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어 교육과정 <평가>진술 고찰–독일어Ⅰ을 중심으로

        이경택,임춘택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동서인문학 Vol.0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the evaluation statement of the curriculum for German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the system of the curriculum for German education <evaluation> and deals with the statements in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for German education in terms of curriculum comparison. The <evaluation> section, which has been incorporated into the curriculum for German education since the 4th curriculum and was set up as an independent curriculum section from the 6th German curriculum.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curriculum for German education was fully established as a curriculum from the 6th curriculum. The <evaluation> section of the curriculums for German education has subdivisions of evaluation guidelines(precautions), evaluation contents and evaluation methods. Also, each <evaluation> section of the curriculum for German education has distinctive emphasis on the areas of language function, materi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culture. This change is due to the teaching methods and the demands of the subjects of the times. 본 연구는 독일어 교육과정 <평가>항목에 나타난 진술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독일어 교육과정 <평가>의 체제 변천에 대해 고찰하고, 독일어 교육과정의 <평가>진술을 교육과정 차시별 비교의 관점에서 다룬다. 제4차 교육과정부터 독일어 교육과정에 편입된 <평가>항목은 제6차 독일어 교육과정부터 독립적인 교육과정 구성항목으로 설정되었다. 이에 따라 독일어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부터 교육과정으로서의 체계가 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독일어 교육과정의 <평가>항목은 차시에 따라 평가지침, 평가내용, 평가방법의 하위영역을 두고 있으며, 교수법의 변천 및 교과의 시대적 요구에 따라 차시별로 각각 언어기능, 언어재료, 의사소통 기능, 문화의 영역에 서로 다른 강조점을 두고 있다. 교육과정 <평가>항목의 진술은 <목표>진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야 하는데, 지난 독일어 교육과정의 <평가>진술은 교육과정 <내용>진술을 토대로 하고 있다. 따라서 독일어 교육과정 <평가>항목의 진술은 평가의도와 평가방법이 <목표>진술과 연계하여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하고, 실행 가능한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교육과정 평가 개념에 관한 고찰

        박일수,권낙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ing concept of curriculum evaluation. There has been lack of enough discussion on concept of curriculum evaluation. It is expected this research will help curriculum evaluator and teacher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for curriculum evaluation.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reviewed literature of curriculum evaluation. First, researcher reviewed historial background of curriculum evaluation. Second, for understanding concept of curriculum evaluation, analyzing of concept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each other. Third, for clarifying of concept of curriculum evaluation, related evaluation activities reviewed which educational evaluation, education institutional evaluations, teacher evaluation, program evaluation, instruction evaluation, student evaluation. With this review of literature of curriculum evaluation, this research study represents the view of curriculum evaluations as a process that deals with both description and judgement about the merit and worth of a curriculum in all its three phases(the intended curriculum, implemented curriculum and achieved curriculum) in order for curriculum evaluation decisions to occur. 본 연구는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을 명료화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평가 연구가 교육과정의 하위 연구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평가에 관한 개념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연구의 역사적 동향, ‘교육과정’의 개념과 ‘평가’의 개념, 교육과정 평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육 평가’, ‘교육기관 평가’, ‘교사 평가’, ‘프로그램 평가’, ‘수업 평가’, ‘학생 평가’ 등을 살펴보고,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의미는 교육과정 평가의 시대적 동향, ‘교육과정’과 ‘평가’의 개념을 규정하는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 평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평가 활동을 비교한 결과, 교육과정 평가는 여타 평가 활동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성격과 영역이 존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활동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다. 교육과정 평가란 교육과정이 진행되는 각 단계, 즉 교육과정의 계획, 실천, 성과로서의 교육과정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여, 이들의 가치 판단을 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은 교육과정 평가에 관심을 갖는 연구자들에게 교육과정 평가의 의미를 명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이 분야에 관한 연구의 촉매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교육과정 평가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영어교과 교육과정평가에 대한 중등학교 영어교사들의 인식

        이병천,김희경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8 영어어문교육 Vol.24 No.4

        School-based curriculum evaluation has been one of the core issues in curriculum planning, implementation, outcome, and feedback of the holistic curriculum process to next curriculum planning stage. In line with the significance of the curriculum evaluation, the research in the field of subject specific curriculum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for English teachers to customize their unique curriculum evaluation. Under this situation,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plore the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n the significance degree of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a, drawing implications for setting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a. To achieve this purpose, the order of the criteria was analyzed by using Likert scale, and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ė post-hoc test were employ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first, the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a and components should be selected by reflecting subject teachers’ perceptions when applying it into school-level curriculum evaluation. Second, certain evaluation criteria was perceived more significant in a specific school level or school scale, suggesting that the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a needs to be differentiated by each variable such as school-level or school-scale. A couple of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such as an introduction of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and ways of developing and strengthening curriculum evaluation autonomy.

