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업용 자기소개서 지도방안 연구

        신정숙(Shin Jung Suk) 동남어문학회 2015 동남어문논집 Vol.1 No.40

        This paper presented the fact that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is a genre combining self-exploratory writing and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and a self-introduction teaching method focusing on a process considering these genre characteristics. We also reviewed the fact that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is based on a demonstration format in terms of the writer persuades a human resources officer that he is a talent who is the most suitable for the company/job despite its self-exploratory nature in the context aspect. This means that a teacher can expand the process of teaching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to the process of teaching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For this purpose, first, a survey on demand (requirement) for writing lecture and area -specific (contents / configuration / rules) writing skills was conducted targeting juniors and seniors that can be regarded as job seekers. This can be seen as basic research to explore a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teaching method considering the demand and distinctiveness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argeting juniors and seniors of C University (A total of 245 people. humanities 57 people, engineering 97 peopl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91 people), they greatly recognized the need for practical writing such as for a letter of introduction for employment among various writing genres due to the nature of job seekers and are the most vulnerable to the content area (selecting a topic /presenting basis of an argument) among area- specific (contents / configuration / rules) writing skills. These survey results can be seen as a meaningful indicator of the fact that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teach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and practical writing(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treated as important genres in the writing curriculum. Given the fact that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basically uses a demonstration method(presenting argument+basis of the argument) as a descriptive strategy due to its nature of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this paper proposed a process-centered self-introduction teaching method. And this self-introduction teaching method also reflects the fact that there is a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general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and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in contents. The contents are very limited in that general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has no limitation on topics while self-introduction is described around four questions (① growth process ②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personality ③ reason for application for company / job ④ aspirations after joining the company). There are also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demonstration method of writing. Although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example, analysis comparison, quotation, metaphor, depiction as the grounds for claims, self-introduction has the nature of the self-exploratory writing in contents so the individual's specific experiences are used as an example (case). As shown above,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can be seen to be self-exploratory writing in the content aspect and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in terms of a logical structure. Therefore, we think that it is preferable to teach self-introduction as an extension of persuasive (demonstrative) writing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writing> related subjects rather than being carried out by one time lectures or correction opened in writing center or writing classroom. 이 논문의 목적은 취업용 자기소개서가 자기 탐색적 글쓰기와 설득적(논증적) 글쓰기가 결합된 장르라는 사실과 이러한 장르적 특성을 고려한 과정 중심의 자기소개서 지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또한 취업용 자기소개서가 내용적인 측면에서 자기 탐색적 성격을 띠고 있을지라도, 근본적으로 글쓴이가 인사담당자에게 자신이 지원하는 회사/직무에 가장 적합한 인재라는 사실을 설득하기 위한 논증형식에 기반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는 교수자가 설득적(논증적) 글쓰기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취업용 자기소개서를 지도하는 과정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취업준비생으로 볼 수 있는 3~4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글쓰기 특강에 대한 수요(요구), 영역별(내용/구성/규범) 글쓰기 능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학생들의 수요와 특수성을 고려한 취업용 자기소개서 지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조사라고 볼 수 있다. C대학 3~4학년을 대상(총 245명. 인문계열 57명, 이공계열 97명, 예체능계열 91명)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취업준비생이라는 특성상 다양한 글쓰기 장르 중에서는 취업용 소개서 등과 같은 실용적 글쓰기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었고, 영역별(내용/구성/규범) 글쓰기 능력 중에서는 내용영역(주제선정/논거제시)에 가장 취약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설문결과는 글쓰기 관련 교과과정 내에서 중요한 장르로서 다루어지고 있는 설득적(논증적) 글쓰기와 실용적 글쓰기(취업용 자기소개서)를 통합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지표라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취업용 자기소개서가 내용상으로 자기 탐색적인 특징을 띠고 있지만, 설득적(논증적) 글쓰기이기 때문에 논증방식(주장+논거제시)에 기반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과정 중심의 자기소개서 지도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자기소개서 지도방안은 일반적인 설득적(논증적) 글쓰기와 취업용 자기소개서가 내용상 상당한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일반적인 설득적(논증적) 글쓰기가 화제의 제한이 없는 반면에, 자기소개서는 4개의 질문항목(① 성장과정 ② 성격의 장단점 ③ 회사/직무 지원동기 ④ 입사 후 포부) 위주로 기술된다는 측면에서, 내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글의 논증방식의 측면에서도 다소 차이점이 존재한다. 설득적(논증적) 글쓰기가 주장에 대한 논거로서 예시, 분석, 비교, 인용, 비유, 묘사 등을 활용하지만, 자기소개서는 자기 탐색적 글쓰기라는 특성상 주로 개인의 특정한 경험이 예시(사례)로 활용된다. 이와 같이 취업용 자기소개서는 내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자기 탐색적 글쓰기이며, 논리적 구조의 측면에서 볼 때 설득적(논증적) 글쓰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자기소개서에 대한 교육은 글쓰기센터 혹은 글쓰기 교실에서 개설되는 일회성 특강이나 첨삭지도에 의해 이루어지기보다는 <글쓰기> 관련 과목의 교과과정 내에서 설득적(논증적) 글쓰기 교육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예체능 계열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디자인학과를 중심으로

