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 지방간 교류협력의 일환으로서 도시자매결연과 법적 문제

        황선훈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2

        남북 지방간 교류협력은 한반도의 비핵화, 평화체제 구축 및 통일이후 북한지역의 성공적인 지방자치 정착을 위해 필수불가결하다. 남북 지방간 교류협력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남한 지방자치단체의 파트너가 존재하여야 하는데, 북한지역에는 형식상․외관상지방행정기관이 헌법과 지방주권기관법에 의해 조직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지방인민위원회가 남북 지방간 교류협력의 상대방으로 지방인민위원장이 각종 합의서의 서명권자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남북 지방간 교류협력의 법적 근거는 헌법 전문상 통일명제와 지방자치단체의 협력고권에서 도출된다. 헌법규범의 일부로서 헌법전문상 통일명제는 모든 국가기관을 구속하며 지방자치단체는 헌법에 의하여 만들어진 단체임과 동시에 헌법에 의해 국가의 한 구성부분으로 보장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에 구속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또한, 남북 지방간 교류협력은 중앙정부가 담당하는 통일사무를 침범하지 않는 한 또는 법률이 특별히 이를 금지하지 않는 한 협력고권을 근거로 남북 지방간 교류협력을 진행하는것은 가능하다. 현재, 남북 도시자매결연 체결과 관련하여 직접적으로 규율하고 있는 법규정은 없다. 이와 관련하여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는 방식이 아닌 기존 법률 예컨대, 지방자치법, 남북관계발전법, 남북교류협력법, 남북협력기금법, 대외무역법, 외국환거래법, 테러자금금지법의 제․개정을 통해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남북 도시자매결연 합의서는 국제법적 구속력이 있는 조약의 형태로 체결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 도시자매결연 합의서는 국제계약의 일종으로 법적 구속력이 도출될 가능성이있기 때문에 체결 시 이를 주의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남북교류협력 재개 가능성에 관련하여 민족자결권과 남북 특수관계이론에 따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를 위반하지 않는 수준의 교류협력은 진행 가능하고규범적인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국제정치적 문제를 고려하여 중앙정부가 남북교류협력을 추진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면, 남북 지방간 교류협력과 남북 도시자매결연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It is very important that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not only for denuclearization of Korean Pennisula and peace construction but also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in North Korea area after unification. In order to promote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should exist Partners of South Korea local governments in North Korea. Local administrative bodies are outwardly present by the Constitution and legislation in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other party is suitable for the local people's committee and the concluder is the chairman of the local people's committee. The legal basis of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is derived from the unification proposition and the Cooperation Sovereignty of local governments. Local governments are also subject to the unification proposition because all national agency are subordinate to 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on the basis of the cooperation sovereignty, unless it violates the unification affairs of the central government or the legislation specifically prohibits it. Currently, there are no statutory regulations that Inter-Korean City’s Sisterhood Relationship. I suggested a solution through not enactment of a legislation but revision of the law( LOCAL AUTONOMY ACT ,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CT ,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CT , INTER-KOREAN COOPERATION FUND ACT , FOREIGN TRADE ACT ,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ACT , ACT ON PROHIBITION AGAINST THE FINANCING OF TERRORISM AND 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e Inter-Korean city’s sisterhood relationship agreement as an internationally binding treaty. Nevertheless, the agreement is a type of international contract, which is likely to be legally binding, so should be careful when entering into it. According to the national self-determination principle and theory of Inter-Korean special relations,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are enforceable and do not cause legal problems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violate the UN Security Council's sanctions resolution against North Korea. If it is difficult for the central government to implement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due to international political issues, we need to actively consider ways to promote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and Inter-Korean City’s Sisterhood Relationship.

