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칠교놀이와 접기를 활용한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연구

        이유선,최윤미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0 No.1

        현대는 지속가능한 삶을 화두로 하며 패션 산업도 환경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의 방법 중 하나인 제로 웨이스트 패션에 대한 개념과 사례를 분석하여 그 특성을 고찰하고, 새로운 방법의 디자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로 웨이 스트 패션디자인은 패턴을 커팅하여 재배열하는 유무에 따라 패턴 커팅 방식과 논 커팅 방식으로 분류하고 패턴 커팅 방식은 퍼즐 커팅, 모듈 커팅, 미니멀 커팅으로 논 커팅 방식은 서브트렉션 커팅, 에이폭, 소재에 의한 방식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그중 패턴 커팅에 의해 원단 폐기율을 줄이는 방법이 다수인데 이는 디자이 너의 수준 높은 역량에 의지하므로 비전문가가 이해하고 경험하기에 쉽지 않다. 이에 칠교놀이와 종이접기 방식을 접목시켜 조각 배열을 보며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한 디자인 방법인 Tangram Cutting을 개발하고 총 8점의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연구 방법은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과 칠교놀이 관련 서적과 학위 논문, 학 술지 논문, 포럼, 인터넷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칠교놀이 방법과 종이접기 방법을 접목하여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방법을 연구하였다. 인체 형태만 알면 종이접기를 통해 추출한 조각을 배열하여 디자인이 가능하므로 제로 웨이스트 패션을 직접 디자인하고 제작하는 능동적인 경험이 가능하고, 친숙한 칠교놀이 방법을 차용했기 때문에 친환경 패션디자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다. 1/5 축소 패턴지를 사용하여 패턴을 구성하고 디자인할 수 있어서 원단뿐만 아니라 패턴지의 낭비도 줄일 수 있다. 대중적이며 효율적인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을 위해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고 원단 사용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modern is focusing on a sustainable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and case of zero waste fashion which is one of the sustainable fashion design methods to solve environmental pollution,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s and to present the new method. The zero-waist fashion design is classified into a pattern cutting method and a non cutting method according to whether the pattern is cut and rearranged. The pattern cutting method is subdivided into puzzle cutting, modular cutting, and minimal cutting, and non cutting method is subdivided into subtraction cutting, a-poc, and material. There are many ways to reduce the fabric abandonment rate by pattern composition, which is not easy for non-experts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Tangram Cutting, which is a design method that allows intuitive comprehension by combining sculpture and paper folding techniques, has been developed. The research method is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zero waste fashion design and tangram related books, theses, forums, and internet materials. Based on above, we developed the zero waste fashion design method and by combining it with the folding method we made a total of 8 design. If you know only human form, you can arrange the pieces, design a zero waste fashion yourself, and take advantage of the familiar tangram method, so you can use it as an educational program for eco-friendly fashion design. The pattern can be constructed and designed using 1/5 scaled pattern paper, which reduces waste of pattern paper as well as fabric.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use a variety of materials and reduce fabric utilization for popular and efficient zero waste fashion design.

      • KCI등재

        매체분석을 통해 본 노라노 패션과 한국 패션 고찰 (2) -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노라노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

