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기초한 역사 교육과정 실행연구: 신라 문화 교류사를 중심으로

        곽병현(Kwak, Byeong Hyeon),김은석(Kim, Eun Suk)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1 사회과수업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신라의 문화 교류사를 UNESCO 세계유산의 등재 기준인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다시 읽고 수업으로 구성하여 실행한 후, 이 과정에서 얻은 성찰을 토대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고대 문화 교류사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다시 읽기> 차원으로, 우선 현행 고대 문화 교류사 교육에는 ‘협소한 수준에서의 교류 강조’, ‘세계사적 시야의 부재’, ‘문화의 수용보다는 문화의 전파 강조’라는 문제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신라의 문화 교류사를 다시 읽어 본 결과, 신라의 문화 교류사는 동북아시아 수준을 넘어섰었고, 이러한 교류를 토대로 신라는 보편성에서 탁월성을 추구한 사회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다시 쓰기> 차원에서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고대 문화 교류사를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다시 구성하여 실행하였다(<신라의 문화 교류사 다시 읽기> 수업). 셋째, <성찰하기> 차원에서 문화 교류사 수업 및 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우선 수업 성찰과 관련하여, ‘문화 교류사 수업에의 천착’, ‘탐구형 프로젝트 수업으로의 지향’, ‘보편성 획득의 의미를 가르치는 수업 방식에 대한 고민 필요’, ‘탁월성 중 예술적 우수성 또한 강조’, ‘초등학생의 수준과 학습 가능성 고려하기’, ‘신라만이 아닌 한반도의 고대와 중세를 아우르는 방식의 주제 구성’ 등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성찰과 관련하여, ‘문화유산에 대한 외형적 요소보다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중점적으로 서술하기’, ‘전파보다는 교류의 관점에서 서술하기’, ‘탁월성 뿐만 아니라 보편성의 관점도 다루기’, ‘특정 코너나 프로젝트 단원(또는 주제)으로 교과서 구성하기’, ‘열린 해석을 지향하는 교과서로 전환하기’, ‘초등학교에서도 세계사 다루기’, ‘탄력적 환경확대법 강화하기’ 등을 제시하였다. 결국, 문화 교류사 교육은 보편성을 토대로 탁월성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d Silla s cultural exchang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the UNESCO World Heritage Registration Standard,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ancient cultural exchange history based on reflection obtained in this pro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dimension of <reading the curriculum again>,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ancient cultural exchange history education has problems such as emphasizing exchange at a narrow level , the absence of a world historical perspective , and emphasizing the spread of culture rather than accepting it . Next, as a result of rereading Silla s cultural exchang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t was found that Silla s cultural exchange history exceeded the level of Northeast Asia, and based on these exchanges, Silla was a society that pursued outstanding character in universality. Second, in the dimension of Rewriting the Curriculum, the ancient cultural exchange history of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was reorganized and implem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Rereading Silla Cultural Exchange History> instruction). Third, the direction for teaching and education of cultural exchange history was presented in the dimension of reflection . First of all, regarding instruction reflection, it suggested focusing on cultural exchange history instruction , orientation to exploratory project instruction , need to think about teaching methods to acquire universality , emphasize outstanding artistic characteristics , conside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vel and learning possibility , and composition of the theme encompassing the ancient and medieval times of the Korean Peninsula, not just Silla. Next, regarding curriculum reflection, Rather than describing only the external elements of cultural heritage, it focuses on describing outstanding universal values, Describing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xchange rather than spreading culture, Controlling not only outstandingness but also universality, Organizing textbooks into specific sections or project units (or topics), Conversion to textbooks aimed at open interpretation, Even in elementary school, dealing with world history, and Enlarging the flexible expanding environments principle were suggested. In the end, education on cultural exchange history should be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 KCI등재