      • KCI등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평가 체계 개발 연구

        이준호,안정호,임형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어 교육 Vol.32 No.4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present the framework of an evaluation system fo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a foreign language. To design the framework,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representative evaluation models that have been used for curriculum or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and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trengths of the CIPP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some case studies of using the CIPP model that has been published in Korea as well as in overseas. And this study reviewed the results of studie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reign language curriculum using the CIPP model. Through this procedure, the framework of an evaluation system was designed. Accordingly, the evaluation category was divided into ‘the plan of the curriculum,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curriculum, the operation and execu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performance and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so that situation evaluation, input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result evaluation are possible. The evaluation stage of the curriculum plan is further sub-categorized into environmental analysis, needs analysis, and curriculum development principles. The stage of the content and structure is sub-categorized into curriculum goals, curriculum content system,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The operation and implementation stage of the curriculum is sub-categorized into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operation support plan, and curriculum execution. Finally, the outcomes and improvement stage are sub-categorized by dividing them into outcomes and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In addition, detailed evaluation items were developed to fit the evaluation contents of each sub-category, and the details were described for each category.

      • KCI등재후보

        국가수준 교육과정 평가 체제의 구축 방안

        권영민 한국교육과정학회 2004 교육과정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적용되는 단계에서 현행 교육과정 평가가 어떻게 그 기능을 담당해 왔는지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이고 상시적 교육과정 평가 체제가 가능한 조건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의 각 단계에서 평가가 어떻게 운영되어 왔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 네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교육과정개발의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에서의 국가·사회적 요구사항 수렴 및 반영 방식, 둘째, 교육과정심의회 등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평가, 셋째, 교육과정 연구학교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실행 평가, 그리고 넷째, 교육과정 개발 이후 교육과정의 적용 성과에 대한 평가로써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실태 조사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 교육과정 평가 관련 법령의 정비, 교육과정 평가 모형의 개발, 교육과정 평가 과정에 교육인적자원부 또는 국가수준의 다양한 기관의 참여 확대,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각 단계별 중간 평가의 강화를 개선점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현행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단계에서 이루어져온 교육과정 평가 활동에 대한 이해가 향후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 방식과 교육과정 평가 방식의 개선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an evaluation task to analyze national curriculum evaluation system during the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is, it analyzes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for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evaluation activities during the curriculum design stage held by curriculum council, and an evaluation for curriculum operation centered on school sites for pilot test. It also investigates curriculum applications as a curriculum performance assess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evaluation for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has proceeded on various patterns and administered relatively systematic. It suggests that investigations and activities for the alternatives of curriculum evaluation should manage the quality of curriculum with stable and constant for the future as the change of curriculum development system becomes from contingent and overall to frequent and in part. These are the ways to ensure quality of national curriculum, and to improve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for school sites. This study discusses the possibility and limits of the current organiza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provides few implications for the respective policy as follows. First, by maintaining the legal agenda for curriculum evaluation, we should establish the rationale for the stable and coherent evaluation in the national level. Secondly, it is required of efforts to develop the models and guidelines of curriculum evaluation encompassing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Thirdly, it is required to institutionalize the curriculum evaluation designed in the national level, and there needs to prepare for an system with which many institutes including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ould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work. Fourthly, curriculum evaluation needs to be issued in all the level of the procedure which the curriculum is developed and implemented. Finally, this study expects to give implications to the future policy of the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and curriculum evaluation, through closely examining the existed system of the national leveled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교과 교육과정 평가 방법 연계성에 관한 분석

