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행 융합교육에 대한 진단과 융합역량 제고 방안

        홍병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4

        The general reasons for why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ecause the effective period of knowledge is too short, we can not solve complex problems with expertise in a specific field alone. Secondly, in response to sudden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we not only demand a new talent fitted here, but also from the standpoint of a company, the reason is that the burden of reeducation is large. Nevertheless, most domestic universities are dead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subjects for the convergence capacity development. However, here are the following two problems. One is a real problem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ensuring core competence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The other is a question about whether such ability can be actually secured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Wha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here is that if there is no answer to these questions, there will only be problems in the effectiveness of convergence education.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possibility of concern about the discussion over convergence education by establishing a basis on which convergence ability can be secured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lock the possibility of criticism that it simply follows the trend of education by establishing grounds as to whether or not core competence can actually be secured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Ultimately, based on these theoretical grounds, prepare a direction and a detailed practical strategy for enlightenment of convergence ability to ensure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ed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uniqueness of each university try to. If the convergence ability can be trained through education in relation to whether or not the convergence ability can be revitalized, such ability is not a capacity born with congenital nature, and it can not be acquired mentally It means that you can do it. On the contrary, if the convergence ability is a capability that can not be acquired at an acquired time, the education itself will be meaningless. In that respect, securing theoretical grounds for this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This is because the grounds are the grounds for judging the applicability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on site. Of course, obeying any definition for education i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acquired. Ultimately, education is the ability to be acquired afterwards through education rather than being capable of congenitally giving convergence ability in the dimension to cultivate specific abilities. 융합교육을 왜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에 대해 일반적으로 사회 및 지식의 변화 속도가 너무 빠르고 지식의 유효기간이 짧아짐에 따라 어느 한 분야의 전문지식만으로는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인재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입장에서는 재교육의 부담이 크다는 이유 등을 들고 있다. 이에 국내 대부분의 대학들이 융합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교과목을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융합교육을 통한 핵심역량 확보의 가능성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가 그 하나라고 한다면, 다른 하나는 융합교육을 통해 그러한 역량이 실제로 확보될 수 있는지에 관한 문제이다. 여기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변이 마련되지 못할 경우, 융합교육의 실효성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융합교육을 통해 융합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어야만 융합교육을 둘러싼 논의에 대한 우려의 가능성을 차단시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글의 목적은 바로 융합교육이 단순히 교육트렌드에 따른다는 비판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융합교육을 통해 핵심역량을 실제로 확보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다. 나아가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융합역량 계발에 위한 방향과 세부적인 실천적 전략을 마련하여 각 대학의 특수성에 따른 차별화된 적용의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융합역량의 실현 가능성 여부와 관련하여 융합역량이 교육을 통해 길러질 수 있다면, 그러한 역량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습득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후천적으로 습득이 가능한 역량이 아니라고 한다면, 교육 자체는 무의미해질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에 대한 철학적 근거의 확보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왜냐하면 그 근거는 융합교육의 현장 적용 가능성의 판단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교육에 대한 그 어떠한 정의에 따른다고 하더라도 후천적 습득 가능성을 전제로 한다. 결국 교육은 경험적으로 특정한 역량을 기른다는 차원에서 융합역량 역시 선천적으로 주어지는 역량이기보다는 교육을 통해 후천적으로 길러지는 역량인 것이다.

