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강현실(AR) 기반 교육용 콘텐츠 디자인에 나타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요소 연구

        조희경,김성훈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1

        증강현실을 이용한 교육용 콘텐츠는 현재 다양한방법으로 연구 발전되고 있는 양상이며, 그중에서도증강현실을 이용한 책들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출판업계에서 적극적으로 증강현실을 접목시켜 어린이들의 교육용 콘텐츠들을 생산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종이책 교육 방식에서 확장되어 어린이들의관심과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증강현실 그림책은 교육 시장에서 새로운 교육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미래의 희망인 어린이들에게 새로운 교육방식을 제공하고 교육산업의 발전과 더불어어린이들의 직접적인 체험과 흥미 유발을 지속적으로가능하게 할 수 있는 증강현실 교육용 콘텐츠의 발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 교육용 콘텐츠에서 사용자의지속적이고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다양한 학습의효과를 높이기 위한 발전 방안으로서, 사용자의 흥미유발과 교육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 콘텐츠의 특성을 적용하여 그 유형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일차적으로 이론적 고찰을통하여 증강현실 개념 및 증강현실 교육용 콘텐츠의유형을 살펴보고,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의 특성을 통한증강현실 교육용 콘텐츠 디자인에서의 에듀테인먼트콘텐츠 요소들을 도출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증강현실 교육용 콘텐츠의 유형에 따른 분류에 의하여 현재증강현실 교육 분야에서 상용화가 가장 많이 되고 있는 유형 세 가지를 선정하였으며, 국내 사례로만 선별하여 가장 교육용 콘텐츠 중 판매율이 높았던 사례세 가지(AR코드 기반 ‘도라(Dora)’ AR 북, 삼성전자AR 북 플랫폼 ‘둥둥이 시리즈’, ‘꼬마버스 타요’ 증강현실 컬러링 북)를 선정하여 도출된 에듀테인먼트 디자인 요소(놀이와 재미, 다양한 미디어 활용, 상상력과 아이디어 발상, 긍정적인 피드백)를 사례에 적용시켜 연구,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증강현실 교육용 콘텐츠는 현실세계에서어린이들의 직접적인 참여가 높고, 증강된 이미지로써현실세계에서 얻을 수 없는 부가적인 정보를 가장 많이 제공해 줄 수 있는 ‘증강현실 컬러링 북’이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의 특성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으며, 사용자들에게 교육적으로의 만족감을 가장 많이제공할 수 있고, 지속적인 참여율이 가장 높을 수 있는 요소들을 가지고 있었다. 어린이들의 동기 유발과몰입을 통하여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 하는 ‘놀이와 재미’ 요소는 세 가지 사례 모두 포함하고있었지만, 사고력과 이해력을 증진시키고 자기 동기화강화 및 이야기 구성능력을 함양시켜 주는 ‘다양한 미디어 활용’요소는 ‘꼬마버스 타요’ 증강현실 컬러링 북을 제외한 나머지 두 사례에서는 모두 나타나지 않았으며, 창의적 사고의 결과물을 풍부하게 만들어주고어린이들의 문제해결 능력을 증대시켜 줄 수 있는 ‘상상력과 아이디어 발상’ 요소는 ‘삼성전자 AR 북 플랫폼 ‘둥둥이 시리즈’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재미요소 첨가를 통하여 어린이들의 지속적인 참여를유도할 수 있는 요소인 ‘긍정적인 피드백’ 요소는 ‘AR 코드 기반 도라(Dora) AR 북’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교육 분야에서의 가능성이 무한하게열려있는 증강현실 기술은 사용자의 교육의 효과를극대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소들을 빠르게 파악하여, 직접적인 체험과 지속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사용자의전반적 ... Educational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AR) are currently being studied and developed in various ways. Among them, books using AR take the largest portion, and the publishing industry actively combines AR to produce educational contents for children trend. The AR picture book which is expanded from the existing paper book method and can enhance the interest of children and the effect of education, is becoming a new educational method in education mark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R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provide new education methods to children who are hopeful of the future, and that will enable the direct experience and excitement of children to continue wit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to induce users’ continuous and direct participation in AR educational contents an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learning activities by applying characteristics by applying characteristics of edutainment contents that can enhance users’ tried to analyze the types. Firstly, I investigated the types of AR concept and AR content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and applied it to the research by deriving edutainment contents elements in contents design for AR educatio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edutainment content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AR educational contents, three types of commercial AR education were selected most frequently. Three types of the most commercialized AR education were selected by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AR reality educational contents (AR code based ‘Dora’ AR Book, Samsung AR Platform ‘dungdung series’, TAYO AR coloring book). Three types of educational contents among the most educational contents were selected by domestic cases. Design elements(Play and fun, Use of various media, Imaginative ideas and positive feedbac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r coloring book, which can provide most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can not be obtained in the real world as AR image, and it has the elements that can provide the uses with the most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highest participation rate. The ‘play and fun’ factor, which encourages active and participation through motivation and commitment of the children, included all three cases, the ‘use of various media’ factor was not dound in the other two cases except for the ‘TAYO’ AR coloring book, and the ‘imagination and idea’ factor can enrich the reaults of creative thinking and increase children’s element did not appear in ‘Samsung AR DungDung series’. Also, the ‘positive feedback’ factor, which is a factor that can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through the addition of fun elements, did not appear in ‘AR code based Dora AR book’. In conclusion, the AR technology, which has unlimited possibilit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can quickly identify the necessary factor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user’s education and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use’s overall education based on direct experienc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t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dutainment contents that can be easily accessible to users who are expecting a us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tudy and develop the contents for AR education which can induce the fun and interest of the user steadily to enhance the effect of education and satisfy the user’s experience an perception.

