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미국 STEL의 비교 분석 :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김지숙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3 實科敎育硏究 Vol.29 No.1

        이 연구는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미국 STEL의 문서 구성 체제와 구성 요소를 비교분석하여 실과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과 교육과정 문서, 미국의 STEL과 관련 자 료를 연구 대상으로 분석틀을 개발하여 내용 분석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은 STEL의 핵심 교과 표준, 실천 및 내용 영역과 연 계되어 있었다. 둘째,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STEL의 벤치마크는 3차원 또는 3영역의 내용을 적 절하게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실과 교육과정과 STEL은 모두 교과에 대한 소양을 강조하고 있었다. 넷째, 실과의 교과 역량은 STEL의 역량에 비해 포괄적이었다. 다섯째,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과 정 ․ 기능 차원의 내용 요소 반영이 미흡하였다. 여섯째, STEL은 실과 교육과정에 비해 구성 요소의 개 요와 사례 제시에 충실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 연구를 통해 도출한 실과교육에의 시사점으로 교과 역 량의 구체성과 명확성, STEL의 핵심 교과 표준의 일부 반영, 성취기준의 구체화 및 적용을 위한 가이 드, 교육과정 관련 자료의 개발 및 공유, 공학에 대한 관심 확대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PA) curriculum and STEL.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PA curriculum and STEL based on structure and components of document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PA curriculum were similar to core standards, practice and contexts of STEL. Second, three levels or domains of contents was relfected properly in both achievement standards of PA curriculum and benchmark of STEL. Third, it was shown that both PA curriculum and STEL emphasized literacy towards subject matters. Fourth, the competencies of PA were more comprehensive than those of STEL. Fifth, it was revealed that content components in ‘the process and skill level’ were not included sufficiently in achievement standards. Sixth, STEL provided more sufficient descriptions of the content, course sample and so on than PA curriculum. Finally, some implications for PA education were suggested such as clarification of competencies in the subject matter, consideration of including STEL’s core standards, embodi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implementation, development and sharing of curriculum materials, enhancement of interest on Engineering.

      • KCI등재후보

        초등 실과 내용에 기반을 둔 국가기념일 행사 중심의 훈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경숙,이상원,김종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9 實科敎育硏究 Vol.15 No.2

        이 연구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바른 인성 함양에 있다고 보고, 그 실천하는 매체로서 실생활을 중시하는 초등학교 실과 내용에 기반을 둔 국가기념일 행사 중심의 훈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과교육이 ‘생활에의 적용과 실천, 실생활에의 유용성을 중시’하는 교과임에 초점을 맞추고, 실과교육 내용에 근거한 ‘가족과 일의 이해’, ‘생활기술’, ‘생활자원과 환경의 관리’ 영역 중 시사성이 내재되어 있는 내용을 국가적 기념일의 의미와 통합시킨 훈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바른 인성이 함양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사회적 정체성 확립의 내면화에 기여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절차는 기획, 준비, 개발, 개선과 같이 4단계 과정으로 진행하여 국가기념일을 기반으로 한 훈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 적용은 서울시 S초등학교 5~6학년 11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학교방송, 학교통신, 학교홈페이지를 이용하여 훈화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기념일 행사 중심의 훈화교육 프로그램은 가족과 일의 이해, 생활기술 및 생활자원과 환경의 관리 내용을 근거로 하고 있는 초등 실과 내용을 기반으로 한 통합훈화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둘째, 개발된 훈화교육 프로그램을 학교방송, 학교통신, 학교홈페이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실천적이면서 반성적 계기를 만들어 주어 바른 인성이 내면화 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실천적 의지에 대한 변화를 글쓰기 활동을 통하여 감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초등학생의 인성교육은 도덕 교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실과 교과를 포함한 전 교과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훈화교육 내용 개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성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전인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초등학교에 있어 인성교육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교과에 분산되어 있는 훈화교육의 각 주제를 재구성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dmonitory education program of national memorial days-centered based o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contents. To realize the humanity cultivation in actual life, this program integrates the meaning of national memorial days into the main contents of practical arts such as ‘understanding of the family and work’, ‘life technology’, ‘life resources and the managing of environment’. The research was developed through four major stages: (1) plan, (2) preparation (3) development, and (4) improvement. The developed program was administered to the eleven classes of the 5th and 6th graders students in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rough school announcement, school newspaper and school homepag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holiday-centered admonitory education program focuses on the main contents of practical arts such as ‘understanding of the family and work’, ‘life technology’, ‘life resources and the managing of environment’. Second, as a result of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admonitory education program through school announcement, school newspaper and school homepage, students get opportunities to reflect themselves and cultivate humanity by writing essay about their practical will. In conclusion, the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an be effective in diverse admonitory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whole curriculum including practical arts, not only in the moral education as one subject. Also, to make character education formulate better, various researches that rearrange the admonitory topics dispersed in different subjects should be followed constantly.