        조은영(Eun-Young Cho),박상우(Sang-Woo Park),조호제(Ho-Je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이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을 제시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 교수⋅학습과 평가에 대한 방향을 전제하고 있고 총론이 학교교육활동에 있어서 헌법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볼 때,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교수⋅학습’, ‘평가’ 등에 제시된 각 교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방향은 모든 교과 교육의 교수⋅학습과 평가의 방향과 밀접한 연계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초등학교 국어, 수학 교과 교육과정의 평가 기준에 제한하여 연계성을 알아보는데 연구목적을 가지고 먼저 총론에 제시된 평가 기준을 알아보고, 다음으로 국어, 수학 교과 평가 기준을 탐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평가기준을 연계성의 준거에 의해 분석하여 그 실태를 살펴보았다. 결과 그 결과,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과 평가방향은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목표-교육내용-교수⋅학습-평가의 일관성, 평가결과 활용으로 수업 개선, 서술형 평가, 논술형 평가 등은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과정 운영에서는 총론과 연계성을 강화하는 평가기준의 재구성을 통한 적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평가기준 제시에서 동일한 의미의 평가 방법을 다른 용어로 제시하는 경우가 있었다. 결론 따라서 교육과정 개발자간의 끊임없는 논의와 대화를 통해 해석상을 차이가 없도록 교육과정은 전체적인 통일성을 갖추어 종합적으로 완결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교과 교육과정 기준 가운데 학생의 학업성취기준은 교육의 성과를 관리하는 목표로 기능할 수 있고, 따라서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평가기준은 보다 분명하고 명확하게 제시하여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inuity between the current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tandard and the subject-area curriculum.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standards put an emphasis o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and presupposes the direction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i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Considering that standards plays the same role like the constitution in school education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closely connec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direction of each curriculum presented in ‘emphasis of curriculum composition’,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with all the subject-area curriculum’s direction of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inuity betwee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evaluation criterion of the elementary school’s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subjects. So, the evaluation criterion presented in the standards was first analyzed, and then the evaluation criterion for Korean and mathematics subjects were reviewed. Lastly, based on these reviews, the evaluation criter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on of continuity and actual situation was examined.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the evaluation method⋅precautions and the evaluation direction. In particular, educational goal-education content-teaching⋅learning-evaluation consistency, and the use of evaluation results showed insufficient connection with curriculum improvement, descriptive evaluation, and essay evalua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it through the recomposition of evaluation standards that strengthen the connection with the standards i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lso, in the case of presenting the evaluation criterion, there were cases where the evaluation method with the same meaning was presented in different terms. Conclusions So, it is necessary to have overall unity and comprehensive completeness so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through constant discussion and conversation between curriculum developers. Among the curriculum standard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tandards can function as goals for managing educational outcomes. Therefore, the evaluation criteria presented in the curriculum should be presented more clearly so that it can play a role i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평가 방향 연구

        김혜진(Kim, Hye j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2

        본 연구는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평가기준 및 방향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평가 방향을 탐색하고자 했다. 기존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3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기존 도덕과 평가 방향의 큰 흐름을 토대로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① 통합적 평가의 구성 형태, ② 교과 핵심역량과 기능의 관계 구성, ③ 영역별 제시된 대표 성취기준에 따른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의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평가 방향 연구과제를 ① 성취기준 학습동사에 대한 균형적인 기준 마련, ② 교과 핵심역량의 평가 구성요소 마련과 기능과의 연계성 강화, ③ 과정중심 평가를 위한 평가기준 연구 및 도구 개발로 제안하였다. 본 논문이 향후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시 평가기준 및 방향 설정에 의미 있는 논문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s for, and directions of evaluation specified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evaluation of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the foregoing.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valuation in the existing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evaluation methods and precautions in the curriculums ranging from the 3rd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reviewed, and based on the large flow of the direction of evaluation of the existing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was reviewed separately for ① the form of composition of the integrated evaluation, ② the compos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y and functions in the curriculum, and ③ the characteristics of evaluation methods and precautions according to the representativ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by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such, the research tasks for the direction of evaluation of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were proposed as ① preparing a balanced standard for achievement standard learning verbs, ② preparing evaluation components for core curriculum competencies and strengthening the linkage with functions, and ③ studies on evaluation standards and developing tools for curriculum-based evaluation,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be a meaningful paper for setting evaluation standards and directions whe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is revised later.

      • KCI등재후보

        실과 교육과정 평가의 모형과 평가 준거 개발

        정성봉,김종우 韓國實科敎育硏究學會 2000 實科敎育硏究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 suggest evaluation model and evaluation criteria for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evaluat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on curriculum, curriculum development and curriculum evaluation. The curriculum evaluation model for practical arts were established basic and procedure model. Basic model are three dimensions; aspects of curriculum, levels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curriculum. Procedure model are four process, The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a for practical arts were established three categories; curriculum objectives, curriculum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 KCI등재