        박신미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디자이너 노라노 소장 자료와 연구자 수집 노라노 관련 매체자료를 분석하여 노라노 패션과 한국 여성 패션의 현대화 양상을 객관적 자료에 근거해 고찰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학술지 논문의 지면 제한으로 2편으로 나누어 연구를 구성한다. 2016년 진행된 연구 (1)에서는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의 노라노 영화의상을 분석하여 탈전통화기의 트렌드를 고찰하였다. 연구 (1)의 결과, 노라노는 최지희를 팜므파탈의 여신으로, 엄앵란을 한국의 오드리 헵번으로 만드는 등 여배우들의 스타일을 통해 국외의 트렌드를 국내에 전파시켰다. 당시 여배우들의 스타일은 20세기 중반 한국 패션 트렌드를 주도하였으며 한국패션의 서구화에 일조하였다. 본고는 연결논문의 두 번째 논문으로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노라노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현재까지 밝혀진 사실들을 검증하고 한국 여성 패션 현대화의 주요 사건들을 매체자료에 근거해 추출한다. 본 연구는 노라노 소장 자료, 연구자 수집 자료, 신문박물관 소장 자료 총 159편을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에서는 노라노 작품이 미국적 특성이 강한 것으로 제시되고 있었으나, 매체자료 분석 결과 노라노는 미국 패션과 프랑스패션 모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사실을 검증한 결과 노라노의 1963년미우만백화점 패션쇼와 1964년 화신백화점 패션쇼는 개최되지 않았으며 최초의 디자이너 기성복 패션쇼는제10회 노라노 패션쇼인 1963년 11월 1일 오후 2시 워커힐 크로바 클럽에서 패션쇼로 조사되었다. 더불어노라노의 첫 양장점인 신당동 ‘노라노의 집’의 정식 오픈 시기는 1950년이며, 실제 디자인 시작 시기는 유학직후인 1949년 후반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odern phenomenon of Korean woman's fashion focusing on the designer Nora Noh through media materials from the 1950s to the 1990s. The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this paper is the second section, the research (2). The part of the research materials was possessed by Nora Noh and researcher also collected materials from the Presseum(museum of newspaper)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n. The first paper, the research (1) was to examine the post-traditional phenomenon of Korean modern fashion and analyse the movie costumes of Nora Noh from 1955 to 1966. The result was that the images of the movie stars were the bridges of the western fashion style into the public and became the key trend of Korean modern fashion in the mid twentieth centur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2) show that Nora Noh was affected both by the French haute-couture and pret-a-porte system as well as American ready to wear system. The eclectic style is a characteristic of Nora Noh fashion. The ready to wear fashion show held at the Miuman department store in 1963 and the Hwashin department store in 1964 has not founded through the references. The 10th Nora Noh fashion show in Wakerhill at 2 pm, 1st of November, 1963 is the first ready to wear fashion show in the history of Korean fashion designer. Also, Nora Noh opened the first boutique at Sindang-dong in 1950 but the designer started design work in 1949 after she returned from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인터넷 밈으로 가치가 있는 패션디자인 특성 연구

        조한아,김영인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meme worthy fashion design.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the meme mechanism and evolution process through imitation by literature review. Second, The internet-memes and original material imag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from the evolution process. After analyzing characteristics the original material imag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ree dimensions of cultural items that people can potentially imitate. As a result, the case of type 1 has decontextual characteristics with the design of discrepancies and inverted structures. The case of type 2 is a design that distorts and deconstructs the form and ha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intentional transformation. The case of type 3 has the characteristic of visual communication where meanings can be recognized immediately and convey social message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meme worthy fashion design derived from the study are structural decontextualization, morphological manipulation and semantic visualization. Fashion that deviates from traditional aesthetics is being designed for the purpose of social media content and is changing from a concept of wearing to a form of popular culture enjoy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new changes of trends appearing from modern fashion.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밈의 개념을 패션 분야에 적용하여 유행의 빠른 확산을 목적으로 디자인되는패션 아이템의 사례를 분석하고 밈으로서 가치가 있는 패션디자인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인터넷 밈의 메커니즘과 모방을 통한 유전, 변이, 경쟁, 선택의 진화 과정을 정리하여 분석 프레임을 설계하였다. 사례 연구를 위해 패션 관련 인터넷밈을 구글과 인스타그램 검색을 통해 1차 수집하여 분류 선별하고 역추적하여 원본 디자인을 2차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원본 이미지와 인터넷 밈을 진화 과정에 적용해서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인터넷 밈 분석 프레임워크에서 제안한 구조, 형태, 의미의 3가지 모방 표현 요소별로 원본을 분류하여 패션디자인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밈으로서 가치가 있는 패션디자인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불일치와 반전구조의 디자인으로 일상적이고 구체적인 맥락에서 이탈한 탈맥락적 특성이 있다. 둘째, 형태를 왜곡하고 해체한 디자인으로 의도적인 변형을 시도한 조작적 특성이 있다. 셋째, 의미가 즉각적으로 인식되고 특정 문제의 사회적 충돌에 대한 담론을 교환할 수 있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인터넷 밈으로확산될 가능성이 높은 패션디자인은 구조적 탈맥락성, 형태적 조작성, 의미적 시각성의 특성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전통적 미학에서 벗어나는 패션은 소셜 미디어 콘텐츠의 목적으로 디자인되고, 입는다는 개념에서즐기는 대중문화의 한 형태로 바뀌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인터넷 밈을 디자인 혁신의 원천으로 이해하고, 디지털 대중문화로서 패션의 가능성을 조명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매체분석을 통해 본 노라노 패션과 한국 패션 고찰 (1) -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노라노 관련 영화 의상 자료를 중심으로 -

