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80년대 전위적 노동자 시인의 한 형상, 박노해

        허요한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historicalize the "Park No-hae phenomenon" through the political nature of the "artistic avant-garde" conducted in the name of Park No-hae in the 1980s and its failure. To this end, I would like to look at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name could have emerged, and look a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ark No-hae phenomenon. The emergence of the name Park No-hae can be read as a trace of an anonymous incident that is not reduced to an individual Park Ki-pyeong. It is linked to the Commune shown in the Gwangju Minjung uprising, an example of the concept of equality, the elimination of hierarchical identity structures and the elimination of distinction between intellectuals and workers. But the avant-garde of the "Parknohae phenomenon" is over before radical labor movement forces can secure public popularity. The suppression of state agencies led to the arrest of a key Sanomang (Alliance of Socialistic Laborers in South Korea) official, and Park Ki-pyeong was also sentenced to death. Poems released in the name of Park No-hae by Park Ki-pyung in the process show loyalty to the socialist movement. But when its faithfulness is invoked to protect its identity, not the place of anonymous events, it is no longer possible to create a subject. Through the "politicization of art" of the name Park No-hae, "Poetry of Park No-hae" had an avant-garde personality in the Korean context of the 1980s. But the failure of national socialism and the disintegration of the party were also directly linked to the failure of the party, as the potential was based on a form of reenactment based on the reality of national socialism and "the party to come." In the situation of decline, the agony of overcoming avant-garde's failure also appears in Gramsh. Gramshie's problem consciousness, which asks how the harmony between War of Movement and War of Position will be possible, still seems to be valid. Especially in art, avant-garde needs to be asked how it can be interpreted. From that point of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alism and avant-garde should be reasoned. The question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not as 'who writes' but 'who is that person writing?' Who was 'Park No-hae' who showed a model of labor poetry in the 1980s? And who is Park No-hae now? 이 연구의 목적은 1980년대 박노해라는 이름으로 행해진 반(半)익명성의 실험의 정치성과 그 실패를 통해 ‘박노해 현상’을 역사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그 이름이 출현할 수 있었던 사회적 맥락을 살펴보고 박노해 현상의 의의와 한계를 논하고자 한다. 박노해라는 이름의 출현은 박기평 개인으로 환원되지 않는 익명적 사건의 흔적으로 읽을 수 있다. 그것은 광주민중항쟁에서 드러난 코뮌과 연결되어있는 것으로서, 위계적 신분 구도의 철폐와 지식인/노동자 이분법의 철폐라는, 평등의 개념을 사유할 수 있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급진적 노동운동 세력이 대중성을 확보하기 전에 박노해 현상의 전위는 끝났다. 국가기관의 탄압으로 사노맹 주요 간부가 구속되고 박기평도 사형언도까지 받는 과정에서, 박기평이 박노해의 이름으로 발표한 시들은 사회주의 운동에 대한 충실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 충실성이 익명적 사건의 장소가 아닌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발현될 때, 더 이상 주체를 만들 수 없게 되었다. 박노해라는 이름이 갖는 ‘예술의 정치화’를 통해 1980년대의 남한 상황에서 ‘박노해 시’는 전위적 성격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그 전위성은 사회주의국가와 ‘도래할 당’이라는 현실을 기반으로 한 재현의 형식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사회주의 국가의 붕괴와 당의 해체는 전위의 실패와도 직결되었다. 퇴조의 정세에서 전위의 실패를 극복하기 위한 고민은 그람시에게서도 나타난다. 기동전과 진지전의 조화가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를 질문하는 그람시의 문제의식은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1980년대 노동시의 한 전형을 보여준 ‘박노해’의 시를 통해 노동자 계급의 재현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그것을 넘어서는 지점을 탐색함으로써 정치와 예술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것은 유기적 지식인도, 직업적 혁명가의 형상도 아닌, 사랑의 투사로서 나타난 박노해의 시를 탐색하는 것이다.