        이미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6

        In major related writing, the independent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department becomes viable through 'practical writing.' The majority of 'practical writing' possesses the purpose it is required for advancing into society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 of a major. Conventionally, arts major related writing had its limitation as it focused primarily on the enhancement of creativity based on its curricular objective or on art observation. Observing and appreciating already existing work of art is meaningful in its own aspect considering that it can be linked to creativity, but it also gave way to the problem that it diluted the quintessence of a writing lecture which was clearly the course objective. Thus, there was an attempt to seek a lecture aimed at integrating a writing class with an art major class focused on 'persuasive writing and speaking.' This measure was designed to emphasize that cultivating basic writing skills is the very core of the curricular objective of writing in all academic departments. Based on this, we have attempted to help our students perceive the concept of persuasive writing, speaking and acquaint them the importance of persuading the marketability of design to the reader and by doing so seeking a correlation with their majors. With regards to practical writing, two lectures have been carried out: persuasive writing and speaking. In the first lecture we had our students do rhetorical writing as a part of the basic form of persuasion. In the second lecture, we carried out practical drills through design presentation as a part of learning about persuasive speaking. The more feedback the students received the more they understood the structure of rhetorical writing as well as presented logical evidence to their statement thereby trying to convey a clear message. Similarly in presentations, the best they managed in the beginning was to explain their design and emphasize the virtue of their works, whereas after a number of feedbacks, they began to realize the persuasiveness required for a design concept and to emphasize the originality and ingenuity to create a market value of their works. As a conclusion they began to understand through individual presentations that the purpose of launching a design was itself a process of persuasion, and to do so they needed grounds to convince others of the advantages of their design. This process has paved way to their enlighten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예·체능 계열의 글쓰기 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학과적 특성에 부합되는 교과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계열별 글쓰기에서 학과의 독립적인 특성은 '실용적 글쓰기'를 통해 가능해진다. 대부분 '실용적 글쓰기'는 전공의 특수성과 사회 진출 시 소요되는 목적을 갖고 있다. 기존의 미술 계열 글쓰기는 주로 창의력 증진이라는 교과 목표에 맞춰지거나, 미술 감상 등으로 한정되었다. 이는 미술 작품 감상이창의성과 연관된다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는 수업 방법이지만, 글쓰기 수업이라는 본질적 교과목표를 희석시켰다. 따라서 의사소통 중심의 글쓰기 수업과 미술계열의 전공 특성을 통섭하는 수업 목표로 '설득적 글쓰기와 말하기'의 수업 내용을 모색해보았다. 이는 글쓰기의 기본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계열별 글쓰기 교과목표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과정임을 강조하기 위해 고안된 방안이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에게 설득적 글쓰기 개념, 말하기 등을 인지시키고 디자인의 상품성을 독자에게 설득하는 과정의 중요성을 숙지시켜 전공 학문과의 연계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실용적 글쓰기의 실습 차원에서 설득적 글쓰기와 말하기는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읽기, 쓰기, 말하기의 종합적인 차원을 통해 설득의 과정을 연습하게 했다. 이를 토대로 네 차례에 걸쳐 피드백을 진행했고 최종 원고가 완성되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과정 중심의 글쓰기를 인지시켰다. 산업디자인 학생의 경우 글쓰기 수업에 익숙하지 않으며 글쓰기의 기본적인 요건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따라서 글쓰기의 기본 요소들에 대한 숙지가 필수적이었다. 계열별 글쓰기 특성에 맞는 본래의 교과 목표도 중요하지만, 글쓰기의 기본 자질들에 대한 학습이 선행되는 것은 글쓰기 수업의 근본적인 목적이라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특히 산업디자인학과의 경우 디자인의 상품성을 독자에게 설득하는 과정은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설득의 과정을 인지하는 과정은 디자인학과의 실용적 글쓰기 교육 방안의 중요한 단초를 마련해 줄 것이다. 더 나아가 전공간의 상관관계를 중시하고, 종합적 사고와 논리적 학습능력을 지향하는 계열별 글쓰기의 교과 목표에 부합하는 사례를 마련해 줄 것이다.

