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세계 패권경쟁 시 대한해협의 역할에 관한 연구

        김경식 ( Kyung Sik Kim ) 미래군사학회 2014 한국군사학논총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ole of Korean Strait in world hegemony competition between British and Russia in 19C and to foresee the future of maritime competition in West-Pacific between U.S.A. and China. Korean Strait is located in the core of Northeast Asia. Historically, Korean Strait was either the collision zone or the buffer zone between the great powers. After Napoleon War(1803-1815), British Empire penetrated Indian Ocean and arrived Far East. Also Russian Empire arrived there through the Siberia in Eurasia Continent. They came into collision at Korean Straits in the middle of 19C. They tried to preoccupy the Korean Strait before rival did and to exploit it to get world hegemony. As soon as Russian Empire invaded Balkan Peninsular in Crimean War(1853-1856), British Empire Fleet allying with France Fleet striked Russian Kamchatka Peninsular twice(1854, 1855). On contrary, when British possessed the superior position in using Japanese bases, Russian Fleet occupied Tsushima Island in the center of Korean Strait(1861). In 1885, Russia infiltrated into Afghanistan Panjdeh located on the way to Herat, at almost same time British Fleet occupied Ghuemundo Island(named Hamilton port in British) in the middle area of Korean Strait(1885-1887). As above we reviewed, Korean Strait was corridor to the world from Far East in context of world hegemony strategy between two rivals. Geopolitically, the value and role of Korean Strait in 21C are more important than before. Korean Strait is becoming the axis of North-East Asia both economical and military aspect, particularly hegemony competition in East Asia between China and U.S.A. Korea has to prepare for the new coming maritime threat and danger in West-Pacific. Korea Navy need to enlarge her mission area to international maritime security and to consider over the diversity and flexibility of maritime strategy in term of national security.

      • KCI등재후보

        세력전이와 해양패권 쟁탈전: 공공재·전환재 경쟁을 중심으로

        김지용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9 글로벌정치연구 Vol.12 No.2

        The US-China power transition arouses the concern of hegemonic war because of Thucydides's trap. Considering that the US-China power transition is at vision, the probability of war depends on China's revisionist propensity. Contending that China's revisionist propensity comes from historical context and oil transport. this study examines thoroughly that China's dissatisfaction of status quo is manifested by building the defensive and expansionistic command of the sea. Why building the defensive command of the sea proves revisionist propensity is identified historically by looking at the evolutions from 洋務運動 to A2/AD. Why building the expansionistic command of the sea through ways of 'pointing over' and 'detouring' proves revisionist propensity is demonstrated practically by various maps. However, arguing that two powers would try to revise or strengthen the status quo below the critical point of war,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struggle for maritime hegemony in terms of the gray zone strategy. For this, the Indo-Pacific strategy and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y are employed as the unit of analysis and are analyzed in terms of geopolitical patchwork. Lastly, in an angle of the public·divertible goods competition theory, the strategies which two powers and marginal states have used are explained and strategies which they would use are predicted. Based on those findings, several considerations for security policy are drawn.

      • KCI등재

        중국의 신(新)대륙전략에서 중동문제 연구

        신경환 한국상업교육학회 2021 상업교육연구 Vol.35 No.6

        본 연구는 중국의 부상에 따른 국제관계의 변화에서 민감한 부분으로 생각될 수 있는 중동문제 를 분석한다. 최근 미국은 본격적으로 중국과 무역전쟁을 확대하고 있으며 군사적 안보, 기후환경, 인권 등의 정치외교적 수단으로 중국을 압박하고 있다. 중동은 미국의 패권영향력이 직접적으로 행 사되는 지역으로 2차대전 이후 미국패권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후냉전기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에너지 수요 증가와 기존 미국패권질서에 대한 중국의 수용과 거부는 중동에 새로 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중국-중동 관계의 과거 형성배경과 발전과정을 회고하고 현재 주요 이슈 가 되고 있는 중동과 중국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중국의 중동전략을 분석하고 이러한 중동지역의 변 화가 가져올 미국 패권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조명하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rising China creates change of world order especially in the Middle East. Especially, US now trying to enlarge pressure on China in terms of trade as well as military, environmental issue, human right issue. Middle East is one of the main interest of US since World War II. However, due to China’s economic expansion there are dramatic change of world oil trade. This study will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Middle East past and present. The new shape of Middle East political status caused by China will give us clear suggestion of future US hegemony.