      • KCI등재

        긴 노동의 밤, 먼 노동의 새벽-박노해론

        류찬열(Lyu Chan-youl) 중앙어문학회 2004 語文論集 Vol.32 No.-

        The Dawn if Labor(『노동의 새벽』) published by Pulbid(풀빛) in 1984 and The Dawn if Labor(『노동의 새벽』) published by Haenem(해냄) in 1991 are the same collection of poems. They are different only the name of the publisher. But, I intend to accept The Dawn if Labor of Pulbid, in the other hand I intend to disapprove of The Dawn of Labor of Heanem. Pak No-Hae who have been converted form the spreader of a revolution into the spreader of changing has a great idea on his insistence for us. But his insistence on changing doesn't seem a result of the concrete consequence, gained by introspection and practice, but seems a result of the abstract one, that caused by the ruin of the socialism and the confinement of his body. It seems to have some problem. So far it makes us wonder that Par No-Hae in 1990s was too captivated by the inner change like as he in 1980s was too abstracted by the change of the society. Therefore, what Pak No-Hae really needs is not the tenacity for the change but the restoration of the balance between the social change and the inner change through the introspection and action. It's a so commonplace comment, but we loves Pak No-Hae that's why we criticise him.

      • KCI등재

        『노동의 새벽』에 내재화된 노동의 기호론적 의미

        정유화(Jeong, Yu-Hwa)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4

        본고에서는 기호론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노동의 새벽』을 중심으로 그 시적 코드와 의미작용을 분석했다. 예의 박노해는 삶과 죽음의 대립적 코드로써 노동의 의미를 산출해내고 있다. 그 대립적 코드는 노동자의 몸을 물질화하기도 하고, 노동자를 삶과 죽음 사이에 감금하기도 한다. 이러한 모순의 코드를 깨뜨릴 수 있는 것은 개별자인 ‘나’가 아니라 공동체적인 ‘우리’이다. 그래서 박노해는 ‘우리’로의 전환을 위해 감정적 기표인 ‘소주(술)’를 그 매개체로 사용한다. 그 결과, 우리는 ‘죽음에서 삶’으로, ‘물질에서 생명’으로 나갈 수 있는 노동의 햇새벽을 맞는다. 하지만 그 노동의 햇새벽은 오래가지 못하고 만다. 감정적 기표인 소주의 기운이 소진되면 다시 ‘우리’에서 ‘나’로 환원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박노해는 〈노동의 새벽〉과 상호텍스트성의 관계에 있는 작품을 통하여 비로소 이성적 차원의 견고한 ‘우리’를 창조해내게 된다. 그러한 ‘우리’ 코드는 ‘삶과 죽음의 모순된 결합구조’를 깨뜨릴 뿐만 아니라 ‘노동자’와 ‘사용자’의 대립적 모순을 상생의 관계로 통합하기에 이른다. 이것이 바로 박노해 시인이 창조한 노동의 기호론적인 새로운 의미이다. The present study analyzesDawn of Labor in terms of its poetic code and signification by using the semioticmethodology. As usual, No-hae Park produces themeaning of labor as a conflict between life and death. The conflict sometimes materializes the body of the laborer but at other times it locks up the laborer between life and death. This inconsistency is fixed by collective “we” not by individual “I” in the poem. In this vein, No-hae Park uses liquor as amediumof turning the individual “I” into the collective “we”. As a result, we come to greet the fresh dawn of labor that transforms death into life and material into life. However, the fresh dawn of labor does not last long.When the emotion signifier, “Soju (liquor)”, runs out, the collective “we” returns to the individual “I”. Thus, No-hae Park creates the solid “we” at a reasonable level by using literary works that are intertextually related toDawn of Labor. That “we” loosens the bonding structure of life and death and goes as far as to integrate the inconsistency between “laborer” and “employer”, which is mutually beneficial in the end. That is the new semiotic meaning of labor that No-hae Park creates in his poem.

