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싱가포르 오차드 로드 라이트 페스티벌이 도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정현경(Hyun Kyung Ch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현대 도시에는 많은 빛들이 존재하며 그 빛은 신호의 역할 뿐만 아니라 빛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의도된 효과를 보여주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도시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사례로는 의도된 조명의 기능과 특정한 목적으로 계획된 한시적 행사를 꼽을 수 있다. 이 두 가지를 중심으로 조명을 이용한 사례를 통해 특정 도시를 중심으로 한시적으로 전개되는 라이트페스티벌이 도시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특히 페스티벌로 연출된 도시 이미지에 조명이 미치는 효과가 보여주는 부분에 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본 연구는 향후 도시 이미지 변화에 조명과 축제가 끼치는 효과를 분석해 조명 축제만을 분석 하는 것 이외의 것을 찾으려 한다. 연구도시로 선택한 도시의 거주자 및 다양한 목적으로 그곳을 찾은 사람들에게 한시적인 조명축제를 통해 이것이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며, 특정 도시와 낯선 축제 공간을 통해 도시 이미지에 미치는 영 향이 무엇인 가를 찾고자 한다. 도시 이미지는 건축물, 거리, 조경 등 형태가 있는 도시를 형성하는데 적합한 요소들로 구성되어있으며 빛이라는 무형의 요소도 이 중의 하나이다. 조명을 이용한 축제가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라이트 페스티벌의 성공적 개최지로 알려진 싱가포르의 오차드 로드를 롤 모델로 선정해 라이트 페스티벌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여 도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예정이다. 연구 방법은 직접 현장 조사를 한 후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조명의 색채를 분석 하고, 각종 학술 자료와 보도 자료 및 인터넷을 이용한 해외의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한 이론적 고찰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약 2년간에 걸쳐 매 해 크리스마스 연휴기간 동안 오차드 로드에서 개최되는 라이트 페스티벌을 낮과 밤의 조명의 색채 차이 분석을 통해 도시 이미지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있다. 색채 분석을 통하여 오차드 로드의 라이트 페스티벌 기간 동안 축제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조명에 의해 관광과 함께 정서적으로도 감성을 충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정서적으로 감성이 충족되면 이것은 도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진다. 세계적으로 성공적한 라이트 페스티벌은 국가의 문화 브랜드를 널리 알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본 연구 결과가 국내의 조명 디자인 및 라이트 페스티벌 연구와 발전의 기초 자료로 연결되기를 바란다. There are many lights in modern city and not only they give signs but also they show designed effects by using lights. When the image of the city has to be changed, the role of planned lightings and temporary events are one of the instances. The lighting festival opened in a specific city temporarily will be analyzed with priority given to above instances. Especially it will be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designed lighting festival. This study will search for the changes of the image of the city during and after the lighting festival. This temporary lighting festival have effects on the residents and tourists of the chosen city and this study will concentrate on the influence of the lighting festival on the image of the city. The image of the city is composed of buildings, streets and landscape architectures and the light, which is intangible, is one of them. The number of lighting festivals is increasing and since the Singapore`s lighting festival is one of the successful sites in Asia, we will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ighting festival on the image of the city. For this study, the research was based on field study, and from this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the colors of the lightings in Orchard Road. Theoretical study was developed by the help of academic thesis, news and internet research. This study includes the systematic analysis of lighting colors in Orchard Road during two years of Christmas season. Through systematic analysis, which is NCS system, it is presumed that the people who have attended lighting festival in Orchard Road have met the sentiment by lightings along with sightseeing. The results tell that when people fulfill their sensitivities from lighting festivals, this can be led to favorable reception to the image of the city. This globally successful lighting festival is the primary role when introducing nation`s cultural brand to other world. Considering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would lead to the basis of lighting festival studies in

      • KCI등재

        배경 조명을 이용한 미디어 확장과 선호도 평가

        김병진,김태수,석현정 한국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학연구 Vol.34 No.4

