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古今漢韓字典의 編纂과 歷史的 意義

        박병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3

        Ancient and Modern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is a compilation of 7,353 chinese characters found in earlier rhyme dictionaries, primers,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Its format is different from other conventional dictionaries in that it shows sound,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each headword at the same time. This dictionary is a valuable material for the study of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 lexical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phonetics of chinese characters. It can be utilized as a excellent teaching manual for it registers various examples sino-korean words formed from each chinese character. Also, it can be consulted in establishing language policy for it contains data on chinese characters used in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and Japan and word formation units of Commonly Used 2000 Chinese Characters in Korea. This dictionary was a ground breaking achievement at the time of its publication but has inevitable limits of being a product of analog era. It is required to succeed and develop its innovative ambition by constructing a database of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along with efficient search engine in accordance with new environment of digital era. 박병철, 2020, 고금한한자전의 편찬과 역사적 의의, 어문연구, 187 : 7~26 고금한한자전은 우리나라 역대 운서, 한자 학습서 그리고 한자자전에 올라 있는 한자 7,352자를 전재(轉載)하여 편집한 것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자전과는 그 형식과 체제를 달리한 것으로 표제 한자인 개별 한자의 음과 새김 그리고 그 자해(字解)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엮은 것이다. 그 결과 이 자전은 한자의 새김 연구는 물론 국어 어휘사 연구의 기본 자료이면서 한자음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이다. 더불어 개별 한자를 중심으로 형성된 한자어 용례를 항목마다 다수 제시하여 교습 자료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또한 한국, 중국, 일본, 북한의 한자 자료와 한국 상용한자(2000자)안의 한자 조어수(造語數) 등을 제시하여 어문 정책 수립에도 참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 자전은 편찬 당시로 보면 훌륭한 저술이었으나 아날로그적 시대의 한계를 뛰어넘지 못하였다. 디지털 시대의 환경변화에 따른 역대 자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검색 기능을 수반한 웹서비스 등으로 이 자전이 지향했던 의미를 계승,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 차동증폭기(差動增幅器)의 해석(解析)에 대(對)한 소고(小考)

        朴炳哲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72 인문학연구 Vol.3 No.-

        The differential amplifier is one of d-c amplifiers. This amplifier is the amplification of differential mode input and the suppression of Common mode input. It shows the known possibrlity of biasing the differential stage from a constant current source.

      • 音譯에 의한 地名語의 漢字語化에 관한 硏究 ― 堤川 地域 地名을 中心으로 ―

        박병철 한국지명학회 2003 지명학 Vol.9 No.-

        한자차용표기의 어휘 자료 중 借音에 의한 表記 자료가 借訓에 의한 資料보다 적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고유지명어가 한자지명어로 전환된 자료를 살펴보니 借音과 유사한 방식으로 볼 수 있는 音譯에 의한 한자지명어 자료는 義譯에 의한 자료보다 월등하게 적게 나타난다. 이는 한글이라는 우리의 문자가 엄연히 존재하기 때문에 한글이 없던 시기의 한자차용표기와는 달리 굳이 音譯의 方式이 漢譯化의 과정에서 절실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에 의역의 방식에 의한 한역화가 생산적으로 진행된 것은 根源形인 固有地名語의 意味 情報를 보존하면서 한자어화를 이룩하려는 강한 의식 때문으로 보인다. 전부요소와 후부요소 모두를 동일한 음을 지닌 한자로 漢譯化한 예는 6개 항목에 불과하다. 그러나 고유어 지명과 類似한 音을 가진 漢字를 빌어 표기한 경우는 22개 항목으로 전자에 비해 훨씬 많이 나타난다. 유사한 음을 音譯字로 채택한 것은 實用性과 肯定的인 意味 附與에 바탕을 둔 것으로 파악된다. 후부요소는 音譯, 전부요소는 義譯의 방식에 의해 漢字語化가 이루어진 地名의 예는 9개 항목에 불과하다. 그러나 전부요소는 音譯, 후부요소는 義譯의 방식에 의해 漢字語化가 이루어진 地名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이는 고유어 후부요소인 골, 실, 미 등은 각각 谷/洞, 谷, 山 등으로 상투적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여기서도 고유어 지명과 동일한 한자음을 사용한 경우와 유사한 것을 사용한 것이 있는데 그 분포는 비슷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고유어 지명과 한자어 지명의 音節數는 대부분 같게 나타난다. 다만 “무덤 → 茂”와 같은 예는 한자어 음절이 줄어든 경우이고 “움 → 羽音/愚音”에서는 한자어가 음절이 늘어난 경우도 부분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음절의 변화가 생기는 것은 해당되는 음을 표기할 적절한 한자가 없는 경우이거나 隣接한 音이나 形態素와의 調和를 이루게 하기 위해서이다.