      • KCI등재

        어문학 : 박노해 시의 변모양상 연구

        김희진 ( Hee Jin Kim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0 No.48

        본 연구는 박노해의 시집인 「노동의 새벽」, 「참된 시작」, 「겨울이 꽃핀다」,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를 중심으로 박노해 시의 변모 양상을 고찰하였다. 박노해는 "박해받는 노동자의 해방"이라는 이름의 의미처럼 "노동해방"을 위해 치열한 삶을 살아온 시인이다. 박노해의 「노동의 새벽」은 문단에 강력한 충격을 주면서 본격적인 노동문학이 대두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노동의 새벽」은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비판하며 열악한 환경 속에서 기계처럼 살아가는 노동자들의 비애와 슬픔을 충격적으로 보여주었다. 「노동의 새벽」 이후에 발행된 「참된 시작」의 시편들은 시인이기에 앞서 혁명가를 꿈꾸던 박노해의 신념이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도식적이고 관념적이며 선동적인 투쟁시로 읽힐 수 있다. 따라서 「참된 시작」의 시들은 현실의 부조리를 파헤치고 비판하는 데에는 성공하고 있지만, 사회현실에 대한 즉자적인 반영과 감정적인 대응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마음 속 깊은 울림을 주는 시로 나아가지못하고 있다. 「겨울이 꽃핀다」는 자연, 상생, 여성, 화합, 생명 등을 노래하며 현실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지만 그 안에는 과거 자신의 모습을 반성하며 희망을 갖고 미래를 위해 나아가겠다는 시인의 신념이 내면화되어 있다. 2010년에 출판된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는 사회에 대한 시인의 비판적 시각이 제3세계 분쟁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런데 이 시집은 「노동의 새벽」, 「참된 시작」에서 보여준 ``가진자와 갖지 못한자``,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시인의 이분법적 인식이 상당부분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박노해가 반전 평화시위에 참여하면서 체험을 기반으로 세계 곳곳의 비참한 현실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시적 울림이 강하게 다가온다. Park No-h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ople mentioned when discussing labor literature of the 80``s. He vividly and detailedly expresses the reality, where human beings are degenerated as lesser beings than machinery in the huge frame called capitalism and industrialization, fighting for the goal of emancipation of labor. He is aggressively expressing the isolation of laborers, who are being dehumanized, and the iniquities of the workplace in the capitalism system. However, the poems in 「The True Beginning」 issued after 「The Dawn of Labor」 are considered as the schematic, abstract, and agitative contentional poetry which directly exposes the belief of Park No-hae who were dreaming of being a revolutionary before a poet. Although the poems in 「The True Beginning」 successfully exposed and criticized the irration- alities of the reality, it couldn``t become the poetry that touches and move people``s heart since it includes just literal reflections and emotional responses to the social reality. Park No-hae who was sent to prison because of the ``Sanomaeng Incident`` issued 「Winter is blooming」 after leaving prison. Even though he positively thinks of the reality with singing nature, coexistence, female, harmony, and life, his belief of advancing to the future with reflecting on himself is implied in his works. 「So, You, Don``t disappear」, issued in 2010, is a thick book of poetry including approximately 300 poems. The feature of this book is that the poet``s critical view of society is extended to the troubled regions of the Third World. The poet embodies life of those who are desperately living in the hopeless regions all over the world and feels sorry for them. However, one of the demerits that leave much to be desired is that his dichotomous recognition such as ``the haves and the have-nots`` or ``the assailants and the victims`` significantly appeared in this book. However, since he is showing the miserable reality of the world based on his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protests for antiwar and peace, the strong and painful poetic impression touches people``s heart.

      • KCI등재

        박노해 시의 생태적 전환의 이유와 지향성— 『겨울이 꽃핀다』를 중심으로 —

        최명국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9

        Park No-Hae, who vigorously advocated for the liberation of labor, turns an ecological poetic turn in his third collection of poems, Winter Blooms. Of cours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ng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after the imprisonment and the circumstances such as the death penalty, but the direct reason for his transition is due to the collapse of socialism. In other words, he needed another antithesis of capitalist to replace it due to the collapse of socialism, which w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capitalism that breaks down the labor liberation, so ecological thought was adopted by this need. He clearly criticizes the capitalism ideology of destroying or destroying the earth's ecology or nature, along with praise, longing, and nature-friendly perception of life. In addition, it criticizes the human ‘capitalist mind’ that follow or rationalizes this capitalism ideology, and aims to compare the ecological awareness that can overcome it with ‘a natural mind’ and ‘altruistic mind’. This paper deals with Park No Hae's Winter Blooms. The purpose is to clarify why his poetry was ecologically transformed and how his ecological ideology, expressed by constant anti-capitalist perception, is shaped through concrete texts.