      • KCI등재

        교육내용의 성격에 대한 분석이 교육내용 적정화 방안 탐색에 주는 시사점

        구원회 ( Won Hoe Gu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2

        교육내용의 적정화가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내용 자체의 성격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교육내용의 성격 분석은 교육내용 자체의 성격을 밝히는 것은 물론, 교육내용, 교육목적, 교육방법 들간의 상호관계를 고려하는 가운데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내용의 의미와 성격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육내용 적정화 논의에서 교육내용의 성격에 대한 인식을 전환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밝히고, 교육내용의 ``의미성``을 강조하는 관점이 교육내용 적정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주는 시사점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교육내용의 의미는 소재, 명제, 탐구방식, 삶의 자세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교육내용의 질적 특성, 지식의 암묵적 요소, 교육내용의 통합성, 총체성, 교변성 등을 강조하는 ``의미로서의 지식관``이 교육내용 적정화의 대안적 관점으로 타당하다고 보았다. ``의미로서의 지식관``이 교육내용 적정화 방안 탐색에 주는 시사점은 ``폭 중심의 교육``에서 ``깊이 중심의 교육``으로 교육의 방향 전환, 교과와 학문의 관계에 대한 재고(再考), ``교육내용의 통합적 관점``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사점은 교육내용 적정화 연구의 지평을 확대할 것과 교육과정 개발에서 총론과 각론 연구진의 상호 참여와 연계를 요청하는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optim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 of educational cont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need for transferring the view of educational content by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 of educational content. The results indicate the meaning of educational content varies, including topic, meaning(or proportion), way of inquiry, and attitude of life. In view of the character of educational content, the qualitative character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as the tacit dimension of knowledge, view of knowledge as ``meaning``, integrity, totality, and transaction of educational content might be important. The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optim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including the need to transferring from a ``truth`` view to a ``meaning`` view, the need to rethink the relation of academic discipline and school subjects, and the need for an integrated view of educational content.