      • KCI등재

        융합의 시대, 국어와 과학의 만남 - 과학소설 기반 융합교육의 가능성

        정재림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3 한국어문교육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with a focus on secondary education. There as been a growing demand for convergence education for graduate schools or professional researchers, and the discourse on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has also become active, starting with the 201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s 'plan for vitalizing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This paper suggests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targeting non-specialis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aimed at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convergence experience', and education in which 'subject meets subject, study meets study' should be called convergence education. In addition, this paper tried to show the case of convergenc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science by presenting the case of science fiction-based convergence education. Science fictio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way that allows convergent thinking about facts and values, as well as science and humanities. 이 논문의 목적은 중등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국어과 융합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2000년대 이후 융합 및 융합교육 담론이 급증하였다. 전문화, 세분화로 특징지어지는 현대 학문으로는 실제 세계의 난제와 모순을 해명하기 어렵다는 진단이 내려지고, 이로 인해 학문간 소통과 협력으로 현실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런 맥락에서 대학원이나 전문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융합교육 요구가 급증하였고,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융합인재교육 활성화 방안’을 시작으로 초·중등교육에서 융합교육 담론도 활발해지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융합교육은 미국의 STEAM을 수용한 것이지만, 미국의 STEAM과 미묘한 차이를 보이며 현장에서 실천되었다. 본고에서는 비전문가인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중등교육에서 ‘융합적 사고력과 융합 경험을 통한 문제해결력’ 제고를 목적으로, ‘교과와 교과, 학문과 학문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교육을 융합교육으로 볼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 논문은 과학소설 기반 융합교육 사례를 제시하여 국어와 과학의 융합교육 사례를 보이고자 하였다. 과학소설은 사실과 가치, 과학과 인문학을 융합적으로 사고하게 하는 효과적인 제재이다. 특히, 소설이 융합교육의 제재로 전락하지 않도록 과학소설의 장르적 특성을 활용한 융합수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우수등재

        중등학교에서 융합교육 실행의 쟁점과 과제

        오찬숙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3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asks needed for implementing convergence education based upon an analysis of issues in convergence education. To achieve these goals,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convergence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theories concern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were considered. The issues are as follow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nvergence education being required in knowledge-convergence era, the policies such as a number of curriculum revision and STEAM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but genuinely meaningful convergence education is not practiced currently. And the biased convergence education focusing on the science subject is progressing at present. Furthermore, there is some controversy about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s executor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his connection, diversification of convergence methods to educate across the border of subjects, all subjects as the center of the convergence and teachers’ convergence competence development by making the collaboration culture among the teachers are suggested.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be oriented for the convergence education that the teachers participate in by themselves through making the collaborative culture in the schools, not formal participation by top-down execution. 본 연구는 기존에 실시되고 있는 융합교육의 쟁점을 분석하여 향후 융합교육 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과제를 탐색하여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융합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고, 교육 현장의 실제 사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쟁점해소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우리 정부가 지식융합시대에 필요한 융합교육의 중요함을 인식하여 여러 차례의 교육과정 개정 및 STEAM 교육과 같은 정책들을 펼쳐왔지만 실제적으로 교과의 벽을 넘지 못하는 진정한 의미의 융합교육이 실천되지 못하고 있고, 정부주도로 과학교과 중심의 편향적인 융합교육이 진행되고 있으며, 융합교육 실행자로서 교사들의 전문성에 대한 논란이 있음이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이에 대해 교과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교육을 위한 융합교육 방법의 다양화와 모든 교과가 중심이 되는 융합교육, 그리고 교사들 간의 협업문화 조성으로 교사 융합역량 개발을 과제로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하향식 실행에 의한 형식적인 참여가 아닌 교사들 간의 협업문화 조성을 통한 스스로 하는 융합교육을 지향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김혜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2

