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가검물과 파라핀 포매 조직에서 PCR법을 이용한 결핵균의 검출

        김은중(Eun-Joong Kim),최우순(Woo-Soon Choi),황석연(Seock-Yeon Hwang) 대한의생명과학회 2000 Biomedical Science Letters Vol.6 No.1

        PCR을 이용한 임상가검물 중에서 보편화된 객담 이외에 미량의 각종 체액과 임상에서 많이 실시하지 않는 파라핀 포매 조직에서의 결핵균 검출을 실험하여 그 활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하였다. 임상가검물인 체액 65예는 항산성 염색과 배양검사, PCR을 실시하였고, 파라핀 포매 조직 50예는 항산성 염색과 병리조직학적 진단, PCR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실험 검체 중 임상가검물인 체액에서 항산성 염색 음성인 검체 중 12.1%, 배양검사에서 음성인 검체 중 3.7%에서 PCR 양성의 결과를 보였고, 파라핀 포매 조직에서는 항산성 염색 음성인 검체 중 20.0%에서 PCR 양성의 결과를 얻어 PCR이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ensitivity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 over conventional acid-fast bacilli (AFB) staining and/culture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from trace body fluid and paraffin-embedded tissues (PET) specimens. A total of 65 cases were employed for the AFB staining and culture test, and a total of 50 cases were subjected to PCR and histopathological analysis. Among the specimen showing negative reaction to AFB staining, 12.1% were positive to PCR and 3.7% of the specimen representing negative result to culture test showed positive reaction to PCR. In addition, 20.0% of the specimen with AFB negative showed positive reaction to PCR.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PCR method overwhelms AFB staining and culture tests in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o M. tuberculosis detection.

      • KCI등재

        PCR을 이용한 국내 및 수입 축산물 유래 Listeria monocytogenes의 유전학적 분석연구

        우용구,이수화,이철현,최정수,류재두,김영일,이오수,김봉환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 2003 예방수의학회지 Vol.27 No.2

        One hundred-fifty two of Listeria strains were isolated from domestic chicken carcasses, a slaughter-houses from nationwide from 1996 to 1997 and imported livestock products from a ten foreign countries including the USA, China, France and Thailand. To substitute the laborious and time consuming procedures of clinical laboratory standard diagnostic methods, the rapid and specific multiplex PCR(M-PCR), which was designed to amplify a three kinds of genes simultaneously f3r specific detection and differentiation of L. monocytogenes(LM) by one step procedure, was established. The LM strains confirmed with M-PCR were analysed to their genetic diversities by RAPD using the two primers(D87 & MMTl), and also evaluated on their discriminatory abilities(na) between two primers. our study also conducted the REP-PCR and ERIC-PCR for evaluation of the possibility of REP and ERIC elements for genetic subtyping of LM strains. According to the REP-PCR and ERIC-PCR fingerprinting patterns, LM strains were divided into 7(ERIC-type) and 4(REP-type) major clusters at the relative clone cut off value of 80%. According to the computer analysis of PCR results using the GelCompar Ⅱ software, ERIC-PCR(DI=0.955) had expressed the most high discriminatory ability and followed by REP-PCR(DI=0.952), RAPD(D87; 0.954, MMT1; 0.937), in order. The combined analysis of the present PCR results was also expressed the reliable and useful discriminatory ability(DI=0.916). This study suggested that PCR based methods could be used as an reliable, reproducible, rapid, and highly discriminatory method for the genetic differentiation of genus Listeria.