      • KCI등재

        남북관계 발전과 법제도적 과제

        박정원 법과사회이론학회 2018 법과 사회 Vol.0 No.59

        2018년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으로 마련된 한반도 상황과 남북관계의 변화는 남북관계에 대한 기존의 법제도적 틀에 대한 개편과 새 환경에 상응한 법제도의 정비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는 곧 남북관계의 발전에 따른 법제도적 과제로 제기된다. 따라서 새롭게 전개되는 남북협력시대를 열어 나아가면서 법제도적 접근은 매우 필요한 자세이다. 여기에는 이미 남북관계를 규율하여 왔던 법질서에 대한 논의와 함께 새로이 나타나는 법적 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법적 토대를 형성하는 일이 포함된다. 남북관계의 발전을 위한 건설적인 법적 대안에 대한 논의는 남북관계의 안정적 기초를 마련하는 중요한 사안임을 깊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남북 간 교류협력 활성화와 남북관계 발전은 기존의 남북관계를 규율하거나 남북이 서로 상대방을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었던 법령의 변화를 불가피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우리는 남북관계가 안고 있는 특수한 사정에 의해 남북관계 관련 법령들은 대립적 상황에 입각한 이념적 논리에 의해 갈등국면을 빚고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남북관계의 성격 규명과 이로부터 발생하는 문제에 관한 논의는 쉽지 않다는 점에서 남북관계발전을 위한 법제도화 방안을 마련하여 나아가는 데에 있어 합리적인 지혜를 모아 나아가야 한다. ‘4․27 판문점선언’과 ‘9․19 평양선언’의 이행에 따라 예상되는 남북관계의 변화에 상응하여 논의될 수 있는 법제도화 방안은 다음의 내용을 중심으로 다룬다. 먼저 남북관계의 법적 성격과 헌법질서를 살핀다. 특히 통일지향의 잠정적 특수관계의 개념을 살피고, 현행 헌법상 통일규범인 영토조항(제3조)과 통일조항(제4조)의 쟁점과 정비방향을 논구한다. 다음 남북간 합의서의 법적 구속력을 확보하기 위한 법령정비방안을 고찰한다. 통일정책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는 물론 남북간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남북간 합의서의 규범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남북교류협력이 활성화되면서 마련된 남북교류협력법, 남북관계발전법 등 남북관련법령의 정비방향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끝으로 남북관계의 법제도화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점의 하나는 북한의 최근 대내외정책동향에 상응한 법제정비 내용을 잘 분석하는 일이다. Change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nter-Korean relations resulting from the inter-Korean summit and the North - American summit in 2018 will require a reorganization of the existing legislation for inter-Korean relations and a reorganization of legislation to cope with the new environment. This is brought up as a legal and institutional task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Therefore, the legal institutional approach is a very necessary attitude while opening the new era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This includes forming a legal basis for the identification of new legal relationships, as well as discussions on the law and order that have already governed inter-Korean relations. It is necessary to deeply recognize that discussions on constructive legal alternative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re important issues for establishing a stable basis for inter-Korean rel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promotion of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 development of inter - Korean relations will inevitably change the laws and regulations that regulate the existing inter - Korean relations or prescribe to the other. We are well aware that inter-Korean relations laws have a conflict phase due to the ideological logic based on conflicting circumstances, due to special circumstances of inter-Korean relations. It is not easy to discuss the nature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problems that arise from it, so it is necessary to gather rational wisdom in preparing the institutionalization plan for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The legislative institutionalization measures that can be discussed in accordance with the expected changes in inter-Korean re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4.27 Panmunjom Declaration’ and the ‘9.19 Pyongyang Declaration’ focus on the following contents. First we look at the legal nature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constitutional order.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concept of the provisional special relationship of unification orientation and discusses the issue and the maintenance direction of the territorial clause (Article 3) and the unification clause (Article 4) in the current constitutional unification rule. Next, I will examine the legislative measures to secure the legal binding power of the North-South agreement. It is important to raise the normative power of the inter-Korean agreement in order to secure national consensus on the unification policy as well as trust between the two Koreas. It also refers to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inter-Korean laws and regulations such as the South-North Exchange and Cooperation Act and the Inter-Korean Relations Development Act, which have been facilitated by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Finally,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legislations in accordance with North Korea's recent domestic and foreign policy trends in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institutionaliza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 KCI등재후보

        The Development of the Discussions on Unification during the Early Post-Cold War Era: Competition and Coexistence between the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Sector

        김지형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7 No.1

        This study analyzes the discussions pertaining to unifi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fication movement during the Roh Tae Woo regime, in power during the early post-Cold War era. More to the point, this article examines the competition and coexistence that existed between the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sector with regards to this issue. Amidst the onset of the post-Cold War Era, the Roh Tae Woo (No T΄aeu) government undertook an active engagement policy towards North Korea that can be characteriz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Nordpolitik policy and the July 7th Declaration (Special Declaration for National Self-Esteem, Unification, and Prosperity). The advent of a wide range of North-South Korean talks, including high-level ones, paved the way for the two Koreas to establish a new milestone in their relationship in the form of the adoption of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an agreement that highlighted the uniqueness of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The North’s attitude during the process that led up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can be regarded as one based on the posture of defensive coexistence. This came as part of their attempts to overcome the post-Cold War crisis marked by the collapse of the socialist bloc.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 played an active leadership role and served 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is process. All of thi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new international paradigm known as the simultaneous ascension of North-South Korea to the UN taking root o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erosion of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in the form of intentional attempts by the hard-line faction within the government to derail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as well as the nuclear standoff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were also clearly exposed during this process. Here, special attention should be drawn to the fact that the intentional stress placed on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by those who adopted a hard-line towards the North was closely related to the presidential election strategy endorsed by conservative political forces. This period also saw an explosive growth in nongovernment sector led discussions regarding unification and related unification movements, as well as in inter-Korean exchange campaigns within all classes of society. A series of events,including the campaign for the holding of inter-Korean student talks and for the joint organization of the Olympics, had the effect of making exchanges with the North a key issue within society. At the same time, this growing interest in North Korea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the phenomenon known as the “Movement to Develop a Prope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Doubts started to be raised about the logic of the conservative power, which during the Cold War Era had propped up the authoritative dictatorship in the name of anticommunism. There was also an exponential growth in intellectual curiosity regarding North Korea,curiosity that was rooted in the notion of silsa kusi (實事求是, silsa gusi, seeking truth from facts). Nongovernment sector-based unification movements eventually splintered into those that were friendly towards North Korea and those that were critical of it. The emergence of the Pan-Korean Alliance for Reunification (PKAR), which adopted tripartite cooperation (two Korea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of the search for a new unification structure that respected the values of various unification movements in Korea, was in fact the result of conflicting understandings of North Korea that existed within the various unification movements. As such, the discussions over unification carried out by the various nongovernment unification groups, which began to exhibit a multilayered structure, became an internal competition of sorts. During this process, the government, which intended to curb discussions on unification wit...

