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고전문학 수용 양상 연구 -설화 및 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사동훼,정소연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3

        본고는 그간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만 편중된 연구사에 주목하여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서 한국 고전문학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 는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와 달리 중국인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학습대상이 제한적이고 명확하다. 또한 중국은 중세문학사에서 중심적 역할을 했기 때문에 현재는 한국의 고전문학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염두하며 논의를 진행하다. Ⅱ장에서는 중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교재 4종을 대상으로 한국 고전문학의 수용 양상을 개관하다. 중국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교재에는 고급 단계가 많지 않지만, 고급 교재가 있더라도 한국 고전문학은 중급 단계에 편중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설화나 설화 관련 작품이 가장 많이 실린 점에 주목하여 그 양상을 Ⅲ장 에서 자세히 검토하다. 그 결과, 한국 고전문학 못지않게 중국의 설화를 나란히 두거나, 때로는 중국의 설화 를 주된 본문 텍스트로 삼기까지 하는 등 한국어 교재라고 해도 실제 교수자나 학습자가 중국인인 점을 감안 하여 중국의 문학을 한국어로 바꾸거나 표현하는 데에도 적지 않게 관심을 두고 있는 점을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 얻은 성과는 다음과 같다. 서론에서 제기한 바,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고전문학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다는 점, 그리고 중세문학사에서 한국과 중국의 관계가 깊었던 만큼 고전문학을 현대문학보다 더 쉽게 여기고 중급 단계에서 집중적으로 다룬다는 점을 밝혔다. 무엇보다 한 국의 고전문학이 본문에 제시만 될 뿐이고 연습문제의 내용으로까지는 잘 다루어지지 않고 있고, 그에 비한다 면 중국의 고전문학이 상당한 비중을 가지고 다루어진다는 점,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중국의 세계화의 일환으 로서 중국 내에서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혔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confronts the predominant research bias with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historically centered on teaching materials originating from South Korea. We shift our focus to investigate how classical literature is introduced in Chinese-published Korean textbooks. Unlike Korean-published materials, Chinese-published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re designed exclusively for Chinese students. And discussed how China, which played a central role in medieval literature, perceive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Chapter II, we provide an overview of the percep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four kinds of widely-used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Although there are not many advanced textbooks edited and published by China itself, it can be seen that classical literature is mainly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textbooks. Furthermore, we observe that traditional stories and related works are most frequently included in the textbooks and delve into this in Chapter III. The results indicate that traditional Chinese narratives receive same level attention a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troduced in these materials. Some units are using traditional Chinese narratives as the main content. Given that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primarily Chinese, there is a notable interest in presenting Chinese literature in their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research findings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ly, as raised in the introduction, we have examined the recep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 Chinese published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has not been specifically addressed so far; Secondly, we elucidate that due to the strong historical connec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medieval literary history, classical literature is emphasized as more accessible and commonly included at intermediate language learning levels comparing to modern literature; Lastly, we note that classical literature in Korea is only presented in the text and is rarely covered in exercises, whereas classical literature in China holds a considerable proportion. In conclusion, as a part of China’s globaliz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experiencing essential growth within China.

      • KCI등재

        개화기 문학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고등학교의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우창호(Woo, Chang-Ho) 한국문화융합학회 2005 문화와 융합 Vol.27 No.-

        This study is to find problems of the literature textbooks of high school and provide ways to improve them by considering the literature of enlightenment period in the textbooks. When thinking the reality in which the literature of enlightenment period is not paid as much attention as modern literature or traditional one is, it will be meaningful to analyze literature textbooks of high school and find out the problems related. Classifying the period of the enlightenment is so confusing and of so various kinds that even teachers feel confused. Though it is a matter that is needed to be discussed more in the academic world, it will be reasonable to standardize roughly how to classify the period of the enlightenment and teach students. Another thing is naming the literature of enlightenment period. Since it is impossible to accept every theory of all scholars, it will be much better to choose the one widely accepted and use it in the textbooks. Moreover, in the 7th Curriculum, the number of works is decreased in the textbooks and works of enlightenment period is found neither in the textbooks of middle school nor in the textbooks of high school when works of modern times and of traditional times are. And Korean SAT has not make any questions out of literature of enlightenment period. As a result, teachers teaching literature in schools tend to put less emphasis on literature of this period, and in turn, students are affected not to read the works. In addition, it is hard to find works of enlightenment period and this is another difficulty in education of literature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s ways to improve the problems pointed out previously, this study suggest to standardize how to classify the periods and name them, to put work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in the textbook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o furnish works of the period so as to help students to read whenever they want, and so on. When the problems are improved in the way suggested here, the education of the literature of enlightenment period will be done properly.

