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영혜(Young-Hye Kim) 한국인구학회 2004 한국인구학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젠더관계가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psychological well-being)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노인부부의 젠더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을 측정하였고,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은 우울도와 행복감으로 측정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배우자와 동거하고, 자녀와는 동거하지 않으며, 부부 모두 직업에서 은퇴한, 65세 이상의 남녀노인 476명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보다 평등적인 성역할태도를 지니고 있으며, 노인부부의 가사노동 수행에 있어 성별 분절현상이 나타난다. 2)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 수준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남녀 노인 모두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 수준이 일치할수록 심리적 복지감이 높았다. 3) 남녀노인의 성역할태도는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여성노인의 가사노동분담은 심리적 복지감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남성노인의 가사노동분담은 오히려 그들의 심리적 복지감을 낮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elated to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2) the effect of congruency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independent variable is gender-role attitude, mediating variable is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dependent variable is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consists of depression and happines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Gender-role attitude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e more egalitarian gender-role attitude, the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e more traditional gender-role attitude, the low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2)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fluences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e higher degree of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s likely to show the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3) The congruency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s more congruent. psychological well-being increa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elderly. 2)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for husband. The higher degree of division of household labor, the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 shows that husbands are involved in household labor involuntarily. 3) Congruency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s more congruent, the degree of depression decreases. 4) Wives participate in most of household labor. Gender segregation in household labor is found in elderly family. 5) Health, income, network of children or sibling, and community network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e healthier, higher income and stronger network are likely to show the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젠더·어펙트 연구에서 연결성의 문제: 데이터 제국의 도래와 ‘인문’의 미래
권명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석당논총 Vol.0 No.77
In today’s Korean society, gender has become the concept that causes the most conflict. For those who oppose the concept of gender since it damages “biological sex,” it is an “enemy” that destroys humans’ inborn nature and Korean societal traditions that should be protected. In such discussions, biological sex belongs to the past since it refers to originality, while gender is unknown and transplanted from the outside, and also is futuristic because it is something new that threatens our reality. Political groups calling themselves neoconservatives have established the Gender Conflict Resolution Board to advocate their key ideal: gender conflict here implies the “threat to be eliminated” for the new conservativ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renewed past.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s ruling political party, claiming to advocate liberalism, has proclaimed the beginning of “AInomics,” referring to its national strategies of forming economic polici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the future. AI-nomics is depicted as a more “technology-based future” that is gender-neutral and that the national community must prepare for in a systematic manner. The AI-nomics initiative of the current government is an effective strategy to avoid physicality-related conflicts based on the human body (typically, conflicts in gender) by desomatizing, denaturalizing, and dehumanizing technology and consequently generating discussion that misleads people to think that technology is gender neutral. Such