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양교육 사례 연구를 통한 인성교육 수업 모델 제안-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용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uncover the planning intention, composition method,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DU EYE(Early Year Experience)’ planned as common personality education of D university. This article scrutinized the twotrack personality education system of D university and proposed the model of personality education by analysing subjects and reflecting improvement plan. This study examines the case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personality subjects of D University from the planning stage to its execution. The class model that is designed based on the analysis of fruits and limitations of the actual personality subjects can be a practical plan for the education field. D University systematizes the structure of the personality subject largely with two tracks. One pertains to the subjects such as <DU Vision Design> and <DU Career Design>, and the other one deals with the community-based activity subjects such as <DU Community-based Project Learning> and <DU Sharing and Devotion>. The renewal through continuous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of improvements in personality education at D university will be a good example of personality education. 이 글에서는 D대학의 인성공통교양으로 기획된 ‘DU EYE(Early Year Experience)’의 기획 의도, 구성 방식, 구현 과정 등을 검토하였다. D대학의 투트랙 인성교육 체계와 해당교과목을 분석하고 개선안 을 반영하여 지향해야 할 인성교육의 모델을 제안하였다. 실제 운영하고 있는 인성교과목의 성과와 한계 분석을 토대로 구상하는 수업모델은 교육현장에 유효한 실질적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국내⋅외의 인성교과 프로그램과 D대학의 인성공통교양으로 기획된 ‘DU EYE(Early Year Experience)’ 의 기획 의도, 구성 방식, 구현 과정 등을 검토하고 만족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그 성과와 한계를 분석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D대학에서 진행한 비전과 진로 설계 교과목 그리고 지역과 연계한 프로젝트 교과목에 대한 연구를 병행함으로써 실질적 문제의식을 공유하였다. D대학 인성교육의 지속적인 실행과 개선점 반영을 통한 쇄신은 인성교육의 모범적 사례가 될 것이다. 그리고 비전, 진로 그리고 공동체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국외 대학의 사례도 검토하고 참고하여 지향해야 할 인성교육 모델로 봉사기반 인성교육과 학습공동체 기반 인성교육을 제안하였다. 이는 국내 인성 교육의 체계화와 효과성 향상 방안 마련에 긍정적 기여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기반 인성교육 방식 및 효과성 연구 -D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전용숙,안현효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3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d analyze ‘DU Community-based Project Learning,’ one of the character education courses at D university. To achieve practical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education programs must include a wide variety of content to ensure learners receive a well-rounded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must offer learners the opportunity to ponder over what life is a good life and how to live a good life. Character education must also supply an intellectual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debate and discuss given problems. From this standpoint, this study describes the necessity of community-based PBL and then analyzes whether its field activities promote character development such as problem solving skills, creativity, convergent thought, collaboration, and communal spirit. Through the analysi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course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the dynamics and details of the real world, understand a wide range of phenomena and problems in the local community, and improve their problem solving skills. 본 논문은 2015학년부터 개설하여 진행하고 있는 D대학 인성 교과목의 하나인 <DU지역사랑프로젝트>를 소개, 재점검하고 그 효과를 검토함으로써 바람직한 인성교육에 대한 논의의 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인성교육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인적 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인성교육은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서 시작되어야 하며 문제를 인지하고 토론할 수 있는 지적 환경 역시 제공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지역사회기반 PBL교육의 필요성을 서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는 현장 활동 인성 교육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 창의성, 융합적 사고, 팀워크 및 협력, 공동체 의식 등의 인성역량을 어떻게, 그리고 얼마만큼 증진, 향상시켰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실 세계의 역동성과 구체성을 직접 체험하는 능동적인 학습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다양한 현상과 문제점을 이해하고 학생들이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인성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교육목표 실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세계문학의 탄생과『靑春』의 문학적 기획