      • KCI등재

        미·중 해양패권경쟁

        김관옥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5 평화학연구 Vol.16 No.3

        중국은 국력 부상과 더불어 미국중심의 기존 해양질서에 높은 불만족도를 보이며 근해 및 원해에서 도전적 행태를 전개하고 있다. 미국은 과거와는 달리 중국의 해양팽창 시도에 대해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왜 중국은 주변국은 물론 미국과의 분쟁을 야기시키는 해양력 강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가? 왜 미국은 중국의 제 3국과의 해양 분쟁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가? 즉 왜 미국과 중국은 해양에서의 갈등과 경쟁을 심화시키고 있는가? 본 연구는 미국과 중국의 해양갈등과 경쟁의 원인을 규명하고 체계적으로 설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과 중국 각각의 해양정책과 양국 간 해양상호작용을 조사한다. 연구결과, 중국은 국력이 신장되자 ‘반접근/지역거부 전략’과 ‘대양해군전략’을 추진함으로써 만족하지 않는 미국중심의 해양질서에 도전하고 있으며 반면 미국은 패권의 필수 요소인 해양패권 유지를 위해 동맹 강화와 아시아 배치 해군력 강화를 통해 중국을 적극 견제하고 있다. 즉 미중 간 해양갈등과 경쟁은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쇠퇴라는 세력전이의 패권경쟁의 상황에서 기존 해양질서에 대한 불만족도가 높은 중국의 해양력 강화와 이에 대응해 패권을 유지하려는 미국의 봉쇄적 대중국해양정책의 충돌의 결과인 것이다. China has begun to adopt an aggressive approach to the existing international maritime order, over which the U.S. had dominated. In response, the U.S. has intervened in some Asian maritime disputes in which China claimed its sovereignty, and pursued a containment maritime policy toward China. This begs the question, why have China and the United Statesbeen experiencing escalating levels of tension and competition in the maritime arena?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aims to define and determine the major factors surroundingthe growing maritime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atively examines the maritime policies of the U.S. and China and their interactions in the maritime aren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dicate that China has threatened the existing maritime order by adopting “anti-access/anti-area” strategy as well as “great ocean navy” strategy, while the U.S. has strengthened both the relationship with Asian allies and the capabilities of its own navy to access and contain China. It is confirmed that the maritime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has been fostered by a power transition between the two states, and facilitated by China’s dissatisfaction with the existing maritime order, as well as by the willingness of the U.S. to maintain its hegemonic status.

      • KCI등재

        중국의 해양정책 언론보도 프레임 분석

        주민욱 한국동북아학회 2023 한국동북아논총 Vol.28 No.3

        중국은 지속적으로 해양패권을 강화하며 미국 및 아시아 주변국과 갈등을 빚고 있다.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에서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해양 확장 전략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중국의 해양 정책 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한국의 대응책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연구설계되었다. 중국의 해양 정책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최신의 정보를 확인하기 중국 정부 기관지 해양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연구소의 중국어 신문보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남중국해 해역을 둘러싼 중국과의 갈등에서 미중 양국의 첨예한 갈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국의 해양 정책은 자국의 국가이익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 간 협력체제 구축보다는 견제와 거리두기를 유지할 가능성이높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재 남중국해 위주로 발생하는 해양 갈등은 언제든 동중국해로 번질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China has been consistently strengthening its maritime power and engaging in conflicts with the United States and neighboring countries in Asia. China is indeed strengthening its territorial claims in the South China Sea and the East China Sea, using them as a basis to enhance its maritime expansion strategy.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analyze recent changes in China’s maritime policy and explore potential response strategies for South Korea. To obtain more accurate and up-to-date information on China’s maritime policy, this study analyzed relevant materials from a research institute that collects and analyzes Chinese-languag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the Chinese government’s maritime affair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acute conflic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surrounding the waters of the South China Sea and the East China Sea.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China’s maritime policy is more likely to prioritize inter-state containment rather than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cooperation systems in order to enhance its national interes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maritime conflicts occurring in the South China Sea have a high likelihood of spreading to the East China Sea at any time.