a policy stance is also related to the myth of AI autonomy, symbolized by the match between Lee Sedol and AlphaGo, and arguments that replacement of the human bod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echnology is an irreversible change—represented by the viewpoints of government officials who believe that massive layoffs of female highway toll collectors were inevitable due to the replacement of labor by technology that would have made such jobs disappear anyways. The heterogeneous strategies of gender claimed by the far right, the “new conservatives,” and liberal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erceptions, narratives and prospects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Heterogeneous judgments of the past and the future are also inseparable from the creation of narratives of, granting values on, and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physicality and connectivity. The idea of and political stance on gender have a close relation to the granting of value on the judgments and direction of physicality (including embodiment, trans-embodiment, and re-embodiment) and connectivity (changes in connectivity between humans and humans, humans and society, humans and non-humans, humans and technology, and through 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initiate discussion with gender, affect, connectivity and body as keywords towards making a critical and theoretical intervention into reality regarding such a future strategy. This study also attempts to highlight the issues of gender and affect studies by comparing different theoretical approaches and methods of intervention into reality in regards to gender, affect, connectivity, and body.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past and the future rendered in discussions about gender, affect, connectivity and the body in national policy as a strategy for Korean society’s future. Then, by contemplating various discussions hostile to the phenomenon known as the “Cho Kuk Scandal,”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atic issues that are always resolved from the confrontational aspects of the possibilities of populism (competencies of the multitude) and malaise (fascist spontaneity of the public). Also, by suggesting confrontational arguments of radical feminism and intersectional feminism in regard to the theory of gender dissolution, this study compares and contemplates discussions on xenofeminists’ declaration claiming intersectional feminism and gender dissolution theory at the same time... 이 연구는 젠더, 정동(어펙트), 연결성이라는 세 개념과 관련된 이론적․현실적 쟁점을 다루고 이론이 나아갈 방향을 탐색한다. 세 개념 모두 이론적․현실적으로 과도할 정도로 많은 논란이 따르고 있어, 개념이나 이론의 문제로 다룰 때 많은 난관에 봉착하곤 한다. 젠더는 페미니즘 이론의 기본 개념이지만 이론의 역사나 이론에서의 개념 정의와 무관하게 현실에서는 난감한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젠더와 관련된 많은 사안이 거대 권력과 대형 미디어, 대립하는 세력들의 담론 투쟁에 휩쓸려 불타오르고 있어 이론이 다루기에 도저히 역부족인 상태까지 극단으로 치닫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이런 파국에 이르게 된 여러 원인과 구조를 파악하는 일도 젠더 연구의 큰 과제이다. 본고에서는 그런 연구의 한 과정으로서 젠더, 어펙트, 연결성과 관련된 이론적․현실적 쟁점을 국내외의 여러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담론 투쟁의 파국을 이론으로 돌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젠더, 어펙트, 연결성과 신체에 대한 상이한 이론적 대응 방식과 현실 개입 방식을 비교하여 젠더 연구와 어펙트 연구에서 진행 중인 논점을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 사회의 국가 정책에서 젠더, 어펙트, 연결성과 신체에 대한 논의가 그려내는 과거와 미래를 분석한다. ‘적폐청산’을 강조하던 정부 기조가 ‘4차 산업 혁명’, ‘AI 노믹스’를 내세운 ‘미래 전략’이라는 담론 프레임으로 변화하는 과정은 국가 정책 기조에서 시간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그리고 시간성의 변화는 젠더와 신체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는 게 이 연구에서 논하고자 하는 중요한 지점이다. 미래 전략이 ‘AI 노믹스’로 전환된 것은 한국 사회만은 아니다. ‘4차 산업혁명’ 담론으로 대표되는 과학기술을 통해 미래 전략을 재구성해야한다는 요청은 이제 교육, 삶, 돌봄, 재생산 등 삶 전반에 걸쳐 진행 중이다. 돌봄을 정동 체계의 하나로 분석해온 페미니즘 이론에서 과학 기술과 미래에 대한 논쟁이 다시 대두한 것은 이런 사정과 관련된다. 그러나 젠더 연구와 과학 기술, 그리고 다가올 것들에 대해서는 아직은 본격적인 논의가 진행 중이지 않다. 4차 산업 혁명 담론이나, ‘AI 노믹스’가 국가 전략이 되는 시대, 페미니즘 이슈는 ‘생물학적 성과 사회문화적 성’의 대립과 갈등의 주위를 맴돌고 있다. 이 역시 매우 징후적이다. 이에 대해 본고에서는 ‘젠더․어펙트’라는 개념으로 접근하여 규명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을 통해 페미니즘을 ‘혁신’할 것을 주장하는 제노페미니즘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또 “젠더 해소론”을 둘러싼 래디컬 페미니즘과 교차성 페미니즘의 대립적 논의를 전제하면서 교차성 페미니즘을 주장하면서 젠더 해소론을 주장하는 제노페미니스트 선언의 논의와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 테크노 페미니즘의 논의와 정동 연구에서의 테크놀로지와 디지털화 그리고 몸의 관계에 대해 비교 고찰한다. 이 고찰을 통해서 테크놀로지와 몸에 대한 극도로 이질적인 사유들이 미래를 구상하는 대립적인 관점에 다름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몸과 테크놀로지에 대한 젠더 연구와 정동 연구의 문제의식은 신체적 물질(bodily matter)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면서 신체에 대 ...