      • KCI등재

        학습 필자의 설득적 글에 나타난 쓰기 과정 분석과 교육과정 환류 -작문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김규훈,전용숙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nection with the ‘writing process’ through the ‘writing protocol analysis’ of the ‘persuasive writing’ produced by learning writers in writing education and to suggest ways to supplement the curriculum of persuasive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ompare the completed persuasive writing and the writing process, a writing protocol model for process analysi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writing process. Based on this model, the ‘medium upper’ and ‘medium lower’ courses were selected from th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15 persuasive writings were analyzed for writing protocols, and the thinking process was confirmed through post-learner interviews. As a result, 30 persuasive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and based on this, the peculiarities and tendencies of the activity process and results of each writing stage appeared according to the writing level of the learner were identified. In addition, a persuasive writing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as prepared by reflecting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correction feedback stage was approached in more detail. It was emphasized that the correction reflect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should be applied. 본 논문은 글쓰기 교육에서 학습 필자가 생산한 ‘설득적 글’에 대한 ‘작문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글쓰기 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설득적 글쓰기 교육의 교육과정 보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에 먼저 완성된 설득적 글과 글을 쓰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글쓰기 과정의 단계에 따라 과정 분석을 위한 작문 프로토콜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을 바탕으로, 2022년 1학기에 개설된 <글쓰기기초> 수업 가운데 연구진이 담당했던 수업에서 ‘중상’ 강좌와 ‘중하’ 강좌를 선별하였고, 각 15편의 설득적 글을 대상으로 작문 프로토콜 분석을 실시하고 사후 학습 필자 인터뷰를 통해 글쓰기 과정에서 사고 과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30편의 설득적 글을 ‘상, 중, 하’ 수준으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필자의 글쓰기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글쓰기 단계별 활동 과정 및 결과물의 특이점과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설득적 글쓰기 교육과정 개선안을 마련하고 첨삭 피드백 단계에 대해서는 더 구체적으로 접근하였다. 그것은 <글쓰기기초>의 교육 내용이나 피드백 내용 및 방식에서 학습 필자의 개별 특성을 반영한 첨삭 내용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한 것이다.

      • KCI등재

        고등학생이 경험하는 인지적 요인의 쓰기 어려움에 대한 인식 연구

        정혜린 한국작문학회 2023 작문연구 Vol.- No.58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perception of cognitiv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persuasive writing differed according to the writing level among third-year high school male students. In addition, the subject matter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writing level generated through the teacher's evaluation with the students’ self-evaluation score for the text. The major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writing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persuasive writing differ according to the student's writing level.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writing leve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difficulty of writing cognitive factors. Third, using cluster analysis, student type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Except for Cluster 4, which had the highest writing level, the other three groups differed in self-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results vis-à-vis the appraisal of detailed factors for writing. Notably, 71.9% of the total did not clearly identify which aspects of their writing were lacking. These results mean that students lack knowledge and meta-cognition of persuasive writing. This shows the necessity of finding specific wri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writers.

