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문교과교육에서 한자교육연구의 특수성

        허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0 漢字 漢文敎育 Vol.48 No.-

        Whether it is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School, Literary Sinitic study or Han-character education, Han-characters is an essential element of all these educational contents. Han-characte education is a necessary contents in all aspects of education and utilization of Sino-words and Literary Sinitic. On the contrary, if there is no need for the use of Han characters or the value of words and Literary Sinitic, education related to Han-characters will also lose its useful value when it is no longer necessary. In this way,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School, is not a subject that exists or should be done because of the education or utilization of Han-characters, but the necessity and goal of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School, are fully recognized, and Han-characters are learned to achieve this need and go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specificity of Han-character education research covered by Han-character education through discrimination from Han-character studies. Through this research, we once again confirmed that Han-character studies are humanities and Han-character education is curriculum education. The research goals of humanities and curriculum education are not the same. Only using same characters as one of the subjects of the same study, these two areas have different orientations. Han-character education in the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formal School, is a means factor to achieve the goal of the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School, and the Han-character education itself cannot be the purpose. Therefore, the education related to Han-characters should be defined and prescriptive,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variable according to the goals of the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its own case and its own type. 본 연구는 한문교과교육에서 다루는 한자교육연구의 특수성을 한자학 연구와의 변별성 비교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한자교육연구의 필요성을 인정받기 위한 첫 단계는 미래의 인재가 한문교과의 학습을 통해 취득될 수 있는 지식과 정보가 미래사회에 왜 필요하며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리적 설득을 통한 사회적 합의이다. 한문교과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의 바탕 위에서 한자교육의 필요성을 논하고, 한자교육연구에 관련된 여러 논의를 정치하게 할 수 있다. 본고에서 밝혔듯 한문교과에서의 한자교육은 중국어교육이나 일본어교육에서 말하는 한자교육 이나, 인문학 연구로서의 한자학 연구의 성과를 수용하는 것과는 다른 연구 영역이다. 한문교과에서 의 한자교육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합의된 한문교과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된 내용 요소의 선정과 위계화를 충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한자와 관련된 제 요소를 재규정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교수-학습, 평가하-는- 도구를 개빌히여 적용함 수 있는 내용 체계와 .요소를 개발• 적용한을 목적으로한다.

      • KCI등재

        『재물보』「식음」에 나타난 음식 물명의 사실성에 관한 연구

        주영하 한국역사민속학회 2022 역사민속학 Vol.- No.62

        This study examines the categories and records of foods appearing in the “Sigeum” [Comestibles and potables] section of the Jaemulbo [A polymathic manual] by Yi Manyeong 李晩永 (1748–1871), through which to investigate the factuality of the food names introduced in it. I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names that Yi Manyeong marked “sok” 俗 (‘vernacular’) to see if they were translated from Sinitic names written Chinese characters or actually used as they were in everyday life. Previous studies have assumed that the Jaemulbo informed us of the names used in the daily life of Chosŏn Korea, but the analysis in this study suggests that such an assumption is not justif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igeum” predominantly adopted names directly from ancient Chinese records and explained them in literary Sinitic. (2) There are a number of Sinitic names that were not found in other Chosŏn records. (3) It contained quite many Sinitic names helpful to literati in their reading and writing. (4) For Sinitic names that were added with Korean names in Hangeul, the Hangeul names were mostly simple translations of the Sinitic. (5) Although there were names of Chosŏn-Korean foods, they amounted only few. (6) The “Sigeum” also included the names of tools to make food. (7) No more than eighteen names that were marked “sok” were accounted for in the actual Chosŏn food culture. Therefore, I conclude that the “Sigeum” of the Jaemulbo only partially reflects the dietary of the era when Yi Manyeong lived, and most of the contents were far from the factuality. 본고는 이만영(李晩永, 1748~1817)의 재물보(才物譜) 가운데 식음(食飮) 의 분류와 내용을 분석하여 음식 물명의 사실성(事實性) 여부를 살피는 글이다. 필자는 이만영이 한글과 출처로 ‘속(俗)’이라고 붙인 물명이 한자의 번역어인지, 아니면 일상에서 실제로 사용된 것인지를 주로살폈다. 앞선 연구자들은 재물보를 조선시대 사용된 물명의 구체적인 명칭을 알 수 있는 고문헌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식음 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앞선 연구자들의 주장이 틀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다음은 식음 의 물명 서술이 지닌 특징이다. (1) 고대 중국 문헌에서 한자 물명을 가지고와서 그에 대한 한문 설명을 주로 하고 있다. (2) 조선시대 문헌에는 나오지 않는 한자 물명이 적지 않다. (3) 지식인의 독서와 집필에 필요한 한자 물명이 많은 편이다. (4) 한자 물명에 한글이붙은 경우, 대부분은 한글 번역어이다. (5) 조선음식의 물명도 적혀 있지만 그 양이 많지 않다. (6) 음식 문목에 그것을 만드는 도구의 물명을 넣었다. (7) 조선의 실제 모습에 근거한 ‘속’이 붙은 물명은 18가지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필자는 이만영의 재물보 식음 의 내용이 당대의 식생활을 일부 반영했을 뿐, 대부분의 내용은 실제의 사실성과 거리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고전문언문(한문) 기계번역용 말뭉치 구축 방안 제안