      • KCI등재후보

        초등 실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유정,조선자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실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실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5학년 실과시간에 주 1회 연차시로 80분씩 총 24차시에 걸쳐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진로인식의 변화 정도를 살펴보았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실과교과에서 단원별, 차시별로 진로교육 관련 지도요소를 선정하고 지도 요소에 따라 동기유발자료 및 활동자료로 16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단원 마지막 차시에는 단원과 관련 있는 직업을 탐색하여 직업사전 만들기 활동을 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진로인식의 하위 요소인 아동의 자아인식 능력, 일의 직업의 세계 능력,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 능력, 의사결정능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음이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practical course on the elementary students' recognition of career. The research contents set up according to such purpose are ; First, to develop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elementary students' recognition of career ; Second, to analyze the effect of elementary students' recognition of career by apply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this research, career education program-related teaching elements were selected from the practical course by chapter and lesson, and 16 programs including motivation sources and activity sourc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teaching elements. At the last lesson of a chapter, vocation that is related the chapter was searched to make a vocational dictionary. The career recognition test was administered to both control and comparison group to verify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practical course on the elementary students' recognition of caree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2.0 and t-test and paired-t test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content of research. Following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the verification of both control and comparison group that went through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of practical cour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suggesting that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recognition of career. Second, it was proved that the practice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practical course contributed positively to the sub-elements of career recognition, children's self-recognition ability, vocational ability, positive attitude ability toward job and improvement of decision-making ability. Therefore, it was proved that career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practical course subject had a very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career recognition.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개인특성, 개정 실과 교육과정 및 실과교과에 대한 인식과 교육현장 혼란과의 관계

        김영은,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바가 각 교실에서 충실히 구현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한데,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현장 교사가 혼란스러움을 호소한다면 그에 대한 원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연구는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해 교육현장이 혼란스럽다고 인식한 교사와 인식하지 않은 교사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의 개인변인, 개정 실과교육과정관련 변인, 실과 교과에 대한 인식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논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특성변인들의 경우, 교사의 성별, 교직 경력, 실과 연수 경험 등이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현장의 혼란스러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정 실과교육과정 관련 변인들의 경우, 교과명칭 변경 필요성,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성 인식(교사 입장),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성 인식(학생 입장),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성 인식(학부모 입장), 개정 교육과정에서 내용 축소에 대한 인식, 개정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인식 정도 등이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현장의 혼란스러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과교과에 대한 인식이 수준이 낮은 교사일수록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해 현장에서 혼란스러움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ap of teacher who realizes confuse the education field and realizes and teacher who doesn't by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logistic regression. The major discuss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factor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ex, teaching career, experience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practical arts influence confusion of the education field. Second, In case of factors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importance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Content reduction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content reduction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in general influence confusion of the education field. Third, the lower level of perception of practical arts, influence confusion of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교 실과 심화 의생활영역의 강의실태 분석 및 강의표준안 개발