      • KCI등재

        설득하는 글과 정서 표현 글에 대한교사의 반응 내용 양상 연구

        김경화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8 리터러시 연구 Vol.9 No.3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aspect of the contents of teachers' responses to persuasive and emotional writing. The responses of 70 Korean language teachers to 6 persuasive and 6 emotional writings of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collected; my observations are as follows: There were numerous teachers' responses in the [content] category of persuasive writing. In the writing of emotional expression, many responses were in the [expression] category. However, analysis of the subcategories of the [content] category revealed no responses to the writing that persuaded every item. In particular, the "content generation" item had more teachers' responses in writing emotional expression. Teachers' responses to the "structure of writing", a subcategory of [cont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uasive and emotional expressions. However, for the detailed items, there were many teachers' responses to "structure" and "consistency of writing" in persuasive writing, while "content development" and "composition of paragraphs" were more likely to respond to emotional expressions. In particular, the "structure" item had double the number of teachers' responses in persuasive writing. A higher number of teachers' responses were observed in the [expressive] category of emotional expressions. In the [meta-cognition of writing] category, teachers' responses to items "advice on writing related to writing" and "overall impression and evaluation of writing" were presented. However, the responses to the [meta-cognition of writing] category were lower (8%) than those for other categories. Therefore, the responses presented by detailed items were few.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쓰기 교육의 내용을 탐색하기 위해 설득하는 글과정서 표현의 글에 교사가 제시한 반응 내용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국어 교사 70명에게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작성한 설득하는 글 여섯 편과정서 표현의 글 여섯 편에 대한 반응을 의뢰하였으며, 이에 대한 교사의 반응내용 양상은 다음과 같다. 설득하는 글은 [내용] 범주, 정서 표현의 글은 [표현] 범주에 해당되는 교사 반응이 많이 제시되었다. 그런데 [내용] 범주를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모든 항목에서 설득하는 글에 더 많은 반응이 제시되지는 않았다. 특히 ‘내용생성’ 항목은 정서 표현의 글에 교사 반응이 더 많이 제시되었다. [내용]의 세부 범주인 ‘글의 구조’에 해당되는 교사 반응은 설득하는 글과정서 표현의 글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구조’, ‘글의 일관성’은 설득하는 글에, ‘내용 전개’와 ‘문단 구성’은 정서 표현의 글에 반응이 더 많이 제시되었다. 특히 ‘구조’ 항목의 경우 설득하는 글에두 배 이상의 교사 반응이 제시되었다. [표현] 범주에 해당하는 교사 반응은 정서 표현의 글에 더 많이 제시되었다. [글에 대한 메타적인 인식]의 범주에서는 설득하는 글과 정서표현의 글모두 ‘쓰기와 관련된 교사의 조언’, ‘글의 전체적인 인상, 평가’ 항목에 교사 반응이 많이 제시되었다. 그런데 글에 대한 메타적인 인식 범주 자체가 전체반응에서 8%를 차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세부 항목별로 제시된 반응도 매우적었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설득적 글쓰기에 대한 교사 피드백 양상 분석