        전용숙(Jun, Yong-sook)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9 No.-

        이 글은 최남선이 국내에 ‘세계문학’이라는 개념과 그 개념에 해당하는 문학작품을 선별하여 소개한 사실에 주목하고, 『靑春』의 ‘세계문학개관’에서 소개한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그 특성을 분석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더욱 잘 드러낼 수 있도록 『少年』에 간헐적으로 소개된 번역문학도 함께 논의한다. 『少年』에 수록된 번역 작품에서는 인간이 지켜야 할 내적 가치로서의 윤리성과 진취성을 상정하고 계몽을 강조하고 있다. 『靑春』의 ‘세계문학개관’ 작품은 윤리성, 진취성과 함께 좀 더 복잡한 인간 본연의 감정들, 예컨대 욕망, 질투, 죄 그리고 사랑 등을 다루면서 고뇌와 번민, 갈등과 자기반성 등 구체적인 인간 성장의 과정들을 탐문하고 문학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少年』과『靑春』은 모두 계몽이라는 근대적 요구를 바탕으로 인간의 내적 가치를 제시하고 있지만, 『靑春』은 인간 본연의 감정을 더욱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주도면밀하게 대중에게 접근할 수 있는 문학장르를 구축하고 세계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문학성을 강조함으로써 근대문학의 성립에 기여한다. This essay scrutinizes literary project of 『Youth』, especially focusing on the problematique of modernity. Choi Nam-sun, whose main concern is to create modern character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Chosun from feudalism to modern society, strove to enlighten people through translating world literary works - in reality, these are from western world - into Korean. In his early literary magazine, Boy, he showed the importance of value such as ethic and progressive spirit as global universality. Later on, he developed his project of enlightenment through his ongoing translation of world literary works in his next magazine, 『Youth』. In comparison with the former one, the translated works here are depicting human emotions such as sense of guilt, conscience, inner conflict, and anguish more concretely and internally. In this sense, 『Youth』could be evaluated as a foundation stone, searching for the modern humanity and its literary representation.

      • KCI등재

        아동잡지의 근대주체 형상화에 관한 연구

        전용숙(Jeon, Yong-sook)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69 No.-

        이 논문은 잡지『어린이』의 소녀상을 고찰하고 1920년대에 근대적 주체로 호명된 ‘소녀’의 변별적 주체성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연구의 효율을 위해 신문관 잡지에 드러난 근대적 주체에 대한 논의도 병행하였다. 1900년대부터 1920년대 전후는 근대화라는 미명 아래 근대 주체의 개념이 형성되던 시기이고 근대주체를 형상화하는 형식과 내용들이 매체를 통해 등장, 확장된 시기이다. 계몽주의, 민족주의 등의 사상이 각축을 벌이는 복잡한 ‘문학장(場)’에서 출판업의 활성화와 유통의 원활함은 근대주체의 정립에 지대한 역할을 한다. 1910년대 아동잡지는 새로운 주체호명의 선두에 선 셈인데, 이 때 호명된 ‘아동’의 개념이 처음부터 확고하게 정립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다. 1910년대 최남선의 잡지를 살펴보면 ‘아동’의 개념은 곧 ‘소년’이었고 이 용어에는 성별에 따른 개념분화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1920년대『어린이』에서 ‘아동’이라는 용어는 ‘소년’과 ‘소녀’로 분화되게 되었고 실제로 잡지에서도 각각 구별하여 표기하고 있다. 『어린이』의 ‘소녀’ 라는 기표는 당대의 계몽담론의 영역 내에서 작동하면서도 ‘소년’ 기표만으로는 성취할 수 없는 더욱 다층적인 계몽담론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즉 신문관 잡지에서는 꿋꿋하고 진취적인 아동상을 구현하며 칭찬받아 마땅한 덕목을 실천한 경우를 제시하고 동기 유발하기에 힘썼던 반면에 『어린이』는 비극적 정서를 극대화하는 이야기 구조를 활용하여 근대적 주체화를 추동하는데 총명하고 재능 있는 소녀뿐만 아니라 굳센 소원을 가지고 있으나 병약한 소녀들까지 다양한 이미지의 주체들을 동원하고 있다. 이 때 나타나는 감성적 비애와 포용력이라는 여성적 이미지들은 현실의 문제를 더욱 절실하고 체화된 방식으로 경험하게 만든다. Establishing ‘modern’ society stems from modern ‘subject,’ without which pre-modern society cannot be transformed towards whole-new modern one. As a modern nationalist writer and thinker, Choi Nam Sun emphasizes establishing modern society as a means of a strong nation through educating and enlightening its people all his life. Naturally his focus turns towards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they are the real future of the nation. His modern subject, however, has not gender-distinction, while Bang Jeong Hwan pays close attention to female children, which expresses his unique literary style as a result. Bang shows his emphasis modern values such as courage, wisdom, devotion just like Choi, whereas he depicts his females characters with gendered emotions like melancholy, grief and compassion. Bang’s delicate reflection and distinction of gendered subject has great meanings in that it imagines modern subject more concretely and abundantly.