자연재난과 젠더 : 개도국 양성평등 제고 가능성과 한국의 성인지적 재난관리정책을 위한 시사점
장은하(Eun-Ha Ch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8 No.-
Since 1990s,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mega disasters around the globe are on the rapid rise. The destructive impact of natural disasters is vast. They not only destroy personal life, health and wellbeing but also devastates livelihoods, social services and environments. Disasters are also gender discriminatory. Due to their biological/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unequal status in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life, women's vulnerability increases when disaster occurs. Despite such destructiveness however, disasters sometimes act as an opportunity for change towards a more gender-equal society. The demise of existing infrastructure and influx of external resources may create a positive opportunity for a chang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whether fundamental changes toward gender equality can take place during the reconstruction phase of a disaster in developing countries, and also examines implications for the disaster management policy of South Korea. The author examines several cases studies, using Caroline Moser's gender planning theory, focusing on practical gender needs and strategic gender needs. The case studies reveal that post-disaster reconstruction programs work towards satisfying both practical and strategic gender needs, and the effect is greater when the assistance organization has high gender sensitiveness. Nonetheless, taking a strategic gender approach did not directly resulted in more fundamental or structural change. In some cases negative results were observed.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women's organization, men's resistance, trauma therapy were identified as importanc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an effective change. This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several implications for South Korea’s gender-conscious disaster management policy. 1995년 일본 한신 대지진, 2004년 인도양 쓰나미, 2010년 아이티 대지진, 20011년 일본 쓰나미 등 1990년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대형 자연재난의 빈도와 강도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재난은 사망, 부상, 질병 등의 물리적 인명 피해 뿐 아니라, 생계기반을 파괴하고, 사회 서비스를 마비시키며, 사회경제적 혼란, 환경파괴를 불러오는 등 개인과 사회의 전 영역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재난의 영향력은 또한 성차별적이다. 여성들은 생물학적/생리학적 특성과 한 사회 내에서 차지하는 사회, 경제, 정치적으로 불평등한 위치와 차별로 인해 재난 발생 시 취약성이 증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파괴력에도 불구하고 재난은 양성평등적 변화를 촉진하기도 한다. 재난으로 인한 기존 질서의 붕괴와 복구 과정에서의 자원의 유입은 해당 사회의 여성의 지위 향상과 양성평등을 위한 긍정적인 변화의 기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의를 배경으로 본 연구는 자연재난 복구 과정을 통해서 양성평등을 위한 근본적이고도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지를 개도국의 사례에 비추어 고찰하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양성평등적 변화를 위해서는 모저(Moser)의 실제적 젠더 요구(practical gender needs, PGN)와 전략적 젠더 요구(strategic gender needs, SGN) 모두 충족되어야 하나, 보다 구조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전략적 젠더 요구가 충족되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연구 결과로는 검토한 대부분 사례에서 여성의 실제적 젠더 요구와 전략적 젠더 요구에 부응하는 지원이 이루어 진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특히 지원 단체의 젠더 민감도가 높은 경우 전략적 젠더 요구가 효과적으로 충족되는 것으로 나타나났다. 그러나 전략적 젠더 요구 충족을 위한 접근이 시도되었다고 해서 이것이 바로 구조적이고도 근본적인 변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오히려 부정적인 변화가 일어난 경우도 있었다. 또한 보다 구조적인 양성평등적 변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재난 복구 시기에서의 여성조직의 역할, 남성의 저항에 대한 대응, 트라우마 치료 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양성평등 제고를 위한 내재적, 외재적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의 성인지적 재난관리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김규연 ( Kim Kyu Yeon ),하지수 ( Ha Jisoo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0 No.4
While fashion is a major medium of expressing individuality and identity, it also has been influenced by the socio-cultural norm. This might be the reason that the discussions about fashion and gender have been made steadily. In this study, we purposed to pay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clothing of gender minorities in everyday situations, from the viewpoint of focused ethnography. Hypothesizing that gendered clothing norms and cultural norms will affect the use of clothing in everyday situations, we focused on identifying the aspects of how the norm works in gender minorities’ everyday lives and revealing its specificity of Korea’s social-cultural influence. According to the study, gender minorities express their clothing based on the attitude toward gendered clothing norms, which has been developed over time. The attitude of gender minorities toward gender-based clothing norms was divided into compliance, individuality and compromise, non-compliance and deviation. At the same time the costume expression pattern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ity-oriented, physical-management, customary gender-imitating, and neutral gender-image-seeking types depending on the response attitude. Relatively in common, the candidates clothed based on the social awareness reflect their collective identity through clothing and express individual's gender at the same time. By using clothes to perform gender in everyday situations, candidates’ gender performativity through clothing creates cracks among gendered clothing norm and extend it, implying the possibility of the emergence of new norm. This result implicates that the study has expanded the potential of fashion to express sexuality and gender, by inspecting costume styles of various Korean gender minoritie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when planning and developing fashion products that can express various gender and sexuality by approaching the concerns experienced when using clothes in daily life. But there still to be identified more detailed properties of each gender minority category and the segmental characteristics. Also, the study couldn’t include many participants from the ‘closet’, so the results can’t be generalized for all the gender minorities.
