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21세기 한국한문학사 서술의 여러 문제 -여성문학사의 입장에서-

        박무영 ( Park Moo-young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4

        본고는 새로 쓰게 될 21세기 한국한문학사의 서술에 여성문학사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 탐색해본 논의이다. 한국한문학사와 여성문학사는 쉽게 제휴하기 어려운 태생적 기반을 지닌다. 한국한문학의 자료와 역사는 남성문화에 기반을 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랜 여성배제의 결과이기도 하다. 최근 여성문학사에 대한 관심은 한국한문학사에서도 여성의 흔적을 찾는 일을 진행시켜왔고, 무시하기 어려운 성과를 거두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여성문학사의 성과를 기존 한국한문학사에 단순히 기입해 넣는 방식의 제휴는 문학사의 기본 성격을 간과한 것이라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문학사란 무엇보다도 사관의 산물이고, 사관에 따른 전적으로 새로운 구성과 논의의 장을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고전여성문학사와 한국한문학사의 병립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였다. 각각 남성젠더적, 여성젠더적 성격을 분명히 하고 상호 참조하는 방식으로 병립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덜 폭력적인 방식이라는 주장이다. 상호참조를 통해 젠더적 균형감각을 획득하는 것은 남성젠더로서의 한국한문학사의 서술에서도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이 점이 한국고전여성문학사가 21세기 한국한문학사 서술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방식이라는 것이 본고의 잠정적 결론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what women`s literary history can contribute to writing new Sino-Korean literary history in 21 century. The fundaments of Sino-Korean literary history and women`s literary history hamper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That is because materials and history of Sino-Korean literary history are based on male culture. The field is a consequence of the long exclusion of women. Admittedly, recent attention for women`s literary history has been discovering the traces of women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and made achievements which cannot be ignored. However, simply writing achievements of study of women`s literary history into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cannot be the desirable method of collaboration. We should not neglect the intrinsic nature of literary history. Literary history is a product of certain view of history above all, and it demands an entirely new structure and field of discussions. Thus, it is desirable that the history of women`s literature and that of Sino-Korean literature stand side-by-side. It must be the most effective and least violent way if each of them clarify their masculine or feminine gender qualities and refer to each other. Obtaining balanced sense of gender through cross reference would also be essential for writing masculine gendered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It is the provisional conclusion of this article that this is the most desirable method that the history of Korean women`s literature can contribute to writing the history of Sino- Korean literature in 21 century.

      • KCI등재

        한국한문학사 서설 -국문학과의 통일적 인식을 위한 구상-

        임형택 ( Lim Hyong-taek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4

        이 글은 `한국한문학사 서술의 제문제`란 주제로 열렸던 한국한문학회 제11차 전국대회 석상에서 기조강연으로 발표했던 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국문학과 한문학의 통일적 인식을 주요 의제로 설정하였다. 시간대는 한국문학사의 상고에 해당하는 삼국시대의 출발 지점(기원전 1세기 무렵)에서 고려 이전 10세기로 잡고 있다. 한자의 도입이 언제인가를 검토한 다음, 한자문화의 수용과 한문학의 성립으로 단계를 구분지어서 고찰한다. 국문학계의 기존의 통설을 비판하는 데에 역점을 두고 있는 바, 시가와 산문두 방향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시가에서는 종래 漢譯歌로 취급되어 왔던 몇몇 작품들이 원래 한시 형식으로 지어졌다는 견해를 제시한다. 산문에서는 국문학에 일찍이 도입되었던 설화란 개념을 해체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모두 자료 분석에 근거해서 실증적으로 논리를 세우고 있다. This paper is the revision of my key-note speech in 11<sup>th</sup> national academic conference by the Society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By reviewing from early Era of Three States, 1<sup>th</sup> century to 10<sup>th</sup> century just before Goryeoa Dynasty, I attempt to propose the integrative recognition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To debate the received theory about poetry and prose of Korean Literature field, I reconsider the three steps: 1<sup>st</sup> the adoption of Chinese character; 2<sup>nd</sup> the accommodation of the culture in Classical Chinese; 3<sup>rd</sup> the establishment of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Based upon literature proof, I argue that some fundamental Classical Chinese translated poetry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be originall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and, about prose, that Seolhwa(說話), the early adopted genre, shall not be used as academic term in pre-moder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한21세기 한문학 연구동향 분석-『한국한문학연구』를 중심으로-