      • KCI등재

        통일시대에 대비한 남북지방자치단체간 교류협력을 위한 법이론적 고찰

        황선훈(Sun Hun Hwang)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9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9 No.2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포함한 통일정책은 그동안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정치권의 과제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중앙차원의 관점에서 지방차원으로 인식의 전환을 하는 경우, 예컨대 남한 지방자치단체와 북한 지방행정기관의 적극적인 교류협력관계가 형성된다면, 중앙 간의 미묘한 갈등에서 벗어나 풀뿌리 차원에서 보다 자유로운 그리고 보다 일상적이고 지역적인 교류협력이 가능할 것이다. 이는 서로 다른 정치체제 속에서도 남북한의 동질감을 회복하고 통일 이후의 성공적인 지방자치의 정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교류협력은 매우 유의미하다. 민주주의에 입각한 지방자치와 국민적 합의의 중요성을 인식한다면, 일부 영역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참여와 기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남북풀뿌리교류협력과 관련한 법제도적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남북풀뿌리교류협력에 관하여 직접적으로 규율하고 있는 법규정은 없다. 즉, 규범적 논의가 미진한 상태에서 정치적·정책적 필요성에 따라 남북풀뿌리교류협력이 진행될 경우, 규범과 정책 간의 갈등관계가 형성되고, 이는 한반도의 평화체제구축과 통일정책을 수행함에 있어 장애요소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남한의 지방자치단체가 자신의 소관사항을 자기책임성을 가지고 합리적으로 필요한 범위 내에서 북한의 지방과 교류협력을 하는 것에 대하여 이를 금지하거나 규제하는 것은 남북풀뿌리교류협력의 중요성과 법이론적 고찰에 비추어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한반도의 평화구축과 평화통일의 달성이라는 목표를 감안할 때, 남한의 지방자치단체가 풀뿌리교류협력을 진행함에 있어서 중앙정부와 협조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러한 협조방식은 사전협의, 조정, 정보공유, 지원 등이 있고 중요한 사안에 있어서는 거버넌스 차원에서의 협조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현재 남한의 지방자치단체는 예컨대, 개성, 평양, 의주 등과 같이 북한의 특정지역에 관심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중복·중첩의 가능성이 존재하고 그 결과 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중복이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지만 통일 이후 북한지역의 지방자치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균형성의 차원에서 빠짐없는 남북풀뿌리교류협력이 진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론한 바와 같이 남북풀뿌리교류협력은 법률유보의 적용을 받는 영역이기 때문에 남한의 지방자치단체가 풀뿌리교류협력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법률적 근거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현존하는 법령의 개정을 통하여 편입시키려는 노력과 새로운 법을 제정하는 방식이 예상되며,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관련 절차, 책임 및 중앙의 통제 등 세부적인 법적 문제를 어떻게 규율할 것인가도 문제가 된다. 즉, 국가의 기본적인 질서와 지역주민의 중요한 기본적인 권리사항임을 고려하여 법률에서 구체적으로 명확히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아니면 법률에서는 기본적인 사항만을 규율하고 지방자치단체에게 재량의 여지를 두어 풀뿌리교류협력의 취지에 맞게 중앙 간의 미묘한 갈등에서 벗어나 풀뿌리차원에서 보다 자유로운 그리고 보다 일상적이고 지역적인 교류협력이 가능하도록 할 것인지를 검토해야 한다. 이는 비단 법학의 영역에서만 검토될 사항이 아니라 학제간 더 나아가 민관연의 통섭적 연구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The unification policy,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centered on the central government and has been recognized as a political task. However, if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ocal autonomy and national consensus based on democracy,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of local governments are needed in part of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If it will be formed that exchanges and co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n local governments and North Korean local administration, enable more free and more routine and reg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grassroots level. It is very important that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not only for denuclearization of Korean Pennisula and peace construction but also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in North Korea area after unification. Therefore, it is a urgent for legal and institutional research on Inter-Korean Grass-Roots Exchanges and Cooperation. It is possible that South Korea s local governments will pursue Inter-Korean Grass-Roots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range of autonomous affairs with principle of own responsibility. Considering importance of the Inter-Korean Grass-Roots Exchanges and Cooperation and the legal theoretical analysis, there is a need for South Korea s local governments to cooperate with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be established at the governance level. It is a necessity that legal basis in order to implement Inter-Korean Grass-Roots Exchanges and Cooperation, because Inter-Korean Grass-Roots Exchanges and Cooperation should be subject to statute reservation. In this regard, there are two different ways, for one thing is a statute revision, for another thing is making a new statute. This should be solved not only in legal research, but also in connection with other interdisciplinary fields.