      • KCI등재

        ‘文學’ 敎科書 著者의 縱的 連結과先行 敎科書의 再活用 -2011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檢定 敎科書를 중심으로-

        최호석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2 No.3

        In this article, I explored the connections of textbook writers and the recycling of previous textbook in accordance with 2011-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First, I investigated the writers of [Literature] textbooks and the writers of previous [Literature] textbooks. As a result I found that 10 kinds of [Literature] textbooks writers were connected with previous [Literature] textbook. And then I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ious [Literature] textbook and the following [Literature] textbook. As a result I found that 5 kinds of [Literature] textbooks recycled the contents of pre- vious textbooks, and 2 kinds of [Literature] textbooks recycled.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also recycled even though the learning goals were different. Lastly the reasons of the recycling of previous [Literature] textbooks are the problems in writers, publishing company and screening system. We all need to produce good and useful [Literature] textbooks that are full of new and interesting contents. 본고에서는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서 筆者들이 縱的으로 連結된 상황과 그러한 저자들이 쓴 敎科書에 드러난 問題를 ‘再活用’의 視角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2011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의 저자를 중심으로 선행 교과서의 필자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0종의 敎科書 著者가 縱的으로 連結되어 先行 敎科書를 著述하였다. 그리고 10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선행 교과서의 再活用 狀況을 살펴보았다. 그중 4종에서는 선행 교과서에 수록된 作品의 상당수를 再活用하였으며, 그중에는 學習 活動을 再活用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그중 2종에서는 선행 교과서의 揷畵를 再活用하였다. 이처럼 特定 敎科書에서 先行 敎科書의 再活用 현상이 두드러진 것은 著者, 出版社, 그리고 檢定 審査의 問題와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교과서의 權威를 떨어뜨리는 한편, 교사와 학생으로부터 信賴를 잃게 만들 수 있다.

      • KCI등재

        2009개정 초등 국어과 교과서 문학작품의 수록 양상 분석

        이향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6

        This study was included in the 2009 Revised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literature, analyzing aspects. Since 2015 school year is finished both the 2009 revised textbook development, from pre-school grades were taught in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2009 Textbook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has been developed, unlike the previous system of two textbooks, “Language” and “language activities.” But maintains 20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textbook found in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for years, he directed the integration of each region and became the main form of textbooks and auxiliary textboo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works contained in the new textbooks could be analyzed in three significant ways. First,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literary works. Both literary lyricism, narrative literature showed a 10% decline compared to the previous textbooks. Second, was the more excellent classic children’s literature in the private, third, as the foreign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the increase. However, that is lyrical works of cinematic quality of this transformation are concentrated and the place turned out to be more original text contained the textbook literature must address challenges in the process. 이 연구는 2009 개정 초등 국어과 교과서 문학 작품의 수록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2015학년도부터 초등학교 전 학년에서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배우게 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는 이전 교과서와는 달리 ≪국어≫와 ≪국어활동≫의 두 권 체제로 개발되었다. 20여 년 동안 초등국어과 교과서의 교과서명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각 영역의 통합을 지향하면서 주교과서와 보조교과서의 양식을 갖게 되었다. 새로운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작품의 수록 특성은 크게 세 가지로 분석할 수 있었다. 첫째, 수록 문학작품 수의 감소이다. 서정문학, 서사문학 작품 모두 이전 교과서에 비하여 10% 정도 감소폭을 나타내었다. 둘째, 아동문학사적으로 우수한 명작이 수록 비율이 증가하였고, 셋째, 외국 문학작품의 수록 양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서정작품들이 편중되어 배치되고 원텍스트의 작품성이 변용되어 수록된 점은 교과서 문학작품 수록과정에서 해결해야 과제로 드러났다.