김은혜,박은미,박순란,박효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3 여성연구 Vol.117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gender-discriminatory factors in school songs and precepts and improve them in the viewpoint of gender equality. For this purpose, we delved into all public schools’ school songs and precepts in Gyeongsangbuk-do. The context and content of the school songs and precepts were analyzed, with focus o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discriminatory expressions. Then they were analyzed by level and type of school inclu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by year of school found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survey found male-designated expressions such as ‘geona(virile son)’ and ‘hwarang(male soldeir in Silla Dynasty)’ in all levels of schools. Secondly,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discriminatory expressions were found in the school songs in female schools. Lastly,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discriminatory expressions appeared in greater frequency in schools established before 2000, compared with those established after 2000. As the resulf of this study, we propose four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gender-discriminatory elements in the school songs and precepts. Firstly, the Education Office of Gyeongsangbuk-do needs to revise its Gender Equality Ordinance as a way of providing institutional support. Secondly, it is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fice of Gyeongsangbuk-do to provide budget for correcting the gender-discriminatory factors in school songs and precepts. It requires a comprehensive program supported by the Education Office to improve the gender-discriminatory content in the school songs and precepts in this province. Thirdly, it is needed to hold meetings, talk concerts, and exhibits so as to share common grounds of school songs and precept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among the students, graduates, school employees, and parents. Fourthly, it is necessary to draw up guidelines for eliminating gender-discriminatory and human rights-violating factors in school songs and precept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opinions of students, who are the main members of schools, in the improvement of school songs and precepts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Through follow-up research, we intend to propose ways to eliminate gender discrimination elements in Gyeongsangbuk-do public school songs and precepts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the students. 본 연구는 경상북도 753개 공립학교 교가・교훈의 성차별적 요소를 발견하고 양성평등한 관점으로 개선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2년 경상북도교육청 소속 753개 공립학교를 전수조사하여 교가・교훈 속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언어표현을 기준으로 맥락분석 및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학교급에서는 ‘건아, 화랑’과 같은 남성 지칭 표현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학교유형별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언어표현은 여학교 교가・교훈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립연도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언어표현은 주로 2000년대 이전에 설립된 학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북도 교가・교훈의 성차별적 요소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가・교훈 개선을 위한 교육청의 양성평등 조례 개정을 통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교가・교훈개선을 위한 교육청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경상북도 공립학교 교가・교훈의 성차별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경상북도교육청 지원을 통한 일괄적 사업 운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재학생, 동문회, 교직원, 학부모회 등의 합의 도출을 위한 학교별 교가・교훈 성차별적 요소 개선 사업이 필요하다. 넷째, 성차별적 요소와 인권침해 요소를 포함한 교가・교훈 수정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양성평등한 교가・교훈 개선을 위해서는 학교 주 구성원인 학생들의 관점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후속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관점을 반영한 경상북도 교가・교훈의 성차별적 요소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안진(Ahn, Jea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1 지역사회연구 Vol.19 No.4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gender main-streaming in the local level. This research empirically analyzed some aspects of local polic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such as gender impact assessment, gender-segregated statistics, gender cognitive budget, gender cognitive education of actors in the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Findings of this research and policy suggestions are as follows.<br/> First of all, the legal regulations(The Ordinance on Women's Development) are insufficient to implement gender main-streaming on local policies. There is neither any prescription on gender cognitive budget nor any specific article to prescribe the feed-back of the assessment on the new policy. The legal regulations relating to some instruments of gender main-streaming need to be revised and specified. Secondly, policy-coordinating agency in the local government needs to be consolidated by the empowerment of Committee of Women's Development or reorganization of Department of Women's Policy in the local government. Thirdly, the proportion of women in the higher position in the local government has to be increased to fulfill the equal participation in policy making in terms of 'main-streaming of women'. The feed-back of gender impact assessment is to be adopted in the new policy and the gender cognitive budget needs to be implemented on all kinds of policies.