        박신미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디자이너 노라노 소장 자료와 연구자 수집 노라노 관련 인쇄매체자료를 분석하여 노라노 패션과 한국 여성 패션의 현대화 양상을 객관적 자료에 근거해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는 연구(1)과 연구(2)로 나누어 개진되며, 본고인 연구(1)에서는 한국 패션의 탈전통화 배경과 1956년부터 1966년까지의 노라노 영화 의상을 분석하여 탈전통화기의 트렌드와 영향을 고찰하고, 후속연구인 연구(2)에서는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인쇄 및 영상 매체자료를 분석하여 현재까지 밝혀진 사실들을 재검증하고 한국 여성 패션 현대화의 주요 사건들을 객관적 자료에 근거해 추출할 것이다. 본고는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 분석대상을 연구대상자 소장 패션쇼 리플렛, 촬영시점이 기록된 사진자료, 신문, 패션전문잡지, 영화포스터 그리고 신문 박물관과 한국영상자료원 소장 자료들로 국한한다. 본고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내용분석이다. 또한 연구는 사실검증을 위해 노라노와의 심층면담을 세 차례 진행한다. 연구(1)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한국전쟁 이전 한국 패션의 탈전통화 현상은 서양문물의 단순한 유입이 아닌 전도부인, 여학생, 유학생 등의 시대의 패션 리더들에 의해 구축된 것이었으며 이 시기는 간접적 탈전통화시대이다. 반면 전쟁 이후 스타일은 양장점에서 디자이너 브랜드로 도약한 최경자, 노라노, 서수연 등의 제1세대 디자이너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이 시기는 우리 디자이너의 감각으로 트렌드를 주도하기 시작한 직접적 탈전통화 시기이다. 프랑스와 미국의 영향을 받은 노라노는 일본 패션 시스템에 영향을 받은 최경자와 함께 20세기 중반 한국 패션 스타일을 주도하였다. 노라노의 영화의상 분석결과 노라노는『아름다운 악녀(1958)』의 최지희를 팜므파탈의 여신으로,『배신(1964)』의 엄앵란을 한국의 오드리 헵번으로 만드는 등 여배우들의 스타일을 통해 국외의 트렌드를 국내에 전파시켰다. 해당 영화배우들의 스타일은 20세기 중반 한국 패션 트렌드를 주도하였으며 한국 패션의 현대화에 일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odern phenomenon of Korean women's fashion and Nora Noh, who is one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fashion designers, through media materials from the 1950s to the 1990s. This research is structured into two parts and the current paper is the first section. The first paper is to examine the post-traditional phenomenon of Korean modern fashion and analyse the movie costumes of Nora Noh from 1955 to 1966. The research focuses on the objective materials by examining newspapers, leaflets of fashion shows, program sheets, movie posters and etc. The methodologies of the research include the qualitative and posi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es, interviewing Nora Noh and analyzing the conten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own through the research (1). Before the Korean War, Korean women’s fashion was affected by female students who studied aborad or in local women’s Universities established by foreign entities and female missionaries who experienced western culture. The era was the indirect post-traditional period. However, after the war, the fashion trend was mainly led by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fashion designers. The era switched to the direct post-traditional period. Nora Noh, who was inspired by the French and American fashion, and Kyungza Choi who was inspired by the Japanese fashion system were the trend leaders of the Korean modern fashion in the mid twenty century. Focusing on the movie costumes Nora Noh created the images of movie stars such as the muse of the Femme Fatale, Jeehee Choi, Um Aingran who were called Korean Audrey Hepburn, etc. The images of the movie stars were the bridges of the western fashion style into the public and became the key trend of Korean modern fashion in the mid twenty century.