      • KCI등재후보

        남북관계 변화에 따른 대북경협의 방향과 과제

        박병철,박동국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09 평화학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efficient policy means for mitigating escalated tensions in the inter-Korean relations. The rel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as been cooling down rapidly since the new government in South Korea. Such situation has fostered the security crisis on political and military levels and reduced the previous enlarged economic cooperation. It seems to be reasonable to say that the causes of deteriorating mutual relations seem to be not a unilateral, but rather a bilateral problem. North Korea has tried to accept only some beneficiaries of the engagement policy of Roh government. North Korea has pursued strictly to maintain its regime rather than to adapt to the changing situation after entrance of Lee Government. Furthermore, North Korea was strictly opposed to the Lee government’s North Korea policy ‘Denuclearization, Openness, 3000 Vision’, because it has preconditioned the regime change of North Korea. It seems to be very difficult for North Korea to such policy initiative aimed at its regime change. The current inter-Korean relationship was deteriorated because of the political and military hard stance of North Korea, Stopping of activities in the Gaesung Industrial Complex, and constraints to Mt. Keumgang tour. Such tougher stance of North Korea and the progressing relationship between U.S. and North Korea has led South Korea to concern about North Korea's ‘Talk only with the U.S., ignore South’ plan.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hat Lee government has to reconsider its policy initiative and pursue policy menas to normalize inter-korean relationship. The key point of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of North Korea is to maintain Kim's regime. It is evident that North Korea pursues a series of dialogues with U.S. over Nuclear Issues and the economic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in order to maintain its regime itself. Lee government should resume dialogues with North Korea regarding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at will take a critical step towards a de facto normalization of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Lee government should also seek to North Korea back to negotiating table on the economic cooperation. To reopen dialogues with North Korea, it is essential for Lee government take strategically a more flexible approach to North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경색되어가는 남북관계를 완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하고자 한다. 남북관계의 경색은 정치․군사적 차원의 안보위기를 조성하고 있으며, 그 동안 남북간 확대된 경제교류를 상당 부문 위축시키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일방의 문제가 아니라 쌍방에 모두 잘못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왜냐하면 그동안 참여정부 시절의 대북 포용정책에 대한 대내적 반응에 북한은 일방적 수혜만을 받으려 했으며, 이명박 정부의 출현에도 김정일 정권은 정책 변화의 의지보다는 혜택을 통한 체제유지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또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인 ‘비핵․개방․3000’구상은 김정일 정권의 체제변화를 수반하는 정책으로 현실적으로 수용하기가 쉽지 않다. 실제 ‘비핵․개방․3000’구상은 북한에 있어 최종적인 체제변화를 의미하기에 대북정책의 결과를 제시하기 보다는 단계적 유연한 접근을 이명박 정부는 먼저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남북관계는 정치․군사적 북한의 강경대응과 금강산관광․개성관광의 중단, 개성공단의 제한 등 경제적 교류가 경색되고 있다. 이러한 북한의 강경한 대응과 북미관계의 진전으로 인해 대내적으로 ‘통미봉남’ 상황의 전개를 우려하고 있다. 따라서 남북관계의 정상화를 위한 방법론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북한의 대내외 정책의 핵심은 체제유지에 있다. 미국으로부터 핵문제를 거론하면서 확보하려는 것도 김정일 정권의 유지에 있다. 남한과의 경협이 일정부문 유지되는 것도 체제유지에 있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남북관계의 정상화는 그리 어렵지도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일정부문 유지되고 있는 남북경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북한을 남북대화의 장으로 나오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대북정책에 있어 전략적 유연성이 발휘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남한 내 북한주민 관련 가족법적 실무상 쟁점