        It is true that concurrent social phenomenon cannot be understood in a single academic framework since modern society lies on complicated environment. To facilitate persons who can lead complicated society, new types of education resources are required which implicate innovative insights and capabilities. A single notion of academy and segregated scholastic system are difficult to provide human resource satisfying the needs of complicated society. Therefore, the convergence of education is highlighted since it provides innovative socio-insight by emergence of different disciplines. Because of this, numerous universities suggest convergence education as an education tool to comprehend new streams of social phenomenon. However, existing convergence education only provides a single course which aggregates inter-dependent classes or solely independent classes which merged with other disciplines. Although indeed these two types of education take major role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some considerations might subsequently follow for establishing a system to stabilize objective of convergence educations. Taking various discipline related courses or practicing concurrent situation through multiple scholastic methods would not guarantee to student possess capability to understand new phenomenon and required knowledge. Thus, the universities need to response both desires of society on convergence education and rationale object of convergence education establishing basic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based on existing convergence education and classes for driving great impact of the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s a way of establishing convergence education implicating on principle of convergence and its phenomenon. This will implicate hinges between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and convergence education. To do this, the research employs limitations of respected literatures, current state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principle of convergence education to provide a guide line of establishing basi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현재의 사회현상들은 기존의 단일 학문들로는 해석이 되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사회현상에 적응하고 사회를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관점과 역량을 가진 새로운 인재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단일학문 또는 분화된 학문 체계로는 새로운 시대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학문 간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관점을 갖게 하는 교육이 필요해진 것이다. 때문에 많은 국내·외 대학에서는 현상을 새롭게 설명하고 해석할 수 있는 학문으로 ‘융합’을 제안하고 교육으로 실현하고 있다. 융합교육이 전체 대학으로 확산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철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학생들에게 교과과정에서 여러 학문에 관련된 수업을 듣도록 하는 것만으로 또는 현재의 현상을 여러 학문을 통해 해석해보는 연습을 시킨다고 해서 학생들이 앞으로 벌어질 새로운 현상을 해석하고 필요한 지식을 융합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 것은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변할 사회에 대비하고자 할 때, 여러 가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융합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만족시키면서 융합교과의 특징을 충실히 반영하여 융합교육과정을 완성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융합교육과정 안에서 기초적인 융합소양을 키울 수 있는 기초융합교과를 설계하여 융합교육의 기반을 튼튼히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융합교육의 현황을 점검하여, 바람직한 융합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 교양과목으로 융합의 원리 및 융합현상 등을 설명할 수 있는 기초융합교과의 설계를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교육과 융합교육의 연결고리를 만들어줄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자들이 제안하고 분석하였던 현재 융합교육의 현황 및 한계, 융합교과의 요건 및 원칙 등을 통해 기초융합교과의 설계방향을 제안한다. 본 연구가 작은 초석이 되어 각 대학이 융합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구체적인 융합교과를 개설하고자 할 때 보다 쉽게 방법을 모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수도권 대학의 융·복합 교육 과정에 관한 연구

        차용선(Cha, Yong S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3 No.-

        융합교육은 다양한 집합과 내재된 변화를 통해 얻어지는 통설적인 체계로서의 장점을 지니고 이는 신교육체제를 위한 상관적인 시너지관계로 승화시켜 교육목적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가치를 창출해낸다. 이에 최근 한국대학들의 화두는 ‘융·복합 교육’이다. 대학들이 교육에서 학과나 전공의 벽을 허물고 있다. 지금까지의 하나의 전공만 가르쳐서는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서로 다른 영역과 계열에 속하는 전공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수업 교과과정이나 학과·학부가 점차 개설되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대학에선 예술대학이나 경영대학의 경계가 뚜렷하여 문화예술경영에 관심 있는 고교생이라면 예술대학이나 경영대 중 하나를 선택하고 나머지 하나를 부전공이나 복수전공으로 들을 수 있었다. 대학가에선 융·복합을 미래 사회에 대학이 적응하기 위한 필수적 선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대학의 핵심 기능인 연구에서는 이미 학문영역을 넘나드는 학제 간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이제는 연구의 융·복합이 교육으로 확산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융·복합 대학교육의 특성과 중요성을 중심으로 교육부의 대학 특성화나 선도대학 사업 등이 미래의 융·복합 교육수요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각 대학마다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융·복합 교육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교육과정의 개발을 통한 새로운 학문의 기회를 제공하고 21세기형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첫째, 융·복합교육의 특성과 중요성을 기술하였다. 둘째, 융·복합 대학교육의 현황을 조사하고 디자인 관련 교육과정을 각 대학마다 비교 및 분석하였다. 셋째, 융·복합 대학교육의 산학연계프로젝트 사례를 조사하여 각 대학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종합적으로 기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최근 융·복합 대학교육 중심으로 학제 개편이 변화되고 있으며 융·복합 교육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 recent topic of colleges in Korea is ‘convergence education". Colleges are tearing down the wall of department or major. It is based on their decision that there is a limitation with the current system of teaching only one major in cultivating competent people that the society requires. New courses or departments & colleges converging majors in different domains & affiliations are being created. In existing colleges with a clear boundary between art college or business college,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 in culture & arts management could select one of art college or business and select the other as their minor or double major. In college circles, convergence is being accepted as an essential choice for colleges to adapt to future society. As the core functions of college are research and education, various interdisciplinary studies have already been conducted crossing over academic domains. The convergence of study is now spreading to education. Accordingly, current circumstance is that college specializa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or its 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convergence college education will inevitably affect the demand for convergence of education in the future. As one of ways to ensure the highest competitiveness of colleges, a conversion to convergence education is occur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w opportunities of study and cultivate the 21st century type creative people by developing convergence curriculum. The study method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it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it examined the present condition of convergence college education and comparatively analyzed design related curriculum of each college. Third, it comprehensively described a strategy to gain competitiveness of each college and deduced an implication by examining the industrial-academic project cases of convergence college education. In conclusion, it presented a way for ensuring competitivenes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midst of current situation where academic restructuring is changing focusing on convergence college education. First,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for convergence education is needed. Second, internationalization support is needed along with active convergence education of each college. Third, an organic integration with businesses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internationalization is needed.