김선욱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법학논집 Vol.12 No.1
Korea has tried to amend discriminatory laws and improve unequal realities between women and men since 1980. As the results of legislative efforts, legal and institutional equality was achieved somewhat but gender-based inequality still remains in every areas of society. Gender-Mainstreaming, emphasized in 4th World Conference on Women, Beijing 1995, is recently adopted into policies in Korea. In this article, I analyse legislative changes that promote to transform Gender-Mainstreaming in only women-policies into Gender-Mainstreaming in all national public policies. And I focus on Gender Impact Assessment System(Women Development Act, 2002), Gender-Budget System(National Finance Act, 2006), Gender-Statistics System(Statistics Act, 2007) and the Review Standard of Legislation(2006) in the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In conclusion, our task is to actualize Gender-Mainstreaming in the lawmaking process by adapting to gender perspective in government public policies. 한국은 1980년대 이후 성차별적인 법의 개정과 성불평등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입법적 노력을 꾸준히 시도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입법적 노력의 성과로 법과 제도상의 평등은 어느 정도 이루어졌으나 사회 각 부문에서의 현실에는 아직도 많은 불평등이 남아 있다, 몇 가지 주요 지표를 보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아직 50.3%이고, 직종별로 살펴보면 사무직, 판매직, 서비스직에 편중되어있으며, 전문가 및 고위관리직의 비율은 여전히 낮다. 또한 여성근로자의 평균임금은 남성의 63.4%이다. 이러한 여성의 상황은 UNDP에서 매년 발표하는 여성권한척도(GEM : Gender Empowerment Measure)에서 잘 나타나고 있는데, 2006년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 75개국 중 53위에 머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1995년 제4차 북경 세계여성회의 이후 강조되고 있는 Gebder-Mainstreaming(성주류화)은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정책적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그동안의 성평등입법을 개관해보고 Gender-Meainstreaming으로의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최근의 몇 가지 입법적 변화를 분석하고 이들의 Gender-Meainstreaming의 효과를 다룬다. 즉, 여성발전기본법 개정(2002)으로 도입된 성별영향제도, 국가재정법 개정(2006)으로 도입된 성인지예산제도, 통계법 개정(2007)으로 도입될 성별통계생산, 그리고 법제처 법령입안심사기준(2006)의 성인지 법령심사를 다루면서 이러한 새로운 제도가 효과적으로 되기 위한 입법에서의 성주류화 과제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나에서 우리로, 젠더에서 인간으로: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과 『젠더 허물기』 비교 연구
조현준 한국여성문학학회 2017 여성문학연구 Vol.40 No.-
This essay aims to study the turn of Butler’s 'feminist and gender theory' to 'ethics for the others' combined with politics sustaining the same genealogical viewpoints, comparing Gender Trouble and Undoing Gender: 1) the turn from ‘I’ to ‘we’ based on the constitutional heteronomy; 2) the turn from ‘gender’ to ‘human’ mainly based on becoming human of transsex or intersex people; 3) the turn from ‘you inside of me’ to ‘you before me’ focused on the priority of others from ethical points of view. As Butler said in Undoing Gender, we are undone by each other because nobody can’t always stay static, and my body is not solely mine in the social world dominated by cultural norms. The turn from Gender Trouble to Undoing Gender can be explained in three points: 1) to enlarge the ontological epistemology from me to us; 2) to transform from the sophisticated theoretical positions to ethical and political practice to consider social minorities; 3) to place more emphasis on cultural translation practice as a politically correct way to accept the challenge of differences than colaitional politics in the era of this multicultural period. While Gender Trouble participated in theorizing indecisive, unstable and free floating sex, gender, sexuality as an effect of regulatory power and disciplinary discourse in non-identity politics with the famous statement of “sex is always already gender,” Undoing Gender keenly recognizes the practical phases of ethical and political life of minorities like LGBTQI. At this point,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translation practice appears to accept the differences of queers without discrimination to live a livable and viable life. Last but not least, the genealogical viewpoints last consistently to stay skeptical to the fundamental assumptions such as a origin or a cause and also to reveal its historical context and discursive effects of the power regime. It requires permanent provisionality about gender possibilities and in particular about what it means to be human. 