        전문대학 교육과정 평가 준거 분석

        백남진,김수연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aluation criteria of college curriculum. To fulfil the purpose, first, this study reviewed the domain and trend of curriculum evaluation, second, it analyzed the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a of 4 colleges(A, B, C, D college) and KAVE(Korea Accreditation Board for Vocational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a relating curriculum domain, third, it drew implications for better evaluating college curriculum. As a result, first, Each of 4 colleges and KAVE had different views about the domain of evaluation, second, 4 colleges and KAVE highlighted to present criteria in relation to ‘context evaluation’, third, all of them focused the connection between curriculum objectives and subjects objectives in criteria, fourth, ‘A college’, ‘D college’ and KAVE stressed the connection between objectives and students evaluation processes in criteria, fifth, all of 4 colleges empathized drawing processes of objectives, while KAVE evaluated whether or not college had objective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general. sixth, ‘B college’ and KAVE put emphasis on reflection of evaluation results for curriculum improvement. Evaluation of college curriculum have to lead colleges to review their own curriculum and to develop quality curriculum. 이 연구는 전문대학 교육과정 평가의 준거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첫째,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및 영역과 전문대학 교육과정 평가의 동향을 검토하고, 둘째, 4개 전문대학의 교육과정 평가 준거와 고등직업교육평가인증원의 교육과정 관련 평가 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과정의 범위 규정에 있어서 분석 대상 대학과 인증원 평가기준 간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분석 대상 대학과 인증원은 ‘상황평가’의 준거 제시에 초점을 두었다. 셋째, 분석 대상 대학과 인증원은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과목별 학습목표의 일관성 제시에 초점을 두었다. 넷째, 목표와 평가와의 일관성은 일부 대학과 인증원의 준거에서만 제시되었다. 다섯째, 교육목표 설정과 관련하여 대학들은 목표 도출 과정을 중시하고, 인증원은 목표 제시 여부만을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여섯째, 일부 대학과 인증원은 평가 결과가 개선에 활용될 것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이루어질 전문대학의 교육과정 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평가에서 졸업생 역량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의미를 폭넓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평가에서 역량을 중심으로 교육목표와 평가와의 일관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평가에서 대학의 자체평가와 외부 기관의 인증평가는 교육과정의 개선 및 변화를 위해 상호보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 평가는 지속적으로 교육과정의 질을 관리하고 질 높은 교육과정을 위해 개선을 이끄는 것이어야 한다.

      • KCI등재

        의과대학 역량중심교육과정 평가준거 구안

        이소영(So young Lee),이승희(Seung-Hee Lee),신좌섭(Jwa-Seop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의과대학의 주된 교육과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역량중심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평가준거를 구안해 보고자 하였다. 즉, 의과대학 역량중심교육과정의 특성을 반영한 평가준거를 마련함으로써 교육과정의 질적 제고를 꾀하고자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해 의과대학 역량중심교육과정의 특성을 파악하고 의학교육 분야에서 할용하고 있는 평가모형과 평가준거를 분석하여 1차적인 평가준거 요소를 분석했다. 이를 기반으로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시행하여 현재 국내 의과대학 교육과정의 현실을 반영하여 평가준거에 포함되어야 하는 실질적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문헌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평가준거를 도출하였다. 결과 문헌분석을 통해 의학교육 분야에서 주요하게 활용되고 있는 평가모형들을 혼합하여 평가준거의 틀을 마련하였다. 의학교육 분야에서 평가준거가 언급되었던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1차적으로 8개의 평가영역, 31개의 평가항목, 73개의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이를 전문가 인터뷰 결과에서 도출한 2차적 평가준거 요소를 반영하여 정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5개의 평가영역, 19개의 평가항목, 61개의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의과대학 역량중심교육과정의 이론적, 현실적 특성을 반영한 평가준거와 평가모형이 도출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조사과정에서 현재 의과대학에서 역량중심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직면하고 있는 어려움과 개선점을 심층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evaluation criteria for assessing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are currently the main educational programs in medical schools in South Korea. The ultimate goal was to enhance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by establishing evaluation criteria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Methods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analyzed existing evaluation models and criteria used in medical education. Based on this analysis, primary evaluation criteria were identified. Subsequentl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experts to derive practical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evaluation criteria, considering the current reality of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in South Korean medical school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interviews, the final evaluation criteria were developed. Result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we have developed a framework for evaluation criteria by combining evaluation models that are commonly used in medical education.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that mentioned evaluation criteria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we initially derived 8 evaluation areas, 31 evaluation items, and 73 evaluation indicators. Subsequently, incorporating the secondary evaluation criteria factors derived from expert interviews, we organized them to finalize 5 evaluation areas, 19 evaluation items, and 61 evaluation indicators. Conclus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models that reflec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in medical schools. Additionally, through the investigation process, it provided in-depth insights into the challenges and areas for improvement faced in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in current medical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