        儒家의 文化 개념과 한국의 문화철학에 관한 試論

        김세종 한국유교학회 2017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7

        본 논문은 유가 전통의 文化 의미를 탐색하고, 동아시아와 한국의 문화철학이 지녀야 할 성격과 의의를 試論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유가 문헌에 따르면 文은 人文을, 化는 敎化를 의미하며, 文化란 ‘인간이 자연을 이용하거나 모방하여 만들어낸 멋지고 우수한 것’이면서 ‘인간의 인위가 적용되는 대상 자체의 善한 자연성을 최대한으로 회복·재현·표현하려는 노력’이라 정의된다. 이러한 정의 아래에 문화철학의 특성은 네 가지 주제로 논의되었다. 첫째,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문제는, 보편적 실체로서의 본성이 상정되고 또 자연성과 본성에 대한 긍정과 그것으로의 회귀를 지향하고 있는 유가에서는 보편적 기준이 인정된다. 동시에 보편은 특수와의 대립이 아니라 특수의 기저가 되며, 또한 특수로 인해 보편의 의의가 성립될 수 있기 때문에 유가적 관점에서 보편과 특수의 관계는 상호 대립이 아니라 본질적 실체[體]와 실체의 변용[用]이라고 정리될 수 있다. 둘째,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우열 문제에서는, 文化의 의미에 의하면 보편적 기준은 자연과 인성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만일 우열을 구분한다면 인간 본성의 회복과 구현에 대한 기여도가 기준이 된다. 따라서 어떤 문화 행위가 인간의 선한 본성을 확인하고 고양시키는 것이라면 그것은 우열의 優에 해당하며 고급문화로 불러도 좋을 것이다. 그 반대의 경우라면 우열의 劣에 해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셋째, 문화는 발전하는가 변화하는가의 문제인데, 유가의 문화 관념은 발전이론을 노정하지 않는다. 보편과 특수의 논의에서 말했듯이 각 지역과 시대에서의 문화는 저마다의 상황에서 인간의 선한 본성을 드러내고 자연성을 재현하기 위한 무수한 변용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유가 전통에서 문화는 발전이 아니라 변화, 즉 다양성의 확장으로 이해된다. 넷째는 자유의지론과 문화결정론의 문제인데, 이는 인간이 문화를 만드는가 문화가 인간을 양성하는가의 논의, 즉 문화와 인간의 관계로 대변된다. 유가 전통에서 문화의 최대치는 인간의 본성과 자연이기 때문에 인간이 문화의 다양성을 확장할 수 있을 뿐 문화 자체가 인간을 확장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자유의지론과 문화결정론은 서양의 문화철학적 입장에서의 논쟁일 뿐 유가 전통의 문화 관념에 의하면 문화와 인간은 합일을 지향한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meaning of culture[文化] in the Confucian tradition, and discussed the character and significance of the cultural philosophy of East Asia and Korea. Under these objectives,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of 文 and 化 based on the literature, and discussed the East Asian cultural philosophy through four themes. According to the Confucian literature, the 文 means humanities, and the 化 means the teaching. Thus culture[文化] is defined as ‘A wonderful and excellent thing that human beings made using or imitating nature’, and at the same time, ‘The effort to recover, reproduce, and express the best naturalness of the object to which the human artificial is applied as much as possible.’ Under these definitions,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hilosophy were discussed in four themes. First, the issues of universality and uniqueness of culture. The universal standard is recognized in the Confucianism which is assumed the nature as universal reality and the affirmation about nature and return to it. Here, universality is not the confrontation with the uniqueness, but the basis of uniqueness.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universality can be established by uniqueness. Therefore, the relation between universality and uniqueness in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can be summarized not as mutual opposition but as the relationship between essential substance[體] and modification of the substance[用]. Second, the issues of making a discrimination between high-class culture and popular culture. According to the meaning of culture[文化], universal standards are bound to become nature and humanity. So, if we discriminate the high-class culture, the contribution to the restoration and implementation of human nature becomes the standard. Therefore, if a cultural act confirms and elevates human good nature, it is a superiority and it may be called as a high-class culture. In the opposite case, it can be said that it corresponds to the inferiority. Third, the issues of development and change. The cultural idea of East Asian Confucian thought does not disclose development theory. As we can see from the discussion of universality and uniqueness, the culture in each region and age is a myriad modification to reveal the good nature of human beings and reproduce nature in each situation. In the Confucian traditional, therefore, culture is understood as a change, that is, an extension of diversity rather than development. Fourth, the issues of the doctrine of free will and cultural determinism. This is represented by the discussion of whether humans cultivate culture or culture cultivates human beings,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human beings. Since the maximum value of culture in the Confucian tradition is human nature[性] and nature[自然], human beings can expand the diversity of culture and culture itself can not expand human beings. Therefore, the doctrine of free will and cultural determinism are an argument in Western cultural philosophy. According to the cultural idea of the Confucian tradition, culture and human beings aim for unity. Culture is not a fixed thing. As long as it is a human product, the history of mankind is the history of culture, and the intellectual history of mankind remains a cultural phenomenon. As long as cultural philosophy is ultimately aimed at understanding human beings, reflection and criticism of all culture from past tradition to today is indispensable, and through this self―understanding, our identity and direction can be measured.