      • KCI등재후보

        자연주의 패션경향과 대나무 모티프의 패션디자인 연구

        강죽형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자연주의 패션경향을 조형예술과 패션디자인 영역에서 살펴보고 동양적이고 한국적인 자연물인 대나무를 모티프로 한 패션디자인을 제시한 것이다. 조형예술에 구현된 자연주의를 정리한 결과 역사적으로 자연주의 예술작품에는 작가가 친숙한 자연이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동양적인 조형예술의 차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동양적인 자연물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 현대 패션을 대표하는 대부분의 디자인이 서구적인 조형시각에서 구성되어졌고, 자연주의 관점에서 보면 서구적인 디자인은 서구의 자연을 모티프로 한 것이다. 본 연구는 동양적이고 한국적인 패션디자인을 위해서 동양적인 자연물인 대나무를 모티프로 삼았다. 다음으로 대나무의 형태와 색채를 모티프로 한 패션디자인 프로세스를 정립하여 연구자의 8개의 작품을 제시했다. 이는 동양적인 자연물을 시각화하여 한국적인 문화정체성을 확립하는 기초조형의 방법적 틀을 제시하는 과정이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연구자의 패션디자인에 실험적으로 적용해본 결과 범세계적인 보편성 위에서 동양적이고 한국적인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했다.

      • KCI등재

        해외 진출 한국 패션 브랜드의 기업 마케팅 전략에 관한 조사 연구 : 진출 유형별 SWOT 분석을 중심으로

        주보림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3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3 No.1

        국제화, 정보화, 네트워크화, 대형화, 전문화, 고급화, 세분화, 양극화 등 급변하는 최근 시장 환경에서 한국 패션은 국제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거시적인 산업 시스템의 개혁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기 진출한 한국 패션 브랜드들의 기업 마케팅 전략을 조사 연구하여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국 브랜드의향 후 전망 및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과 1:1 인터뷰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기업 마케팅 전략 중 유형별 SWOT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각 기업의 진출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비즈니스 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화를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요구되는 경쟁력인 디자인, 시스템, 마케팅 역량에 대한 확보가 필수적인 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특히 글로벌 스탠더드(global standard)를 확보하고 있는 수출기업과 패션브랜드 운영 노하우 및 디자인 강점을 지닌 브랜드 운영기업의 역량을 서로 보완, 연결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순차적인 육성정책 수립과 함께 디자인, 시스템, 자본 역량 기반을 연결하는 도킹 시스템(docking system)의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상품기획 시스템 강화를 위한 집중 지원 사업과 소싱력 강화를 위한 글로벌 소싱 네트워크(global sourcing network) 기반 구축, 장기적인 글로벌화 전략 수립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앞으로 국내 패션 브랜드 기업은 영업·기획·생산 등의 기본기를 충실히 다져 국내 마켓에서 강력한 브랜드 파워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한 후 세계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상품력과 통일된 브랜드 콘셉트, 마케팅 능력, 그리고 이를 통합해 매뉴얼 화 할 수 있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적합한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근간으로 하여 향후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한국 패션 기업 및 브랜드가 자사의 역량에 맞는 비즈니스 전략을 선택적,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성공적인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길 기대한다.

      • KCI등재

        디자인 발상에서 이미지 맵핑 활용에 관한 연구 - 패션 컬렉션 수업의 예시로 -

        김정희,김혜은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5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5 No.4