        김경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5

        This research provides the research trend analysis on Sino-Korean literature of the twenty-first century through utilizing Netminer. The analysis in this research is conducted with the order of frequency-topic modeling-centralit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highest frequencies of keywords are appeared with orders of ‘exchange’, ‘figure’, ‘aesthetics’, ‘late Joseon Dyansty’, and so on. These keywords identify major research objects of researchers’ interests in Sino-Korean literature. Topic modeling method in this research categorizes topics of examined works with ‘book publication in relation to East Asia’, ‘expansions of narratives and excursions’, ‘proses and tributes to women’, ‘Kyunghak, figures and theories’, ‘aesthetics in poetri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Dohak’, and ‘exchange and travel literature of envoys’. Through applying the topic modeling method, this research finds main research themes of Sino-Korean literature of the twenty-first century. Furthermore, it also shows how keywords ident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can be turned into research themes. The centrality analysis identifies ‘proses’, ‘Ming Dynasty’ ‘figures’ as key concepts. Additionally, this research also provides changes of keywords and research themes over tim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finds that research objects and themes of Sino-Korean literature of the twenty-first century have been continued and expanded those of the twentieth century. Furthermore, it finds that the fact that main research themes focus on acceptance, creation and circulation of Sino-Korean literature show researchers’ great efforts to analyze realities, social contexts and enjoyments of Sino-Korean literature. Along with these findings, it suggests to expand research objects, create networks with other academic disciplines and increase accessibility to research objects. 이 글은 넷마이너(Netminer)를 이용하여 21세기 『한국한문학연구』를 대상으로 한문학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의 진행 및 방식은 ‘빈도-토픽 모델링-중심성’이다. 먼저 ‘교류’, ‘인물’, ‘명’, ‘미학’, ‘조선후기’ 등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 같은 키워드를 통해 한문학계 주된 연구대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픽 모델링에서는 ‘동아시아 서적간행’, ‘유람과 서사의 확장’, ‘여성 추모와 산문’, ‘경학, 인물과 학설’, ‘한시 미학과 도학’, ‘교류와 연행기’로 요약되었다. 이를 통해 21세기 한문학의 대표적인 연구 주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앞선 빈도에서 확인된 키워드가 어떤 방법을 통해 연구화되는지를 살필 수 있었다. 중심성에서는 ‘산문’, ‘명’, ‘인물’ 등이 핵심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시기별 변화 추이를 통해 키워드들의 변화 및 연구주제 변화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가 있었다. 결국 21세기 『한국한문학연구』의 핵심 연구대상과 주제들은 2000년 이전 연구의 성과가 지속 확대되었고, 한국한문학회에서 주도적으로 연구를 추동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문학의 창작과 수용, 유통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면서 한문학의 실제와 사회적 맥락, 나아가 향유까지 고찰하려는 시도가 높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한문학 연구대상의 확대, 기타 학문과 연계, 연구 접근성 등이 개선점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고려후기 사문학(詞文學)의 전개 양상과 미적 특질