      • 최근 철학계의 성 바울의 보편성 논의와 그 비판적 평가 -동아시아 정치적 정체성 구성을 위한 문화해석학을 위하여

        김덕기 ( Duk Ki Kim ) 한국해석학회 2009 해석학연구 Vol.23 No.-

        The paper introduces, evaluates, and criticizes recent trend of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st. Paul`s thought advocating universality of subjectivity in order that it can adumbrate a new paradigm of East-Asian cultural hermeneutic. The vantage point of this new trend, so-called `theological materialism`, is instigated by Badiou`s claim that Paul`s thought lays groundwork for new concept of universalism based on ontological status of `event` situated in `void`. Badiou insists that Paul retains tolerance of difference being indifferent to cultural differences, while advocating militant universality based on the dichotomy of spirit/flesh which traverses various differences of ethnicity, gender, class, nationality, religion, ecological location, etc. Yet Paul`s idea of event-oriented universality intensifies and overdetermines subjectivity eliminating any objectivity with regard to specific political identity. In this vein, this discussion raises the exegetical and hermeneutical issue of whether Paul`s implicit intention is to persuade one to concede to the exception of Jew`s political identity as chosen people or not. Right in response to this problem, it is worthwhile to remark that S. Zizek`s understanding of Paul`s thought sophisticates Badiou`s view of universality by appropriating Lacanian view of `void` as clarified by Hegelian dialectic. While appreciating Agamben`s critique of Badiou`s view of universality, Zizek`s paradoxical sense of universality advances ontological and ethical significance of the Remnant left out by the messianic division between the Whole and the Part. Yet these two scholars` standpoint of universality still does not clarify mode of political identity, coincided with their notion of universality replete with subjectivity pertaining to the ontological status of other`s particularity, which can, in turn, provide us with the clue for rightly generating East-Asian cultural hermeneutic. Hence, this article proposes new category of `specificity` and neologism `transcendental self-surmounting liminality` which best elucidate a new paradigm of East-Asian cultural hermeneutic, in which ethical subjectivity convincingly concurs with political identity relating to particularity. This claim will be corroborated by following rationales. At first, the exegetical discussion about Paul`s notion of universality with regard to ethnicity(Gal 3:28, I Cor. 12:12-13) delineates this concept of specificity, by which embodied identity, formulated by the participation in body of Christ, undergirds East-Asian cultural hermeneutics with significance of linkage of labor with ethnicity. Second, Paul`s view of universality entails hybrid character of political identity, once we reinterpret Paul`s thought pattern of ritual in light of Greco- Roman religious background, as mostly argued by the recent scholarly works (Wan. &Esler&Malina). Third, Paul unifyingly encourages us to identify ourselves as the weak rather than the strong as shown in I Cor. 8-10. Especially, the hermeneutical issu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subjectivity and cultural identity will be effectively delineated not only by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ical setting of Paul`s church and Greco-Roman view of ethnicity, but also by Paul`s cultural-political theology of messianism. In conclusion, the proposed East-Asian cultural hermeneutic model reinterprets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Paul`s substantial `universal militantism` as to solve specific problems of East Asian political identity and fight against the obstacles of global justice underlying Neo-liberal capitalism while incipiciently appropriating its specific strategy of Paul`s decolonizing resistance to induce the readers to take emacipatory praxis in their own situation.