      • KCI등재

        국어교과서와 ‘(국)문학’ 이데올로기 - 4차 교육과정기 국어교과서의 ‘국문학사’ 인식 및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정종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1 한국문학연구 Vol.0 No.41

        In the 4th curriculum period(Dec. 1981~Jun. 1987), the texts in ‘Korean’ textbook are serving in allowing national culture and Korean to be essential. The Korean textbook was the thoroughly gendered text. Important branches of textbook are formed by the rhetorical writing and the expository writing of being emphasized masculine rationality, by the knowledge(learning) in ‘firm’ shape, and by the nationalistic vision of being suggested with male patriot's voice as well as the simple dimension as saying that the majority of writers in textbook texts are men. ‘Literature’ is performing a role of contributing emotionally to such ‘masculine’ national culture and nationalistic vision. ‘Literature’ as the aesthetic text is reduced. On the other hand, the weight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as knowledge increased. The knowledge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history such as Jo Yun-jae, who emphasizes continuity of Korean-alphabet literature by having Chinese literature as the other, as the discussion of Jeong Byeong-uk, who makes it essence for the shape of the main agent, which accepts a foreign thought creatively, and as the writing of Kim Yun-sik, who lays the cornerstone of ideology in national literature by emphasizing continuity of Korean literature, specify the shape of national literature history as the progress that has realized modernity itself based on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and the theory of the embryo of capitalism since the 1960s. Narrators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aimed to restore heritage of Korean and the Korean alphabet, which were abandoned in the culture of centering on Chinese writing. As well as the discussion of Jo Yun-jae, Jeong Byeong-uk and Kim Yun-sik, 「oral literature and record literature」 in Jang Deok-sun, who emphasizes on oral language and literature, are one of accurate cases of showing the aspect that a flow of romanticism-based humanities is institutionalized in the academic circles since the 1970s. ‘Korean literature(history)’ in the Korean textbook was keeping ideology of literature together as culture of pursuing universal ideal at the same time while functioning as ideology of national creation based on national literature. ‘Literature’ ideology, which was based on culture of pursuing freedom fundamentally in the Korean textbook into which the national ideology was penetrated, did need to be removed or trimmed sprouts. The specific literary works, which address the theme called genuineness and transcendence, which is selected to be recorded in real textbook, are cases of circumstantially proving this. 4차 교육과정기(1981.12~1987.6) ‘국어’ 교과서의 지문들은 민족문화와 국어를 본질화하는 데 복무하고 있다. 국어교과서는 철저하게 젠더화된 텍스트였다. 남성적 이성이 강조되는 논설문, 설명문 등과 ‘단단한’ 형태의 지식(학문), 남성 지사의 목소리로 제시되는 민족주의 비전 등이 교과서의 중요 갈래를 형성하고, ‘문학’은 그러한 ‘남성적’ 민족문화와 민족주의적 비전을 정서적으로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미적 텍스트로서의 ‘문학’이 축소되어 있는 데 비해 지식으로서의 ‘(국)문학사’의 비중은 증가했다. 한문학을 타자로 하여 국문문학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조윤제, 외래 사상을 창조적으로 수용하는 주체의 형상을 본질화하는 정병욱의 논의, 한국문학의 연속성을 강조하며 민족문학의 이념을 정초하는 김윤식의 글 등, 국문학사 관련의 지식들은 60년대 이래의 내재적 발전론과 자본주의 맹아론 등을 기반으로 하여 근대성을 자체적으로 실현해온 진보로서의 민족문학사를 구성한다. 국문학사의 서술자들은 한문 중심의 문화에서 버려진 국어와 국문의 유산을 복원하고자 했다. 조윤제, 정병욱, 김윤식의 논의는 물론이거니와, 구술적 언어와 문학에 대해 강조하는 장덕순의 「구비문학과 기록문학」은 70년대 이후 학계에서의 낭만주의적 인문학의 흐름이 교과서에 제도화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적실한 사례의 하나이다. 국어교과서의 ‘국문학(사)’는 민족문화에 기반한 국민 창출의 이데올로기로 기능하면서도, 동시에 보편적 이상을 추구하는 교양으로서의 문학의 이념을 함께 간직하고 있었다. 국가 이데올로기가 관철된 국어교과서에서 근원적으로 자유를 추구하는 교양에 기반한 ‘문학’ 이데올로기는 제거되거나 순치되어야 했다. 실제 교과서에 선별 수록된 순수와 초월이라는 주제를 다루는 구체적인 문학 작품들은 이를 방증하는 사례이다.