      • KCI등재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공간구축에 따른 SW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경규,이종연,손상혁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6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models in software curriculum, the spatial construction is also very important. Recently, research on SW education to cultivat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is being conducted, but there is no standard model for future-oriented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W education and SW convergence education. Moreover, in actual school sites, there is a limit to the efficient operation of SW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existing space.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by establishing a space for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to strengthen SW-AI convergence education, and by proving its effectiveness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detailed study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verifying the suitability for constructing a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we present a general guideline for the futur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construction model or th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applicable to SW education or SW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after applying the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o students in th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the reason is why teaching in th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works effectively compared to the existing computer lab was investigated by the learner attitude survey, class satisfaction survey, and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measurement. Lastly, it is expected to provide more effective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c inform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space construction model by constructing a space for strengthening SW-AI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교수·학습방법 및 모델과 함께 적합한 공간구축 역시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융합적 사고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SW교육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SW교육 및 SW융합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미래지향적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 대한 표준모델 또한 없다. 더욱이 실제 학교 현장에는 기존 공간에서의 효율적인 SW융합교육 운영에 한계를 느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SW·AI융합교육 강화를 위한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공간을 구축하고 이에 SW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함으로써 효과성을 입증하여 그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그 세부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구축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여 SW교육 또는 SW융합교육에 적용 가능한 미래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구축 모델 또는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 대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둘째, SW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서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기존 컴퓨터실과 비교하여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서 수업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이유를 학습자 태도조사와 수업 만족도 조사, 컴퓨팅 사고력 측정을 통해 알아본다. 끝으로 효율적인 SW융합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SW·AI융합교육 강화를 위한 공간구축으로 더욱 효과적인 이론적실제적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공간구축 모델의 방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중등 영재 지도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서보경,맹희주 韓國英才學會 2016 영재교육연구 Vol.26 No.1

        This research studies the perception to gifted education teachers between the middle school gifted education for STEAM an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for revitaliz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shows that the awareness of gifted education teacher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lower than the level of the awareness for STEAM, and it appears that the Gifted education teachers especially has the experience adapt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who awarenes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not only teachers has the experience adapt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and the very poorly recognition for the task of Comprehensive Plan for Gifted Education promotion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n creative and convergence content, a they has the very low experience for the development. And it analyzes that althoug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s, teachers who are in science gifted teachers and the mature experienced man realizes very optimistically the necessity need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Therefore, it analyzes that recognition to the necessity need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reinforced through the training for the gifted teachers in the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and in less teaching experience. But it points out that answers over the majority cognized to resemble the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and STEAM, though the object is only different.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he differentiate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curriculum providing the suitableness for the characteristic and level is needed for the desirable fixedness. 본 연구는 융합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중등 영재 지도교사들을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지도교사들의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지도는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지도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교사들은 현장 적용 경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추진과제로서 창의․융합형 콘텐츠 개발이 포함되어 있음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았으며, 콘텐츠 개발 경험 또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과학영재 지도교사와 영재 지도 경력이 높을수록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재교육 교원 연수를 통해 수학영재 지도교사와 저경력의 영재 지도교사들에게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과반 수 이상의 응답자들이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이 대상만 다를 뿐 유사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융합영재교육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영역별 영재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차별화된 융합영재교육이 필요함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 KCI등재