        김영기 사법발전재단 2015 사법 Vol.1 No.31

        Issues on Family Law Related Claimsof North Korean Residents and Refugees in South Korean Court Kim, Young-gi Recently, there has been a dramatical increase in the Family Law-related claims of North Korean residents and refugees such as action for divorce, nullity suit, claim for annulment of bigamy, confirmation of existence of biological parental relation, and recovery of inheritance. These type of cases (hereinafter “the aforementioned cases”) should be t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on the special inter-Korean relations, which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both Koreas do not acknowledge each other as nations, and at that one party's domestic law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inter-Korean relations. It also assumes that the two Koreas act as different players of international laws with different national identities. Thus, we should handle the aforementioned cases similarly to suits with foreign elements because both Koreas have established their respective family relationship order under their respective exclusive legal systems. Under the current Private International Law of South Korea, South Korean courts have the jurisdiction over the aforementioned cases, and the governing law shall be determined by inferring from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of South Korea. Therefore, North Korean laws may be applied to South Koreans or have effectiveness in Seoul unless those provisions are against public order and good morals. In the aforementioned cases, the judge might want to decide on whether the attorney of North Korean residents or refugees has the legitimate right of legal representation by examining the genuineness of the identification card of DPRK, a warrant of attorney, and the video tapes which contain the process of granting the agency authority. The court is able to send the lawsuit documents to North Korean resident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overseas service by public notice. Under the Act on the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North Korean refugees are able to easily register their entry and recover South Korean citizenship with the help of the Minister of Unification. In addition, the Act clarifies international and territorial jurisdiction, and the means of delivering documents in the action for divorce under a given condition. In other actions for divorce and nullity suits which are not defined in the Act, we can deal with the cases by referring from those clauses. On February 10, 2012,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hips, Inheritance, etc. Between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was enacted. Under the Act, claims for annulment of bigamy on the second marriages established before the Ceasefire Agreement in 1953 are not permitted. In other cases for annulment of bigamy, the second marriage could be granted an annulment according to Article 816 of the Civil Act of South Korea. The Act has also special provisions on the exclusion period of paternity suit. However, it does not have those special clauses on the exclusion period of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which leads to numerous disputes. In order to reasonably resolve the aforementioned cases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al Law and the special inter-Korean relations, the exclusion period of the claim by North Korean residents and refugees should be established as three years from the time when the infringement on the right of inheritance is known to the plaintiff on the premise that he was actually able to exercise the right through the analogical application of Article 166 of the Civil Act and the former part of the second clause of Article 999, and the stipulation for the exclusion period of ‘10 years from the time when the usurpation is taken place’ shall not be applied. 2013. 12.까지 약 26,122명의 북한주민이 남한에 입국하였고, 이로 인해 북한이탈주민의 이혼, 혼인무효확인, 중혼취소, 친생자관계존재확인, 인지, 상속회복청구, 상속재산반환청구 등의 가족법적 문제들이 많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이 남한 내에서 문제 되는 북한주민 관련 가족법적 문제는 남북한 특수관계론을 바탕으로 한 이중지위설과 규범영역설에 따라 남한과 북한이 불통일법 국가에 유사한 지위에서 각자의 가족법적 질서를 형성하였다고 보아 섭외적 요소가 있는 사건으로 다루어야 한다. 이에 따라 국제사법 규정을 검토해 보면 위와 같은 북한주민 관련 가족법적 문제의 재판관할권은 남한 법원에 있으나, 준거법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효력을 가졌던 저촉규범인 (의용)법례, 구 섭외사법, 국제사법의 각 규정에 따라 검토되어야 하고, 때로는 우리의 공서양속 규정에 반하지 아니하는 한 북한의 가족법 관련 규정이 준거법이 될 여지도 있다. 북한주민이 당사자가 된 사건에서 소송대리권의 입증은 공민증, 위임장과 같은 서류 및 그것이 작성되는 과정을 촬영한 동영상 등에 대한 증거조사를 통해 심리하여야 할 것이고, 북한 지역에 대한 송달은 외국에서 하는 송달에 준하여 하면 될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에 들어와 처음 겪게 되는 가족법적 문제인 가족관계 등록창설과 관련해서는 관련 규정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는데, 현재는 통일부장관이 직권으로 서울가정법원에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함으로써 그 절차가 간결하고 명확해졌다. 북한 배우자와의 이혼소송과 관련해서는 북한이탈주민법 제19조의2가 호적예규 제644호 적용 이후에 취적한 북한이탈주민에 대하여는 재판관할권, 토지관할, 송달의 문제를 명확히 규정하였는데, 이는 규범영역설에 따른 국제사법 유추적용설을 입법화한 것이다. 위 규정의 적용 대상이 아닌 북한이탈주민이 이혼소송을 하거나 혼인무효확인 소송을 하는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절차에 따라 소송 및 재판진행이 가능하다. 2012. 2. 10. 제정된 남북가족특례법은 정전협정 체결 전에 혼인한 후 중혼을 한 사람에 대해서는 취소소송을 불허하는 특례를 두었는데, 그 이후에 혼인한 후 남한에서 한 중혼의 경우에는 남한의 민법이 준거법이 되어 취소사유가 된다. 남북가족특례법은 북한주민이 남한 내에 있는 혈육을 찾기 위해 남한 법원에 제기할 수 있는 친생자관계존재확인의 소와 인지청구의 소에 관해서 제척기간의 예외를 두었는데, 상속회복청구소송에 관해서는 예외규정을 두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관하여는 북한주민이 권리를 행사할 수 없었던 기간 동안에는 제척기간이 진행하지 아니하고, 그러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을 것을 전제로 상속권 침해를 안 날로부터 3년의 제척기간에 걸린다고 보는 것이 가장 합헌적이고 규범 조화적인 해석이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북한주민의 법적 정의