      • KCI등재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가 지역 문학을 다루는 방식 -성취기준 구현 단원을 중심으로-

        박준형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efine the status of regional literature as an educational material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literature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learners' lives. To this end, the status of regional literature in the national curriculum is considered, and the way in which regional literature is handled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which are specific implementations of the literature area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examine the aspects of its inclusion. Based on this, it was concluded with a proposal to improve regional literatur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focus of this paper is the learning activities of textbooks. In order to solve the critical mind that the existing paradigm of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changed a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lso change rapidly with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 analysis of learning activities in terms of behavioral induction for teachers and learners to carry out practically effective education has a meaning. Through this, we analyze how regional literature is presented as a material for literature education, and through this, we try to confirm the meaning of regional literature presented in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제재로서 지역 문학의 위상을 재정립하여 학습자의 삶과 밀접한 문학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지역 문학이 가지는 위상을 고찰하고,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구체적 구현물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서 지역 문학이 다루어지는 방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그 수록 양상을 살핀다. 이를 기반으로 지역 문학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특히 본고에서 주목한 지점은 교과서의 학습활동이다.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학습자들의 특성 역시 급변하면서 기존의 문학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화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해소하기 위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가 실질적으로 효과적인 교육을 수행할 행동유도성의 측면에서 학습활동에 대한 분석은 의의를 가진다. 이를 통해 지역 문학이 문학교육의 제재로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역 문학의 의미를 확인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외국문학 제재의 성격과 함의 연구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 교과서 10종을 중심으로 -