        허철 한국중문학회 2022 中國文學硏究 Vol.- No.88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artificial knowledge machine translators has opened a new knowledge contact way for human beings. Most machine translators, especially the special Sinitic literary-Korean translators, have also been made public and used. In this reality, rather than pointing out the problem of using machine translators, it is more efficient and future oriented to focus on how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machine translators in the past. What has an absolute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Sinitic literary- Korean translators is the quality of data that is ultimately invested in learning. This study sets up and proposes a guide to the construction of parallel corpora for Sinitic literary-Korean machine translation. It is hoped that through discussion, we can recognize the role of traditional humanities researchers in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achine translation, and that it is also re-recognize traditional humanities research which is a necessary part of the future technological development. “인공신경망 기계번역(NMT: Neural Machine Translation)”의 기술 발전은 인류에게 새로운 지식 접근의 창구를 열어주었다. 다수의 기계번역기가 이미 상용화되었으며, 고전문언문(한문) 번역기 또한 이미 한국과 중국에서 공개되었다. 이제는 기계번역의 품질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사용 여부를 논쟁하기보다는, 어떻게 하면 기계번역기의 성능을 고도화시킬 것인가에 집중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미래 지향적 태도이다. 고전문언문(한문) 기계번역기의 성능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기계번역 알고리즘과 학습데이터이다. 알고리즘의 발달은 기술적 발전으로 여러 시행착오와 아이디어를 통해 극복되고 있으나, 기계번역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문제는 여전한 숙제이다. 학습 데이터의 품질 문제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다. 고전어와 현대어의 언어적 특성의 차이를 밝히고 단일 원문에 현존하는 번역이 너무나 다양한 ‘一對多’의 상황 속에서 ‘무엇을’ ‘어떻게’ ‘선별 수정’하여 최선의 결과물을 취득할 수 있을가라는 ‘자료의 특성화’와 ‘선별’, ‘수정’의 시각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전문언문(한문) 기계번역을 위한 병렬말뭉치 구축의 어려움과 구축 시에 고려할 점, 그리고 실제 구축과 관련된 작은 지침을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제시된 지침이 고전문언문(한문) 전체를 아우르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다양한 논의를 통해 기계번역이라는 새로운 시대의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전통 인문학 연구자들의 역할이 절대적’이라는 인식의 전환과 함께 ‘기존 전통 인문학 연구 성과가 기술 발전과 고도화에 필수적이고 기초 토대’임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조선총독부 중등용 조선어급한문 독본 한문부(漢文部)의 변천 과정 -한국 한문 전적의 수용과 편찬을 중심으로-