      • 변화되는 교육환경에서의 영상콘텐츠의 활용방법론

        지명혁 국민대학교 종합예술연구소 2004 예술논총 Vol.7 No.-

        현대는 영상의 시대이다. 1895년 뤼미에르 형제의 시네마토그래프를 기원으로 하는 영화는 영화문법이라는 내재적인 논리를 갖추게 되었다. 영화는 TV의 출현 및 각종 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영상이란 보다 큰 범주로 발전해 나가게 되었다. 영상이 교육현장에서 중요하게 활용되는 이유는 텍스트에 비해 용이한 접근성과 풍부한 정보량이란 장점 때문이다. 영상콘텐츠는 교육환경에 있어서 영상을 교육수단으로 활용하는 전통적 접근과 함께 최근에 와서 각급학교에 영화과목을 커리큘럼으로 제도화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이 있다. 영상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장점은 인터넷이라는 통신수단과 결부되면서 더욱 높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다. 인터넷으로 유통가능한 정보량이나 광디스크류의 기록저장매체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인터넷 이용자수도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인터넷 관련기술의 발전에 따른 콘텐츠 및 이용자수의 급증, 그리고 이에 따른 산업구조의 개편은 교육환경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학교교육에서 디지털 기반기술을 교육대상이나 수단으로 활용하는 정보통신기술(ICT) 사업, 인터넷에 기반한 교육콘텐츠의 등장과 함께 전통적인 학교개념의 변화는 사이버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게 되었다. 사이버대학의 등장과 함께 본격화된 사이버교육은 가상의 공간에서 교육자와 학습자가 대면교육의 장점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개념이다. 사이버교육의 장점으로는 콘텐츠 접근에의 용이성, 콘텐츠의 다양화, 교육자와 학습자간 상호 피드백 시스템의 구현, 오프라인 교육에 비해 우월한 비용절감 효과 등이 있다. 사이버교육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장점을 살리자면, 사이버교육의 주요한 콘텐츠로 자리 잡고 있는 영상콘텐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현재 사이버대학에서 운용하고 있는 교육개발 및 콘텐츠를 살펴보면 웹기반의 VOD, 실시간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의 이용이 보편적인 추세이다. 이러한 영상콘텐츠가 사이버교육에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영상콘텐츠를 구성, 사이버교육에 따른 인프라기반의 확충, 영상 콘텐츠의 업그레이드와 품질개선,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하는 영상자료의 수집, 보존, 기존 비영상자료의 영상화 등을 지적할 수 있다. 영상콘텐츠가 유효 적절히 활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학교교육에 있어서 정규과목으로 영화교육의 확산, 영상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학적 이수방법론의 개발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디지털 마인드의 확산이 그것이다. Today is the age of image. Films that originated in the Lumiere Brothers' Cinematograph in 1895 have obtained the intrinsic logic, film grammar. Films have been developed to a larger category, 'image' with the emerging of TV and the developing of various media. The reason that image is applied importantl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that it can be accessed more easily and include abundant information than text. Approaching methods of image contents include a conventional method of using ima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s an educational means and a new method of establishing a subject of film as a curriculum in all grades of schools. Such advantages of image contents have produced a higher synergy effect with combin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Internet.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has risen rapidly with remarkable progress of the quantity of information circulated in internet or of the recording and storing media including an optical disk drives. Rapid increase of contents and users following after the development of Internet-related technology and the resultant reorganization of industrial structure had also great effects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s ICT business, that uses digital-based technology as an educational subject or means in the school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Internet emerged, the change of conventional concept of a school have opened a new possibility for cyber education. Cyber education that was started fully with the emergence of cyber university is a concept appropriate for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as it is given in a virtual space by using an advantage of face-to-face edu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dvantages of cyber education include easy accessibility to contents, diversity of contents, establishment of reciprocal feedback system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lower cost than off-line education, etc. In order to make use of such advantages of cyb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image contents that is one of important contents of cyber education. Present educational programs or contents of cyber universities generally apply multimedia including Web-based VOD, real-time moving pictures, etc. Methods of making use of such image contents efficiently for cyber education include organizing image contents so that learners can study independently, expanding infrastructure for cyber education, upgrading and progressing the quality of image contents, collecting and retaining image data existing in various types, and making non-image data into images. A few conditions shall be met to make use of image contents profitably. Those are establishing film education as a regular curriculum, developing a methodology of educational completion using image contents, and above all, spreading digital mind that can lead such a change.