        허연주,박형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0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4 No.1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foreign literary subjects in the 10 kinds of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hat have been newly compiled based o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rough this, we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the foreign literature canon and reflect on the values and directions that literary education should pursue at school sites. The content and formulation of foreign literature are systematically presented based on the curriculum.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foreign literature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iterature course of the revised curriculum, the content element directly related to foreign literature is “Korean literature and foreign literature.” Second,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which has a content linkage with “Korean Literature and Foreign Literature,” was newly added to the curriculum.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can be confirmed by examining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nd the aspects of tricontinentalism in selecting and collecting foreign literature subjects in the textbook. First, the foreign literature subjects of the 10 kinds of Literature textbooks compiled by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peatedly reproduce European tradition and prestige. However, the proportion of literature from Latin American and Africa was further reduced. Second, the proportion of Chinese literature among Asian works is significantly higher. However, it can be seen that new literature from countries such as Mongolia, Vietnam, and Pakistan are also included. Third, only 15 of the 42 foreign literary works 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book consist of main text. Thus, it was confirmed that Western European literature texts comprise the majority of the texts of the 10 kinds of literature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n selecting “foreign literature” texts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orphology of selecting a text that is biased to a specific continent and to focus on famous authors; second, the work of contemporary artists should also be provided in textbooks; and third, more foreign literature works should be covered as main text. 이 논문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새롭게 편찬된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10종에 수록되어 있는 외국문학 제재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외국문학 정전의 성격을 고찰하고 학교 현장에서 문학교육이 추구해야 할 가치와 방향을 성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의 문학교육 장에서 외국문학 내용과 제재는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제시된다. 외국문학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정 교육과정의 문학 교과목에서 외국문학과 직접 관련이 있는 내용 요소는 “한국문학과 외국문학”이다. 둘째, 교육과정에 새롭게 추가된 내용 요소인 “한국문학의 발전상”에 주목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문학과 외국문학”이라는 내용과 연계성을 갖는다. 이를 바탕으로 『문학』 교과서의 외국문학 제재 선정 및 수록 양상을 문헌연구 방법과 트리컨티넨탈리즘의 시각에서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2015 국어과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문학』 교과서 10종의 외국문학 제재는 유럽적 전통과 명망주의를 반복 재생산하고 있다는 것. 이에 비해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대륙의 작품 비중은 더욱 축소되었다. 둘째, 아시아 중에서는 중국 문학의 비중이 월등히 높지만, 몽골, 베트남, 파키스탄 등과 같은 국가의 작품도 새롭게 포함되었다. 셋째,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42편의 외국문학 작품 중 15편만이 본문의 제재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해 만들어진 『문학』 교과서 10종의 외국문학 텍스트는 서구 유럽의 문학 정전이 압도적인 위상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외국문학” 제재 선정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대륙에 치우친 제재 선정과 명망 작가에 편중된 수록 형태를 보완해야 한다는 것. 둘째, 당대 작가의 작품도 교과서 안에서 만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 셋째, 외국문학 작품을 본문 제재로 더 많이 다루어야 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통일교육"을 위한 "문학" 교과서 개선방안 연구 -2012 고시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의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김미영 ( Mi Young K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7 No.-

        본 연구는 ‘통일을 준비하는 교육’ 단계의 일환으로 문학교과서에 나타난 통일교육의 양상을 살펴 본 것이다. 교육과정에 반영된 ‘통일교육’은 반공교육이 변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은 3차 교육과정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유지되었고, 7차 교육과정 및 개정 2009, 2011 교육과정에 이르는 동안 구체화되었다. 이 글은 2012 고시 새 문학교과서 11종을 대상으로 하여 현대소설수록 양상을 살펴본 후, 통일교육의 반영을 확인한 것이다. 11종 교과서에서 통일에 대한 교육내용을 담고 있는 교과서는 모두 8종이었다. 2009 개정 문학교과서 13종에서 8종의 교과서가 ‘통일교육’을 반영한 것과 비교하면 교육과정에 충실한 모습이다. 다만, 수록된 소설이 <광장>과 <장마>, 북한소설 <쇠찌르레기>와 <우주비행>으로서 다양하지는 않았다. 단원 구성에서 통일교육의 반영은 <한국문학의 범위와 역사>의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문학과 삶>의 ‘문학과 공동체’,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등이다. 분단의 특수한 상황과 공동체의식에 대한 함양에서 통일교육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확장시킨다면 훨씬 폭넓은 소설 제재를 활용하여 통일교육을 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북한소설’과 재외 작가의 작품까지 포함하여 교육할 때 통일교육의 방법은 더 다양할 것이다. 북한 소설의 선정은 북한에 대한 이해교육, 향후 급변 등의 시기에 닥쳐올 다문화적 가치들을 수용하기 위한 차원의 교육을 미리 수행하는 것에서 의의가 있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reunification education in the literature textbooks as a part of “education to prepare for unification” stage. The emphasis on “unification education” reflected in the curriculums has gained more and more momentum with time. There was no mention on reunification education during the Syllabus Period and First Curriculum because the influences of Independence and Korean War had not led to the perceptions of “reunification,” yet. The Second Curriculum started to reflect “anticommunist education” with no perceptions of unification displayed yet, either. It was in the Third Curriculum that the educational perceptions of “unification” began to emerge with a growing tendency of expansion and emphasis toward the Seventh Curriculum at the result of considering social and international trend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new 11 literature textbooks announced in 2012 to understand “unification education” reflected in textbooks, tracking the actual patterns of unification education by analyzing the inclusion of modern novels in textbooks. Of the 11 textbooks, six incorporated the perceptions of unification into the educational content, however weak they wer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corporation among the six textbooks, and only three of them reflected “unification education” properly. The organization of the new textbooks had a couple of candidate units good for the reflection of reunification education including “Universality and Uniqueness of Korean Literature” under “The Scope and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Literature and the Community” under “Literature and Life.” The textbooks will be able to use even broader novel materials in unification education by expanding the perceptions of multiculture addressed in “Literature and the Community” further. “The Sections and Flows of Korean Literature” also holds potential for unification education as they can show the students the concepts and scopes of Korean literature more broadly and, at the same time, orient them toward unification by including even the “North Korean novels” and the works of overseas Korean writers in the sections of Korean literature and putting an emphasis on their linkage to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course of education. The choice of North Korean novels will have certain significance as an attempt to provide education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further and help the students accept multicultural values in the upcoming eras of rapid changes in advance.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 ‘문학’ 교과서에 반영된 당 문예정책의 변화양상 연구 - 2014년판 고급중학교 1, 2, 3학년『국어문학』을 중심으로