      • KCI등재

        동북아 해양패권 경쟁에 대한 이론적 고찰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시각을 중심으로

        임수환 평화문제연구소 2011 統一問題硏究 Vol.23 No.2

        As George Modelski and William Thompson argue that modern world system is an “oceanic system,” one has to focus on the competition for the maritime hegemony to understand geopolitics in the Northeast Asia. The regime of freedom of the seas is in distress in the 21st century East Asia as the US hegemony over the ocean is checked by the growth of the Chinese anti-access/area-denial forces. The realists think order and peace are established through the balance of power while the liberals think they are established through cooperation within international regimes. Theorists of both streams share prospects of peace between the US and China either through balance of power or cooperation in the liberal international regime. What is problematic is that the peacefu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orld powers could not necessary extend to the security of the regional countries surrounding continental China. Small countries under pressure from China would invite the US to keep maritime hegemony in this region. Korea can secure its position through strengthening of a liberal regime in this region, as it is joining the complex interdependence among advanced industrial democracies. Korea-US-Japan cooperation can reach out China for regional stability and develop a 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조지 모델스키와 윌리엄 톰슨의 주장과 같이 근대 세계체제는 곧 해양체제이다. 따라서 동북아 지정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양패권 경쟁에 초점을 두고 관찰해야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패권 하에 유지되어 온 해양의 자유 레짐이 중국의 군사적 성장으로 인하여 제한될 위험에 처해 있다. 현실주의자들은 세력균형을 질서유지의 수단으로 생각하고 자유주의자들은 레짐 속에서의 협력을 통한 질서와 평화를 추구한다. 두 부류의 이론가들은 각각 세력균형 또는 자유주의 국제레짐에의 적응을 통해 미국과 중국이 전쟁을 피할 수 있다는 낙관론을 펴고 있다. 문제는 두 세계강국이 상호간의 전쟁을 피할수 있다는 사실이 곧 역내 국가들의 안보를 보장해 주지는 못한다는 측면에 있다. 중국으로부터 가해지는 군사적, 정치적 압력에 시달리는 역내 약소 국들은 미국의 개입을 초청하여 역내 해양패권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한국은 선진 산업민주주의 국가들이 형성하고 있는 복잡한 상호의존에 가담하고 있으므로 역내 자유주의 레짐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자국의 안보를 확보할 수 있다. 한미일 안보협력체가 중국과 지역안정에 협력함으로써 한반도 평화통일의 조건을 성숙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남중국해에서의 미․중 군사패권 경쟁과 그 함의

        이택선 조선대학교 군사학연구소 2022 군사발전연구 Vol.16 No.2

        최근 수년간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이 경제·기술·군사 등 다방면에서 격화되고 있다. 미․중 갈등은 2017년 무역 불균형에서 시작되었으나, 이제는 경제영역을 넘어 양국 간 이념분쟁까지 다양하게 발생되고 있다. 중국의 미국에 대한 세계 패권 도전이 부각되면서 미국의 정치 및 경제적 맞대응이 점점 격화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남중국해를 둘러싼 미·중 간 군사패권 경쟁은 가히 ‘미·중 패권경쟁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으며, 인접국들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연구의 목적은 남중국해에서 벌어지고 있는 중국과 주변국 그리고 미국이 관련된 해양영유권 분쟁의 실상을 명확히 이해하고, 한국의 안보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서 해양영유권과 관련된 유엔해양법협약, 국제상설중재재판소의 판결내용, 미·중이 주장하는 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본문에서는 먼저, 남중국해 해양 영유권 분쟁의 역사·쟁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남중국해 해양 영유권분쟁에 대한 미·중의 주장과 대응을 각각 살펴본 후, 향후 남중국해에서 양국 간 충돌 가능성을 예측하였다. 중국은 남중국해를 ‘핵심이익’으로 규정하고, 강력하게 자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즉, 남중국해는 ‘영해’이고, 건설된 인공섬은 도서로서의 법적 지위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국제상설중재재판소의 판단결과 수용을 거부하고, 미래의 판결을 위한 실효적 지배 노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반해 미국은 항행의 자유작전, 남중국해 인공섬 건설에 참여한 중국기업 제재 등 다양한 대응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남중국해에서 미·중 관계는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중국과 기존 기득권을 지키려는 미국의 대응노력이 심화될 것이며, 상호 충돌의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분쟁의 원인을 제공한 중국의 조치와 이에 대한 미국의 대응에 따라 분쟁 양상이 결정될 것이다.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관련국 간의 분쟁 양상 및 미․중 간 갈등은 한국의 안보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향후 한·중 간 해양영유권을 논의 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남중국해 해양영유권 분쟁에서 중국의 입지가 더욱 강화될 경우 한․중 해양영유권 문제에는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이에 한국은 현재 진행 중인 남중국해 영유권분쟁은 우리와 무관하지 아니하며, 한․중 간 본격적인 해양영유권 논의에 대비하여 체계적인 방안을 수립하여 시행해야 하겠다.