        패션 디자인은 디자인 발상을 통해 의상을 미적, 기능적으로 전개시키는 예술적인 과정이다. 디자인 발상의 과정은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나, 마인드 맵은 생각을 지도화하여 주제와 연상되는 단어를 통해 이미지를 도출해 내어 이를 디자인으로 적용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패션 디자인에서 주제를 전개시키는 방법으로 마인드 맵을 이용해 의상 전개 시키는 과정을 이론적 연구와 수업 실습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디자인 발상과 전개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례를 통해 추후 패션 디자인 수업 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64인의 학생들로 구성된 패션 컬렉션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이미지 맵의 4가지 진행 방법을 소개하고, 디자인을 전개하도록 하였다. 4가지 전개 방식은 다음과 같다. 이미지 맵에 제시된 서로 다른 성격의 단어들을 하나로 조합하여 패션디자인 전반에 적용 시킨다. 둘째, 주제와 연관된 단어 중 하나의 관심 단어를 키워드로 심도 있게 들어가 주제에 대한 속성을 도출하여 패션 디자인을 전개시킨다. 셋째, 이미지 매핑을 통해 연상되는 시각적인 자료 (건축, 회화, 영화 등)를 활용하여 그 안에서 특징적 요소를 도출하여 디자인을 전개한다. 넷째, 주제와 관련하여 연상되는 사물을 가지고 그에 대한 시각적 특징을 디자인의 요소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디자인 요소를 통해 조사, 분석하고, 형태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완성품이 나오고, 완성품을 재검토하며 최종 완성품을 제작한다. 패션과 언어적인 전개인 마인드 맵 과정은 생각을 표현하는 매개로서 디자인 발상에 있어, 상호적 관계에 있으며, 패션 컬렉션 수업을 분석하여 정리한 결과, 이는 디자이너나 학생들에게 적합하고 효율적인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Fashion design is an artistic process of developing a creative idea to a clothing both a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There are various ways to design garments. ‘Mind-mapping’ is one way to develope a central idea by brainstorming at a beginning stage of fashion design.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Mind-mapping’ through theoretical studies and class practice. Through the class of <Fashion Design and Seasonal Collection>, the total number of 64 students became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Students were assigned for four different categories of design applications. They are described as follows: 1. Based on finding two contrasting ideas on an implicit topic, they are to converge these different meanings to produce a single concept for a clothing, 2. Students think of a keyword on one topic out of all and further discover to reduce to the essence of the meaning of the idea/word. 3. Students are allowed to use other form of inspirations such as architecture, painting, film to associate with the central idea of their developed design. 4. Students select an alternative ‘object’ to resemble its visual components and transfer them to their central ideas. From the collected date, students proceed to further analysis, investigation, design and final evaluation of their clothing. The experimentation demonstrates that mind-mapping method as a representation by its use of language, is localized to express many abstract ideas by fashion designers. In conclusion, it tells that the mind-mapping method in fashion design is a proper way for fashion designers and students.

      • KCI등재

        지속가능 패션디자인 개발 연구 - 래;코드(RE;CODE)의 디자인 방법을 활용하여 -

        연주현,박주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0 No.3

        오늘날 패션 산업은 환경문제 등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고려하며 다양한 형태의 지속가능 프로젝트를 실 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대표적인 사례로서 국내의 패션브랜드 래;코드에 주목하였다. 래;코드는 재고의 소각으로 인한 환경피해와 물질적 낭비에 대한 자각으로 시작되었으며, 재고를 활용하여 소량 제작하거나 같은 디자인이라도 디테일이 조금씩 다른 의상들을 한정적으로 생산하고 있어 개인의 개성을 중요시하는 현대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래;코드의 디자인 개발 방법과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방식의 지속가능 패션디자인 작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 패션에 대한 문헌 연구와 기업 사례를 고찰하고,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래;코드 제품 418점을 대상 으로 디자인 방법을 분석하고 4점의 작품을 개발 및 제작하였다. 우선 사례 연구의 결과로서 래;코드의 재고 를 활용한 해체 및 재조합 제품에서 디자인 개발의 순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형태의 겹침’, ‘형태의 왜곡’, ‘형태의 결합’, ‘형태의 분할’ 그리고 ‘부분의 강조’라는 5가지의 디자인 방법이 논의되었으며 ‘단순함 의 독특함’, ‘미완성의 완성’, ‘불균형의 균형’, ‘위치의 재편성’이라는 4가지 조형적 특성이 도출되었다. 이를 활용하여 본 연구는 오래된 것에 새로움을 덧입힌다는 지속가능 패션디자인의 기본개념을 실천하기 위해 중고 전통한복을 소재로 채택하였으며, 래;코드에 나타나지 않은 이브닝 드레스 4점을 개발 및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래;코드가 구축한 디자인 방법을 활용하되, 래;코드가 지닌 재료나 복종의 한계를 넘어 지속가능 패션디자인의 지평을 확장했으며, 미래지향적이며 창조적인 개발 방법을 추구하는 지속가능 패션디자인 개 발 연구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Recently, fashion enterprises consider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fashion are developing a lot of projects to practice the sustainabilit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RE;CODE as a representative case in the domestic fashion brands. RE;CODE has been satisfying needs of contemporary consumers thinking highly of individuality through small-sized production using stock or limited production of clothes with the same design but a little different detail.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design development method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RE;CODE, the research aimed to develop sustainable fashion design products of a new mode. It adopted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y of sustainable practice by fashion companies and 418 RE;CODE products launched between 2012 and 2019.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its sequence for RE;CODE products, a variety of design methods were shown from clothes deconstructed and recombined using inventories in the RE;CODE collections. Furthermore, in the analysis based on design methods, the study derived the ‘originality of simplicity’, ‘finish of the unfinished’, ‘balance of imbalance’ and ‘reorganization of position’ as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RE;CODE. Finally, based on the analytic findings, 4 fashion designs were developed and produced. To practice a basic concept of the sustainable fashion design which adds the new to the old, the study adopted the secondhand traditional Hanbok as a material and designed evening dresses RE;CODE does not have. The research used design methods implemented by RE;CODE but expanded a horizon of the sustainable fashion design beyond limitations to material or type RE;CODE has. It contributes to studies on the sustainable fashion design development pursuing future-oriented and creative methodologies.