      • KCI등재

        헨리 스타이너의 크로스 컬츄럴 그래픽 디자인에 관한 연구

        윤민희(Min Hie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세계화와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달로 국제적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국가나 민족 사이의 경계 및 차별성은 희미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회 현상은 예술과 일상,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등의 경계허물기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 학문과 학문 간의 벽을 허물고 국경 없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오늘날 문화의 이미지도 국경을 초월하여 문화와 문화 간의 융합으로 국경 없는 세계화된 문화(global culture)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추세 속에서 디자인 영역에서도 세계인이 상호 교류할 수 있는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cross-cultural design)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헨리 스타이너의 그래픽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그래픽디자인 영역의 보편적인 시각언어로써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 표현 특성을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의 시각에서 연구한다.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분야의 선두주자인 헨리 스타이너(Henry Steiner)는 자신이 집필한 「Cross-cultural design: communicating in the global marketplace」(1995) 에서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의 양면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 즉 다양한 문화적 특성이 공존하는 퓨전적 디자인을 제안하고 있다. 포괄적인 의미에서 그래픽 디자인은 아이디어나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묘사한 시각 정보디자인(visual communication design)이다. 이와 같이 그래픽 디자인은 많은 사람들이 문화권이나 국적을 초월하여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시각언어(visual language)이기 때문에 세계인이 공유하는 디자인의 문화적 보편성이 중요하다.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 전 세계적 디자인의 표현이 미국화·서구화 경향을 띄고 있기 때문에 동양인의 시각에서 바라보면 동양의 문화적 정체성의 상실을 가져올 수 있는 우려를 가지고 있다. 특히 디자인의 표현이나 교육에서 문화의 보편성과 다양성의 양면적 가치 속에서 세계인인 공유하는 아시아,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헨리 스타이너의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 철학과 작품은 세계적 보편성의 측면과 함께 문화적 정체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범위는 현대 그래픽 디자인과 문화적 다양성과 문화적 정체성, 헨리 스타이너의 현대 그래픽디자인 등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세부적으로 현대 디자인의 문화적 정체성과 특수성 표현을 문화의 특성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함께 디자인 영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헨리 스타이너의 현대 그래픽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그의 약력 및 작품세계, 헨리 스타이너의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구체적으로 연구·분석한다. 21세기의 다문화 사회에서 세계인이 소통하는 디자인을 하기 위한 대표적인 디자인 방법론의 하나가 크로스 컬츄럴 접근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단순히 디자인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문화 현상 전반에 걸친 학제 간 연구를 바탕으로 행해져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과 같이 급격한 서구화에 의하여 문화적 정체성의 표현과 서구화라는 양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은 한국의 디자인 교육과 디자이너들에게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한다. Today`s society tends to be against the strict classification and has a mutual exchange relationship. This phenomenon, exposed through destroying the dichotomy division, such as spirit & material, rationality & sensibility, art & life, high & low and Oriental & Western cultu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Henry Steiner`s cross-cultural graphic design.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graphic design as a universal visual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Henry Steiner, a leader of cross-cultural design field, he wrote “Cross-cultural design: communicating in the global marketplace” (1995) on both sides of the cultural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as a plan to solve problems cross-cultural design. Visual language can deliver a message instantly to anyone, however, the meaning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each person`s viewpoint. Therefore, Henry Steiner`s visual language gives the strongest message that anyone can imagine. As a universal visual language, it also goes beyond the differentiated language recognition of cultural areas and impresses people as an excellent advertising copy does. However, because of Americanization and Westernization since the mid-20th century, from the Asian perspectives, this tendency can bring a loss of cultural identity. In this respect, Henry Steiner`s cross-cultural design philosoph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identity and universality. Scope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cope of the study of modern graphic design and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identity, Henry Steiner, the center of the modern graphic design shall be composed. Modern design in the expression of cultural identity and cultural specificity is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with design case studies. And also, we examine Henry Steiner`s biography and his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ross-cultural research and analysis. Henry Steiner`s design philosophy can influence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and design work, the policy in Korea. Using this cross-cultural approach of the 21st century in multicultural societies, global citizens can communicate with a design methodology. This approach must be studied not only in design area, but also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based on phenomenon. In a situation, this cross-cultural design research is expected to bring important viewpoints for designers and design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공공문화시설에서의 안전취약계층을 배려한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방향성에 관한 연구