      • KCI등재

        노인의 대퇴골 경부 및 전자부 골절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대퇴골 구조 분석

        박병철,오승훈,오창욱 대한골절학회 1998 대한골절학회지 Vol.11 No.1

        The factors that determine whether a proximal femoral fracture is neck or trochanteric area are a matter of controversy. So we studied the BMD(bone mineral density) and the morphology of the contralateral femur in subcapital fracture and intertrochanteric fracture(Boyd - Griffin Type I, II ). The bone density of femoral neck, Ward' s triangle and trochanteric region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vsortiometry (DEXA) in 41 patients with femoral neck fracture and in 74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MD value and fracture type in same patients, we calculate the femoral neck length from the plain X- ray fil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atio of BMD in the neck and trochanter area was higher in the trochanter fracture group. 2. The level of BMD of the trochanter fracture group was lower than the neck fracture group in all points of measurement. 3. In the measurement of femoral neck length at plain X-ray film, the neck length of trochanter fracture group was longer than the neck fracture group. It may be that difference in BMD and femoral neck length is related to the site at which a proximal femoral fracture occurs.

      • KCI등재

        Herbert Screw 를 이용한 요골두 및 상완골 소두 골절의 치료 : 요골두 골절 3례, 소두 골절 1례 보고

        박병철,김익동,인주철,김풍택,박일형,이구희,유영구 대한골절학회 1991 대한골절학회지 Vol.4 No.2

        The simple displaced fracture of the radial head and capitellum is generally managed by the open ra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Several kinds of devices have been used for the internal fixation of the radial head and capitellum. The Herbert screw, originally developed for the internal fixation of the carpal scaphoid but has proved to be effective that its use has now been expanded to inculuded fixation of other small cancellous bone and intra-articular fractures. Authors experienced 3 cases of radial head fracturq and 1 case of capitellum fracture that were internally fixed with Herbert screw at th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On final follow up, all cases were analysed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And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With our experience, Herbert screw is a recommendable divice far the intrnal fixation of the radial head and capitellum fracture.

      • KCI등재

        『朝鮮王朝實錄』에 쓰인 韓國固有漢字 ‘串’에 관한 硏究

        朴秉喆 국어사학회 2012 국어사연구 Vol.0 No.15

        한국고유한자 ‘串’은 그 음이 [곶]이며 ‘물속으로 쑥 들어간 땅’이나 ‘꼬챙이’ 또는 ‘꼬치’라는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한국고유한자 ‘串’이 『朝鮮王朝實錄』에서 어떤 의미와 기능으로 쓰였는지 탐구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고유한자 자체에 대한 탐구는 물론 『朝鮮王朝實錄』한문 문체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 될 것이다. ‘串’이 지형을 표현한 경우 보통명사로 쓰인 것과 지명어의 후부요소로 쓰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된 경우는 ‘살고지’를 표현한 ‘箭串’에서와 같이 지명어의 후부요소로 쓰인 것이다. 이는 現用地名에서도 굳건하게 그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보통명사로 쓰인 경우 ‘串’이 단독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확장된 형태인 浦串, 島串 그리고 串內 등으로도 쓰였다. 또 한 ‘串’은 꼬치 또는 꼬챙이를 표현하는 경우에도 쓰였으나 지형을 표현한 경우보다는 그 쓰임이 소극적이었다. 확장된 형태 串甘/串柿, 串錁伊/串光伊/串光屎, 串蟹 등은 확인할 수 없었다. 『朝鮮王朝實錄』의 한문에서 한국고유한자 ‘串’이 중국한자와 같은 지위를 누리며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 글자가 오래 전에 생성되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질감이 없이 자연스럽게 한문 문장 구성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은 이 글자의 연원이 오래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The native Sino-Korean character ‘ 串’ pronounces as [곶] and its meaning is ‘a land sunken under water’, ‘a spit’ or ‘a skewered stuff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the function of ‘ 串’ in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It intends to b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future study on the native Sino-Korean characters and the stylistics feature of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 串’ can be utilized as a common noun and a rear part of the toponym when it refers to a topographic feature. In the case of ‘ 箭串’ which means ‘살고지’, it is utilized as a rear part of the toponym. This kind of utilization is very common and still remains a active element in the toponym. ‘ 串’ as a common noun can be utilized separately or with its extended forms such as ‘浦串’, ‘島串’ and ‘ 串內’. Also, ‘ 串’ can refer to ‘a spit’ or ‘a skewered stuff ’, but its use is more restricted. Its extended forms ‘ 串甘/串柿’, ‘ 串錁伊/串光伊/串光屎’, ‘ 串蟹’ can not be identified in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The native Sino-Korean character ‘串’ is utilized on equal terms with other Chinese characters in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The fact that it can be a natural part of the Classical Chinese writing proves its ancient orig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