        임상석 ( Lim Sang-seok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1 No.-

        중등학교에서 사용했던 조선총독부 발행 조선어급한문 독본들은 조선어와 한문의 언어적 능력을 가르칠 뿐 아니라, 조선의 문화와 전통에 대해 서술한 거의 유일한 총독부의 교재였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또한 이 독본들은 여러 차례 개정되어 일제 식민지 정책의 변천에 따라 조정된 조선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정책적 인식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그 가운데 세 가지 개정판 즉, 1)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1913, 이하 고등독본), 2)신편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1924, 이하 신편독본), 3)중등교육조선어급한문독본 (1932, 이하 중등독본)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 한문 전적들의 수용과 편찬의 성격을 조명해 보는 것이 이 글의 논제이다. 고등독본에서 한국 전적은 짤막한 교훈담 위주로 편성되어 경사자집과 일본 전적의 보조적 역할에 그쳤기에 이를 통해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파악하기 힘들다. 신편독본에서 한국 전적은 오히려 일본 전적보다 비중이 커지고 역사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편성된다. 그러므로 이를 통해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다소간 파악할 수 있으나, 한문 학습의 본령은 경사자집에 배치된 형태였다. 중등독본에서 일본 전적은 보조적인 위치에 배치되고 경사자집과 한국 전적은 분량과 한문 학습의 심도에서 동등한 위상을 부여받게 된다. 또한, 독본의 편찬 과정에서 검열과 유사한 수정이 한국 한문 전적들에게 더해진 과정도 제시했다. Besides its instructive task, the learning of Korean and Literary Sinitic, Government General Korea’s(hereafter, GGK) Korean and Literary Sinitic Readers for middle schools are almost sole textbook for apprehending Korean culture tradition in GGK’s colonial education. Also, they are the indicator to grasp the transitional phases in GGK’s policy through their editorial transformations. In this paper, I debate the compiling process and its orientation modification of Korean literary Sinitic documents in GGK’s readers with three representative editions: 1)Advanced Korean and Literary Sinitic Readers(1913, hereafter GGK1913); 2)New Edition of Advanced Korean and Literary Sinitic Readers(1924, hereafter GGK1924); 3)Korean and Literary Sinitic Readers for Middle Schools(1932, hereafter GGK1932). At first, GGK1913 adopted Korean documents are mainly simple didactic anecdotes without considering Korean culture tradition. From GGK1924, Korean documents are enhanced and have major position than that of Japanese Sinitic documents with limited apprehension for Korean history but main instructive role is assigned to Sinitic Classics(經史子集). Finally in GGK1932, Korean documents have equal position with Sinitic Classics in its curriculum stages. In addition, I represent the concealed censorship process in GGK reader’s the revising aspects of Korean literary Sinitic documents.