      • KCI등재

        박노해 시의 변모와 항상(恒常)* -‘反자본주의’를 중심으로-

        최명국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2 No.-

        각 시집별로 형상화의 방식이나 대응 방식에 차이를 보이기는 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노해는 발표한 전(全) 시집을 통해 ‘반자본주의’를 일관되게 표방하고 있다. 그가 이처럼 자본주의 체제와 논리에 저항하고 비판하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론, 즉 ‘사회주의’, ‘생태사상’, 반전(反戰) 활동을 비롯한 ‘공동체 의식’ 등을 그 대안으로 채택한 것은 나름의 이유가 있다. 그것은 자본주의 체제 및 논리에 의해 착취 혹은 희생당하는 노동자, 자연, 사회적 약자, 미래를 위한 도덕적 통제나 사회적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제1 시집인 노동의 새벽 부터, 제5 시집인 너의 하늘을 보아 까지를 관통하고 있는 박노해 시의 항상, 즉 ‘반자본주의’적 태도와 지향 그리고 그 변모양상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lthough each collection of poetry shows a difference in the way of figuration or response, Park No-hae consistently advocates 'anti-capitalism' through all the poetry collections he has published. While resisting and criticizing the capitalist system and logic, he adopted methodologies that can overcome them, namely 'socialism', 'ecological thought',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cluding anti-war activities, as alternatives for his own reasons. It is because of the judgment that moral control or social safety devices are needed for workers, nature,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the future that are exploited or sacrificed by the capitalist system and log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ttitude and orientation of permanence, that is, 'anti-capitalist' and aspect of transformation in Park No-hae's poetry immanent from the 1st collection of poems Dawn of Labor to the 5th collection of poems Look at Your Sky .

      • KCI등재

        노동시에 나타난 근로기준법 인식 고찰

        맹문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5 No.-

        The Labor Standards Act specifically stipulates wages, working hours, safety, health, and disaster compensation. However workers are not properly protected because users often ignore or distort. It was not established and maintained at the level of social environment or corporate ability during the Korean War, but the climate is still continuing. This paper examines such aspects through the beginnings of workers’ poets such as Park No-hae, Baek mu-san, Yuk bong-su, Choi Myung-ja and Song Kyung-dong. The Labor Standards Act requires that wages be secured in that they are a resource that guarantees the basic life of workers, and thus the minimum limit of wages is set and the user is complied with. Working hours are also important for workers along with wages, and in order for workers to live a human life, they need to guarantee wages, but proper working hours should also be prepared. However, users lack awareness of wages and work hours are not properly maintained in the workplace. Workers are those who sell products called labor, so if they lose their health or suffer a disaster, they will have difficulty in survival. However, the user does not compensate properly to make up for the management loss caused by the worker and performs the dismiss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afety and health measures for workers and strongly demand compensation for industrial accidents. The labor poetry examined in this paper desperately reflects this reality. Workers such as Park No-hae, Baek mu-san, Yuk bong-su, Choi Myung-ja and Song Kyung-dong are informing them of the wage problems, labor time problems, safety and health problems, and industrial accidents experienced in their workplaces. They are accusing workers of poor working environment. In a huge capitalist society, it is pursuing social solidarity as well as protecting the rights of workers who have labor force as the only means of sales. 1953년 5월 10일 제정된 우리나라의 근로기준법에는 노동자의 임금, 노동 시간, 안전 및 보건, 재해 보상 등을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무시하거나 왜곡해서 적용하는 경우가 다반사여서 노동자들을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전쟁 당시 사회적 환경이나 기업의 능력을 벗어난 수준에서 제정되는 바람에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는데, 그 풍토가 아직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와 같은 면을 박노해, 백무산, 육봉수, 최명자, 송경동 등의 노동자 시인들이 창작한 시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임금은 노동자의 생활을 보장하는 기본 자원이라는 점에서 확보가 필수적이다. 그리하여 근로기준법에는 임금의 최저한도를 정하여 사용자가 책임지도록 규정하고 있다. 노동 시간 또한 노동자에게는 중요한 사항이다. 노동자가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임금뿐만 아니라 적정한 노동 시간도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노동자는 노동력이라는 상품을 판매하는 존재이므로 건강을 잃거나 재해를 입는 경우 삶의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사용자는 이와 같은 인식이 부족해서 임금이 보장되지 않고, 노동 시간이 작업 현장에서 지켜지지 않고 있다. 해당 노동자로 인해 발생된 경영상의 손실을 만회하려고 재해를 보상하기는커녕 해고까지 단행한다. 노동자의 안전 및 보건 대책을 마련하고 산업재해에 대한 보상을 요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노동시는 이와 같은 현실을 절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노동자 시인들은 자신의 작업장에서 체험한 임금 문제와 노동 시간 문제, 안전과 보건 문제, 산업재해 문제 등을 구체적으로 알리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력을 유일한 판매 수단으로 가지고 있는 노동자들이 자신의 권익을 지키는 것은 물론 사회적 연대까지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蒙學三書 몽골어의 한글 轉寫 연구