      • 이청준의 자유 지향성 고찰

        전용숙(Jeon Yong-suk)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科學硏究 Vol.35 No.-

        In Lee Cheong-jun's novel that is said to have opened the door of intellectual novel, there is the consistent orientation that cannot be overlooked. He allows a character, who aims to escape from the oppressive space, to appear in novel, thereby continuously showing how ideology was formed through it, how it is functioning now, and what the right orientation is. Lee Cheong-jun's viewpoint of novel points to the extreme thinking, and pursues freedom of having ethical order only for a person. This has mutual understanding with Hegel's artistic philosophy as saying that art needs to play a role of in-between that makes both extremes to reconcile, and combines an idea and nature. His novel connects an idea and nature(a human being) with having prospective creativity as free imagination, and seeks for freedom of having ethical order of making both extremes reconciled. Lee Cheong-jun continues to point to this freedom even in the novel r Door of Freedoms. An author depicts closely a situation that a hurted person, who experienced tragedy in the 1950's Korean War, comes to think oneself to be lucky to be alive, thereby coming to necessarily have belief to be comforted own confused spirit. And, the author is showing with introspective attitude that the so-called belief may be restraint of spirit, which restricts a human being as well when coming to have hugh power by being systematized. In this way, Lee Cheong-jun's freedom-oriented works have great significance in having suggested directivity in the writing that an author in this era will need to proceed with writing with being worried. What proceeds with making order of freedom without forming hegemony is the main task that will need to be followed to be solved now by our generation that is left. The narration of his introspection toward freedom and an effort to pursue orientation are continuously effective for our generation and will be meaningful literature.

      • KCI등재

        문학 양식을 통한 최남선의 근대 기획

        전용숙(Jun, Yong-sook) 한국어문학회 2013 語文學 Vol.0 No.122

        This essay scrutinizes Choi, Nam Sun’s well-known magazine Youth(『靑春』), especially focused on its main projects, ‘Supryupsocho’(涉獵小秒) and ‘Survey of World Literature’(世界文學槪觀). Choi, Nam Sun is a problematic thinker who shows particularity of Chosun modernity. In spite of his various activities, he was always concerned with constitution of ‘modern structure’ in Chosun. To respond to the epochal request of modernization of Chosun, he tried to integrate two seemingly contradictory paradigms: acceptance of new culture and illumination of national culture. Modernity of Chosun is specific, in that it is materialized in connection with nationalism ideology under the Japanese colonization. While Choi, Nam Sun endeavored to awaken nationalism through traditional literature(‘Supryupsocho’), he also strove to introduce western literature and its modern spirits through its translations(‘Survey of World Literature’). His effort means not just the comparison or juxtaposition of the two disparate cultural systems, but the uplifted consilience for the new modern literary system through co-absorption and harmonization of the two paradigms.