        하정승 ( Ha Jung Seung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3

        중국문학사에서 詞는 매우 독특한 장르라 할 수 있다. 단순한 문학으로서의 모습만이 아니라 음악적인 요소까지 가미되었기 때문이다. 사는 원래 노래를 위한 악곡의 가사로 출발했다. 하지만 후대로 갈수록 악곡과는 관계없는 사, 즉 순전히 독서를 위한사들이 많아졌다. 이는 한국문학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고려시대 송으로부터 사가 들어온 이후로 한국한시사에서 사는 원래의 목적인 악곡과는 큰 상관없이 창작되었다. 그렇게 된 데에는 노래로서의 말과 시로서의 글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한국한문학 특유의 장벽이 가장 큰 이유였다고 생각된다. 게다가 일찍부터 지어져 왔던 비슷한 장르인 한시가 활발히 창작되고 있었기에 시인들 입장에서는 악보와 평측, 음률 등이 부담이 되는 사의 창작에 열의를 쏟을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이같이 창작하기 힘든 상황에서도 고려조에 시작된 사의 창작은 조선 말기까지 꾸준히 그 명맥을 유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갈수록 사의 작가와 작품 수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최초의 사는 고려 제 13대 왕인 宣宗이 지은 것으로, 그는 요나라의 사신을 접대하는 향연에서 楊柳枝의 詞調에 따라 遼帝의 생일을 축하하는 「賀聖朝詞」를 지었는데, 이것이 한국문학사에 등장하는 최초의 詞이다. 선종 이후로 고려 문단에서 사의 창작은 갈수록 활발하게 이뤄졌는데, 예컨대 고려 문단에서 핵심으로 활동한 시인들인 金克己, 李奎報, 李齊賢, 李穀, 鄭?, 金九容, 鄭道傳, 權近 등이 사를 남기고 있다. 그 외 승려시인으로 유명한 慧諶 역시 사를 지었다. 이를 정리해 보면 현재 작품이 전해지는 고려시대 사의 작가는 10명이고, 작품 수는 110수이다. 이들이 사용한 사패는 30여 가지가 넘고, 그중 가장 즐겨 사용한 것은 ‘巫山一段雲’이며 그 외 望江南, 浣溪紗, 桂枝香慢 등도 자주 사용되었다. 사의 내용을 보면 개인적인 감정을 읊은 서정적인 北宋詞계열의 작품들이 대다수인데, 하지만 북송사의 가장 큰 특징인 남녀간의 사랑을 읊은 花間風의 작품보다는 인생의 허무와 같은 애상조의 작품이 주를 이룬다. Sa(詞) is a very unique genre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poetry. Because it is rhythmical in spite that it belongs to prose genre. Sa(詞) originally starts from song lyrics. As time, however, went on, Sa詞 came to be read for reading itself regardless of singing.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poetry, Sa(詞) was introduced to Koryeo Dynasty from Song Dynasty. Since then, it had been created regardless of its own original purpose as a song. That``s because there was a real barrier between real spoken language as lyrics and written language as poems. Besides, Korean Chinese poetry, a similar genre to Sa(詞) had been already being created actively. Although poets of the day needed not particularly be warming to creation of Sa(詞), it not only remained in existence until late Chosun Dynasty, but also the number of writer and literary works related to it rapidly increased. The first Sa(詞) remain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cy was written by King Sunjong. He wrote Hasungjosa(賀聖朝詞) celebrating the birthday of the emperor of Yao dynasty with it following Yangryuji(楊柳枝). After that, the creation of Sa(詞) became active. For instance, a number of poets such as Kimguki(金克己), Leekyubo(李奎報), Leejehyon(李齊賢), Leegok (李穀), Jungpo(鄭?), Kimguyong(金九容), Jungdojeon(鄭道傳), Kwongun (權近) engaged themselves in writing Sa(詞). Hyesim(慧諶) known as monk and poet also wrote Sa(詞). The number of poets of Koryeo Dynasty who bequeathed works of Sa(詞) is 10 and 110 poems were leaved. They used 30 kinds of rhythms Sapae(詞牌)-Manggangnam(望江), Wangyesa(浣溪紗), Gyejihyangman(桂枝香慢) as well as Musanildanun(巫山一段雲). Poems written by them consists of contents involving personal emotion, as is the case with the line of Buksongsa(北宋詞). But unlike Buksongsa(北宋詞), poems about vanity of life are more predominant than ones about love affai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여말선초 시학사의 구도를 위하여 -방법으로서의 전고(典故)-