      • KCI등재

        놀이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최윤경(Yoon-Kyeong Choi),임부연(Boo-Yeun Lim)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3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물질, 교사, 놀이, 흥미, 경험 등이 얽혀있는 특이성을 지닌 놀이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실행과정에서 교육내용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는 것에 있다. 연구자는 비판적·사회적 사실주의에서 관계적 존재론의 ‘힘 있는 지식’과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신물질주의’의 특징을 가지는 관계적-신지식론으로 현장에서 펼쳐지는 교육내용을 해석해보았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 3인의 교사와 탐구공동체 및 자극회상면담을 통해 2022년 1월부터 6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분석은 2022년 12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교육내용은 유아, 물질, 교사가 속한 다양한 열린-요소들의 리좀적 얽힘으로 생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놀이와 삶에 스며든 지식과 교육내용을 살펴볼 수 있었다. 교육내용이 생성되는 사건(맥락)으로서 교과적 요소가 포함된 지식의 경계를 넘나드는 교육내용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환경에서 빚어진 시간과 공간의 연속성 그리고 물질과의 관계성에서 만들어지는 교육내용을 볼 수 있었다. 셋째, 교사-유아와 유아-유아가 실험하며 생성되는 놀이 속 교육내용이었다. 본 연구로 유아교육과정의 실행은 ‘세계 속 물질과 아이들의 사이-내부에서 일어나는 삶, 놀이, 배움, 몰입, 즐거움, 얽힘, 날것, 존중과 배려, 소통의 모든 순간’이 교육내용이 될 수 있음을 유아교육이 가지는 특이성에 주목하여 교육내용에 대해 교사가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논의점을 가질 수 있었다. This study purpose to examine the educational content that emerges from a unique play-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which involves elements such as children, materials, teachers, play, interest, and experiences. The researcher interprets this content through a relational-epistemology by the perspective of 'Powerful Knowledge' from a critical and social realism, as well as the features of 'Neo-materialism' presented in the context of posthumanism. To explore educational content in the field, three teachers participated, engaging in an inquiry community and stimulated recall interviews. Data collection occurred from January to June of the 22nd year, with analysis completed by December of the same year. The research findings reveal that educational content is generated through intricate entanglements among open-elements involving children, materials, and teachers.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knowledge embedded in play and life, observing educational content that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educational processes and curriculum-specific components. Second, the uniquenes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environment results in evolving educational content over time and space, shap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inuity and materials. Third, play opens the door to generative educational content, with teachers and young children creating and experimenting within play, resulting in educational outcomes. This research wa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start from how teachers perceive educational content, emphasizing the uniqu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educational content can encompass “moments of life, play, learning, immersion, joy, entanglement, rawness, respect, and care, as well as communication” that occur within the world of materials and the lives of children.

      • KCI등재

        경기도 초등 교사가 인식하는 초등 기술교육의 목표와 내용

        이민석,이상봉,장수웅 한국기술교육학회 200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importance level of objectives and curriculum contents of Technology Education perceived by a elementary teachers in Gyong-gi Province. The study being executed as a survey, the questionnaire were sent to elementary teachers in Gyong-gi Province. It was created using Dillman's TDM(Total Design Method) and 5-level Likert scale. There were total 23 questions in it: 12 questions were on objectives of Technology Education and 11 on curriculum contents.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at the significance level(p<.05). And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1. Objectives and curriculum contents of Technology Education perceived by elementary teachers in groups.: 1) It didn't show an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eachers who were grouped according to sex and teaching area in the perception of objectives and curriculum contents of Technology Education. 2) But among groups of teaching area i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question 5 ‘related knowledge and principle combination’ which was sub-area of Technology Educational objectives. 2. Order of priority of objectives and curriculum contents of Technology Education perceived by teachers in groups.: 1) In the order of importance of Technology Educational objectives, question 1 ‘personal potential’(16.4%), question 7 ‘the attitude of resource application’(16.4%) and question 9 ‘self-discovery and career direction’ took the highest place among the male teachers. And female teachers though question 9 ‘self-discovery and career directio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2) In the order of importance of Technology Educational curriculum contents, question 2 ‘high-level thinking faculty’ took the precedence among both male teachers(26.9%) and female teachers(27.9%). 3) Irrespective of teaching area(City area: 20.1%, Eup/ Myeon area: 20.7%) question 9 ‘self-discovery and career direction’ was perceived as the first place in the order of importance in Technology Educational objectives. 4) In the order of importance in Technology Educational contents question 2 ‘high-level thinking faculty’ took the first place among two groups who were teaching City area(21.7%) and Eup/ Myeon area(30.4%). 3. Correlation of agreements in the Technology Educational objectives and curriculum contents perceived by teachers.: After being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correlation of agreements between Technology Educational objectives and curriculum contents was found out relatively high(r=.649). To sum up,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of agreements on Technology Educational objectives and curriculum contents among elementary teachers in Gyong-gi Province.