        Background Light devices demonstrate the potential effect of media-sync light behind the display, allowing users to extend the media-watching experience.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properties and users' preferences. Method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to explore user experiences on display background lightings (N=64). We considered ten genres of media and selected four alternative images for each genre.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40 pairs of media consisting of without or with background lighting that surrounded the display frame. The Hue Play Bar from Philips was employed, and the lighting was generated by synchronizing the light bar with the monitor. Based on the assessment scores and text answers,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features and background lighting preference. Results We found that the type of media influenced the preference for background lighting (F(39, 2457) = 7.86, p < .01). Also, four image features, such as brightness, saturation, complexity, and image-depth, influenced the preference. In general, participants preferred background lighting when watching dark or bright media. However, they disliked the background lighting when the media is highly saturated, complex, or deep in image-depth. Conclusions We investigated users’ preference for adding light to the display periphery and carried out the image-based survey. Across 10 genres, we identified the image factor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the preference for the background lighting. Finally, based on the empirical findings, we discussed the potentials and applications of background lighting to enhance the media viewing experience. 연구배경 디스플레이의 미디어와 연동된 배경 조명은 이용자들의 미디어 시청 경험을 미디어 주변으로 확장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의 특성과 배경 조명에 대한 이용자의 선호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디스플레이 배경 조명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탐색하기 위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N=64). 10 종류의 미디어 장르를 대상으로 각 장르마다 4가지의 대표 이미지를 선정하였다. 참여자들에게는 디스플레이의 배경 조명이 켜진 사진과 꺼진 사진으로 구성된 40쌍의 디스플레이 사진을 제시하였다. 실험에서는 Philips 의 Hue Play Light Bar를 이용하였으며, 모니터와 동기화하여 배경 조명을 구성하였다. 평가 점수와 주관식 답변을 바탕으로 미디어의 특성과 배경 조명 선호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 결과, 미디어의 특성이 배경 조명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F(39, 2457) = 7.86, p < .01). 특히, 밝기, 채도, 복잡도, 심도의 네 가지 이미지 특성이 선호도에 영향을 주었다. 일반적으로 이용자들은 어둡거나 밝은 미디어를 볼 때 배경 조명을 켜는 것을 선호했다. 그러나 미디어의 채도가 높거나 복잡하거나 심도가 깊을 때에는 배경 조명을 켜는 것을 선호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 배경 조명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10가지 장르에 해당하는 미디어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설문참여자의 응답에 대한 정량 및 정성적 분석을 토대로 배경 조명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의 이미지 특성을 파악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 시청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배경 조명 제작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진조명 연출에 따른 메이크업 이미지 변화 -그로테스크 메이크업 중심으로-

        이재림,이선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2

        The most famous female actresses of the time tend to be selected as a model of cosmetic advertisement reflecting the beauty of the era and creating unique beauty image. Beauty image created hereof becomes a representative image of the cosmetic company as well as a company brand.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how to make up, but beauty image in the advertisement is determined by photographic techniques. In order to create an outcome of make-up pictorial, collaborative work of make-up and photographic performance is required. Make-up artists need to build knowledge on photographic performance in collaborative work.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how make-up outcome depends on the photographic performance by utilizing grotesque make-up. The reason why grotesque make-up has been chosen was that it was regarded to be appropriate in empirical research as one of the make-up techniques with distinct difference in the image depending on the lighting performance. As for research methods,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at the same time. As for literature review, grotesque make-ups in the beauty advertisement in Korea and abroad and written media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mage. As for empirical research, identical grotesque make-up has been performed on the same model observing whether image was changed depending on the lighting performance. As a result, there were many images in grotesque make-ups depending on the lighting methods and colors. This implies that grotesque make-up that was previously emphasized with fear-related image in the past could have various images other than fear depending on the lighting performance.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erfection of the makeup work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lighting direction, and the makeup artist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photo illumin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erfection of the intended works 화장품 광고 사진, 지면 매체 광고, TV 광고, 영화, 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국내 연예인은 세계의 뷰티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특히 화장품 광고의 경우 그 시대의 대표적인 여자 배우를 선정하여 모델로 삼고 시대의 미(美)를 반영하여 독자적인 뷰티 이미지를 만들어 간다. 이렇게 만들어진 뷰티 이미지는 화장품 회사의 대표 이미지가 되며 회사 브랜드가 된다. 이때 메이크업을 어떻게 하는가도 중요하지만 사진 연출에 따라 광고 속 뷰티 이미지가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메이크업 화보라는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메이크업과 사진 연출의 협업이 필요하며 협업을 하는 과정에서 메이크업 아티스트는 사진 연출에 대한 지식을 익힐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로테스크 메이크업을 활용하여 사진 연출에 따라 메이크업 결과물이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로테스크 메이크업을 선택한 이유는 그로테스크 메이크업이 조명의 연출에 따라 이미지의 차이가 확실한 메이크업 중 하나로써 실증적 연구에 적합하다고판단하였다. 또한 이번 연구를 계기로 그로테스크 메이크업이 재조명받아 깨끗하고 선한 이미지만 추구하는 뷰티 광고가 미의 개념을 확장시켜 다양한 메이크업을 시도했으면 하는 바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문헌적 연구로는 국내외 뷰티 광고 및 지면 매체 속 그로테스크 메이크업을 이미지에 따라 분류하였다. 실증적 연구로는 한 명의 모델에게 동일한 그로테스크 메이크업을 시연한 후 조명 연출에 따라 이미지가 달라지는 관찰하였다. 그 결과 조명 방식과 조명 색에 따라 그로테스크 메이크업은 다양한 이미지를 가졌다. 그 동안 공포적 이미지만 강조되었던 그로테스크 메이크업이 조명 연출에 따라 공포 이외에도 다양한 이미지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조명 연출에 따라 메이크업 작품의 완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메이크업 아티스트들은 의도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사진 조명의 중요성도 인지해야 한다.

