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소아 십이지장궤양에서의 H. pylori 박멸과 궤양재발에 대한 연구

        최연호,고재성,김순영,유영미,서정기,Choe, Yon-Ho,Ko, Jae-Sung,Kim, Soon-Yeong,Yoo, Young-Mee,Seo, Jeong-Ke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1998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 No.1

        목 적: H. pylori가 만성유문부 위염의 원인으로 밝혀지면서 십이지장궤양 환자의 90%이상에서 그 위점막에 H. pylori의 존재가 확인되어 H. pylori의 박멸이 십이지장궤양 치료 및 재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여러 보고에서 H. pylori의 박멸로 십이지장궤양의 재발율이 현저히 감소한다고 하였다. 소아에서는 성인에 비해 궤양의 빈도가 낮고 내시경적 검사의 제약으로 인하여 이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소아 십이지장궤양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내시경으로 진단한 소아 십이지장궤양에서 고식적 궤양치료와 H. pylori 병행치료후의 궤양의 재발에 대해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87년 7월부터 1995년 8월까지 서울대학병원 어린이 병원에 내원하여 내시경검사상 십이지장궤양으로 진단받은 105명(남:여=78:27)을 대상으로, 고식적 치료(ranitidine+antacid)를 행한 군과, H. pylori 진단을 받은 경우 고식적 치료와 함께 amoxicillin(50 mg/kg) 2주, denol(8 mg/kg) 4주의 균박멸 치료를 병행한 군으로 나누어 궤양재발율에 대하여 비교 조사하여 보았다. H. pylori 양성은 내시경생검을 통한 CLO test, Giemsa 염색과 혈청 IgG 항체검사중 둘 이상이 양성이거나 생검조직의 균배양이 양성인 것으로 하였다. 결 과: 1) 91년 5월이후 진단받은 38명(남:여=30:8) 중 원발성 십이지장궤양은 30명(78.9%)이었으며 모두 H. pylori 검사가 시행되어 이중 27명이 양성으로 H. pylori의 감염율은 90.0%였다. 2) H. pylori 양성인 27명 환아에 대해 고식적 치료와 H. pylori 치료를 병행하였는데 추적내시경검사상 23명에서 궤양치유와 함께 균의 박멸이 확인되어 H. pylori 치료성공율은 85.2%였다. 3) 6주의 치료후 추적검사상 박멸에 실패한 3명은 강화요법으로 균의 소실이 확인되었고 이중 1명(33.3%)이 치료종료 2.4년후 재발하였다. 4) 십이지장궤양 환아의 치료후 추적관찰 1년이내 궤양의 재발율은 고식적 치료만을 시행한 경우 65.3%였고 H. pylori 치료를 병행한 경우는 4.3%였다. 결 론: 십이지장궤양 환아들의 대부분이 H. pylori의 감염이 있으며 H. pylori 양성인 소아 십이지장궤양에서 H. pylori 박멸 요법은 궤양 재발의 방지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Purpose: It is well known that duodenal ulcer disease does not relapse if H. pylori is cleared from the gastric mucosa. Little is known about the recurrence of duodenal ulcer in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eradication of H. pylori in duodenal ulcer in children upon the duodenal ulcer recurrence. Methods: 105 patients (M:F=78:27) diagnosed as duodenal ulcer by endoscopy in 1987~1995 were reviewed clinically, and were parted into two groups. The two treatment groups were ranitidine/antacid (RAN/ANT) and ranitidine/amoxicillin/denol (RAN/AMX/D). The latter was for H. pylori-positive children with duodenal ulcer who were diagnosed by serology and/or antral biopsies for histology, culture, and urease testing. The recurrence rat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1) 30 patients with primary duodenal ulcer underwent endoscopy for H. pylori and 27 (90.0%) of them were positive for H. pylori. 2) 27 of H. pylori-positive children received RAN/AMX/D. 23(85.2%) of them showed cure of duodenal ulcer and eradication of H. pylori. 3) The duodenal ulcer recurrence rate in RAN/ANT group was 65.3% and the rate in RAN/AMX/D was 4.3% by a year. Conclusions: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duodenal ulceration and H.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and the eradication of H. pylori in duodenal ulcer patients reduces the recurrence of the ulcer. Because of the low incidence of duodenal ulcers in children, a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reating H. pylori infetion on the long term natural history of duodenal ulcer disease.