        김규리 ( Kim Gyuri ),장영호 ( Jang Youngho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노인 인구 급증에 따른 초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물리적 사회적 환경적인 문제로 인한 예상치 못한 안전사고로 인해 국가와 시민들은 안전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그리고 신체적으로 자유롭지 못한 안전취약계층을 위한 배려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모두를 위한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정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법적 최소한의 기준으로 한 물리적 개선인 배리어프리 이상의 확장된 범위의 유니버설디자인의 필요성에 착목하여 우리 주변에 늘어나고 있는 다양한 문화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공공문화시설에서도 안전취약계층이 충분히 배려 받고 있는지, 유니버설디자인이 실효성 있게 잘 적용이 되었는지 현황을 살피고 부족함이 있다면 정책적 개선 요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또한 향후 안전취약계층을 포함한 누구라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공공문화시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다중이용시설에서도 유니버설디자인이 적용 될 수 있도록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참고문헌과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첫째,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과 디자인 정책의 정의와 유형 및 공공문화시설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둘째, 유니버설디자인 정책과 공공문화시설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을 이끌어가는 주요 국가인 네덜란드, 일본, 미국의 해외 참고 자료와 국내의 공공문화시설 현황과 정책 연구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셋째, 선행연구와 자료조사를 토대로 국내의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외 주요국가의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특장점을 살펴보았다. 넷째, 앞서 조사한 국내와 해외 공공문화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사례와 정책사례 분석을 통해 유니버설디자인의 실효성 있는 정책의 방향성을 검토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유니버설디자인이 공공문화시설에서의 배리어프리를 넘어선 확장된 범위의 유니버설디자인의 필요성과 국내의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현황의 한계점에 주목하여 이를 위해선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이 각 분야에서 통합된 형태의 실행안이 나와야 한다는 것에 시사점을 던졌다. (결론) 국내외 사례를 통해 알아본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은 국가의 정치특성에 따라 다양한 유형과 특징을 알 수 있었고, 분석한 결과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의 한계점은 국가주도의 법적인 근거가 없기 때문에 지자체의 관련 조례 안에서 사업을 진행하다 보니 통합적인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의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의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개선으로, 공공문화시설 뿐만 아니라 모든 다중이용시설에의 안전취약계층 뿐만 아니라 모두가 배려받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누구나 공공문화시설을 안전하게 방문하고 편리하게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의 기반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the arrival of an aging society due to the surg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unexpected safety accidents caused by phys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e nation and citizens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safety. And as we recognize the need for consideration for the safety vulnerable who are not physically free,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Universal Design policies for all.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need for a universal design beyond Barrier Free, which is a physical improvement based on legal minimum standards, and suggests the need for policy improvement if the safety vulnerable are fully considered and applied well in public cultural facilities. In addition, the goal is to present policy directions for anyone, including the vulnerable class, to apply universal design to most multi-use facilities as well as public cultural facilities safely and conveniently in the future.(Research method) Based on reference and case studies, this study first considered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the definition and type of design policy, and the meaning of public cultural facilities. Seco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policies and public cultural facilities, foreign references from the Netherlands, Japan, and the U.S., major countries that lead universal design, and public cultural facilities in Korea were collected. Thir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policies in Korea based on prior research and data survey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policies in major foreign countries. Fourth, the effective policy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was reviewed through the analysis of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cases and policy cases of public cultural facilities in Korea and abroad. (Results) This study noted the need for universal design beyond the barrier in public cultural faci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ate of universal design policies in Korea, suggesting that domestic universal design policies should be integrated in each field. (Conclusion) Universal design policies were identified in various types and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difficulties in integrated universal design policies as there was no legal basis for the state.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o improve the universal design policy in Korea so that not only the public cultural facilities but also all the multi-use facilities can be considered, which will be the foundation for anyone to visit public cultural facilities safely and enjoy culture.