        김경숙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3 한국문학과 예술 Vol.48 No.-

        North Korea reorganized its textbooks in 2013 ~ 2015 right after the Kim Jong-un regime came into power. It was a full-scale new organization for the old textbooks that were revised in 1997 during the Kim Jong-il administration. The reorganization direction for the "Literature" textbooks was especially unconventional. The Kim Jong-un regime reorganized the content and form of description in a whole new way for the "Literature" textbooks first right after its grasp of power, and it implies that the regime chose completely different perceptions of reality and political lines from the old regimes. The new "Korean Literature" textbook of 2014 shows considerably ground-breaking changes in three aspects. First, it depicts the history of literature according to "classification by topic" a synchronic approach, by escaping from the old "classification by period," a diachronic approach. This is a kind of "dehistoricization" tendency, signifying that the intended value of the times has made a shift from the "tradition of the past" to the importance on "present life." Secondly, the textbook contains mainly works of "popular culture genres" including movies, lyrics, and essays instead of the old composition focused on "literature genres" including poems, novels, and plays. This is a kind of "pragmatism" tendency, signifying that the communication methods between the Party and the people have changed from "ideological purity" to the pursuit of "emotional sympathy." Third, the textbook chooses creative subjects mainly among "rising writers and unprofessional writers" with low or no recognition instead of "established writers" with high recognition. This is a kind of "generational shift" tendency, signifying that the social subject has moved from the pivot of "the middle-aged" to the "young people." Finally, the policy of map criticism has been changed from 'ideological orientation' to 'reality orientation'. This is a kind of 'universal nationalization' trend, which means that the practical conditions of North Korean society have changed to require 'real values' rather than 'ideal values'. The common denominator of these three changes in the reorganization direction of the "Literature" textbook in North Korea under the Kim Jong-un regime is a movement to overturn and degrade the old things. This proves that cracks have happened to rule by the Juche Idea and Baekdu Lineage as the basis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means that a need has risen to understand and interpret objectively the reality of the times itself again. It tries to reinforce the elements of reality reflection and focus further on the life of people as its basis by returning to the broad principle of the socialist realistic literature. It is the directionality of the changes intended by the Party's literary policy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Literature" textbooks during the Kim Jong-un era.