      • KCI등재

        21세기 동아시아의 지정학: 미국의 동아태지역 해양패권과 중미관계

        이삼성 세종연구소 2007 국가전략 Vol.14 No.1

        이 글은 동아시아질서 전반의 미래를 결정할 핵심적인 요소로서 중국의 국력팽창의 추세와 미국의 동아태 패권 사이의 긴장이 구성하는 잠재적 갈등구조를 개념화하려는 것이다. 중미관계에 대한 이론적 전망은 낙관론과 비관론으로 갈린다. 이 글은 중미관계에 위험한 긴장 요소가 있다고 보고 그 긴장의 소재에 대한 개념화를 시도한다. 먼저 향후 세계질서에서 미국의 단극패권과 동시에 중국의 필연적 도전을 상정하는 미국 정치학계의 중미관계 전망의 이중 구조를 간략히 검토한다. 이어 21세기 미국의 동아시아전략의 본질을 동아태지역 해양패권이라는 개념으로 압축하고 그 요체를 파악한다. 셋째, 이 지역 해양패권이라는 미국의 기득권이 중국의 국력 팽창이라는 역사적 추세와 잠재적 충돌을 예비하는 이유를 개념화한다. 넷째, 미국의 동아태지역 해양패권 유지의 핵심인 미일동맹에 대응하여 중국과 러시아의 세력연합 현상이 전개되고 있음을 주목한다. 그런 맥락에서 샹하이협력기구의 형성과 그 지정학적 의의를 분석한다. This essay attempts to conceptualize the potential structure of conflict between the increasing national power of China and the existing hegemonic status of the United States in the Asia-Pacific region, which most analysts believe would determine the pattern of international order of East Asia in the coming decades. Commentators are divided between pessimism and optimism about the future of the U.S.-China relations. This paper assumes that there exist certain serious elements of conflict between the two great powers, and goes further to try a conceptualization of where the structure of tension really lies ahead. First, it starts with a brief review of the dualistic discourse in the Western political science academia about the continuing America's unipolar hegemonic prospect, on the one hand, and, nevertheless, the eventual Chinese hegemonic challenge, on the other hand. Second, the paper finds the essence of the U.S. strategic concept in East Asia in its idea and practice of the maritime hegemonic control of the Asia-Pacific area. Third, the paper tries to conceptualize the fundamental elements of tension the currently growing economic and military power of China would bring about in the face of the American maritime hegemonic position in the region. Finally, it draws attention to the recent dynamics of China-Russia relations,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ir movement toward a sort of political coalition as a response to the apparently intensifying allian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hich constitutes the cornerstone of the American maritime hegemonic status in East Asia. In this context, the formation and geopolitical import of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에 대한 세 가지 관점의 제안