        김현귀 ( Kim Hyungui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9 연세법학 Vol.33 No.-

        이 연구는 북한주민의 지위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우리 대법원 판결과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르면, 북한주민은 당연히 우리 국민이다. 다만 북한지역은 대한민국의 통치력이 미치지 못하므로 그곳을 외국으로 그리고 거기 거주하는 북한주민을 외국인으로 볼 수도 있다. 1990년대 시작된 남북교류는 우리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법적 성격에 관하여 획기적인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 각종 법령상 북한주민, 북한이탈주민, 그리고 재외동포 등과 관련된 사람들에 대한 법적 정의를 살펴본 결과, 그것이 남북관계의 기본성격을 전환시킨 것은 아니었다. 아직도 북한주민에 대한 관련 법령은 북한주민을 구체적이고 확정적으로 정의하는데 상당히 소극적이다. 북한과 북한주민에 대한 법적인 인식은 아직 과거 한국전쟁 및 냉전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것 같다. 그러나 1990년대 공산권의 붕괴를 전후하여 변화된 오늘날의 북한과 북한주민의 현실은 예전과 다르다. 과거 북한, 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북한주민과 북한경제에 대해 상당한 통제력을 가졌다. 그러나 상황이 다르다. 더 이상 북한과 북한주민을 동일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렇게 달라진 상황에 맞춰 남북관계에 관한 법과 정책은 변화할 필요가 있다. 남북교류와 협력에서 최소한의 거래 안전이나 신변보호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북한주민에 대한 통제력이 필요하다. 북한주민을 법적으로 정의하고 그 공법적 지위를 논할 때 우리는 북한의 국가성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법적으로 남북교류와 협력에 필요한 기능을 북한이 담당해 줄 수 있다면, 우리의 통치력은 그리고 우리의 법치주의는 북한으로 확대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민족공동체는 남과 북이 협력해야 상상이 아닌 법적으로 구체화된 현실의 실체가 될 수 있다. This research began with a concern about the status of North Korean people. According to our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North Koreans are our Republic of Korean people. However, the North Korean region can not reach the power of the Republic of Korea, so they can be regarded as a foreigner. Inter-Korean exchanges that began in the 1990s reflect a dramatic change in our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the legal nature of inter-Korean relations. However,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legal definitions which is related to North Koreans people, North Korean refugees, and overseas Koreans have not changed the basic character of inter-Korean relations. Still,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on North Korean people are quite passive in defining them specifically and definitively. The legal perception of North Korea and North Koreans people seems to have largely remained largely unchanged from the past in the framework of the Korean War and the Cold War. However, the realities of North Korea and North Korean people today, which have changed since the collapse of the Communist regime in the 1990s, are different from the past. In the past, North Korea,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ad intensive control over North Koreans people and the North Korean economy. But the situation is changed. It is no longer possible to equate North Koreans people with North Korea. Therefore, the laws and policies on inter-Korean relations need to change in response to these different circumstances. In order to secure minimum transaction security and personal protection in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control over the North Korean people. When we legally define North Koreans people and discuss their legal status, we need to respect North Korea(DPRK)'s statehood. If North Korea is able to legally fulfill the functions necessary for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our governing power and our rule of law will expand to North Korea. In this sense, the Korean nation community can not be imagined without cooper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 KCI등재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의 중간평가