        김남복,권태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설득적 글쓰기 수행과 이에 대한 평가에 기반하여, 학생 글에 대한 교사 피드백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국어 교사들이 학생 글 수준에 따라 어떠한 내용의 피드백을 제시하는지를 유형화함으로써 피드백의 전체적양상을 살피고, 효과적인 피드백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30명에게 ‘동물실험 찬반에 대한 설득하는 글쓰기’를 수행하게 한 후, 현직 중등 국어교사 5명에게 학생들이 쓴 글 30편에 대한 평가 및 피드백을 의뢰하였다. 피드백을 의뢰한 학생의 글은 ‘쓰기 수준(상,중,하)’, ‘성별’ 로 구분하였으며, 전체 글에 대한 교사들의 피드백은 코딩하여 범주화하고 빈도 및 다양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글 수준에따라 교사가 제시한 피드백 내용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이 연구를 통하여 먼저, 설득하는 글 평가 기준별 평균은 대체로 3-4점 사이에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 전체는55점 만점에 38.49점으로 중간 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학생 글에 대한 교사 피드백은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 기타의 대범주아래 구조, 문장, 어휘, 어법, 논제 이해, 내용 구체화, 메타적 인식의 7개 범주로 구분되었다. 유형별 피드백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피드백 2,862회 중 가장 많은 피드백이 제시된 세부 항목은 ‘어휘 수정’ 항목으로 953회였으며, 가장 적게 제시된 세부 항목은‘비판적 견해’로 2회였다. 쓰기 수행 수준별 교사의 피드백 양상을 살펴보면 ‘글의 구조’, ‘메타적 인식’ 등의 범주에서는 상 수준 글에대한 피드백이 가장 많았고, ‘내용 구체화’ 범주에서는 중 수준 글에 대한 피드백이, ‘문장’, ‘논제 이해’ 등의 범주에서는 하 수준 글에대한 피드백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국어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어휘 수정이나 첨삭과 같은 ‘어휘’ 부분, 띄어쓰기, 문장부호 같은 ‘어법’ 부분에대한 피드백에 치중함으로써 글의 형식적 부분에 대한 피드백이 여전히 다수를 차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글에대한 피드백을 세분화한 결과, 쓰기 수행 수준별로 교사의 피드백 양상에서 일정한 차이를 발견함으로써 향후 학생 글에 대한 효과적인 피드백 방안 마련에 일정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teachers’ feedback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persuasive writings and their assessment. In particular, it attempts to check the aspects of teachers’ feedback on how teachers give their feedback to students depending on writing level by categorizing types of feedback, which lead to look for effective feedback. Methods For this study, 30 of the third graders in high school wrote the persuasive writings about animal experiment and the papers randomly were distributed into 5 teachers. The papers were divided into level of writing(advanced, intermediate, beginner) and gender. Teachers’ feedback on 150 writings were categorized and frequency and correlation were analyzed throughout the categorization. It is analyzed that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feedback depending on students’ writing level. Results Teachers involved mostly concentrated on the factor of the vocabulary(953 feedback) of all the feedback(2862 feedback), while the least feedback is the factor of critical opinion(2 feedback). In detail, feedback on structure of writing, metacognition occurs most often in the advanced levels of performance, feedback on detail of contents in the intermediate levels of performance and feedback on sentence, comprehension of subject in the beginner levels of performance. Conclusions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most of the teachers still tend to give students feedback on form of writing like vocabulary correction and revision and grammar like word spacing, punctuation marks for accuracy in expression. In addtion, teachers’ feedback depending on writing level show obvious differences in the target with the result that writing feedback is classified in this study. The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onstructive feedback on writing.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작문능력 실태 조사 연구

        최승식,김주환,이순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8 리터러시 연구 Vol.9 No.4

        This study evaluated on expository, persuasive, and narrative writings written by 185 high school student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level of writing abilities of students was generally low(53.9/100.0 point average). Second,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The male students were more capable in expository writing and the female students were better in narrative writing. Third, school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genre writing. Fourth, students had the lowest achievement in narrative writing among 3 genres, which would be the result of the low level of experiences in writing narratives. Fifth, students had the most difficulties in organizing contents and had a tendency for colloquial writing and missing paragraphs. Because high school students didn't meet the required level of writing skills, the national level of writing assessment as well as social interest and investment were needed to enhance writing instruction.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생 185명을 대상으로 설명글, 설득글, 서사글을 수집하여 집단별, 장르별, 문장 수준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작문능력은53.9/100점으로 대부분의 학생이 고교 수준의 작문능력을 갖추지 못한 상황이었다. 둘째, 고등학생의 작문능력에는 성별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은 설명글에, 여학생은 서사글에서 성취가 더 높았다. 셋째, 모든 장르별 글쓰기에서학교 간의 차이가 있었다. 넷째, 세 장르 중 서사글의 성취가 가장 낮았는데, 이는 고등학생의 서사글 학습 경험이 설명글이나 설득글보다 적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다섯째, 고등학생은 내용 조직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있었고, 단락을 구별하지 않거나 구어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작문능력이 매우 우려할 만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문교육의 강화를 위한 사회적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며, 우선 학생들의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국가 수준의 작문평가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미디어글의 수사학적 설득구조 :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황성근 한국수사학회 2012 수사학 Vol.0 No.16