      • KCI등재

        초등학교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개발 방안

        방기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는 농업의 변화에 부응하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초등학교 수준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의미와 범위 고찰, 교양농업 교육내용 변화에 대한 교육과정기별 분석 및 문제점 도출, 그리고 이를 토대로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서는 내용 분석의 준거가 되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영역을 ‘농업의 이해’, ‘우리생활과 농업’, ‘자연자원과 환경’, ‘동물 생산’, ‘식물 생산’, ‘농산물 가공’, ‘농산물 유통’, ‘농업 정책’, ‘농업과 진로’ 등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실과교육과정기별로 교육내용의 변화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이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실과교육과정기에 따른 교양농업 교육내용은 특정 영역에 편중된 편성, 독립적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구성, 계열성, 계속성 등의 원리가 반영되지 않은 교육내용의 조직, 실과교육과정기별로 다양성과 일관성이 결여된 농업 교육내용의 편성, 계속적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감소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개발을 위해서는 ‘농업의 이해’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의 편성, 통합된 내용의 구성, 계속성과 계열성 있는 내용의 구성, 다양성과 일관성 있는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편성, 충분한 교양농업 교육내용의 확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초등학교 수준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은 설정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농업의 변화 및 교양농업교육 구성원의 요구를 반영해야 하며, 이에 의한 최적의 교양농업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scope of educational contents, to analyse the changes and problems of educational contents, to present th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contents analysis. The criteria of educational contents analysis by review of literature wer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Living and Agriculture’, ‘Natural Resource and Environment’, ‘Animal Production’, ‘Plant Production’, ‘The Crops Processing’, ‘The Crops Distribution’, ‘Agricultural Policy’, ‘Agriculture and Career’ domains.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had various problems : specific and independent organization, deficiency of diversity and consistency, decrease of educational contents etc.(2)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should contain the contents of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domain, organize an integrated contents, and be applicable to diversity and consistency. Also it should secure an enough quantity.(3) The contents of agricultural education that i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have application to needs of constituents in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온라인 디자인 교육콘텐츠 현황과 개선방향 연구 -국내 사이버대학을 중심으로-