      • KCI등재

        초산에 의한 마우스 위의 Helicobacter pylori 살균효과

        강상모,김선영,권우제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0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3 No.4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s the main causal bacteria occurring stomach diseases such as gastritis and gastric ulcer. These bacteria are found in most adults’ stomach. Especially, 60~90% of H. pylori is found in Korean stomach. As a lot of curing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remove H. pylori and certain effects have been done but it’s impossible to remove it perfectly with the existing medicines for curing. Therefore, it’s very urgent to develop a certain substance showing more excellent effect than the existing medicines. In this study, it wasfound that organic acids can be accessed easily, inserted into mouth for curing and has excellent sterilizing effect among the substances showing excellent antibiotic power. Among them, acetic acid showed the most excellent effect. To confirm the refraining power against H. pylori, we performed tests through in vitro contact testing methods by concentration and tsta. In the result, H. pylori were terminated perfectly in the solution of acetic acid more than 0.3% within 1 minute. With a base of the result of In vitro test, It was performed in vivo test. As the results, H. pyloriwere terminated perfectly on 0.2% solution of acetic acid from the result of confirming through urease test, ELISA method and RTPCR.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very useful information in developing the functional foodstuffs using acetic acid in order to terminate H. pylori on the people’s stomach, who suffers from H. pylori. Helicobacter pylori(H. pylori)는 위 감염증의 주된 원인균으로, 위염 및 위궤양을 일으키는 균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성인 남녀의 위에서 발견이 되며, 특히 한국 성인의 위에서 60~90% 정도 발견된다. H. pylori을 제균하기 위해 많은 치료 방법들이 시도되었고 어느 정도의 제균 활성은 있었으나, 완벽한 제균은 기존의 치료 약물로는 어렵다. 따라서 기존의 약물보다 더 효과가 좋은 물질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균 능력이 뛰어난 물질 중, 쉽게 접할 수 있고 경구투여로 치료가 용이하여 약재나 식품으로 응용할 수 있는 물질들 중 유기산들이 살균능력이 뛰어난 것을 알았다. 그 중 초산이 가장 뛰어난 살균효과를 보였다. 초산의 H. pylori에 대한 억제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농도별, 시간별로 in vitro 접촉실험법으로 실험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0.3% 이상의 초산 용액에서는 H. pylori가 1분 이내에 100% 사멸되었다. In vitro 실험 결과를 토대로 BALB/c mouse를 이용한 in vivo 실험을 하였다. H. pylori를 경구투여로 위에 접종하였다. 다음 감염된 것을 확인하고 초산용액을 각 군에 해당하는 농도에 준하여 0.1 mL를 1일 1회 혹은 3회 경구투여하였다. 초산에 의한 H. pylori의 사멸 정도를 재배양 실험법, urease test 및 ELISA법으로 확인한 결과 초산용액 0.2% 식이에서 모두 사멸되었다. RT-PCR법으로 검정한 결과는 초산용액 0.2%에서 밴드가 나타났지만 이는 사멸된 균의 것으로 보이며, 0.3%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RT-PCR법에서 0.2% 초산용액 식이에서는 H. pylori가 확인되는 것은 H. pylori의 사균이 위벽에 붙어 있다가 RTPCR법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가 세상 사람들의 절반이상이 감염되어 있는 H. pylori를 퇴치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초산을 이용한 기능성식품 개발에도 중요한 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 위장질환에 따른 H.pylori 감염빈도와 검사방법의 비교분석

        김대현,조재현,금민수,최성곤,이창형,탁원형,권영오,김성국,최용환,정준모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2