      • KCI등재

        야간경관조명의 조명방식에 따른 평가특성 분석

        이진숙,유재연,김병수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evalu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lighting method of exterior lighting. In this paper, we verified effectiveness of CG as an evaluation tool after we primarily extracted evaluation vocabulary via previous experiment. And then, we conducted subjective evaluation experiment after producing an evaluation object by CG according to a lighting method of exterior lighting. Finally, we analysed the factor of an evaluation result, analysing according to a lighting method of exterior lighting. The result of this paper is as follows: 1) The physical quantity presented by CG, compared with the real thing, is that the total relative error rate was within 5%. Also it did not have a quite difference in subjective evaluation experiment with the real thing in the most items excluding a part of evaluation items of subjective evaluation experiment by CG. 2) The 3 image axises of「exuberant」,「stable」and「warm」were selected a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In order to make sure the evaluation structure of exterior lighting. 「exuberant」and「stable」images were influenced a lot by a lighting method, and 「warm」image was affected by light color. The evaluation on the line lighting, the dot lighting and the compound lighting in「exuberant」image was high, and in「stable」image, the up and down lighting, the「transmitted lighting」, and the compound light were high. In「warm」image, the light color of yellow color as a warm color type was evaluated high, and the light color of green color as a cold color type was evaluated high in「mysterious」item.

      • SCIESCOPUSKCI등재

        Single Low-Light Ghost-Free Image Enhancement via Deep Retinex Model

        ( Yan Liu ),( Bingxue Lv ),( Jingwen Wang ),( Wei Huang ),( Tiantian Qiu ),( Yunzhong Chen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1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 Vol.15 No.5

        Low-light image enhancement is a key technique to overcome the quality degradation of photos taken under scotopic vision illumination conditions. The degradation includes low brightness, low contrast, and outstanding noise, which would seriously affect the vision of the human eye recognition ability and subsequent image process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based on deep learning and Retinex theory to enhance the low-light image, which includes image decomposition, illumination prediction, image reconstruction, and image optimization. The first three parts can reconstruct the enhanced image that suffers from low-resolution. To reduce the noise of the enhanced image and improve the image quality, a super-resolution algorithm based on the Laplacian pyramid network is introduced to optimize the image. The Laplacian pyramid network can improve the resolution of the enhanced image through multiple feature extraction and deconvolution operations. Furthermore, a combination loss function is explored in the network training stag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algorithm. Extensive experiments and comprehensive evaluations demonstrate the strength of the proposed method, the result is closer to the real-world scene in lightness, color, and details. Besides, experiments also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single low-light image can achieve the same effect as multi-exposure image fusion algorithm and no ghost is introduced.