      • KCI등재

        REP-PCR을 이용한 국내 사람과 동물유래 Staphylococcus aureus 분리주의 Molecular Typing

        우용구,김신,Woo Yong-Ku,Kim Shin 한국미생물학회 2005 미생물학회지 Vol.41 No.1

        국내산 한우, 흑염소, 돼지, 개, 닭 및 마우스 둥을 포함한 각종 동물과 사람환자에서 분리된 MRSA 균주를 포함하여 총 116주의 S. aureus 균주를 확보하여 이들 균주들의 유전학적 다양성을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쉽고, 편리하며 많이 활용되고 있는 PCR을 이용하여, 개별 분석기법에 따른 유전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물론 활용한 기법들 중에서 유전자수준에서 가장 효율적이며 뛰어난 감별능력을 지닌 기법을 선발하고자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통계학적 인 수치에 따라 객관적인 분석방법으로서 Simpson's index of diversity (SID)를 산출하여 성적상호간을 비교 및 평가하였다. 공시한 총 99 주에 대한 4M primer를 이용한 RAPD 성적에 근거하여 산출한 SID 값은 0.915의 양호한 간이 산출되었다. 같은 방법으로 충 98 주에 대한 RA primer를 이용한 RAPD성적을 토대로 산출한 SID 값은 0.874로 확인되었다. 한편 총 107주에 대한 ERIC-PCR을 수행한 종합분석 성적에서 공시균주들은 모두 10종의 유전형(genotype)으로 구분되었고, EM-type 는 14주가 포함되어 가장 대표적 인 유전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그룹에는 사람유래의 6주가 포함되어 가장 지배적인 유전형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DNA profile에 근거한 덴드로그람을 작성하고 SID간을 산출하였던 바, SDI 0.929의 신뢰도 높은 성적을 산출하였다. 반면에 공시한 총 108주의 S. aureus균주에 대한 종합적인 REP-PCR 성적에서 모두20종의 유전형으로 세분되었고 RB-type은 17주로 가장 많은 균주가 포함되었다. 작성된 덴드로그람 성적에서 산출한 SID 값은 우리의 연구에서 수행한 PCR에 기초한 유전자 분석기법들 중에서는 가장 높은 0.930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RAPD 기법 중에서는 4M primer를 활용한RAPD가 보다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REP-PCR과 ERIC-PCR의 양자의 성적은 거의 비슷하여 적용했던 PCR분석기법 중에서는 이들 분석기법이 가장 우수한 감별능력을 확보한 분석법으로 최종 선발할 수 있었다. To select the rapid and efficient molecular subtyping method for epidemiologic monitoring of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strains at clinical laboratory levels, a total 116 of S. aureus and MRSA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strains from diverse animal species [Korean cattle, goat, pig, dog, chicken, mouse] and also humans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discriminatory ability (DA) of individual PCR methods,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of DNA [RAPD; 4M & RA primer], repetitive extragenic palindromic sequences PCR (REP-PCR), and enterobacterial repetitive intergenic consensus sequences PCR (ERIC-PCR) methods were conducted and then compared on their Simpson's index of diversity (SID) values based on the dendrogram patterns, which was produced by software program (BiolD2+ & GelCompar II). In first, RAPD using the 4M primer (SID 0.915) was expressed more higher SID value than that of RA primer (SID 0.874). 4M primer was expressed more powerful DA than RA. Both REP-PCR (SID 0.930) and ERIC-PCR (SID 0.929) methods showed much more higher DA than that of RAPD. According to the present results, both REP-PCR and ERIC-PCR among the tested analysis methods were found as the most reliable and discriminative molecular subtyping method, because they expressed the highest DA for the present S. aureus and MRSA strains.