        이인숙 ( Insoo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 연구를 통해 온라인 디자인 교육 및 교육콘텐츠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국내 사이버대학 디자인 교육콘텐츠 비교 분석 및 온라인 디자인 학습자 특성 정보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S디지털대학교 디지털디자인학과 재학생 대상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내용들을 토대로 온라인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한 디자인 교육콘텐츠 개발을 해봄으로써 향후 사이버대학 디자인 교육콘텐츠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향후 사이버대학 온라인 디자인 교육콘텐츠의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그리고 각 학생들 수준이나 요구에 맞는 철저한 학습자 수준별 맞춤 콘텐츠를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2) 모든 교육콘텐츠 공통적으로 ‘학습이유 및 학습목표 제시-학습활동 실시 - 자기평가 - 정리’의 과정으로 구성하고 학습자별 특성을 반영하여 연령 및 수준에 맞는 사례 및 소재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학습 흥미를 유도하고 스스로 진도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3) 온라인 디자인 교육콘텐츠 제작 시 학습자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4) 인터넷과 웹이 공동의 지식 창조 활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이므로 이 기술을 제대로 활용하여 학습지원체제를 쌍방향으로 구성하여 축적된 일방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수가 함께 지식을 창조해 갈 수 있도록 한다. 5) 비디자인 전공 신입생들이 졸업 후 각 개인별 진로 모색을 할 수 있도록 졸업 전 디자인 실무현장과 SNS의 활용법에 대해 미리 체험해볼 수 있는 교육콘텐츠를 제공하여 재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에 대해서도 고려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과 책임도 가져야 한다. 6) 온라인에서 교수자 뿐만 아니라, 동료 학습자, 외부의 제3자가 함께 학습과정의 성취도와 학습 성과물을 평가함으로써 디자인 과제평가의 주관적 측면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의 학습동기유발을 촉진할 수 있도록 교육콘텐츠를 운영한다.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theory in online design educa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And It conducted a survey of the digital department students of S Digital University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design educational contents of domestic cyber universities and the analysis of the information about online design learners`` characteristics. After all, the study aimed to seek directions to be improved for the future design educational contents of cyber universities by developing design educational contents making the best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s. Directions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for the cyber university online design educational contents from this process are as follows: 1) by developing thoroughly customized contents for each learner``s level and demand considering students`` characteristics who have various backgrounds, it should present to the students and allow them to select; 2) induces learning interest to the students and provides the opportunities to explore their progress by themselves, by making them variously use cases and materials suitable for their age and levels by composing all educational contents as a process of suggesting the reason why they learn and their objectives of learning - practising learning activity - self-evaluation - arrangement and by reflecting each learner``s characteristics; 3)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online design educational contents, it should mak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possible; 4) by building two-way learning support system using the internet and web technology properly, for it enables activity of creating common knowledge, not by providing cumulative unilateral information, it helps students and students and students and professors enable to create knowledge together; 5) to make non-design freshmen seek their career individually after they graduate, by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for students to experience in advance how to use SNS and the design practical field before they graduate, it should take a role and responsibility as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considers students`` career even after they graduate; 6) by helping complement the subjective aspect of design assignment evaluation with achievement and result of learning evaluated online not by a teacher but by fellow students and the third person of outside, it should run educational contents to facilitat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 A Study on use of Korean Dictionary as Contents i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Junhyun Gwag 한국아세아태평양교육문화융복합학회 2021 Asia Pacific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Vol.1 No.2

        Purpose: This study began with a sense of concern about the situation in which the use of Korean dictionary is not systematically conducted i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despite its diverse values. Firstly, there is a problem in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s. Secondly, there is a problem in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use Korean dictionary as contents i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by selecting and organizing them. Method: Referencing others' research and results, this study revealed the context and the meaning of the use of Korean dictionary i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It also analyzed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and learners to find actual conditions and needs for Korean diction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se findings, it introduced the concept of educational contents and provided criteria for the use of Korean dictionary as educational contents. Results: The context of the use of Korean dictionary is divided into the context of Korean study, other academic studies and daily language use. More specifically, Korean dictionary can be used as a tool for collecting and exploring language information in the area of grammar and developing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skills in the area of function. Analyzing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and learners, the problems were found in selecting and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s and consistency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ffective ways to use Korean dictionary as contents i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apter II revealed the context and the meaning of the use of Korean dictionary i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Second, Chapter Ⅲ analyzed the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and learners to find actual conditions and needs of the use of Korean dictionary i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Third, Chapter Ⅳ introduced the concept of educational contents and presented reasonable criteria for the use of Korean dictionary as educational contents. It also selected and organized educational contents by grading and integrating them. Furthermore, it showed specific contents for Korean dictionary education and integrated lessons with writing and grammar areas. Finally, this study hopes to come up with better ways to use Korean dictionary more practically i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 KCI등재