      • KCI등재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 해체를 통한 패션디자인 연구

        천미자,박주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최근 재확산되고 있는 해체주의 패션 현상을 고찰하고 이를 오랫동안 고정된 형태를 지닌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에 적용하여 패션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문헌연구를 통해 테일러드 재킷을 사적고찰하고 테일러드 재킷의 구성 요소를 고찰하였으며, 사례연구로서 최근 패션에 나타나고 있는 해체주의 표현 특성과 테일러드 재킷에 나타난 패턴 해체의 표현 특성을 탐구하였다. 최근 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적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 측면의 특성으로는 ‘복식구조 및 디자인원리의 해체’, ‘비확정적인 착장방식’, 그리고 ‘구멍내기’의 사례가 고찰되었으며, ‘복식구조 및 디자인 원리의 해체’ 방식에 따른 현대패션의 사례연구에서 테일러드 재킷의 구성요소 중 나타나지 않은 몸판과 소매, 그리고 디테일 패턴의 해체를 적용한 패션디자인 5점을 개발, 작품을 제작하였다. 디자인 개발은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특성 중 복식구조 및 디자인원리의 해체로 의복을 구조적으로 분리한 뒤 재구성하여 기존의 위치와 기능을 무시하는 전위 방식과 탈비율, 탈균형, 탈중심의 디자인 원리해체의 방식을 모두 반영하여 진행하였으며, 어도비 포토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패턴 조각의 자유로운 위치이동 및 확대와 왜곡을 통한 형태변화를 시도하였다. 각각의 디자인은 비율파괴, 위치이동, 균형파괴, 중심해체, 구성요소의 기능상실 등 해체주의적 표현방식 5가지와 패턴조각 8가지(앞 몸판, 앞 옆판, 뒷 몸판, 뒤 옆판, 바깥소매, 안소매, 칼라, 라펠)를 개별 혹은 중복으로 조합하여 개발되었다. 개발된 작품은 울 서지 소재의 원피스드레스 2점과 재킷 2점, 그리고 울나일론 멜톤 소재의 오버코트 1점이며, 모두 솔리드 블랙 색상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는 테일러드 재킷을 구성하는 다양한 패턴조각의 해체주의적 조작 실험을 통해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특성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다양한 디자인 개발 방식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 deconstructive fashion phenomenon that is being expanded again and apply it to a tailored jacket and develop fashion design. It conducted the literature research to investigate pattern pieces of a tailored jacket maintaining a standardized form for a long time with the historical examination and the case study to explor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deconstruction shown from fashion recently and those of pattern deconstruction shown from a tailored jacket which are ‘the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s and design principles’, ‘the indeterminate mode of wearing’, and ‘the perforating’.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on the contemporary fashion under the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s and design principles', 5 fashion design works applying the deconstruction of the bodice, sleeve and detail patterns of a tailored jacket were developed and manufactured. As for the design development, tailored jacket was separated and reorganized in a structural manner using the deconstruction of clothing structures and design principles, or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deconstructive fashion, reflecting the avant-garde neglecting the existing positions and functions and also de-proportioned, de-balanced and de-centered deconstruction of design principles. Besides, there was an attempt at the formative changes through free locational movement, extension and distortion of a pattern piece using Photoshop. Each design was developed by 5 expressive methods of the deconstruction including the destruction of proportion and balance, movement of location, deconstruction of center and the functional loss of elements and by individual or overlapped combination of 8 pattern pieces(front bodice, front side, rear bodice, rear side, outer sleeve, undersleeve, collar and lapels). The works developed contain 2 one-piece dresses and 2 jackets made of wool serge, 1 overcoat made of wool nylon melton in solid black.