        심영환(Shim, Young-hwan) 역사실학회 2014 역사와실학 Vol.54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Hangul transliteration from uygur script Mongolian from the so-called three Books of Mongolian studies, namely Mongolian No-geol-dae, Cheop-hae-mong-eo and Mong-eo-ryu-hae. The findings show that the seven vowels of ‘a, e, i, o, u, o, u’ were represented respectively by ‘a(아), e(어), i(이), o(오), u(우), o(워), u(우).’ The 19 consonants of the Mongolian language, which are ‘p, b, v, m, t, d, ?, ?, s, ?, l, r, n, y, q, ?, k, g, ng’ were represented by ‘pa(파), ba(바), va(와), ma(마), ta(타), da(다), ?a(챠), ?a(쟈), sa(사), ?a(샤), la(라), ra(라), na(나), ya(야), qa(하), ?a(가), ka(카), ga(가) and ang(앙)’. Consequently, the Mongolian language used in the three Books of Mongolian studies were part of classical Mongolian and therefore, there is the likelihood that the positives is not ‘qi*’ but ‘hi’. It can also be verified that the positive ‘?i*’ had been converted to ‘gi’. The rounded vowel ‘o’ appears as a combination with six vowels of ‘b, m, ?, ?, s’ and ‘n’, while it did not combine with the nine vowels of ‘p, t, d, ?, l, r, y, k’ and ‘g’.

