Software education (SW education) is one of the inevitable educational practices to enhance the competencies of next generations at 21<sup>st</sup> century. The importance of the SW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the information subjec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n educational policy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To meet the current trends, this study aims to review and analyze international case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the SW education, and then provide strategies to enhance the quality of current teacher education in SW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reviewed the suggested contents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national curriculum and standards,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delivery method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United Kingdom, Finland, Estonia and United States. As a result, seven strategie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in Korea: Identifying teacher competencies to implement SW education; Enhancing teachers’ capability to integrate SW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Building teachers’ mindset to accept and lead educational changes, not to develop a coding skill only; Operating a regional center for supporting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communities; Establishing a digital certification system for promoting teachers’ informal learning; Operating an online communication system to share ideas and information among participants in SW education; Establishing an adaptive teacher education system. For further studies, the following issues were raised: Conducting an analysis of other international cases, re-conceptualizing the meaning of SW education, and strengthening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SW education.

      • KCI등재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공간구축에 따른 SW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경규,이종연,손상혁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6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models in software curriculum, the spatial construction is also very important. Recently, research on SW education to cultivat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is being conducted, but there is no standard model for future-oriented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W education and SW convergence education. Moreover, in actual school sites, there is a limit to the efficient operation of SW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existing space.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by establishing a space for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to strengthen SW-AI convergence education, and by proving its effectiveness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detailed study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verifying the suitability for constructing a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we present a general guideline for the futur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construction model or th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applicable to SW education or SW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after applying the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o students in th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the reason is why teaching in th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works effectively compared to the existing computer lab was investigated by the learner attitude survey, class satisfaction survey, and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measurement. Lastly, it is expected to provide more effective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c inform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space construction model by constructing a space for strengthening SW-AI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교수·학습방법 및 모델과 함께 적합한 공간구축 역시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융합적 사고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SW교육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SW교육 및 SW융합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미래지향적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 대한 표준모델 또한 없다. 더욱이 실제 학교 현장에는 기존 공간에서의 효율적인 SW융합교육 운영에 한계를 느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SW·AI융합교육 강화를 위한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공간을 구축하고 이에 SW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함으로써 효과성을 입증하여 그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그 세부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구축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여 SW교육 또는 SW융합교육에 적용 가능한 미래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구축 모델 또는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 대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둘째, SW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서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기존 컴퓨터실과 비교하여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서 수업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이유를 학습자 태도조사와 수업 만족도 조사, 컴퓨팅 사고력 측정을 통해 알아본다. 끝으로 효율적인 SW융합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SW·AI융합교육 강화를 위한 공간구축으로 더욱 효과적인 이론적실제적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공간구축 모델의 방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