      • KCI등재

        한국 전통 끈 보자기의 조형미를 적용한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연구

        김숙현,김혜연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0 No.3

        패션산업은 환경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산업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내외 움직임이 최근 더욱 활 발해지며 패션업계의 환경적 책임과 행동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 중 의류 제조과정에서 배출되는 폐기 물량도 상당하여 이를 현저히 줄이는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이 하나의 대안으로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연구는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의 실현 방안으로서 한국 전통 끈 보자기를 표현 모티프로 선정하여 그 조형미를 분석하고 디자인에 적용하여 고유의 독특한 멋을 표현할 뿐 아니라 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을 실현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끈 보자기의 이론적 고찰 을 통해 그 특성을 분석하여 친환경성, 포용성, 고정성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끈 보자기의 조형미를 분석한 결과 중첩의 미, 가변적 미, 색채의 미, 선과 면의 미로 도출하였다. 셋째,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을 목적으로 우리나라의 전통 끈 보자기를 적용한 결과, 사각형 형태와 끈을 활용하는 유스업 패턴을 통해 제작과정에서 폐기물을 현저히 줄이고 기존의 제작방식을 간소화하는 친환경적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방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보자기의 형태와 구조를 적용하여 패턴을 구성하고 끈을 활용했을 때, 단순한 의상의 형태에 셔링, 드레이프 등의 장식적 요소가 부가되어 인체의 곡선적 조형미를 강조할 수 있었다. 다섯째, 끈 보자기의 고정성에 기반하여 끈의 개수와 위치에 따라 묶는 방식을 디자인에 다양하게 활용함으로써 가변적 미가 창출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실제 작품 제작 과정에서 묶는 방식에 따라 카디건에서 드레스 등으로 아이템이 전환되며, 실루엣, 디테일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겉감과 안감 또는 끈에 색채 특성을 적용한 결과 명도 대비, 채도 대비 등 색채의 미가 강조되고 리버시블 디자인으로 효용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곱째, 끈을 의상에 적용했을 때 다양한 선적 조형미를 강조할 수 있고 이동을 통해 면을 중첩해 중첩의 미와 함께 새로운 선과 면의 조형미를 창출하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향후 자연과 인간을 하나로 여기고 낭비 없는 문화를 실천했던 우리 선조들의 전통문화 유산에서 지혜와 미적 가치를 찾는 연구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As one of the industries that contribute greatly to environmental pollution, the fashion industry is required to make practical changes in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behaviors. Zero waste fashion design has emerged as a practical alternative to reduce or eliminate fabric waste through planning in advance. Following this trend, this study chose Korean traditional string Bojagi as a design motif due to its unique sculptural beauty, which minimizes fabric waste as a method of zero waste fashion desig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ve features of string Bojagi and 3 pieces of zero waste fashion design were suggested reflecting these ele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tring Bojagi were analyzed as sustainability, inclusiveness and fixedness. Second, the formative features of string Bojagi were analyzed as beauty of overlapping, of variableness, of lines and surfaces. Third, as a result of applying Korean traditional string Bojagi to fashion design, we were able to propose a sustainable zero waste fashion design method that significantly reduces fabric waste and simplifies the existing production process, utilizing square pattern with strings. Fourth, when configuring the pattern based 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Bojagi and utilizing the string, a variety of silhouettes and decorative elements such as shirring and drape were added to the simple square form and emphasized the sculptural aesthetic of a curved human body.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 beauty of variableness could be created when applying various numbers and positions of strings with fixedness. Sixth, when applying the color characteristics to the outer, lining, and str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 beauty of color, such as brightness contrast and saturation contrast, is emphasized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utility with a reversible design. Seventh, when applying the strings to the clothes, it was possible to emphasize various formative beauty of lines and overlapped surfaces and to create new lines and surfaces by dragging them. Furthermore, if researches are conducted to find various motives and techniques from cultural heritage of our ancestors, who have led a free-of-waste culture treating nature and human beings as one, there is a potential with unlimited expan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