        김승룡 ( Kim Seung-ryong ),류재민 ( Ryu Jae-min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5

        이 글은 여말선초 시학사의 구도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존 시학사의 구도는 하나의 線을 이루지만, 그것이 개별 작품을 통해 구체적으로 검증해 낼 수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더구나 여말선초는 일찍이 하나의 흐름으로 파악되어 본 적이 없는 바, 전철을 밟지 않고 새롭게 준비될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여말선초 시인으로 꼽히는 유방선을 중심에 놓고, 시학전통의 계승과 단절을 읽는 방법으로 `典故`를 주목하였다. 유방선은 고려말의 이색ㆍ이숭인ㆍ권근ㆍ변계량(`선배`)의 계보를 이어 받아, 서거정ㆍ 이승소ㆍ성간(`후배`) 등 조선초를 대표하는 문인들을 길러내었다. 유방선은 창작에 있어 표절 혐의를 받을 정도로 앞선 이들의 시문을 적극 차용했는데, 이는 그가 선배들의 시적 성취를 계승해 자신의 창작의 근거로 삼았음을 보여준다. 실제 작품을 통해 검증한 결과, 유방선이 선배의 시적 성취를 차용하여 후배에까지 전수된 시적 표현이 있는 반면, 후배에게 선택받지 못한 표현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정한 시적 표현이 계승되고 단절되는 사이에서 유방선이 연결고리 역할을 했던 것이다. 한시에 있어 전고를 관류하는 핵심원리는 `번역`이라고 할 수 있다. 고려들은 전고 를 번역함으로써 전고 출발지의 서사를 전유하였고, 이는 `또 하나의 전통`(`한국적 전고`)이 되어 그들의 창작을 풍요롭게 했다. 그 창작은 다시 `또 하나의 전고`가 되었고, 조선인들은 이 전고를 번역하여 그들의 시공간에서 창작하였다. 이처럼 전고의 계승과 단절은 새로운 전고의 창신과 파괴로 이어지면서 한반도의 시학사를 구성하고 있었던 것이다. 차후 `전고와 번역`을 화두로 하여 한국한시사의 맥락을 찾고, 그 시적 전통의 계승과 단절을 추적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newly construct history of poetics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In the event of understanding composition of the poetry history through the existing way, the big stream can be comprehended but it cannot be confirmed that it applies to individual works. Particularly, a new way is required for this since it has never been figured out as a single stream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This study will try to grasp the meaning of the succession and discontinuity of the poetic tradition through the `authentic precedent` based on a model of the poet, Yu Bang-Sun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Yu Bang-Sun inherited the genealogy of Lee Saek, Lee Sung-In, Kwon Geun, and Byeon Gye-Ryang in late Goryeo, and brought up the literary persons who are representing Seo Geo-Jeong, Lee Seung-So, Seong Gan in early Joseon. Yu Bang-Sun has actively borrowed the works of his predecessors, enough to be accused of plagiarism when creating poetry. This shows the basis of his own creation by succeeding in the poetic achievements of his predecessors. As a result of verifying through actual works, the poetic tradition borrowed by Yu Bang-Sun continued to the next generations and stopped at him. Yu Bang-Sun played the role of connecting link while the tradition of the poetry history was succeeded and discontinued. The core principle of the authentic precedent in terms of Chinese poem is "translation". Authentic precedent translated by Goryeo`s authors has become a `new tradition` (`Korean authentic precedent`) and enriched their creative work. The creations that were born in such way became `authentic precedent` again. The authors of Joseon made their own creations through translating this new authentic precedent. Thus, the history of Korean poetics was made up through succession and discontinuity of authentic precedent. It is desired that we will find out the context of history of Korean poetics and keep track of the succession and disconnection of the poetic tradition based on the keyword of `authentic precedent and translat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