      • KCI등재

        PCR-RFLP와 화분관 검경에 의한 배 ‘설원’, ‘슈퍼골드’, ‘신화’의 자가불화합 인자 구명

        김윤경,강삼석,마경복,원경호,이인복,이별하나,이욱용,김명수,신일섭,최진호 한국자원식물학회 201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9 No.4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elucidate self-incompatibility (SI) genotypes of ‘Supergold’, ‘Shinhwa’, and ‘Seolwon’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and pollen tube growth analysis with fluorescent microscopy. We determined the S-genotype of ‘Supergold’ (S 3 S 4 ), ‘Shinhwa’ (S 3 S 5 ), and ‘Seolwon’(S 3 S 9 ). The PCR fragments size of ‘Supergold’ and ‘Shinhwa’ amplified by SI gene specific primer were ca. 380bp. The PCR fragments of ‘Supergold’ were cleaved in 140 and 240 bp by the S 4 -specific restriction endonuclease NdeⅠ. And the PCR products were processed to 120 and 260 bp by the S 3 -, S 5 -specific restriction endonuclease PpuMⅠ but it was not cleaved by S 5 -specific restriction endonuclease AlwNⅠ. The 380 bp PCR products of ‘Shinhwa’ by SI gene specific primer were processed to 120 and 260 bp by both PpuMⅠand AlwNⅠ. And also we confirmed S 5 -genotype sequence by 200 bp mRNA sequencing from the ‘Shinhwa’ style. The PCR fragments of ‘Seolwon’ were obtained ca. 380 bp and 1,300 bp by SI gene specific primer. The PCR fragments ca. 380 bp long of ‘Seolwon’ were cleaved in 120 bp and 260 bp with PpuMⅠ not AlwNⅠsuch as S3 genotype of ‘Supergold’. Also, the 1,300 bp size PCR fragments were cleaved into 600 bp and 700 bp by S 9 -specific restriction endonuclease BstBⅠ. Three new cultivars were crossed with ‘Whangkeumbae (S 3 S 4 )’ or ‘Niitaka (S 3 S 9 )’, which posesse identified SI alleles. In the styles of ‘Whangkeumbae (S 3 S 4 )’ × ‘Supergold’, ‘Niitaka (S 3 S 9 )’ × ‘Seolwon’ crossing they showed typical incompatibility effects that elongation of all pollen tube tips in the style was inhibited and hypertrophy. In the style of ‘Whangkeumbae’ (S 3 S 4 ) × ‘Shinhwa’ crossing showed typical partial-incompatibility, where some pollen tubes reached the basal part of the style and others were ceased and swollen. Key words - Endonuclease, Fruit, PCR-RFLP, Pear, Pollen tube, Pyrus pyrifolia 본 연구는 PCR-RFLP와 형광현미경을 이용한 화분관 검경방법을 통해 ‘슈퍼골드’, ‘신화’, ‘설원’의 자가불화합 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3개의 배 신품종 ‘슈퍼골드’, ‘신화’, ‘설원’의 자가불화합 유전자형을 S3S4, S3S5, S3S9로 각각확정하였다. SI gene specific primer에 의한 ‘슈퍼골드’와 ‘신화’의 PCR 결과 380 bp의 PCR product가 얻어졌다. ‘슈퍼골드’ PCR product는 S4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NdeⅠ에 의해 140 bp와 240 bp로 절단되었다. S3, S5 인자확인이 가능한 PpuMⅠ 에 의해서는 120 bp와 260 bp로 절단되었으나, S3 인자확인이가능한 AlwNⅠ으로는 절단되지 않았다. ‘신화’는 PpuMⅠ과AlwNⅠ에 의해 각각 120 bp와 260 bp 크기로 절단되고, 주두에서 채취한 200 bp 크기의 mRNA sequencing을 통해 S5 인자가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SI gene specific primer에 의한 ‘설원’의PCR 결과 380 bp와 1,300 bp 크기의 산물이 얻어졌고, 그 중380bp의 PCR 산물은 ‘슈퍼골드’에서 확인된 S3 인자처럼 PpuM Ⅰ에 의해서만 120 bp와 260 bp로 절단되었고, 1,300 bp의 PCR 산물은 S9 인자 확인이 가능한 BstBⅠ에 의해 600 bp와 700 bp 로 절단되어 S9임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이미 자가불화합인자가 알려진 ‘황금배(S3S4)’ 또는 ‘신고(S3S9)’와 이들 세 품종의 화분을 이용하여 인공 교배한 후 화분관 신장을 관찰한 결과, 자가불화합 인자가 S3S4로 알려진 ‘황금배’와 ‘슈퍼골드’ 교배 조합, 자가불화합 인자가 S3S9로 알려진 ‘신고’와 ‘설원’ 교배조합의 암술대 내 화분관은 발아 신장하던 화분관의 선단이 비대하면서 신장이 정지하는 자가불화합 현상을 보였다. 또한, ‘황금배(S3S4)’와 ‘신화’를 교배한 주두에서는 일부 화분관은 신장을계속하지만 일부는 선단이 비대하며 신장이 정지하는 전형적인부분 불화합 현상을 보여 ‘신화’는 S3 인자를 보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임상가검물과 파라핀 포매 조직에서 PCR법을 이용한 결핵균의 검출