        목적 : H. pylori가 위장관 질환의 병인에 깊은 관련이 있어 이의 적절한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화기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여 H. pylori검출을 위한 CLO검사, IgG 항체검사 및 H&E 염색 등을 시행하여 각 질환별로 H. pylori 감염의 양성율을 알아보고 검사법에 따른 민감도 및 특이도를 그 유용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 4월에서 8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 소화기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총 3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여 H. pylori 검출을 위한 CLO 검사, IgG 항체검사, 조직염색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 환자수는 313명이었고 연령별 분포는 16세부터 80세 까지 다양하였으며 그중40대, 50대, 60대가 각각 69예(22%), 73예(23.3%), 65예(20.8%)로 전체 환자중 66%를 차지하였다. 남녀비는 2.07 대 1로 남자가 많았다. 대상환자의 평균나이는 52±15세였고, 전체 대상환자에서 H. pylori 양성군과 음성군의 평균나이는 각각 50±15세, 54±15세 였고, 궤양환자군에서 H. pylori 양성군과 음성군사이의 평균나이는 각각 49±14.8세, 55±13.8세로 나타났다. 각 질환별분포는 위염이 72명(23%), 십이지장 궤양이 85명(27.2%), 위궤양이 80명(25.6%), 위암이 20명(6.4%), 비궤양성 소화불량이 13명(4.2%), 기타가 43명(13.7%)이었으며, H. pylori 감염 양성율은 위염이 71%, 십이지장 궤양이 86.8%, 위궤양이 58.3%, 위암이 75%, 비궤양성 소화불량이 75%였으며 특히 유문륜 궤양에서는 100%의 양성율을 보였다. 소화성 궤양군과 비궤양군에서의 H. pylori 양성율을 비교해 본 결과 궤양군에서는 73.1%, 비궤양군에서는 72%로 통계학적으로 차이는 없었다(P=0.91). 소화성 궤양환자에서 출혈이 동반된 군과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의 H. pylori 양성율을 비교해 본 결과 출혈이 동반된 군에서의 양성율은 54.5%였고, 출혈이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는 77.5%의 양성율을 보여 출혈이동반되지 않은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4). 나이에 따른 양성율을 알아본 결과 50세 이하에서는 78.5%였고, 50세 이상에서는 67.5%로서 양성율이 낮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P=0.052). 각 검사법에 따른 민감도 및 특이도는 전체 환자중에서는 CLO검사가 88.9%, 96.1%, IgG항체검사 90.8%, 58.5%, H&E 염색검사 86.9%, 79.2%로서 민감도는 비슷하게 나왔으나 CLO검사는 상대적으로 특이도가 다른 검사법에 비해 높았다. 궤양군에서의 CLO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92.0%, 95.6%였고, 비궤양군에서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84.3%, 96.8%로서 비궤양군에서는 CLO검사의 민감도는 약간 낮았다. 나이에 따른 CLO 검사의 민감도 및 특이도는 50세 이하에서는 91.5%, 93.1% 였고, 50세 이상에서는 86.3%, 97.9%로서 50세 이상에서는 상대적으로 CLO검사의 민감도가 낮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위장질환에 따른 H. pylori 양성율을 알아보았는데, 다른 보고에서 처럼 높게 나왔으며, 진단 방법으로 사용한 CLO검사, IgG항체 검사, 조직염색검사 등은 모두 비교적 높은 예민도를 나타냈고, 그중 CLO검사가 간편하고 경제적이라는 면에서 임상적으로 유용한 검사로 여겨지나 상대적으로 CLO검사의 민감도가 낮은 비궤양성 질환과 50세 이상의 환자군에서는 CLO검사 외에 다른 검사방법을 병행함으로써 H. pylori의 진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Gastric colonization by Helicobacter. pylori is common among patients with peptic ulcer and gastritis. And various diagnostic tests are available in confirming H. pylori infec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H. pylori infection in Gastroduodenal disorders and compar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most widely available tests. Methods: A total of 313 patients were tested for H. pylori infection by IgG Ab, CLO test and H&E stains. Results: The prevalence of H. pylori inf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uodenal ulcer(86.8%) than in gastric cancer(75%), gastritis(71%) and gastric ulcer(58.3%)(P=0.009).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test was as follows: CLO test(88.9%, 96.1%), IgG Ab test(90.8%, 58.5%), H&E stain(86.9%, 79.2%). Sensitivity of CLO test in peptic group was 92.0%, whereas in non-peptic group, it was 86.3%. Sensitivity of CLO test in age under 50 was 91.5%, that over 50 it was 86.3%. Conculsions: There i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H. pylori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s. CLO tests have relatively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especially in peptic group and younger age(below 50 yr)group. But in those patients in which CLO tests are less sensitive (age>50 or non-peptic group), more than one test may be necessary to diagnose the presence of the organism.