      • KCI등재

        조선총독부 중등용 조선어급한문 독본의 편찬 방식과 정책적 차별 -조선과 조선어의 위상 변화를 중심으로-

        임상석 ( Lim Sang-seok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3 No.-

        총독부의 중등용 조선어급한문 독본의 1913년 최초 간행본과 이것에 대한 2차에 걸친 개정판은 일제 교육/어문 정책에서 설정한 조선어와 조선의 교재로서의 위상과 그 변천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그리고 편찬 방식에서 국어인 일본어와 고전어인 한문에 대한 조선어의 정책적 차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1913)에서 조선어는 한문과 일본어에 종속된 양상이었으며 조선인의 조선어는 부정되었고, 교재로서의 조선도 학습 과정에서 거의 배제된 상태였다. 3.1운동으로 대변되는 식민지 조선인의 문화/교육적 역량의 확장과 저항은 신편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1924)에 반영되어 조선어는 비로소 한문에서 독립하여 교재로서 독립적 위상을 가지게 되었으며 조선의 역사와 문화도 일정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중등교육조선어급한문독본(1933-1937)은 식민지 조선인의 조선어가 교재로 큰 비중을 가지고 편성되며, 한문 교재는 조선인의 전적을 중심으로 편성된다. 그러나 조선인의 한문 문장에 대해서는 저자와 저본을 공인하나 조선인의 조선어 문장들에 대해서는 이를 은폐하는 이중적 편찬 방식은 정책의 차별성이 그대로 유지된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독본이 완간된 1년 후에 신체제와 조선어 말살 정책이 시작된 것은 일제 식민지 운영의 기회주의적 속성을 적시한다. 총독부 조선어급한문 독본의 역동적인 개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조선과 조선어의 교재적 위상의 변천은 일제 내부에서 확장되고 심화되던 조선인들의 언론과 교육 운동의 역량과 그 발전을 우회적으로 보여주는 증거이다. 그러나 끝까지 공인되지 못한 식민지 조선인의 조선어는 총독부 체제에서 실질적 참정권을 부여받지 못한 조선인의 차등적 지위와 일맥상통한다. Government General Korea(hereafter GGK) issues Korean and Literary Sinitic Readers for middle schools(hereafter the readers) in 1913 and revises them twice. As the readers represent the status of Joseon and Joseoneo in colonial linguistic and educational policy, they display the discriminative policy of Joseneo against Japanese, the Gokugo and Literary Sinitic, the classical language, in their editorial processes. In the first edition of the readers(1913), being dependent to Literary Sinitic and Japanese, Korean’s Joseoneo is neglected and Joseon is almost excluded as teaching material. In the second edition of them(1924), as the reflection of colonial Korean’s nationalistic resistance and the enhancement of Joseoneo’s cultural assets, can be represented by 3.1 independence movements, Joseoneo can be independent from Literary Sinitic and culture and history of Joseon occupy significant extent as teaching material. In the third edition of the readers(1933-1937), colonial Korean’s Joseoneo texts are composed as teaching material for the first time with significant location and Literary Sinitic texts are mainly edited with works of pre-colonial era Koreans. Though, in third edition’s dualistic editorial process between Joseoneo and Literary Sinitic, discriminative policy for the former is still remaining; for instance, authors and original scripts of former are concealed but those of latter’s are specified. Also just after one year from the complete publishing of the third edition, the New System era and the prohibition of Joseoneo begin, which clarify the opportunistic essence of Japanese colony. The dynamic transition in the revision of the readers and the transformative status of Joseon and Joseoneo as teaching material, are detouring evidences for proving the extension of colonial Joseoneo’s mass communication and education capabilities. However finally, the Joseoneo of Korean is not officially approved in the readers as the status of colonial Korean, the second-degree citizen of Japanese empire in GGK.

      • KCI등재

        한중(韓中) 언어접촉(言語接觸)의 관점(觀點)에서 본 한국(韓國) 한자문(漢字文)