        이윤정,정미경,최경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4

        본 연구는 전국 교육대학교 실과 의생활 영역 심화과정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2009개정교육과정에 부합하는 강의표준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 실과 심화과정 의생활 영역 관련 문헌고찰, 전국 교대 실과 심화과정 의생활영역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평 가를 거쳐 강의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과 심화과정 의생활 강좌는 실과 교육과정에서의 구성 비율에 준 하는 수준으로 편제될 수 있도록 비중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강의목표는 심화 교과로서의 목표를 명백히 할 필요가 있으며, 내용면에서는 일반 의류․의상학과의 내용 과는 차별화된 예비교사교육을 위한 내용으로서 재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수학 습방법은 문제해결식 수업, 프로젝트식 수업 등 실과교과의 특성을 반영 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며, 평가 면에서도 다양한 평가 를 적용하되 학생들의 부담고려 하여 수행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강의 표준안은 ‘1) 1강좌 3학점 2) 2007개정과 2009개정에 따른 실과 교육과정 및 창의 적 체험활동에서의 의생활영역을 고려한 강의주제 3) 실과교과교육을 심화할 수 있고, 초등 현장 연계성과 적용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내용 4)체험중심의 실습수업 중심 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 5)과정중심의 평가’와 같은 강의 구성의 원리에 준하 여 강의구성안을 마련한 후 전국 교대 의생활 담당교수의 평가를 통해 개선된 강의안 이다. 따라서 이에 근거하여 각 대학의 심화과정 의생활강좌를 재검토하고 실제 교육 에 적극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the specialty curriculum in practical arts clothing and textile area i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to propose the standard syllabus which corresponded with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regarding practical arts clothing and textiles area of the elementary specialty curricula was conducted, the specialty curricula in the practical arts clothing and textile area of national education of universities were analyzed, and through evaluating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by experts, the standard syllabus was sugges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specialty course of practical arts clothing and textile area, the proportion needs to be increased so that it can be organized to the level of the distribution ratio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in the field. Secondly, the focus of lectures should correspond with the goal of the specialty curriculum, and the contents should be reviewed in order to teach the would-be teachers in substance which differs from those who study in the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 Thirdly, the instructional method should be comprised of various approaches such as problem-solving courses, project courses, and so on, in orde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arts, and although various evaluations are to be conducted, the burden on students has to be considered. Lastly, the suggested standard syllabus in this study includes 1) a lecture for 3 credits, 2) the topic which considers 2007 Revision and 2009 Revision Curriculum as well as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n clothing and textiles area, 3) the contents which can advance the curriculum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raise the possibility of connectivity and application in elementary fields, 4) the application of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focused on experience-oriented teaching practices. 5) The process-based evaluation. Since the course syllabus is prepared based on this instruction standard above and improved by the professors who are in charge of clothing curriculum i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nationwide, the specialty clothing and textile curriculum of each university should be reconsidered based on the revised Instruction Standard and the revised course syllabus should be applied to the practical instruction actively

      • KCI등재후보

        학령기 아동의 의생활 관련 연구 동향 - 1991년~2012년까지 게재된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진현정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3

        본 연구는 의류학, 가정학, 실과교육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학령기 아동의 의생활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1년부터 2012년까지 14개 학술지 (한국의류학회지, 복식, 복식문화연구, 의류산업학회지, 패션비즈니스, 한국의상디자인학 회지,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한복문화, 대한가정학회지, 한국생활과학회지, 한국지역사 회생활과학회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실과교육연구)에 게재된 학령기 아동의 의생활 연구 197개를 추출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와 학술지별 게재 빈도를 고찰한 결과, 1990년대에 비하여 2000년대 이후 학령기 아동의 의생활 연구가 약 3배 가량 증가하였으며, 한국실과교육학회지, 한국의 류학회지 순으로 게재 편수가 많았다. 의류학의 하위 영역 중 의복구성학 관련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의생활교육, 의상사회심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지법과 실험법이 많았고, 연구지역은 영남지역과 수도권 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은 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의복구성학은 아동을 여아와 남아 로 구분하여 계측한 연구가 많았고, 의생활교육은 아동을 직접 연구한 경우가 많았으 며, 의류상품학 영역은 아동보다 어머니를 조사한 논문이 많았다. 또한, 저학년보다 고 학년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othing behaviors of school-aged students using research published in journals about clothing & textiles, human ecology and practical arts education. Fourteen journals published between 1991 and 2012 were analyz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 Texti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Fashion Busines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Korean Journal of Rural Living Scienc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published by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published by The Society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A total of 197 journal article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from 2001 to 2010 was almost three times greater than the number published from 1991 to 2000. The most popular subject area was clothing construction, followed by clothing & textile education, and the social/psychological aspects of clothing. Second, surveys were the most commonly employed research method in studying the clothing behaviors of school-aged students, followed by experimentation. In terms of research area, one-third of research was conducted in Yeungnam, followed by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rd, the data for clothing construction studies were gathered from children, whereas the data for merchandising studies were gathered from the mothers of children. Students in their senior year of elementary school were researched more than students in their junior year of elementary school.