      • Effects of a cultural nursing course to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in Korea

        박혜숙,장희정,정금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19 보건의료교육평가 Vol.16 No.-

        Purpose: With Korea’s recent rapid change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cultural competence is being emphasized as a core nursingcompetenc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cultural nursing course that aimed to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students in Korea. Methods: This was a single-group pre- and post-comparison study. The subjects were 69 nursing students at Dongyang Universitywho attended a cultural nursing course in 2015, of whom 62 student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13-week cultural nursing coursewas held for 2 hours a week. The methods of the course included small group activities,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experientiallearning, reflective activities, and lectures. Nursing students’ cultural competence was measured pre- and post-course with the CulturalCompetence Scale for Korean Nurses, which contains 33 items scored on a 7-point Likert scale. Results: After completing the cultural nursing course, students’ total cultural competence scores increased, as did their scores in eachcategory (cultural awareness, cultural knowledge, cultural sensitivity, and cultural skills)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in cultural competence by gender (P<0.001). Conclusion: This cultural nursing course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extended to other university-level nursing programs in Korea.

      • KCI등재

        문화다양성 및 문화다양성 역량에 대한 초·중학교 학생 및 교사의 인식 실태 연구

        장의선,강민경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8 글로벌교육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in our school education and to come up with policies to support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e defined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by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 According to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f Cultural Diversity, cultural diversity is necessary for humankind as biodiversity is for nature. This is the main source of exchange works in humankind, renovation and creativity and a factor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heritage to be shared for all mankind. In this study,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is defined in three domains; In cognitive domain, "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diverse culture and coexistence ", in affective domain, "to believe cultural diversity makes creativity and sustainability in our society" and "to work on cultural exchange". In this study, a survey on the awareness and competence of cultural diversity was don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sixth graders and 3rd graders in middle schools). The educational implicatio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working on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teachers need to students’ interests and have proper understanding on cultural diversity. Second, when working on programs to enhance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it would be desirable to appreciate our own cultural identity and add appropriate contents by analyzing other cultures. Third, in respect of ways for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e need to focus on cross 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also consider affective and cognitive domain. Teachers' awareness and attitude of our own culture and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showed similar to that of students. For the actual condi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e found that it is hard to say there is proper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our schools. There were demands on teacher training in the area of cultural diversity. 본 연구는 문화다양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문화다양성 역량에 대한 필요성에 주목하여 학생 및 교사의 문화다양성 개념 인식 및 문화다양성 역량 실태를 분석하고, 향후 문화다양성 역량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 및 구성 측면에서는 문화다양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자료 개발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교수학습 방법적 측면에서는 자문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 육성과 타 문화에 대한 존중과 함께 타 문화에 속한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문화 간 소통 역량 강화에 강조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학교급별 교수학습 방안에서는 추상적․정신적 영역에 대한 학생의 인지 발달 단계와 자신감 및 적극성 등 정서적 영역에서 청소년기의 민감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문화다양성 역량과 같이 새롭게 강조되거나 범교과적인 교육 내용에 대해서는 교사를 위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교사가 문화다양성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학생들의 문화다양성 역량 함양을 위해 수업을 계획․운영할 수 있는 전문성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