        伊藤英人 ( Hideto Ito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4

        한반도 최초의 變則漢文, 즉 한자문의 예는 中原高句麗碑에서 발견되는데 한자권에 있어서의 최초의 變則漢文의 例이기도 하다. 新羅는 6世紀에 高句麗에서 漢字漢文을 導入하였다. 字吐, 點吐 等을 利用한 釋讀이 新羅에서 開發됨으로써 中國語를 직접 新羅語로 읽을 수 있게 되었는데 이 時期에는 韓國漢字音이 成立된 時期이기도 하였다. 韓國漢字音의 確立은 모든 中國語 語彙를 漢字語라는 借用語로 만들 수 있게 하는 機制이다. 釋讀과 自國語 漢字音 確立, 이 두 機制를 筆者는 對抗中國化라 부른다. 이를 통해 中國語話者化됨이 없이 모든 中國 文獻에 接近할 수 있게 됨으로써 言語的 獨立性이 維持되게 된 것이다. 韓國 漢字文의 特徵을 闡明하기 위한 試圖의 하나로 本稿에서는 朝鮮時代 末期의 公案小說의 吏讀文을 中國語學의 立場에서 分析하였다. 訓民正音 頒布에 의해 民族言語의 全面的 文字化가 可能하게 되었는데도 不拘하고 18世紀 以後 漢文 및 漢字文의 使用이 增大하였을 뿐만 아니라 漢詩를 한글로 적는 例가 存在하게 된다. 韓國 漢文 및 漢字文에 대한 中國語學的 觀點으로부터의 硏究가 必要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oldest example of deviant Literary Sinitic in Korea can be found in the inscription of Koguryo stele in Chungju built in the 5<sup>th</sup> century, which can also be regarded as the first example of deviant literary Sinitic in the Sinographic Cosmopolis. Chinese writing system was introduced to Silla by Koguryo people in early 6<sup>th</sup> century. Because Chinese characters were learnt from non-native speakers of Chinese, people in Silla lacked the ability of colloquial Chinese even though they had started Chinese characters for administrative purposes at the beginning of the century. A system known as sektok emerged in Silla period, which involved using Chinese text with diacritical marks known as cemtho/catho to allow Korean speakers to restructure and read Chinese sentences, by changing word order and adding particles and verb endings,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f Korean grammar, a device for reading Classical Chinese texts directly in Korean. Sino-Korean reading system also emerged in Silla period, phonetically recreated readings of the Chinese pronunciation, which allowed all Chinese vocabulary to be rendered as loanwords. These two devices can be regarded as processes of the counter-Sinicization, which prevented Korean from linguistically being Sinicized, since they could access all literature in Chinese without knowledge of colloquial Chinese. Chinese writing system was also used to write Korean, which later referred to as Idu writing system. In order to investigate features of Korean deviant literary Sinitic, examples of deviant Literary Sinitic in a short story written in the 19<sup>th</sup> century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linguistics. Although Hankul alphabet system was invented in the 15<sup>th</sup> century, which enabled speakers of the Korean language to write their vernacular perfectly, use of Classical Chinese increased after the 18<sup>th</sup> century in Korea. After the 18<sup>th</sup> century, not only Classical Chinese and deviant literary Sinitic were widely used, but also Chinese poems were written in Hankul alphabet. Korean linguistics has long been concentrated on Korean materials. Further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linguistic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s of Literary Sinitic in Korea.

      • KCI등재

        韓中 言語接觸의 觀點에서 본 韓國 漢字文

        이토 히데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4

        The oldest example of deviant Literary Sinitic in Korea can be found in the inscription of Koguryo stele in Chungju built in the 5th century, which can also be regarded as the first example of deviant literary Sinitic in the Sinographic Cosmopolis. Chinese writing system was introduced to Silla by Koguryo people in early 6th century. Because Chinese characters were learnt from non-native speakers of Chinese, people in Silla lacked the ability of colloquial Chinese even though they had started Chinese characters for administrative purposes at the beginning of the century . A system known as sektok emerged in Silla period, which involved using Chinese text with diacritical marks known as cemtho/catho to allow Korean speakers to restructure and read Chinese sentences, by changing word order and adding particles and verb endings,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f Korean grammar, a device for reading Classical Chinese texts directly in Korean. Sino-Korean reading system also emerged in Silla period, phonetically recreated readings of the Chinese pronunciation, which allowed all Chinese vocabulary to be rendered as loanwords. These two devices can be regarded as processes of the counter-Sinicization, which prevented Korean from linguistically being Sinicized, since they could access all literature in Chinese without knowledge of colloquial Chinese. Chinese writing system was also used to write Korean, which later referred to as Idu writing system. In order to investigate features of Korean deviant literary Sinitic, examples of deviant Literary Sinitic in a short story written in the 19th century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linguistics. Although Hankul alphabet system was invented in the 15th century, which enabled speakers of the Korean language to write their vernacular perfectly, use of Classical Chinese increased after the 18th century in Korea. After the 18th century, not only Classical Chinese and deviant literary Sinitic were widely used, but also Chinese poems were written in Hankul alphabet. Korean linguistics has long been concentrated on Korean materials. Further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linguistic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s of Literary Sinitic in Korea. 伊藤英人, 2018. 한중 언어접촉의 관점에서 본 한국 한자문, 어문연구, 180 : 27~62 한반도 최초의 變則漢文, 즉 한자문의 예는 中原高句麗碑에서 발견되는데 한자권에 있어서의 최초의 變則漢文의 例이기도 하다. 新羅는 6世紀에 高句麗에서 漢字漢文을 導入하였다. 字吐, 點吐 等을 利用한 釋讀이 新羅에서 開發됨으로써 中國語를 직접 新羅語로 읽을 수 있게 되었는데 이 時期에는 韓國漢字音이 成立된 時期이기도 하였다. 韓國漢字音의 確立은 모든 中國語 語彙를 漢字語라는 借用語로 만들 수 있게 하는 機制이다. 釋讀과 自國語 漢字音 確立, 이 두 機制를 筆者는 對抗中國化라 부른다. 이를 통해 中國語話者化됨이 없이 모든 中國 文獻에 接近할 수 있게 됨으로써 言語的 獨立性이 維持되게 된 것이다. 韓國 漢字文의 特徵을 闡明하기 위한 試圖의 하나로 本稿에서는 朝鮮時代 末期의 公案小說의 吏讀文을 中國語學의 立場에서 分析하였다. 訓民正音 頒布에 의해 民族言語의 全面的 文字化가 可能하게 되었는데도 不拘하고 18世紀 以後 漢文 및 漢字文의 使用이 增大하였을 뿐만 아니라 漢詩를 한글로 적는 例가 存在하게 된다. 韓國 漢文 및 漢字文에 대한 中國語學的 觀點으로부터의 硏究가 必要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한자문화권 한문(古典文言文) 교육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영역에 관하여