      • KCI등재후보

        학술지 실과교육연구의 특성 분석

        이건남,김영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제공하는 인용 정보를 분석 하여 실과교육 분야의 대표적 학술지인 실과교육연구 및 해당 학술지가 속한 교육학 영역의 학술지들과 비교를 통해서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3년간 우수한 논문을 게재함에도 불구하고, 피인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 지 않은 결과로, 학술지 실과교육연구의 영향력 지수(IF)가 낮은 편이다. 둘째, 2008년 에서 2009년까지 증가하다가 2010년에는 지수가 감소하고 있지만 2010년도의 지수는 교육학 영역에서 학술지 순위는 30위권으로 높은 편으로 교육학 영역에 속한 다른 학 술지에 비해 자기인용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셋째, 학술지 실과교육연구의 즉시성 지수는 2010년에 0.2점대를 2009년 이후 유지하고 있으며, 순위도 높은 편이다. 각 연도별 게재논문수를 보면 2008년, 2009년, 2010년에 발간된 각 1,2호에 실린 논문 수가 24편, 25편, 22편 등 상대적으로 본 학술지의 다른 연도에 비해서 적지 않았기 때 문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학술지 실과교육연구의 즉시성 지수(0.234), 인용반감기(8.81 년), 인용 절정기(5년)로 볼 때, 다른 분야의 학술지에 비해 지식이전속도가 빠른 편은 아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using Korea citation index. The major findings in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ny papers were not cited in recent three-year period, impact factor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has decreased. Second, kor-factor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are likely to be high in domain of pedagogy, because of low rate of self-citations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Third, ZIF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are likely to be high in domain of pedagogy. Fourth, the speed of knowledge transfer is not fast considering period of citation(8.81 year), and period of citation peak(5 year) in comparison with other fields of the journal, which means that the research environment of is not fast.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실과 가정교육 영역에서의 진로교육방안

        정미경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실과 가정교육영역에서의 진로교육의 방안을 마련해 봄으로써 초등학교 실과 가정과교육영역에서의 진로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초등진로교육과 초등실과 가정교육영역에서의 진로교육에 관련된 문헌과 연구논문 등을 고찰하여 초등실과 가정교육영역에서의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실과교과는 초등학교에서 진로교육을 담당하는 핵심교과로서, 다수의 선행연구가 개진되어왔으나, 연구의 대상을 살펴본 결과 가정교육, 기술교육, 농업교육, 환경교육 등의 실과교과 내 영역별 진로교육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초등실과 가정과 영역은 사회의 다양한 직업과 관련된 ‘일’을 대상으로 하며, 일의 경험을 통해 자기이해와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등 진로와 관련된 내용을 효과적 높일 수 있는 교육적 의미와 가치가 있는 교육영역이라고 할 수 있어 앞으로 많은 연구의 수행이 요구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 번째로는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과 초등실과 가정과 영역에서의 진로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제시된 초등실과 가정과영역에서의 진로교육 방안은 첫째. 진로교육내용의 교과 간 통합적 접근, 둘째, 단원별 지도안에 진로내용의 적용, 셋째, 교과서에 진로교육내용 요소 반영, 넷째, 진로교육의 연계 운영 강화, 다섯째, 흥미 있고 다양한 활동중심의 교수학습의 적용, 여섯째, 다양한 진로교육 자료의 개발 및 공유 활성화로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directions of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Literatures were reviewed.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ractical arts education is a core subject that has responsibility for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espite of numbers investigations in this area, there is a nothing study on the sub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especially in home economics area; 2) The subject of home economics area in practical arts education is a 'work' related with various kind of occupations in society, and it is a educational area which has a educational means and values to enhance a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occupation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work; 3) The directions of career eduction in the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rough the review literatures on elementary career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area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re suggested as 6 directions. The 6 directions were sa follows: (1) Integrated approach for career education between elementary subjects centered on practical arts education. (2) Career educational application to the teaching plan of each unit in practical arts education. (3) Inclusion of career education in textbook on pratical arts education. (4) Buildup the linking to career education in other activities. (5) application of Interesting and various kind of activities 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6)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the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 KCI등재후보