      • KCI등재

        무들을 활용한 DUET3.0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박호관,전용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6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esults of the <Basic Writing> class that had been operated by D University over the last 3 years(from 2015 to 2017) in an attempt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 associated with writing and to propose the 'DUET3.0'writing education model feasible for application to universities by reducing the limitations of aforesaid class. The flipped learning of <Basic Writing> curriculum, which began to be established by D University from 2015, resolved the problem of system capacity and lack of hours allocated to learning based on the moodle, and furthermore, opened up the possibility for self-initiated learning transcending the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s. In particular, the flipped learning of <Basic Writing> curriculum may represent an advancement, given that it enabled close link between online class and offline class through production on education materials with a focus on the moodle-based flipped learning contents by actively embracing the opinion, presented after classes in 2015, which highlighted the link between online classroom and offshore classroom, while considering the relevance between contents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those of flipped learning and designing even the review study after classroom lecture,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7. The 'DUET3.0 writing education model', which used the mooddle as above, allowed students to maintain self-initiated learning in acquiring the knowledge of concepts, theories, etc., via the flipped learning imaging, and to directly perform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ories during the class. Moreover, the moodle, class, and educational materials were structured systematically, which could be used by students during the review study in a self-initiated manner, thereby pursuing the student-centric blended learning. Thus, 'DUET3.0 writing education model' is expected to serve as a leading model in the writing education of each university nationwide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based on 'learner-centric learning. 본 논문은 글쓰기와 관련한 수업의 질 제고를 위하여 D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글쓰기 기초> 수업의 최근 3년간(2015~2017)의 성과를 검토하고, 그 한계를 보완하여 대학에서 실현가능한 ‘DUET3.0’글쓰기 교육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D대학이 2015년부터 구축해 온 <글쓰기 기초> 교과목의 플립러닝은 무들을 기반으로 하여 시스템 용량 문제, 부족한 수업 시수 문제를 해결하고 시·공간적 한계를 초월한 자기 주도적 학 습 가능성을 열었다. 특히 2015년 수업 후 제시된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실 연계 수업의 필요성, 교재의 내용과 플립러닝 콘텐츠 사이의 유기성에 관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2017년 2학 기에는 무들 기반 플립러닝 콘텐츠를 염두에 두고 교재를 제작하고 강의실 수업 후 복습까지 설 계함으로써 온 오프라인의 두 수업이 긴밀하게 연계되도록 했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무들을 활용한 ‘DUET3.0 글쓰기 교육 모델’은 개념 이론 등을 플 립러닝 영상으로 학습자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습득할 수 있게 하고 수업 중에는 이론과 관련한 활동을 직접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복습 역시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즉 ‘무들, 수업, 교재’를 체계적으로 구성함으로써 학생 중심 블렌디드러닝을 추구하고 있는 셈이 다. 이에 ‘학습자 중심 학습’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DUET3.0 글쓰기 교육 모델’은 전국 각 대 학의 글쓰기 교육에서 선도적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학습 필자의 설득적 글에 나타난 쓰기 과정 분석과 교육과정 환류 -작문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김규훈,전용숙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nection with the ‘writing process’ through the ‘writing protocol analysis’ of the ‘persuasive writing’ produced by learning writers in writing education and to suggest ways to supplement the curriculum of persuasive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ompare the completed persuasive writing and the writing process, a writing protocol model for process analysi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writing process. Based on this model, the ‘medium upper’ and ‘medium lower’ courses were selected from th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15 persuasive writings were analyzed for writing protocols, and the thinking process was confirmed through post-learner interviews. As a result, 30 persuasive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and based on this, the peculiarities and tendencies of the activity process and results of each writing stage appeared according to the writing level of the learner were identified. In addition, a persuasive writing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as prepared by reflecting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correction feedback stage was approached in more detail. It was emphasized that the correction reflect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should be applied. 본 논문은 글쓰기 교육에서 학습 필자가 생산한 ‘설득적 글’에 대한 ‘작문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글쓰기 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설득적 글쓰기 교육의 교육과정 보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에 먼저 완성된 설득적 글과 글을 쓰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글쓰기 과정의 단계에 따라 과정 분석을 위한 작문 프로토콜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을 바탕으로, 2022년 1학기에 개설된 <글쓰기기초> 수업 가운데 연구진이 담당했던 수업에서 ‘중상’ 강좌와 ‘중하’ 강좌를 선별하였고, 각 15편의 설득적 글을 대상으로 작문 프로토콜 분석을 실시하고 사후 학습 필자 인터뷰를 통해 글쓰기 과정에서 사고 과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30편의 설득적 글을 ‘상, 중, 하’ 수준으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필자의 글쓰기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글쓰기 단계별 활동 과정 및 결과물의 특이점과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설득적 글쓰기 교육과정 개선안을 마련하고 첨삭 피드백 단계에 대해서는 더 구체적으로 접근하였다. 그것은 <글쓰기기초>의 교육 내용이나 피드백 내용 및 방식에서 학습 필자의 개별 특성을 반영한 첨삭 내용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