        許喆(Heo, Chul)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6 No.-

        漢文(古典文言文)은 漢字라는 문자체계와 고대 중국어에 기반한 어법형식을 공유한 文言을 가르킨다. 한문(고전문언문)은 중국에서 발생한 이후에 중세 시기를 거치면서 중국과 중국의 주변 국가에서 자국어문과 함께 사용되면서 관어(官語)이자 지식과 문화 교류, 축적과 생산의 도구였다. 이런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개별 국가들은 전근대 어문 개혁 이후에도 한문(고전문언문)을 死語化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으로서의 한문(고전문언문)의 가치와 필요성을 인정하고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한문』교과’라는 제한된 영역을 벗어나 현재 각 지역과 국가에서 시행되는 한문(고전문언문) 교육과 관련된 제 연구의 필요성과 그 구체적 연구 영역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통적 한자문화권에 속하였던 각 지역과 국가에서 시행되는 한문(고전문언문) 교육을 검토하는 것은 본 연구가 첫째, 개별 지역과 국가를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이며, 둘째, 한문 교과 내적으로 볼 때는 한국에서의 한문 교과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이나 교재, 평가의 방법 등의 모색해 이바지해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셋째, 한국 뿐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의 한문(고전문언문) 교육이 추구해야 할 목표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제기와 더불어 그 해결 방안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으며, 넷째, 한문(고전문언문) 교육이 새로운 한자문화권의 고유한 특성 교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 Literary Sinitic refers to the Han-character system and to the form of grammar based on ancient Chinese. Literary Sinitic was a standard language and instrument of knowledge, cultural exchange, accumulation and production after the outbreak in China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out the Middle Ages. Due to this historical background, individual countries recognize and maintain the value and need of Literary Sinitic as an education, despite the abolition of Literary Sinitic after the reform of the pre-modern language.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for my research and specific areas of research related to Literary Sinitic education currently implemented in each region and country, beyond the limited scope of Han Mun in Korea. Reviewing the Literary Seminary education in each region and country that belonged to traditional Sino-sphere is another way of understanding individual regions and countries, and secondly, within the Literary Semantic curriculum, we can not only explore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textbooks, evaluation methods, etc.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fundamental study that can establish itself 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new Sino-sphere.