        초등 교과별 창의성 교육 연구의 특성 비교 : 과학, 수학, 실과 교과를 중심으로

        김지숙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 수학, 실과 교과를 중심으로 창의성 교육 연구의 교과별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실과의 창의성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각 교과의 교육과정과 창의성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교과 명칭’과 ‘창의성’을 조합한 주제어를 활용하여 연구 목적에 적합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 내용에 따라 분류한 후 종합하는 방법으로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교과의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성을 교과의 전문적 지식과 기능을 바탕으로 하며, 교과 관련 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나 활동으로 명시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지침의 구체성과 다양성은 교과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과 수학교육 연구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정의는 교과 고유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었으나, 실과교육 연구에서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학과 수학교육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구성요소를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지만, 실제 연구에 적용된 요소는 주로 인지적 요소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학교육 연구에 비하여 과학과 실과교육에서는 창의성 연구의 내용이 다양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reative education studies in three elementary subjects such as science, math and practical arts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creative study in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these purpo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Bpia, KISS and eArticle and analyzed using MS Excel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term ‘creativity’ in three subjects’ curriculum was based on a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in subject areas and related to problem solving process or activity. Seco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mong three subjects in their diversity and concreteness of curriculum guidelines to foster creativity. Third, the definitions of creativity in science and math subjects reflected their subject’s characteristics well compared to that in practical arts. Fourth, even though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were presented diversly in science and math related studies, only some of those were applied in research. Fifth, creative education studies in math were conducted in diverse research areas compared to those of science and practical arts.

      • KCI등재후보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 실과 생명과학교육 방안 연구

        권석정,이상원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생명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고찰함으로써 초등학교 현장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하고 효율적인 실과 교육을 구현하는데 기 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 및 2015 개정교육과정을 반영한 5∼6학 년(군) 실과 교과서의 생명과학 영역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사례기반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수업 목 표와 교수·학습 절차를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 실과 생명과학교육 의 실행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기반학습에 적합 한 내용을 추출하기 위하여 2009 개정교육과정의 검정교과서와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생명과 학교육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여 실과 교과와 연계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였다. 둘째, 초등 실과 생명과학교육 교수·학습 설계 절차는 생명과학 관련 사례 이해하기, 사례 분석하기(개별탐구), 해 결방안 탐색하기(팀별탐구), 해결방안 결정하기, 해결방안 평가하기의 5단계로 구성하였다. 셋째, 초등 실과 생명과학교육의 실행방안으로 생명과학교육 사례, 사례 분석틀을 활용한 교수 도움 자 료, 학습자용 사례분석 활동지,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 실과 생명과학교육은 생 명과학교육 관련 주제에 따라 구조화된 사례를 기초로 학생들이 의사소통하고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을 통해서 문제해결력 등과 같은 고등사고 능력과 미래역량을 기른다는 점에서 교 육적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diverse and efficient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problem-solving in elementary school field by developing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hat utilizes case-based learning with the focus on life science area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related contents of the 5th and 6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 that reflects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teaching-learning models for case-based learning are develop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xtract the content suitable for case-based learning,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education field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then the topics linked to the practical arts were selected. Second, the procedures for case-based learning for life science educa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consisted of 5 steps which were about understanding cases related to life science, analyzing cases(individual exploration), exploring solution(team exploration), deciding solution, and evaluating solution. Third, for implementation plans of life science educa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a life science education cases, teaching aids using case analysis framework, case analysis activity paper for learners,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the life science educa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using case-based learning ha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at students can develop high-level thinking ability and future competence such as problem-solving capa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and solving problems based on cases structured according to the subject of life scienc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