        제7차 초등학교 교과서 교육내용의 적정화 실태 분석 : 3학년 사회 및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3rd Graders` Textbooks of Social Studies and Mathematics

        김재춘,이기호 한국초등교육학회 2003 초등교육연구 Vol.1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과정에서 제시된 교육내용의 적정화 원칙이 제7차 초등학교 사회 및 수학 교과서에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가를 분석하여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편으로 초등학교 사회 및 수학 교과서의 단원 수, 주제 수, 제재 수, 수업목표 수의 비교 분석을 통한 교육내용량 분석을 수행했으며, 다른 한편으로 제재의 학년간 이동과 삭제 및 신설된 제재 수의 비교분석을 통한 난이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 교과서의 경우 교육내용량이 교육과정 개발 지침대로 약 30%정도 감축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 교과서의 경우 교육내용량이 사회 교과만큼 줄어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이도 분석의 경우, 사회와 수학 교과 모두에서 약간의 하향 조정이 이루어졌으나 교육과정이 요구한 만큼 충분하게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in the 3rd grader's textbook of social studies and mathematics which are being used in the period of 7th national curriculum. The issues this study are dealing wit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whether educational content in the new textbooks has been decreased according to the textbook development guidelin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hich demanded to cut off 30 percent of old educational content. To answer the question this study tries to compare educational content of new textbooks with that of old textbooks in terms of the number of textbook unit, topic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Second,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level of difficulty of educational content by analyzing the movement of units or topics in the old and new textbooks, and by identifying the number of both expelled units or topics and of newly introduced units or topics in the new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content of the new textbooks appears to be reduced a little bit compared with that of the old textbooks. The number of units and topics is smaller in the new textbooks than in the old textbooks. It is of course true that there is a variation in the degree to which educational content has been reduced for each subject. Generally speaking, even though the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of the new textbooks in not enough to say that 30 percent of educational content has been cut off, it is that educational content has been reduced a little bit in the new textbooks. Second, educational content of the new textbooks appears to be easier than that of the old textbooks. Many units or topics of the 3rd grade textbooks in the old curriculum has been moved up to the 4th grade textbooks in the new curriculum, but no units or topics of the 4th grade textbooks in the old curriculum have been moved down to the 3rd grade textbooks in the new curriculum.

      • 한류를 통한 교육콘텐츠의 세계시장 진출 전략 연구

        박찬수(Park Chan Soo)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5 문화예술콘텐츠 Vol.- No.14

        At this moment when we hold the most excellent educational contents in line with the Korean wave, the most urgent issue is to enter the world market. This study analyzed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contents’ entering the world market and attempted an approach to the necessity of dissemin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branding of educational contents. As strategies for entering the world market for educational contents, first, the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strategies with dissemination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for expanding cultural exchange with developing countries; second, localization strategy is necessary for sustainable growth of educational contents; third, coping strategies by forming local partnerships with the localization of contents are necessary because one-way dissemination might cause fear and resistance among local people; and fourth, the approach of educational contents to the Middle Eastern markets must be sought. If the educational contents entering the world market have a positive impact on our national image, it may also sustain the economic effects that the Korean wave had originally had. 한류열풍과 맞물려 가장 우수한 교육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지금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콘텐츠의 세계시장 진출의 필요성을 하기 위한 분석을 했으며, 교육콘텐츠 보급의 필요성과 교육콘텐츠의 브랜드화를 위한 접근을 해보았다. 교육콘텐츠의 세계시장 전략으로는 첫째, 정부는 개발도상국가와의 전반적인 문화교류 확대를 위해서 교육콘텐츠를 보급과 활용을 통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콘텐츠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현지화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자칫 일방적 전파로 변질 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현지 두려움과 저항이 예상이 됨으로 콘텐츠의 현지화와 함께 현지 파트너쉽을 형성하여 대처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콘텐츠의 중동시장으로의 접근을 모색했다. 교육콘텐츠의 세계시장 진출을 통해 국가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은 물론 한류가 본래 가지고 있었던 경제적 효과도 지속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