      • KCI등재

        문화대혁명시기의 대학생 문화

        이경자 ( Kyung Ja Lee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1

        현대 중국인에게 ``잃어버린 10년``, ``10년의 동란``, ``10년의 재앙`` 등으로 기억되고 있는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은 1966년부터 1976년까지 10년의 대혼란을 말한다. 10년 동안 지속된 ``문화대혁명``은 경제, 사회뿐만 아니라 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대학교육에 많은 충격과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충격과 영향은 기존과는 다른 대학생 문화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대혁명시기에 대학생들의 문화가 어떠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대혁명 전과 확연히 달라진 대학교의 상황을 학생모집제도의 변화, 교육 대상과 내용, 학제의 변화, 홍위병을 통한 정치투쟁 등을 통해 알아보았다. 문화대혁명시기에는 대학입학이 몇 년간 중단되었으며 기존의 정상적인 학제가 단축되었다. 대학생 선발기준은 기존의 고등학교 졸업자에서 학력에 상관없이 ``공농병(工, 農, 兵: 노동자, 농민, 군인)`` 출신으로 바뀌면서 많은 공농병대학생이 출현하였다. 이들의 출현으로 교수방법, 교수내용 등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변화 및 혼란은 대학생들 사이에 고발과 비판문화를 낳고, 이러한 고발과 비판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사회질서는 물론이고, 인간으로서 가지고 있는 최소한의 존엄성마저 훼손시켰다. 또한 마오쩌둥을 신격화하여 숭배하는 문화를 만들었다. 마오쩌둥 숭배는 조청시(早請示)를 하며, 가슴에 마오쩌둥의 휘장을 달고, 그의 어록을 외우며, 충자가(忠字歌)를 부르고, 충자무(忠字舞)를 추며, 어록체조(語錄操)를 하고, 만회보(晩匯報)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적인 사생(師生)관계를 깨트렸다. 사생관계의 파괴는 학문과 학술에 대한 권위와 신뢰마저 깨트렸고, 이는 교사에 대한 권위를 실추시켰다.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중국은 10여 년간의 인재배양 기회를 상실했다. 문화대혁명은 사람들에게 많은 피해와 교훈을 남기고 지금까지도 명료하게 해석되지 않은 역사적 사건으로 남아 있다. `The cultural revolution` is the 10-year great chaos from 1966 to 1976 remembered by modern Chinese as `A Lost Decade`, `The 10-year War`, `The 10-year Disaster` etc. The cultural revolution had a lot of influence economic, social, and education for the 10 years and in particular influenced a lot of shocks and impact on university education. These shocks and impact resulted to the formation of the culture different from other university students` conventional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udents` culture in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period.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examined the situation changed significantly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through student recruitment of university, changes in education, and political struggle by the Red Guards etc.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the university entrance stopped for a few years, the basic education systems was destroyed, and education period was reduced. As university student selection criteria changed from the existing high school to the worker-farmer-soldier(工, 農, 兵) class regardless of the educational background, many worker-farmer-soldier university students emerged. The appearance of worker-farmer-soldier university students occurred many changes in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etc. Such changes and confusion lowered the levels of students enrollment and paralyzed original higher education function. As a result, university education was almost suspended at the tim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ultural Revolution is the Red Guards movement. The political struggle by the Red Guards resulted in accusations and criticism to students at the time, directed the atmosphere for Mao Zedong worship like God and went broke the traditional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e destruction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roke the rough trust and authority over scholarship and academic activity and led to downfall the authority of the teacher. Because of the cultural revolution China lost the chance of human resource nurturing for over 10 years. The cultural revolution left a lot of damage and lesson, but is still remained a historical event not yet clearly interpreted.