        김형빈,박병철 한국통일전략학회 2019 통일전략 Vol.19 No.1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of Moon Jae-in Administration’s policies on North Korea. Moon Jae-in government suggested a policy vision of ‘Peace and Prospe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et up three goals, four strategies and five principles as measures to thaw the inter-Korean relations frozen for some time. Pivotal contents of these policies lie in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and an improv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s a way to peace development on the peninsula. As the inter-Korean summits were held in 2018, these policies gained momentum to propel. The gloomy inter-Korean relations immediately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were turned into ‘Spring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2018 new year address of Chairman Kim Jung-un. As three summit talk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A were held in a year, agreements on denuclearization, military détente in two Koreas and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were drawn to pave a way to pea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Moon Jae-in administration’s North Korean policies seem to have gained some achievements in leading North Korea to the dialogue and through this, in denuclearizing the Korean Peninsula, easing the military tensions and expanding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se achievements, however, involve simultaneous tasks to be solved beforehand. In order to implement the matters agreed on by two Korean leaders, a national consensus should be built on a variety of issues including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onstruction of the Korean Peninsula economic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North Korea’s genuine steps to denuclearize should be taken for international society and the US to lift UN sanctions against the DPRK. If the Korean government proceeds with its North Korean policies without solving these fundamental tasks, it will be very likely to face numerous obstacles in the future process. Thus, Moon Jae-in administration should solve such tasks related to its North Korean policies as securing a national consensus, urging North Korea to take actual steps to denuclearize and withdrawing sanctions against DPRK. With these tasks carried out, the Korean Peninsula policies for peace and prosperity will gather momentum and blaze a trail toward the Korean Peninsula peace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북정책의 성과와 과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라는 정책비전을 제시하며, 그 동안 경색된 남북관계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들로 3대 목표와 4대 전략 및 5대 원칙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정책들의 핵심 내용은 한반도 평화조성을 위한 비핵화와 남북관계의 개선에 있다. 이러한 정책은 2018년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면서, 추진동력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의 암울했던 남북관계는 2018년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를 계기로 ‘한반도의 봄’을 열었다. 2018년 한 해 동안 3차례 남북정상회담 및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되면서, 비핵화와 남북 군사적 긴장완화, 남북교류 협력 등에 합의를 도출하면서, 남북 간 평화의 길을 조성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인도하며, 이를 통한 한반도 비핵화, 군사적 긴장완화 및 남북교류 확대에 있어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는 동시에 선행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동시에 내포하고 있었다. 왜냐하면, 남북정상이 합의한 사항들이 이행되기 위해서는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경제공동체 조성 등 다양한 부분에 있어 국민들의 공감대가 선행되어야 하며, 또한 국제사회와 미국의 대북제재가 해제되기 위한 북한의 진정한 비핵화 조치가 동시에 진척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원칙적인 과제를 해결하지 않고, 대북정책이 진행된다면 향후 추진과정에서 수 많은 난관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은 국민들의 공감대 확보와 북한의 실질적 비핵화 조치, 나아가 대북제재의 해제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러한 과제들이 해결된다면,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정책은 탄력을 받을 것이며, 한반도 평화체제의 길을 개척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북한주민 재산관리 제도의 개선방안

        남윤표 통일과북한법학회 2022 북한법연구 Vol.28 No.-

        When a North Korean acquires the right to property in South Korea for reasons stipulated in the Act on Special Cases for Inter-Korean Families, such as inheritance and bequest, a property manager is appointed to manage the inherited and bequeathed property of the North Koreans. At the time of legislation, the North Korean property management system used the absentee property management system as the main framework,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absentee property management system in terms of purpose and content. To this end, I offer the following opinion. ①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confirmation of acquisition of rights” as the time and reason for appointing a property manager, in case of inheritance and bequest, the time of death of the deceased (the testator) shall be the standard, but if there was inheritance under false pretenses, North Korean residents exercise their rights and make a judgment It should be based on the time when the provisional execution was confirmed, and if the right was actually acquired through provisional execution, it should be based on the time of provisional execution. ② Regarding the appointment process of North Korean residents, the law should be amended to allow the court to ex officio appoint a property manager. ③ Regarding the management of financial assets, the current Act on Special Cases for Inter-Korean Families is used and managed in combination with the property of a property manager, so there is a concern that the property of North Korean residents will not be protected against compulsory execution. Therefore, the law needs to be amended to recognize North Korean residents' names and North Korean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as “real names” under Act On Real Name Financial Transactions And Confidentiality. ④ Regarding the issue of proving the blood relationship between the heir, a North Korean citizen, and the ancestor, the genetic test system of the Missing Children Act should be introduced and genetic information should be managed. ⑤ Reasons for terminating North Korean property management must be specifically determined separately from the absentee property management system. When North Korean residents are able to manage their property on their own, they must be allowed to transfer the property from the property manager to the North Korean residents with the permission of the Minister of Justice. The law should be amended so that the court can cancel the property management at the request of North Korean residents, property managers, interested parties, or prosecutors when the property transfer process is completed. Considering that the North Korean property management system has a legitimate legislative purpose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South Korean property being diverted to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n anti-state organization under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at the same time significantly restricts the property rights of North Korean heir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achieve the legislative purpose by reorganizing the regulations in more detail, and to prepare for unexpected disputes. 북한주민이 상속⋅유증 등 남북가족특례법에 규정된 사유로 남한 내 재산에 관한권리를 취득한 경우에는 북한주민의 상속⋅유증재산 등을 관리할 재산관리인이 선임된다. 북한주민 재산관리 제도는 입법 당시 부재자 재산관리 제도를 주된 틀로 삼았으나, 목적이나 내용에서 부재자 재산관리제도와 상당한 차이가 있기에 이로 인하여 발생이 예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개선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필자는, ① 재산관리인의 선임시기 및 사유로서 “권리의 취득의 확정”의 해석에 관하여 상속 및 유증의 경우 피상속인(유언자)의 사망시기를 기준으로 하되, 참칭상속 등이 있었다면 북한주민이 권리행사를 하여 판결 등이 확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해야 하고, 만약 가집행 등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권리를 취득했다면 가집행 선고를 받은시점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 ② 북한주민의 선임절차와 관련하여 법원이 직권으로 재산관리인을 선임케 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 ③ 금융재산관리와 관련하여 현재 남북가족특례법으로는 재산관리인의 재산과 혼용되어 관리되기때문에 강제집행 등에 있어 북한주민의 재산이 보호받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북한주민 명의와 북한주민등록번호를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상 “실지명의” 로 인정하는 법령의 개정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 ④ 상속인인 북한주민과 피상속인과의 혈연관계 입증과 관련하여는 실종아동법의 유전자 검사 제도를 도입하고, 유전정보를관리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 ⑤ 북한주민 재산관리 종료사유를 부재자 재산관리제도와 별도로 구체적으로 정하고, 북한주민이 스스로 재산을 관리할수 있게 된 경우 직접 사용⋅관리와 관련한 법률의 개정, 혹은 별도의 규정으로 법무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재산관리인으로부터 북한주민으로 재산을 이전할 수 있도록 한뒤, 재산이전절차가 종료되면 북한주민, 재산관리인, 이해관계인, 검사 등의 청구에 따라 법원이 재산관리를 취소할 수 있게 하는 등의 법률 개정이 이루어지는 등의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각 제시하였다. 북한주민 재산관리제도는 남한의 재산이 국가보안법상 반국가단체인 북한당국에전용될 가능성을 막기 위한 정당한 입법목적이 있는 동시에, 북한주민 상속인의 재산권을 상당히 제한하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는 기존의 규정을 더 섬세히 정비하여 입법목적의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예상치 못한 분쟁을 대비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한반도 통일과 DMZ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법제도화