        김은중,최우순,황석연 대한의생명과학회 2000 Journal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s Vol.6 No.1

        PCR을 이용한 임상가검물 중에서 보편화된 객담 이외에 미량의 각종 체액과 임상에서 많이 실시하지 않는 파라핀 포매 조직에서의 결핵균 검출을 실험하여 그 활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임상가검물인 체액 65예는 항산성 염색과 배양검사, PCR을 실시하였고, 파라핀 포매 조직 50예는 항산성 염색과 병리조직학적 진단, PCR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실험 검체 중 임상가검물인 체액에서 항산성 염색 음성인 검체 중 12.1%,배양검사에서 음성인 검체 중 3.7%에서 PCR양성의 결과를 보였고, 파라핀 포매 조직에서는 항산성 염색 음성인 검체 중 20.0%에서 PCR양성의 결과를 얻어 PCR이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ensitivity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 over conventional acid-fast bacilli (AFB) staining and/culture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from trace body fluid and paraffin-embedded tissues (PET) specimens. A total of 65 cases were employed for the AFB staining and culture test, and a total of 50 cases were subjected to PCR and histopathological analysis. Among the specimen showing negative reaction to AFB staining, 12.1% were positive to PCR and 3.7% of the specimen representing negative result to culture test showed positive reaction to PCR. In addition, 20.0% of the specimen with AFB negative showed positive reaction to PCR.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PCR method overwhelms AFB staining and culture tests in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o .M. specificity to tuberculosis detection.

      • KCI등재

        PCR 및 RT-PCR을 이용한 하천수 중 Giardia Lamblia 검출

        조은주(Eun Ju Cho),이목영(Mok Young Lee),변승헌(Seung Heun Byun),한선희(Sun Hee Han),안승구(Seoung Koo Ahn) 大韓環境工學會 200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29 No.8