      • Helicobacter pylori 제균치료-1주치료로 충분한가?

        양창헌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1

        Warren과 Marshall이 1982년 위 생검 조직을 배양, 만성 위염의 원인균으로 Helicobacter pylori(H. pylori)를 동정한 이후 H. pylori는 만성 활동성 위염, 십이지장 궤양, 위 궤양, 위 림프종 및 위암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 pylori는 한번 인체 위장에 감염이 되면 수년 또는 평생 동안 감염이 지속될 수 있으며 자연 치유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한국은 위암 발병률과 사망률이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며, H. pylori 감염률이 성인의 경우 69%~75%로 역시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H. pylori 감염의 치료방법으로 과거에는 bismuth 제제 포함 병합요법이 이용되었으나 근래에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와 두 가지 항생제를 병용하는 삼제 병합요법이 H. pylori 감염의 1차 치료로 추천되고 있다. H. pylori의 제균치료 시 가장 기본적인 목표는 성공적인 박멸에 있다. PPI 포함 3제요법은 부작용이 적고 순응도가 좋으면서 제균율도 높기 때문에 1차 약제로 선호되고 있으나 한국의 경우 최근 PPI 포함 삼제요법의 1주일 치료성적의 다수가 60~70%로 낮은 편이며 7일 투여에 비하여 14일 투여의 제균율이 의미있게 높다는 국내외의 메타분석결과와 최근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주 증가로 인한 제균율 감소를 고려하여 새로운 약제와 투여방법 및 기간에 대한 연구뿐만이 아니라 제균율을 높이기 위하여 probiotics, 동반 치료약물 및 항생제내성 등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치료기간의 연장, 새로운 가이드라인 등의 제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되어 진다. Ever since Warren and Marshall discovered H. pylori to be the cause of chronic gastritis by culture of gastric biopsy in 1982, H. pylori has also been discov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ronic active gastritis, duodenal ulcer, gastric ulcer, gastric lymphoma and gastric cancer. Once the gastric mucosa is infected with H. pylori, the infection may persist for years or lifelong and spontaneous resolution is rare. In South Korea, not only is there a relatively high prevalence and mortality rate of gastric cancer, but there is also a high colonization rate of H. pylori in adults, 65-75%, compared worldwide. In the past, H. pylon infection was treated with a combination drug regimen including a bismuth agent, but recently triple combination regimens including a proton pump inhibitor (PPI) and two antimicrobial agents are recommended as first line therapy. The most basic aim in the treatment of H. pylori is successful eradication. A triple drug regimen including a PPI is preferred as first-line therapy due to it's few side effects, good compliance and high eradication rate. Considering the relatively poor success rate of 60-70% with a PPI including triple therapy for 7 days in South Korea, meta-analysis reports of a significantly higher eradication rate with 14-day therapy compared to 7-day therapy, and the recent decrease in eradication rates due to the increase in antibiotic resistance, not only is more research needed on new drugs, treatment methods and durations but also on additional therapeutic measures, such as probiotics, that may increase eradication rates and conquer antibiotic resistance. Also it seem to be the time to establish a new guideline in the treatment of H. pylori in South Korea.