      • KCI등재

        논문 : 대중예술문화산업과 헌법 -법제개선을 위한 기본방향-

        한상희 ( Sang Hie Han ),이경 ( Kyung Lee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一鑑法學 Vol.0 No.26

        This essay aims to construe the constitutional obligation of the government to establish and execute cultural policies for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based on the “Kulturestaat” clause and “Sozialstaat” principle of the Korean Constitution. The cultural industry may be said to be the economic construction of mass culture of the society, so that the government`s cultural policies can make salient foundation for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and for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This means that government`s cultural policies should take it into serious consideration that the cultural industry can provide all the people with universal service, as well as that the industry can achieve its economic goals. Government`s cultural policies should aim to let the people, not as passive consumers of the cultural goods which were produced by the economically managed industry, but as active participant into mass culture, who can produce the real people`s culture. In addition, government should control the market power of the cultural industry system which can subordinate the creative writers and/or artists to the interests of the capital. The government should pay attention to protect and support any creative activities, and the autonomy and creativity of the cultural area of a society. Thirdly,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social safety nets for the part of cultural industry should take priority to any other policy projects.

      • KCI등재후보

        문화상대주의와 인권의 보편성 논쟁 - 인권이론과 인권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정필운,박선웅 연세법학회 2019 연세법학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what implications of cultural relativism and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debate have on human rights theory and human rights law.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first examined where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debate originated, and how cultural relativism raised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II). In addition, this article presents concretely the implications of the debate on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theory and human rights law (III). Finally, I concluded the above discussion (IV). The above discus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at human rights are is defined by culture. Second, it is controversial whether human rights have universa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but there is no theory that human rights inherently pursue universality. Third, there is no conflict between the nature of human rights and the pursuit of universality inherently in human rights. In order for human rights discourse to exert its power, human rights must constantly pursue universality.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pursue human rights universality, not cultural relativism, in the establishment, enforcement and application of domestic human rights law. In particular, the judiciary should, in principle, make judgments in terms of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in the application of domestic human rights law. Fifth, the concept of human rights is based on ambiguity. Habermas's theory of communication provides a procedure for pursuing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Human rights education raises the possibility that members of the community can form and fill human rights without exception. In this sense, the significa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must be recognized. 이 글은 인권이론과 인권교육의 체계화를 위하여 문화상대주의와 인권의 보편성논쟁이 인권법을 포함한 인권이론과 인권교육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지 제시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인권의 보편성 논쟁의배경을 검토하고, 어떤 맥락에서 문화상대주의가 인권의 보편성에 문제 제기를 하였는지 짚어본 후 인권이 보편화될 수 있는지 혹은 어떤 조건 하에서 보편화 될 수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인권의 보편성 논쟁이 인권이론과인권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이 무엇인지는 문화에 의해 규정된다. 둘째, 인권이 보편적이고 일반적인특성을 갖는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그것이 개념내재적으로 보편성을추구한다는 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셋째, 인권이 문화에 의해 규정되면서 보편적인특성이 있다는 것과 인권이 개념내재적으로 보편성을 추구한다는 것은 서로 충돌하지않는다. 인권 담론이 그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 인권은 끊임없이 보편성을 추구하여야한다. 넷째, 정부는 국내 인권법의 제정과 집행, 적용에 있어 문화상대주의가 아닌인권 보편성을 추구하여야 한다. 특히 사법부에서는 국내 인권법의 적용에 있어원칙적으로 인권의 보편성의 관점에서 판단하여야 한다. 다섯째, 인권 개념은 본질적으로 모호하다는 전제 하에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론은 그 모호성을 보편성으로전환할 수 있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인권교육은 공동체 구성원이 그 모호성을인식하고 이를 부단히 구성하고 채우도록 독려하고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인권교육의 중요성과 정당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