      • KCI등재

        2015년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의 현대시조 제재 수록 현황과 과제

        김태경 한국시조학회 2023 시조학논총 Vol.59 No.-

        In this study, we analyzed 82 Korean textbooks (10 types),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12 types), and literature textbooks (10 types) revised in 2015 for first and third graders of middle school to find parts containing modern Sijo and examine the pattern of use of sanctions. First, we evaluated the cases in which modern Sijo was adopted in the main and sub-sanctions and examined what achievement standards were combined.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an example of the use of modern Sijo as main sanction is mul, su, Je, bi by Jeong Wan-yeong. This work has been used to learn the concept of rhyme and the principle of formation, which is an individual idea and literary expression method in the area of ​​Literature Acceptance and Production. The works included as subtitles include Rereading Part of Speech by Literary and Muhak and Garangbi by Jeong Wan-yeong. As both works are linked to the content of “grammar” rather than the “literature” area, one can observe the diversity of use of modern Sijo sanctions. In addition, two original poems were written by non-authors as an activity to build a modern Sijo by referring to the original Sijo. However, in both cases, the second note was out of the standard of the Sijo, in which the last note had to be of five or more characters. In the case of high school Korean/literature textbooks, we could not find any examples of modern Sijo used as a main sanction. However, two works (Moon = Late Night Food by Kim Si-yeon and Smiling Sin by Shin Yang-ran) were included as examples for learners to create Sijo in the Korean textbook of modern Sijo, which was used as a subtitle. Moreover,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he seventh case was used in the area of ​​Character and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first in the area of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due to the subtitle of the modern Sijo. The former case was related to the achievement standard [12 Literature 03-03], which explores and appreciates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spects of Korean literature; the latter was related to achievement standard [12 Literature 02-01]. Next, although the text of modern Sijo was not directly presented, we found several activities for creating modern Sijo and explor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ctivity patterns related to Sijo creation. We identified activities for learners to create modern Sijo in various ways: four times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five times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nd once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current status and usage patterns of modern Sijo sanctions in middle school Korean and high school Korean/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xamines the reality of Sijo literary education. 본 연구는 2015년 개정 중학교 1~3학년 국어 교과서(10종)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12종), 문학 교과서(10종) 총 82권을 분석하여, 현대시조가 수록된 부분을 찾고 제재 활용 양상을 점검해 보았다. 우선, 현대시조가 본제재와 부제재로 채택된 사례를 확인하여 어떤 성취기준과 결합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경우, 현대시조가 본제재로 활용된 사례로는 정완영의 「물,수,제,비」가 있다. 이 작품은 핵심개념 <문학의 수용과 생산> 영역에서 개성적인 발상과 문학적 표현 방법 중 하나인 운율의 개념과 형성 원리를 학습하는 부분에서 활용되었다. 부제재로 수록된 작품으로는 문무학의 「품사 다시 읽기」와 정완영의 「가랑비」가 있으며, 두 작품은 모두 ‘문학’ 영역에서가 아닌 ‘문법’ 내용과 연결되어 현대시조 제재 활용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밖에 비작가의 창작 시조가 두 편 수록된 것을 발견하였다. 창작 시조를 참고하여 현대시조를 지어보는 활동이었다. 그러나 두 편 모두 종장 둘째 음보가 다섯 자 이상의 과음보가 되어야 하는 시조의 정형에서 벗어나 있었다.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의 경우, 현대시조가 본제재로 활용한 사례는 찾을 수 없었다. 다만 부제재로 활용된 현대시조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는 1회 두 작품(김시연의 「달=야식」, 신양란의 「웃은 죄」)이 함께 학습자의 시조 창작을 위한 예시로 수록되었다. 또,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서는 현대시조 부제재로 7회가 ‘한국 문학의 성격과 역사’ 영역에, 1회가 ‘문학의 수용과 생산’ 영역에서 활용되었다. 전자의 사례는 모두 한국 문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하고 감상하는 성취기준 [12문학03-03]과 연관되었으며, 후자는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비교 분석하는 성취기준 [12문학02-01]과 연결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현대시조 텍스트를 직접 제시한 것은 아니지만, 현대시조를 창작해보는 활동이 여러 차례 발견되어, 시조 창작과 연관된 성취기준과 활동 양상 등도 탐구해 보았다. 그 결과, 중학교 국어 교과서는 4회,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는 5회,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는 1회,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자가 현대시조를 창작하는 활동을 찾을 수 있었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은 이제 막바지에 이르렀고,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이 고시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시조 제재 현황과 활용 양상이 2015년 개정 교육과정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탐색하고 시조 문학교육의 실체를 분석하는 후속 논의에 발판이 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