        병원성 원생동물인 지아디아 람블리아는 수인성 질병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PCR 및 RT-PCR 기법을 적용하여 한강본류 하천수 시료에서 사람감염성 종인 지아디아 람블리아를 동정하고, 활성 여부를 판별하여 현 표준시험방법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PCR과 RT-PCR에는 지아디아의 복부 흡반 구성 유전자를 증폭하는 giardin primer를 사용하였으며, DNA/RNA 추출 및 PCR/RT-PCR 과정에서의 민감도 검사를 수행한 결과, 1포낭까지 검출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강본류 및 유입지천 시료 48점에 적용하여 면역형광항체법과 PCR 및 RT-PCR 방법을 비교하였다. 면역형광항체법을 이용한 현미경관찰 결과 48개 시료의 지 아디아 총포낭수의 평균 농도는 6.3 cysts/10 L이었고 양성율은 62.5%였으며, 속빈 포낭을 제외한 지아디아의 평균 농도는 4.5 cysts/10 L이었고 양성율은 52.1%였다. PCR 수행결과 48개 시료 중 24개(50%)의 시료에서 지아디아 람블리아가 검출되었으며, RT-PCR 수행결과 10개(21%) 시료가 살아있는 G. lamblia를 포함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PCR/RT-PCR 기법이 지아디아 포낭을 저농도로 포함하고 있는 하천수 시료에 적용가능하며 원생동물 표준시험방법을 보완하여 종(species) 및 활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결과되었다. The protozoan pathogen Giardia lamblia has been major cause of waterborne enteric disease.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G. lamlbia of human infectious species and to detect viable G. lamblia in river water samples including three sites of Han River mainstream and an its creek using PCR and RT-PCR technique. The PCR/RT-PCR methods were performed by using giardin primer based on the giardin gene targeting ventral disk of Giardia. Sensitivity testing in the DNA/RNA extraction and PCR/RT-PCR amplification steps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detect a single cyst of G. lamblia and viable G. lamblia. The PCR/RT-PCR methods were compared with immunofluorescence(IF) assay by analyzing 48 samples collected from the mainstream water and the creek water. The mean concentration of the total cysts were 6.3 cysts/10 L(arithmetic mean, n = 48) and the positive detection rate were 62.5%(30/48). And the mean concentration of the cysts excluding empty cysts were 4.5 cysts/10 L and the positive detection rate were 52.1%(25/48). It resulted that 24 of 48 samples included Giardia lamblia by PCR assay and 10 of 48 samples included viable G. lamblia by RT-PCR assay. It resulted that the PCR/RT-PCR technique would be available to river water samples with low concentration of Giardia cysts. And it could support the Korean protozoan standard method, which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species and viability.

      • KCI등재

        PCR을 이용한 느타리버섯 재배사 물로부터 세균성갈색무늬병 병원균 Pseudomonas tolaasii 검출

        정규식 외 한국버섯학회 2003 한국버섯학회지 Vol.1 No.1

        느타리 세균성갈색무늬병 병원균 P. tolaasii의 전염원을 파악하기 위하여 느타리 재배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물로부터 PCR방법을 이용하여 병원세균을 검출한 결과, 주로 충북지방의 느타리 재배사에서 수집된 57개 물 시료 전체의 28.1%인 16개 물에는 ㎖당 1,000 cfu 이하의 일반 세균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54.4%인 31개의 시료가 1,001-10,000 cfu, 10.5%인 6개의 시료가 10,001-100,000 cfu, 그리고 7%인 4개의 시료가 100,001 cfu 이상의 세균을 포함하고 있었다. P. tolaasii의 경우 nested-PCR로 검출하였을 경우 전체의 5.3%인 3곳의 물이 Immunocapture-nested-PCR로 검출하였을 경우 전체의 35.1%인 20개의 물 시료로부터 P. telaasii 특이적 DNA가 증폭되었다. 물에 포함된 일반세균의 농도와 P. tolaasii 검출과는 상관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물로부터 병원균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IC-nested-PCR 방법이 더 민감하고 우수한 방법이며, 여러 곳의 느타리 재배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물이 병원균 P. telaasii으로 오염되어 있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Pseudomonas tolaasii causing brown blotch disease was detected by PCR from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the oyster mushroom cultivation farms to find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pathogen in water. Sixteen water samples (28.1%) contain less than 1,000 cfu, 31 samples (54.4%) contain 1,001-10,000 cfu, 6 samples (10.5%) contain 10,001-100,000 cfu, and 4 samples (7%) contain of bacteria per milliliter. P. tolaasii-specific DNA band was amplified in 3 samples (5.3%) by nested-PCR and in 20 samples (35.1%) by immunocapture (IC)-nested PCR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C-nested-PCR was much more sensitive than nested-PCR in detection of P. tolaasii and a quite few waters using for oyster mushroom cultivation were contaminated with P. tolaasii.