      • KCI등재

        박노해 시의 항상성, 이원화된 세계인식

        최명국(Choi, Myeong-Guk)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50

        본고는 박노해의 제4시집인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를 중심으로, 그의 한결같은 시적 특성이자 방법론이라 할 수 있는 ‘이원화된 세계인식’이 구체적인 시 텍스트들 속에 어떠한 모습으로 형상화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박노해는 당하는 사회적 약자와 가해 세력인 자본·권력 계층으로, 계층 간의 거리를 설정한 후 전자에 대해서는 선하고 윤리적인 존재로 후자에 대해서는 부정하고 위선적인 존재로 각각 인식하면서 서로 상반된 가치 평가를 배열하고 있는데 이것이 첫 번째 이원화된 세계인식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박노해는 연속적인 단위인 시간을 과거와 현재로 분절시켜 덩어리 지은 후 각각의 단위 안에 긍정과 부정의 의미를 함의시켜 놓고 있다. ‘유년·학동기 시절’의 과거는 상부상조하는 공동체적 질서가 유지되던 따뜻한 시간으로, 현재는 그러한 공동체적 질서가 해체되어버린 타산적이고 냉혹한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것이 두 번째 이원화된 세계인식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박노해는 해체적이고 타산적인 삶이 이루어지는 공간인 문명ㆍ도시 공간을 불구적인 곳으로, 이에 비해 그동안 문명·도시적 가치와 질서에 의해 뒷전으로 밀려났던 생태공간인 자연은 생명력이 확산되는 곳으로 수식하고 있는데 이것이 세 번째 이원화된 세계인식이라 할 수 있다. 시적 특성이자 방법론이라 할 수 있는 이러한 이원화된 세계인식은 그 변화의 폭이 큰 시적 변모에도 불구하고 박노해 시의 항상성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dichotomous world perception” of Park No-hae, which is his consistent poetic characteristics and methodologies, were embodied in his specific poetic texts with a focus on his fourth collection of poems, So, You, Don’t disappear. Park first sets some distance between the socially weak that are the victims and the capital and power class that is the offending group and makes opposite value evaluations between them, regarding the former as good and ethical individuals and the latter as dishonest and hypocritical ones. That is his first dichotomous world perception. Then he segments time, that is continuous units, into the past and present. As a result, he groups them each unit and implies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s in each unit. The past of “childhood and school years” is set as warm time when the community order of mutual aid was kept, whereas the present when the community order has been broken is set as calculating and heartless time. That is his second dichotomous world perception. Finally, he depicts the civilized and urban space where people lead a disorganizing and calculating life as a disabled place and nature, which is an ecological space that has been pushed back by the civilized and urban values and orders, as a place where life force spreads. That is his third dichotomous world perception. It is a fact that those dichotomous world perception, which is his poetic characteristics and methodologies, has become homeostasis in his poetry despite his large poetic variations.

      • KCI등재

        박노해 시의 윤리의식과 동양적 사유

        최명국(Choi, Myeong-guk)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8 No.-

        본 연구는 박노해의 제1시집인 『노동의 새벽』부터 제4시집인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까지를 관통하고 있는 윤리의식을 동양적 사유와 대응시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노동의 새벽』에 자리하고 있는 노동계급에 대한 윤리의 경우 묵자(墨子)의 ‘겸애(兼愛)’ 및 ‘대동(大同)사상’과 관련지어 그 연관성에 대해 점검하였다. 다음으로, 제2시집인 『참된 시작』에 수록되어 있는 옥중시들에 자기부정과 성찰, 그리고 새로운 삶의 정립이라는 형태로 내재되어 있는 자기 자신에 대한 윤리는 유교의 다양한 수양 원리들과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제3시집인 『겨울이 꽃핀다』와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에는 무분별한 개발이나 전쟁 등과 같은 왜곡된 물질적 가치로 인해 억압당하거나 희생되고 있는 다양한 약자들에 대한 윤리의식이 발현되어 있는데, 이는 전쟁에 대한 반대 논리였던 묵자의 ‘비공(非攻)사상’과 쓰임을 줄여야 한다는 원리인 ‘절용(節用)’ 등과 비교하며 구명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ethical consciousness penetrating from Park No-hae"s first collection of poems, Dawn of Labor, to the fourth book of poetry, So You Don"t disappear, by linking with oriental thinking. To this aim, first, in the case of ethics for the working class in Dawn of Labor, the relation was checked in relation to Mozi(墨子)’s ‘Gyeomae(兼愛, Love everyone equally without distinction)’ and ‘Daedong(大同, The whole world prospers together in peace) ideology’. Next, the ethics of self which is inherent in the form of self-denial, reflection, and establishment of a new life, in the prison poems contained in the second collection of poems, The True Beginning, was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the various disciplines of Confucianism. Finally, in the 3rd collection of poems, Winter Blooms and So You Don"t disappear, the ethical awareness of the various vulnerable people who are oppressed or sacrificed due to distorted material values such as reckless development or war was expressed. However, it was attempted to find out by linking it with Mozi"s "Bigong(非攻) ideology" which was an anti-war logic and ‘Jeolyong(節用)’, a principle that should reduce its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