이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과 『젠더 허물기』를 중심으로 버틀러의 전기 페미니즘과 젠더 정치학과 후기 타자의 윤리학의 차이를 살피는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유지되는 계보학적 관점에도 주목하려 한다. 구성적 타율과 관계적 감성을 중심으로 ‘나’에서 ‘우리’로의 전환을, 젠더의 소수성 때문에 인간과 미인간의 경계에 있는 트랜스나 인터섹스의 인간되기의 가능성을, 마지막으로 ‘내 안의 너’에서 ‘내 앞의 너’로의 이론적 변화를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젠더 트러블』과 『젠더 허물기』로의 전환은 크게 첫째는 나에서 우리로 존재적 인식론을 확대한 점이고, 둘째는 이론적 정교함에서 현실적 정치성으로 선회해 사회 소수자에 대한 정치 윤리적 성찰을 전개한 점이며, 세 번째는 다문화 시대에 차이를 수용하는 올바른 방식으로서 문화 번역 실천을 제안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과거의 『젠더 트러블』이 ‘나’의 불안정하고 비결정적인 젠더 모호성을 옹호하면서 하나의 범주로 고정되지 않는 비정체성의 젠더 이론을 형성하고자 했다면, 『젠더 허물기』는 여성이면서도 사회적 소수자로, 또 성적 소수자로 살아가는 공동체인 ‘우리’앞에 놓인 현실적 사회 문화 역사 지역적 관계 속에서 소통하고 말하고 느끼는 현실의 정치 윤리적 삶을 논의한다는 점에서 전 후기 이론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근본적 전제에 대한 역사적 해석과 권력의 담론 작용 효과를 놓치지 않는 계보학적 관점은 전후기를 관통해 유지되고 있다.
양민석(Min-Suk Yang),유정미(Jeong Mi Yoo),이재경(Jae Kyung Lee)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9 여성연구 Vol.76 No.-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 인력양성 정책에 투여된 정부예산을 성인지 관점으로 분석한 것이다. ‘정책 영역의 성불평등구조 파악’, ‘성별 예산수혜 경향분석’, ‘예산배분의 성별 규칙이 성불평등 구조에 미치는 영향’, ‘성평등한 예산 배분을 위한 제안’, ‘제안에 대한 검토’로 분석단계를 설정하고 분석을 전개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이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양성정책 예산을 배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작동하고 있었다. 남성이 많이 참여하는 사업은 1인당 수혜액의 크기가 커서 양질의 예산이 투여되는 반면에, 여성이 많이 참여하는 사업의 경우는 수혜자에게 돌아가는 예산 규모가 크지 않음으로써, 예산의 질적 배분은 성별화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 예산 배분에는 콘텐츠 산업 인력구성의 성불평등 구조에 대한 개선이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아서, 콘텐츠산업의 불평등 구조인 ‘문화산업인력의 여성화’, ‘경력구조의 남성중심성’, ‘이중적 직무구조의 성차별성’을 개선하기보다는 답습하고 강화하는 효과가 컸다. 콘텐츠산업은 새롭게 주목받는 신성장산업이고, 젊은 인력이 다수 포진하고 있으며 여성의 선호도가 높은 산업이다. ‘문화산업인력의 여성화’는 콘텐츠산업의 특징이자 불평등 구조의 하나이다. 때문에 인력양성을 위한 예산배분이 인력의 성별 배치구조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콘텐츠산업이 목표하는 인력양성의 과제를 달성하기 어렵다.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양성정책을 수립하고 예산을 배분하는데 있어서 인력구성의 성별 특징을 고려하고 성평등한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public expenditure used for culture contents specialists programs from a gender perspective. It consists of “analysis of gender inequality structures of the culture contents industry”, “gender-disaggregated benefit incidence analysis”, “evaluation of budget distribution effect of gender inequality” and “suggestion for a gender equality strategy”. We discovered through analysis that gender has had an impact on the budget distribution of the policy. The programs in which men mostly participated had more qualified budget because in these programs the size of benefit per person was bigger than others. Contrarily, the programs in which the rate of women participation was higher distributed much less benefit to participants. It shows that budget distribution was gendered. In the process of budget allocation, the gender inequality structure of the industry wa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Therefore, the result of distribution repeated and strengthened the gender inequality structure, “feminization of culture contents labor”, “male-dominated career development”, and “gender division of labor”, rather than weakened them. The culture contents industry is the new industry expected high growth, and is involving young work force and has the high level of favor from young women. “The feminization of culture contents labor” is both a distinctive feature and one of inequality structures. Accordingly, if the government does not consider gender in the policy formation and budget distribution, it cannot effectively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policy. A gender perspective need to be incorporated into the culture contents training programs and their budgets.