      • 소화효소가 Helicobater pylori의 증식과 공포화독소 생성에 미치는 영향

        홍대식,강경희,장명웅 고신대학교 의학부 2001 高神大學校 醫學部 論文集 Vol.16 No.1

        Background Global high prevalence rat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s well-known fact. However, a large discrepancies exist between the diagnostic data obtained by the PCR and culture method, because the coccoid form of H. pylori which represent the majority form in the biological samples are not viable in the standard BHI broth with 5% horse serum. The component parts of saliva and gastric juice acted as neither stimulator nor inhibitor to the growth of H. pylori remain unclea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amylase. pepsin, mucin, and lysozyme on the growth and vacuolating toxin production and titer of H. pylori in vitro. Materials and Methods H pylori 13, 39, 46, 59, 72, 94, 98, and 125 strains were isolated from patients with gastric diseases. The digestive enzymes were inoculated in the 5% horse serum-BHI broth following final concentration of amylase (A: 0.25㎍/㎖), pepsin(P: 0.25㎍/㎖), mucin(M: 2.5㎍/㎖), and lysozyme(L: 1.5㎍/㎖). The vacuo-lating toxin titers of the culture supernatant were evaluated in the monolayer culture of RK-13 cells. Results The morphologic conversion from bacillary to horse-shoe to coccoid forms of H pylori was observed in the BHI broth containing 5% horse serum on day 5 culture. Half of H. pylori was evaluated from bacillary to coccoidal form on day 7 culture, most population of H. pylori was changed to coccoidal form on day 10 culture, and almost all H. pylori was changed to coccoidal form on day 14 culture. The growth of H. pylori 72, and 94 strains was increased in BHI broth containing each enzyme such as amylase, pepsin, mucin and mixture of two or three enzymes on day 5 and 7 culture. The growth of H. pylori 94 stains was increased in BHI broth containing each enzyme such as amylase, pepsin, mucin, and mixture of two or three enzymes on day 10 and 14 culture. The vacuolating toxin production of H. pylori strains was not influenced by the addition of amylase, pepsin, mucin and lysozyme or mixture of two or three enzymes. The neutralization of vacuolating toxin of H. pylori was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amylase, pepsin mucin and lysozyme or mixture of two or three enzymes. Conclusion We found that coccoid forms of H. pylori were viable in the standard 5% horse serum BHI media in the presence of amylase, pepsin, mucin, and lysozyme.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gastric juice of the stomach supports the viability of H. pylori and that oral route of infection is a plausible hypothesis. This work also demonstrates that gastric environment may not provide a selective advantage for the toxigenic strains of H pylori.

      • 소화효소가 Helicobacter pylori의 증식과 공포화독소 생성에 미치는 영향

        홍대식,강경희,장명웅 고신대학교(의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2001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16 No.1

        Background : Global high prevalence rat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s well-known fact. However, a large discrepancies exist between the diagnostic data obtained by the PCR and culture method, because the coccoid form of H.pylori which represent the majority form in the biological samples are not viable in the standard BHI broth with 5% horse serum. The component parts of saliva and gastric juice acted as neither stimulator nor inhibitor to the growth of H.pylori remain unclea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amylase, pepsin, mucin, and lysozyme on the growth and vacuolating toxin production and titer of H.pylori in vitro. Materials and Methods : H.pylori 13,39,46,59,72,94,98 and 125 strains were isolated from patients with gastric disease. The digestive enzymes were inoculated in the 5% horse serum-BHI broth following final concentration of amylase (A; 0.20ug/ml), pepsin (P; 0.25ug/ml), mucin (M; 2,5ug/ml), and lysozyme (L; 1.5ug/ml). The vacuolating toxin titers of the culture supernatant were evaluated in the monolayer culture of RK-13 cells. Results : The morphologic conversion from bacillary to horse-shoe to coccoid forms of H.pylori was observed in the BHI broth containing 5% horse serum on day 5 culture. Half of H.pylori was changed from bacillary to coccoidal form on day 7 culture, most population of H.pylori was changed to coccoidal form on day 10 culture, and almost all H.pylori was changed to coccoidal form on day 14 culture. The growth of H.pylori 72, and 94 strains was increased in BHI broth containing each enzyme such as amylase, pepsin, mucin and mixture of two or three enzymes on day 5 and 7 culture. The growth of H.pylori 94 strains was increased in BHI broth containing each enzyme such as amylase, pepsin, mucin, and mixture of two or three enzymes on day 10 and 14 culture. The vacuolating toxin production of H.pylori strains was not influenced by the addition of amylase, pepsin, mucin, and lysozye or mixture of two or three enzymes. The neutralization of vacuolating toxin of H.pylori was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amylase, pepsin, mucin, and lysozyme or mixture of two or three enzymes. Conclusion : We found that coccoid forms of H.pylori were viable in the standard 5% horse serum BHI media in the presence of amylase, pepsin, mucin, and lysozyme.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gastric juice of the stomach supports the viability of H.pylori and that oral route of infection is a plausible hypothesis. This work also demonstrates that gastric environment may not provide a selective advantage for the toxigenic strains of H.pylo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