      • KCI등재

        건설현장 내 객체검출 정확도 향상을 위한 저조도 영상 강화 기법에 관한 연구

        나종호,공준호,신휴성,윤일동 한국암반공학회 2024 터널과지하공간 Vol.34 No.3

        AI영상 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적용하는 추세에 다양한 환경변화에 따른 위험객체 탐지 딥러닝 모델 개발에 많은 연구적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여러 환경 변화요인 중 저조도 조건에서 객체 검출 모델의 정확도는 현저히 감소하며, 저조도 환경을 고려한 학습을 수행하더라도 일관적인객체 탐지 정확도를 확보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저조도 영상을 강화하는 영상 전처리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취득된 건설 현장 영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딥러닝 기반 저조도 영상 강화 모델(GLADNet, KinD, LLFlow, Zero-DCE)을 학습하고, 모델별 저조도 영상 강화 성능을 비교 검증실험을 진행하였다. 저조도 강화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검증하였고, 영상품질 평가 지수(PSNR, SSIM, Delta-E)를 도입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GLADNet의 저조도 영상 강화 성능이 정량·정성적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줬으며, 저조도 영상 강화 모델로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딥러닝 기반 객체 검출 모델에 저조도 영상 강화 기법이 전처리 단계로 적용한다면, 저조도 환경에서 일관된 객체 검출 성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re is so much research effort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deep learning-based surveillance systems to manage health and safety issues in construction sites.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in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has been progressing because those affect decreasing searching performance of the model. Among the various environmental variables, the accuracy of the object detection model is significantly dropped under low illuminance, and consistent object detection accuracy cannot be secured even the model is trained using low-light image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of low-light enhancement to keep the performance under low illuminance. Therefore, this paper conducts a comparative study of various deep learning-based low-light image enhancement models (GLADNet, KinD, LLFlow, Zero-DCE) using the acquired construction site image data. The low-light enhanced image was visually verified, and it was quantitatively analyzed by adopting image quality evaluation metrics such as PSNR, SSIM, Delta-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low-light image enhancement performance of GLADNet showed excellent result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and it was analyzed to be suitable as a low-light image enhancement model. If the low-light image enhancement technique is applied as an image preprocessing to the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model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secure consistent object detection performance in a low-light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라이온 킹〉에 나타난 정서표현의 시각이미지 분석

        김광환(Kim Kwang-Hwa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5

        이 논문에서는 시각적으로 명암이 인간의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는 그레이브스의 명암이론을 적용하여 「라이온 킹」에서 사용된 명암의 유형을 분석하고 작품 내에서 시각적으로 표현된 명암이 내러티브에서 전개되는 정서의 흐름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한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명암이 시각이미지에 끼치는 영향과 더불어 정서적인 분위기 표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실사 영화와는 달리 내러티브상에서 전개되는 캐릭터들의 정서적 변화에 따른 이미지 연출이 더욱 강조 된다. 이는 관객들의 감정이입을 강화시키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Light is a basic force that functions in all the formative arts. Light (brightness) is an important subject of study in that it contains the force to control emotion and has much influence upon the shaping of a visual image and a feeling. If an artist systematizes the characteristics of brightness and creates an image, he or she can acquire a useful tool of expression. Because light is a powerful medium of expression of a visual imag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rightness for the emotional expression of an image in the contextual relationship with narratives seemingly has a crucial meaning. Emotion is influenced by a visual image very much, and a visual image is inevitably influenced by light. The brightness by light is basically classified into bright, dim, and dark. And the three basic stages of brightness specialize an image according to the setting of scope of maximal and minimal luminosity, and the image is further differentiated by the size of bright portion or dark portion. Since emotion is such a phenomenon as immaterial and psychological, it is difficult to break down it. Furthermore, clarifying the principle of an image in which the shade of light is associated is impossible. However, the width of luminosity and the change of size can give quite a change to a visual image, and the visual image has further influence upon man's emotion too. Although the influence of brightness upon a visual image varies with extents, circumstances, and personal tastes and interests, even the same image clearly changes with the adjustment of brightness.