        The persuasion is very important in the rhetoric. There are ethos, logos and pathos as the strategy of persuasion in the rhetoric. Media writing is a writing that describes a fact about accident objectively. But media writing has a rhetorical persuasive structure. It is caused by media that transmits to the general public an information and persuades them with it. In the system of rhetoric there are the skill of the discovery for the grounds of an argument, the arrangement about the grounds of an argument, the skill about expression, the skill of memory and an its perfomance. In the system of rhetoricthe arrangement about the grounds of an argument is the same as the arrangement about message of media writing. It is based on the persuasion. the clearness is important in the expression of media writing. This is the same as the skill about expression in the rhetoric. And the transmission of media writing is premised on the persuasion. The media writing has many elements for the rhetorical persuasion. Therefore I think it is necessary that we make use of media writing in the general writing and academic writing.

      • KCI등재

        Dialogism, Heteroglossia, and Carnival: Bakhtin's Concepts and their Implications for Second Language Writing

        나윤희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06 영어영문학21 Vol.19 No.2

        This article builds on the idea that Bakhtin's philosophy of language can provide an extremely productive paradigm within which to conduct research and build theory in the field of second language writing. Bakhtin's conceptualization of language has encouraged first language composition researchers to explore the following four major areas of inquiries: 1) reading appropriating and resistance in student writing; 2) responding to student writing in an internally persuasive way; 3) creating a context for alterity; and 4) redefining academic genres and discourse. However, relatively few L2 writing researchers have explored the potential of the Bakhtinian perspective to its fullest extent. Drawing on a number of L1 composition an studies and a growing body of L2 writing research conducted within a Bakhtini framework, this article seeks to suggest potentially productive areas of research in the field of second language writing.

      • KCI등재

        대학 글쓰기 제목의 양상 분석: 설득적 글쓰기 자료를 중심으로

        박은하 ( Eunha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강의에서 학생들이 직접 쓴 설득적 글쓰기의 제목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분석함으로써 설득적 글쓰기 제목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설득적 글쓰기의 제목을 주제어와 논제의 유형, 제목의 형식적 측면, 그리고 내용적 측면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우선적으로 주제어를 분석한 결과, 시의성으로 인해 ‘코로나19’와 ‘디지털 성범죄’가 가장 많았고 설득적 글쓰기를 작성함에 있어서 논제의 유형은 문제해결식의 비중이 높았다. 제목을 살펴봤을 때, 논제의 유형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주제어와 관련지어 제목을 분석함에 있어서 학생들이 사회적으로 어떤 것에 관심을 두고 있는지를 알 수 있었다. 제목의 형식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로는 제목의 길이가 평균 5어절로 작성되었고, 비종결형 명사나 의문형으로 끝나는 제목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목의 내용적 측면에서 살펴봤을 때, 조사 없이 사용한 제목이 있으며 글의 핵심 정보를 나타내거나 전체 텍스트를 대표할 만한 제목으로 적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설득적 글쓰기의 제목 사례를 제시하면서 바람직한 제목과 글을 쓰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aspects of persuasive writing titles by analyzing the titles of persuasive writings written by students directly in university writing lectures. To this end, 100 persuasive writing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eir titles into three main catego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ubject words, ‘Covid-19’ and ‘Digital Sex Crime’ were the most common because of timeliness, and the type of thesis was high in the proportion of problem solving in persuasive writings. As a result of analysis in terms of the form of the title, it was found that the titles had an average of five words, and those ending in a non-terminal noun or questioning form were most frequent. In addition,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in terms of the content of the title, there were also those that were used without josa (postposition), and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text was not well represented as a title that could reveal key information or the entire tex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structors will be able to convince students to write desirable titles and texts by presenting examples of persuasive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