      • 만성 B형 간질환에서 간염 B virus 표식자 발현에 따른 DNA의 검출

        이동준,최진수,김준환,이헌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7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4 No.1

        본 연구는, HBV의 증식 및 감염력을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표지자로 알려진 HBV DNA를 최근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PCR법을 사용해 검출함으로써 기존의 dot blot법과 PCR법을 비교하고,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HBV의 e항원, 항체체계에 따른 HBV DNA의 검출율을 PCR법을 이용하여 알아봄으로써 HBV의 증식 및 감염력을 파악하고자 무증상 HBsAg 보유자 17명(HBeAg 양성 9명,anti-HBe 양성 8명), 만성 B형 간염 환자 91명(HBeAg 양성 50명, anti-HBe 양성 41명), 간경변증 환자 57명(HBeAg 양성 21명, anti-HBe 양성 36명), 원발성 간세포암 환자 27명(HBeAg 양성 10명, anti-HBe 양성 17명)을 대상으로 HBV DNA의 검출빈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ot blot 법의 경우 HBeAg 양성인 환자군, anti-HBe 양성인 환자군에서의 HBV DNA의 검출율은 각각 58.9%,34.3% 이었고, PCR법에 의한 검출율은 상기군에서 각각 72.2%, 53.9%였다. HBeAg 음성인군에서의 PCR법에 의한 HBV DNA 검출율은 무증상 HBsAg 보유자의 경우 25.0%, 만성 B형 간염 환자군의 경우 61.0%, 간경변증 환자군의 경우 52.8%, 원발성 간세포암 환자군의 경우 52.9%였다. 무증상 HBsAg 보유자에서 HBeAg 양성인군과 음성인 군간의 HBV DNA 검출율은 각각 77.8%, 25.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나머지 군에서는 HBeAg 양성인 군과 음성인 군간의 HBV DNA 검출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PCR을 이용할 경우 기존의 dot blot 보다 훨씬 예민하게 HBV DNA를 검출할 수 있고, HBeAg 양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대부분에서는 HBeAg 및 anti-HBe 표식자 체계와는 무관하게 바이러스의 증식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PCR법이 무증상 HBsAg 보유자의 예후를 알 수 있는 지표로서 유용성에 대한 가능성을 의미하나 확실한 의의를 알기 위하여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identification of serum ABV DNA is very improtant for the assessment of the disease activity in persistent infection, for the evaluation of the infectivity of an individuals blood. The dot blot, however, has limited sensitivity and sometimes inconsistemt with other serological makers and clinical settings. Using the most important recent advance in molecular biolog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specific DNA sequences can be amplified more than a million-fold in a few hours and with this technique the detection of the extreme low level of DNA is possibl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ensitivity of the PCR for the serum HBV DNA on comparison with dot bolt analysis and to investigate the serum HBV DNA status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PCR in patients with chronic HBsAg positive liver disea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 patients with asymptomatic HBsAg carriers(9 HBeAg positive patients, 8 anti-HBe positive patients), 91 chronic hepatitis B(50 HBeAg positive patients, 41 anti-HBe positive patients), 57 liver cirrhosis (21 HBeAg positive patients, 36 anti-HBe positive patients), 27 hepatocellular cacinoma(10 HBeAg positive patients, 17 anti-HBe positive patients).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ing; The detection rates of HBV DNA by dot blot, PCR were 58.9%, 72.2% in HBeAg positive patients, 34.3%, 53.9% in anti-HBe positive patients. the detection rates of HBV DNA by HBeAg negative patients were 25.0% in asymptomatic HBsAg carriers, 61.0% in chronic hepatitis B, 52.8% in liver cirrhosis, 52.9% in hepatocellular carcinima. The positive rate for HBV DNA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BeAg positive and negative asymptomatic HBsAg carriers,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other group. In conclusions, this study conformed that the PCR is much more sensitive than the dot blot analysis in detecting the HBV DNA in the sera of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xease. the presence of HBV DNA in the serum was detected by PCR with higher sensitivity and it suggested that active viral replication is still going on the in most patients with chronic HBsAg positive liver disease irrespective of HBeAg/anti-HBe status, and PCR may be used as a prognostic factor in asymptomatic HNsAg carri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