      • KCI등재

        한국 한문산문의 서술문체 및수사논리와 역사문화적 기능

        심경호 한국한문학회 2023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7

        This paper studies the historical fact of Korean Sinitic prose's narrative style and rhetorical structure. The mainstream of Korean Sinitic prose was composed of literary structure from Qin~Han era Hundred Schools of Thoughts and classical prose style which follows retro codes since Han Yu's established compositions. However, in Korea, not only these classical style prose was acknowledged, but also the Idu script style (Chosŏn style Sinitic literature) and parallel prose have thrived, and the Buddhistic literature occupied a certain position. In the late Chosŏn period, the literary circles of Chosŏn developed aesthetical aspect of Sinitic prose, referring to Ming dynasty archaist's writing style which experimented archaistic literature to mimic pre∼Qin era compositions and vignette style to express one's feelings and subjective thinking in short writing. Korean Sinitic prose was appreciated with its distinct value in historical and cultural field, adopting themes, e.g. resistance to foreign influence, awareness on the national boundary, history of the nation, native language and literature, the civilization's independency, re∼acknowledge on the national emotion and marginalized national members, and re∼discovery of homeland, just as the general Korean Sinitic literature did. In addition, Sinitic prose retained archival and logical value beyond the literature in the narrow definition, being utilized in recording history and conducting science. Sinitic prose also vividly presents the aim to advocate the orthodox learning in Ŭiŭi (the demonstration and commentary) style prose, establish a personal theory in excerpt and compilation style prose with sceptical attitude toward the meaning of orthodox learning. Some literati even sought a concrete literary system of Sinitic prose. 이 논문은 한국 한문산문의 서술문체와 수사논리학에 관해 개괄하고 그 역사문화적 기능에 대해 탐색했다. 한국 한문산문은 秦漢 經史諸家의 문언어법과 韓愈 이래 복고적 산문의 어법을 준수하는 고문이 주류를 이룬다. 단, 문언어법의 고문 이외에, 이두식 한문(조선식 한문)과 변문이 함께 발전했으며, 불교식 한문 또한 일정한 위상을 점유했다. 조선후기에는 명 복고파 문인들이 선진 문언을 모방한 擬古文, 서정과 주관적 사유를 단형으로 표현하는 小品文의 行文 방식을 참조하면서 산문의 예술 미학을 발달시켰다. 한국의 한문산문은 역사문화의 場에서 독특한 가치를 인정받았다. 한국한문학 일반이나 마찬가지로 외세에 대한 저항의식의 표출, 국경 의식의 고양, 민족역사에 대한 관심 표명, 자국 언어 및 자국 문학에 대한 관심 표명, 독자적인 문명의식, 민족 정서의 재발견과 소외된 민족성원에 대한 재인식, 국토산하의 재발견 등을 주제로 삼아 왔을 뿐 아니라, 협의의 문학성을 넘어서 기록성과 논리성을 확보하면서, 사실 기록과 과학 연구에서 중요한 문체로 활용되었다. 또한 한문산문은 정통 교학을 옹호하려는 지향을 疑義 등의 문체를 통해 뚜렷하게 드러내는 한편으로, 敎學의 함의를 재조정하고 회의하는 정신을 문헌의 절록과 집록에 담으면서 自說을 구축했으며, 일부 지식인은 體例를 모색했다.

      • KCI등재

        韓國內外漢文古籍語義網現狀及啟示

        신웅철,임영길,이해윤,최지연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2 한자연구 Vol.- No.34

        Knowledge information structuring is one of the most suitable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semantic searc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other digital technology integration. Digital technology can not only access massive amount of ancient materials, shorten data analysis time, but also visualize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data visualization function. From these two aspects,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to humanities research is very valuable. However, the fundamental question is “Is it valid to use machines to analyze and structure contemporary human thinking systems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How many valid and meaningful results can be obtained from such research?”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e topic “Research on structuring the knowledge information of Literary Sinitic tex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processing technology” and use it as an opportunity to reorient the future research of the project. To this end, this paper introduces the current status and shortcomings of the research on ontologies and semantic webs related to Literary Sinitic and Sinographs in Korea and abroad, points out the issues and difficulties that must be solved to construct the semantic web of Literary Sinitic texts, and then looks forward to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the vocabulary of Literary Sinitic texts with the help of machine. It is hoped that this paper can raise the attention of the academic community to the study of Literary Sinitic vocabulary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