불교신자의 성평등의식에 관한 성별 분석 - 종교적 영역을 중심으로 -
옥복연 한국불교학회 2011 韓國佛敎學 Vol.59 No.-
This study analyzes the reality of gender-equality consciousness between buddhist men and women, especially in the religious area. Using the data from a Survey of Buddhist Gender-Equality Consciousness conducted on 1,589 buddhists throughout the Jogejong temples from August to September, 2010. The study focuses on the sexual discrimination during the religious life, Buddhist teachings(dharma), gender-equality policy, and Jogejong order's law. Also the study focuses on the gender-equality education to understand how many buddhists are interested in the gender-equality, and search for the method of overcome sexual discrimination. Many buddhists believed that dharma does teach gender-equality and that it helps to have such behavior. In the Jogejong order's law area, most buddhist were agreed that the prohibition of bikuni's head of Jogejong's central organization(Chongmuwon), a Representative of the main branch temples, and the regulation of sexual ratio in the central meeting(Jongwhi) are gender-inequality. Therefore, both men and women were agreed that these sex-discriminative law should be amended.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most frequent type of sex discrimination was the use of crude language only to women. In the policy area, the lack of women leaders in Chongmuwon is an example of sex discrimination, and Jogejong leaders and Buddhist men should recognize women's ability based on the Buddhist doctrine. Generally, men experienced the education for gender -equality more than women, and it indeed helped them. Since then, more people intended to take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eople also said that in order to have the gender-equality spread throughout the religion, the buddhist people must have the gender-equal behavior,and that the monks and the leaders must be the examples. In conclusion, buddhists recognize that the Buddha is not represented as a misogynist, but buddhist traditions and a monastic order make androcentric text and context. Therefore, Buddhist should not discriminate against women, and that gender is an irrelevant category in the spiritual life. 이 논문은 종교영역에서의 남녀 불교신자의 성평등의식의 실태와 성별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0년 전국의 조계종소속 사찰에서 신행활동을 하는 남녀불자 1,589명을 대상으로 한 ‘불교신자의 성평등의식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종교 영역에서의 성평등 실태와 성평등의식의 확산을 위한 불교계의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보았다. 많은 불자들이 불교 교리가 성평등을 가르치며, 성평등한 생활태도를갖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는데, 특히 여성에 비해 남성이 교리가 성평등하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하지만 조계종 종헌종법상 비구니스님의 총무원장/본사주지 불가/중앙종회의 비구 71명 및 비구니10명의 성비 규정등은 성차별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불교계에 여성리더의 부족은 능력보다 남성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며, 수행과정에서 경험한 성차별 중 가장많은 유형은 여성에게만 반말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평등교육 경험은 남성이 여성보다 많이 경험했고, 교육 경험자가 교리적 성평등의식이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성평등 확산을 위한 과제로 일반 신도들이 스스로 남녀 평등한 생활태도를 가져야 하며, 스님을 포함한 교계 지도자가 남녀평등의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