      • KCI등재후보

        홍윤숙 후기시에 나타난 소멸의식 연구

        김인경(Kim, In-kyung) 돈암어문학회 2016 돈암어문학 Vol.30 No.-

        이 글은 홍윤숙의 후기시가 근거하고 있는 시의식을 소멸의식으로 명명한다. 홍윤숙의 후기시에 등장하는 소멸의식은 죽음에 가까워지는 시적 주체의 불안감과 육체적 고통에서 배태된다. 후기시의 시적 주체는 내면의 불안과 육신의 고통을 통해 머지않아 다가올 죽음을 예감하는데, 이러한 상황은 주체를 자기동일성의 해체와 상실의 경험으로 이끈다. 실존적 고통과 불안으로 점철된 자아의 무력감이 증폭되는 가운데, 절망을 극복해 내려는 시인의 내적 분투는 시작(詩作) 행위로 수행된다. 결론적으로 홍윤숙의 시쓰기는 시적 성찰을 겸비한 자기 치유의 방법이자 죽음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려는 내적 의지의 성실한 발현이기도 하다. 또한 이 글은 홍윤숙 후기시의 존재론적 토대를 해명하기 위해 현상학적 접근을 시도하여 이미지들의 심층적인 지향성을 탐색한다. 먼저 후기시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이미지들을 추출하고, 그 이미지들을 유기적인 연관 속에서 분류한다. 다음으로 반복적인 이미지들이 구현하는 내적 움직임의 지향점을 밝히는 데 주력하여 논의를 전개한다. 결과적으로 홍윤숙의 후기시에는 인식 주체의 소멸의식이 ‘바람’ · ‘어둠’ · ‘빛’의 이미지들을 통해 형상화된다. 우선 ‘바람’ 이미지는 사라지는 존재로서의 시인 자신에 대한 자기표상으로 등장한다. 이어서 ‘어둠’ 이미지는 특히 육체적 감각과 상접한 존재의 고통으로 의미화된다. 마지막으로 ‘빛’ 이미지는 부정적 의미 계열의 이미지들을 상쇄하면서 자기동일성의 회복 의지를 나타내는 핵심 기제로 작동한다. 이와 같이 시인은 ‘바람’ · ‘어둠’ · ‘빛’의 이미지들을 활용하여 자기 자신의 삶의 형상을 구축함으로써 자아의 해체와 상실에 대항하는 반성적 거리 감각을 창출해 낸다. In this study, the fundamental poetic consciousness of Hong Yun-suk"s later works is defined as a consciousness of extinction. This consciousness of extinction is conceived from the anxiety and physical pain of the poetic subject who is becoming closer to death. Through inner anxiety and physical pain, the poetic subject senses the approaching death, which in turn leads the poetic subject to experience a deconstruction and loss of self-identity. The sense of impotence is amplified, intersperse with existential pain and anxiety, and the poet"s inner struggle to overcome the despair is carried out by writing poetry. The poetic writing of Hong is both a means of self-healing in which a poetic introspection is involved, and an earnest manifestation of the inner determination to dispel the anxiety about death. In order to explain the ontological basis of Hong"s later works, this study take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explore the intentionality that lies deeply beneath the poetic images. After extracting the images that repeatedly appear in these works and classifying the images according to their organic relationships, the author further develops the discussion focusing on the revelation of the direction taken by the internal movement embodied through the repeatedly occurring image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poetic subject"s consciousness of extinction is embodied in the images of ‘wind,’ ‘darkness,’ and ‘light.’ The image of ‘wind’ occurs as a self-representation of the poet herself, a mortal being. The image of ‘darkness’ signifies the pain felt by a being connected to the physical senses. The image of ‘light’ operates as the core mechanism in offsetting the images of negative meanings and revealing the poetic subject"s determination to regain its self-identity. Through using the images of ‘wind,’ ‘darkness,’ and ‘light’ to construct an image of her own life, the poet creates an introspective sense of distance against the deconstruction and loss of self.

      • KCI등재

        마감재와 조명에 의한 Mix & Match 공간 표현연구

        서지은(Seo, Ji-Eun),이곡숙(Lee, Gok-Sook)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10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space plann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correlation of finishing material and lighting. First, among various elements used to perceive space image, finishing material and lighting take up the most important role in forming image, so studies on space image in consideration of these relationship are judged required. Second, space type, art wall type and ceiling type that are used the most frequently were deduced with focus on ‘modern natural’ and ‘classic natural’ image selected as representative space image, and on this basis, finishing material and lighting scenario were planned out. Third, since art wall plays critical role in perceiving space image, change was given in the expression of space image art wall finishing material. Modern natural image was expressed by placing light brown color wood pattern wallpaper and grey color stone pattern wall material in parallel, and in classical natural image, virtual simulation space was established by applying violet color wallpaper across art wall. Fourth, that finishing material and lighting affects visual perception of space by generating interactions and serve as critical element in forming the overall image of space.

      • KCI등재

        저조도 환경에서 LLIE 기법을 통한 실시간 영상 분할 기법의 성능 향상 방안

        김수민(Kim, Soo Min),이재영(Lee, Jae Young),홍성철(Hong, Sung Chul) 대한공간정보학회 2025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33 No.1

        Image segmentation methods enable precise analysis and operation of images, and are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ransportation, construction and autonomous driving. However, images captured in nighttime environments have high noise and low visibility, which degrades the performance of image segmentation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restore color and brightness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image segmentation methods by applying Low-light image enhancement(LLIE) to low-light images. To this end, the restoration level of low-light images acquired in five different environments(Near Dark, Mostly Dark, Partial Light, Dim Light, Brightly Light) was evaluated using low-light image enhancement methods(HE, Dehaze, TBEFN, KinD), along with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instance segmentation method(YOLOv8). As a result, the average mAP and f1 score for five KinD images were 0.723 and 0.789, respectively, which shows that it is robust even in low-light environments and that the instance segmentation performance is greatly impro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transportation, security and surveillance, and robotics in low-light environment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