        이효원 한국통일전략학회 2012 통일전략 Vol.12 No.1

        In the korean peninsula, the DMZ stands for the korean war, a state of armistice and hope of peace and reunification. Therefore, the DMZ should be a pathway to overcome division of peninsula and to realize an ideology and a true value of the unified korea. For efficient administration of the DMZ, coordination and systematization of related legal system is needed to solve jurisdiction quarrel over the DMZ. Till now, The Military Armistice Agreement(MAA), The Military Installation & Military Facilities Protection Act and some sort of Inter-Korean Basic Agreement could be named as the DMZ related legal system, but these system`s legal effect or validity are still in a grey area. The article 3 of Republic of Korea`s constitution clearly claims that the DMZ is a part of Republic of Korea`s legal territory. Nevertheless, we have to admit “a specific relationship of South-North Korea” and the upper side of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MDL) is under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s regime. However, the DMZ, as a special area which came out from the MAA, the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MAC), a international organization, has effective jurisdiction. As a ROK domestic law, The Military Installation & Military Facilities Protection Act is basically aimed to regulate military-related issues and Inter-Korean Basic Agreements are only partially related with the DMZ. Therefore, under the way to reunification, we have to make legal structure and a series of special law for peaceful use and preservation of the DMZ. In this process, certain constitutional problems which came out from “a specific relationship of South-North Korea” should be handled and a specific Inter-Korean Agreement for the DMZ should be signed. For positiv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Inter-Korean Agreement for the DMZ, it must be signed after its related-legal procedure and its contents should be systematic and prescribed specifically. 한반도에서 DMZ는 전쟁과 분단의 현실이자 평화와 통일의 희망이다. 따라서 DMZ는 남북교류협력을 통해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한국의 이념과 가치를 실현하는 연결통로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치군사적 측면, 생태환경적 측면과 사회경제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DMZ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DMZ의 효율적 관리는 남한법, 북한법, 국제법이 중층적으로 적용되는 법률체계의 모순과 충돌을 해결하고 관련 법제도를 정합적으로 체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DMZ에 관한 법제도는 군사정전협정,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그리고 일부 남북합의서가 마련되어 있으나, 그 법적 성격, 요건과 효력 등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DMZ는 대한민국의 헌법 제3조에 의하여 대한민국의 규범적 영토주권이 미치는 지역이지만, 남북한특수관계론에 따라서 군사분계선 이북지역은 북한의 영토주권이 미치는 것을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DMZ에 대하여는 군사정전협정이 그 개념과 범위를 직접적으로 규율하고 있어 국제기구인 군사정전위원회가 현실적인 관할권을 가진다. 또한, 국내법으로서 DMZ를 직접 규율하는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은 군사적 목적을 위한 규제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개별적인 남북합의서도 부분적으로 DMZ와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DMZ에 대하여는 통일과정의 단계에 있어서 기본법률을 비롯한 개별법률을 제정하여 평화적 이용과 보존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이때 남북한특수관계에서 비롯되는 헌법적 쟁점을 해결하여야 하고, 현실적으로는 DMZ에 대한 통일적인 남북합의서를 체결함으로써 남북교류협력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DMZ에 대한 남북합의서는 법적 구속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에서 규정하는 절차에 따라 체결되어야 하고, 실체법적 내용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