        김진영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2019 Journal of China Studies Vol.22 No.1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three perspective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and purposes of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The three aspects of the BRI are in fact inseparable and deeply interlinked with each other. The paper aims at suggesting the three perspectives as useful viewpoints for future research to observe and analyze further progress of the BRI. First, the BRI is viewed as China’s economic strategy for facilitating continuous growth and preventing the Chinese economy from falling into a stagnant phase. The vast range of globally pursued projects of the BRI will serve as new growth engine for the Chinese economy. It will promote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s inland areas and expand markets and investment outlets for the large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The construction of sea ports, pipelines and railroads will also contribute to securing supply lines of oil and natural gas, and reducing transportation costs. Secondly, the BRI is viewed as a critical international strategy with which Beijing is seeking a hegemonic power in Asia. By way of constructing infrastructures and specialized economic zones, China seems trying to connect Asian countries and incorporate their markets to China. Through the investment of infrastructures in Central Asia, China is tapping into affluent minerals and energy sources in this region and incorporating this region into Chinese economic influence. Also the maritime silk road is a counter-strategy to contain the US naval power in the Indian ocean. It is critically important to secure energy supply lines from Middle East to China crossing over the Indian Ocean. The maritime silk road is indispensable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Chinese power in Asia and Africa in competition with the US. Thirdly, the BRI is regarded as China’s global hegemonic strategy to increase its global soft power and political influence. Many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Africa, Central and Eastern Europe particularly, are eager to receive China’s investments and increase trade with China. The Chinese influence in these countries will increase as the Chinese investment continues to grow. China seems to pursue a global hegemonic power through the expansion of its economic might to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Africa, Central and Eastern Europe etc. This argument is also supported by the fact that Beijing established the AIIB, which is considered as a competing counterpart to the existing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like World Bank and IMF. Finally, the positive aspect of the BRI in the realm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is that it is actually able to contributes to economic development of less-developed countries. China regards it as rebalancing of global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worrisome side of the BRI is that not a few partners of the BRI are authoritarian or corrupt leaders in developing countries. And a debt-crisis may occur in a recipient country as a result of inefficient and unaffordable Chinese investments. Recent stories of Malaysia and Sri Lanka tell that lesson.

      • KCI등재

        중국의 남중국해 영향력 확대를 위한 투트랙 전략 -맞대응 및 회피전략을 중심으로-

        조현덕,이정태 대한정치학회 2021 大韓政治學會報 Vol.29 No.4

        This paper aims to analyze China's expansion of the South China Sea and the U.S. intervention on the sea, which can have an impact on the possibility of physical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Thus, this paper examined to analyze China's countermeasure and future process ongoing, from the U.S.-China conflict.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U.S. on the Sea, China simultaneously utilizes a two-track strategy of “confrontation” and “avoidance”. China which was regarded as a continental state now secures sea power and tries to satisfy conditions for the country highly influential in both land and sea. It focuses on analyzing the reforms of the People's Liberation Army (PLA) and reinforcement of naval power (PLAN) supported by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in order to expand China's influence on the South China Sea under the status quo in which the U.S. and China are seriously confronting.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Gray Zone Strategy, which is the core of China's internalizing policy targeting the Sea, and analyzes the activities of artificial islands construction and maritime militia, all of which strategically support the Gray Zone Strategy. This paper also studies whether the revised ‘Maritime Traffic Safety Act’ newly implemented in this September 1 by the Chinese government and the augmented China Coast Guard could have a critical impact on China's maritime policy of expansion on the South China Sea in the future. Accordingly, in response to an active intervention of the U.S. on the Sea and U.S. containment and deterrence strategy against China, this paper analyzed the two-track strategy of “confrontation” and “avoidance” by the Xi administration. 중국의 남중국해(South China Sea)에 대한 세력 확대와 이를 저지하려는 미국의 개입으로 양국의 충돌 가능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미・중의 갈등을 염두에 두고 중국의 대응 방법과 향후 전개 과정을 고찰하였다. 중국은 ‘맞대응’과 ‘회피’라는 투트랙 전략을 동시에 구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륙 세력으로 평가되던 중국이 해양력을 겸비한 소위 해륙 세력으로 나아가려는 정책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미・중이 대립하는 현 상황에서 남중국해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시진핑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인민해방군(PLA)의 개혁과 해군력 강화를 분석했다. 또한 중국의 남중국해 내해(內海)화 정책의 핵심인 회색지대 전략(gray zone strategy)을 살펴보기 위해 인공섬 건설과 해상민병대(maritime militia)의 활동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중국 정부가 올 9월 1일부터 새롭게 개정하여 시행하고 있는 해상교통안전법(Maritime Traffic Safety Act)과 증강된 해안경비대(China Coast Guard)가 향후 중국의 남중국해 내해화 작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미국의 적극적인 남중국해 개입과 대중(對中) 봉쇄 및 억제 전략에 대응하여, 시진핑 정부가 구사하고 있는 맞대응과 회피라는 투트랙 대응책을 연구・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