        대학교양교육에서의 국악중심 융합교육에 관한 연구

        조석연 한국국악교육학회 2018 국악교육 Vol.46 No.46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questioning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Currently, universities are expanding their existing core liberal arts courses and creating convergence courses. Convergence is a phenomenon in which two or more existing academic bodies are combined to create novel values.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covers diverse cultural arts, is also a major area of change. STEAM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used as integrated education, is actively utiliz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however, it is not yet recognized in college education. While STEAM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s utilized within the limited influence of one teacher, convergence education in college requires new and more specialized teaching methods. Therefore, in this study, I proposed my convergence education in (cooperative lecture) course that opened in 2018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the convergence courses in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This <Shiga and Music> course is a converged subject that combines music and poetry. Music, song and dance were originally a single entity and did not exist independently. The trinity of song, music, dance (Also known as ‘Ak-ka-mu’, which means musical instrument, song, and dance) is the derivative form of ancient art. As time goes by, the ancient integrated art ‘Akkamu’ divided and developed into dance, play (which derived from motion), music (derived from sound) and poem (which derived from song). Therefore, this course tries to comprehend the fundamentals of Shiga (which is the combined form of poetry and song). Furthermore, by discussing how change and convergence of music and song is related, this course gave opportunities, to develop understanding and insight of poetry and music. <Shiga and Music>, the convergence course opened as the form of combined lecture. The combined lecture operated with two or more professors lecturing together on the same topic, at the same time, but in different perspectives. That is, <Shiga and Music>, the encounter between classical music and classical literature, i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classical arts from a multifaceted perspective. Human-based convergence education, such as <Shiga and Music> is a convergence education that reflects current social demand. This could be an example of the type of education currently required. As a result of this course, convergence of Korean literature was helpful in understanding Korean music, especially music history and its background. However, throughout the class, there were things to be supplemented such as music listening, discussion, history knowledge transfer, content discussion. Nonetheless,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 to the convergence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such as art, philosophy, history, and dance, and it was shown that they have lots of interest in convergence education. Korean traditional music is an area that contains many elements such as language, history, philosophy, literature, dance, art, and theater. These characteristics can make Korean traditional music as main of convergence education. If combined lectures are opened in a multifaceted way, students will be able to have more choices in a broadened area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본 연구는 실제 필자가 교육현장에서 수행하는 있는 대학교양교육에서의 국악중심 융합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에서부터 비롯되었다. 대학교육은 현재 기존 핵심교양과목을 확대하고 융복합 과목을 신설하는 추세이다. 융복합이란 “기존의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학문적 지식과 기술이 물리적,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새롭고 독특한 가치를 창출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문화예술을 함축하고 있는 국악교육 역시 변화의 주요한 영역이다. 하지만 현재 시행하고 있는 통합교육인 STEAM 교육은 초중등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고등교육에서는 아직 파악되지 않는 상황이다. 또한 한 교사에 의한 제한된 영향안에서 STEAM 교육이 초중등교등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된 반면 대학에서의 융합교육은 보다 전문화된 새로운 교수법이 제안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에 2018년 설강된 필자의 융합교육(연합강의)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대학교양교육의 융합과목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1. 본 <시가와 음악>교과목은 음악과 시가가 융합된 연합과목이다. 노래와 음악은 독립된 양식으로서가 아니라 무용과 함께 미분화 상태로 있었다. 노래·음악·무용(악가무)의 삼위일체, 그러한 미분화상태가 고대예술의 원천이다. 그리하여 악·가·무 원시종합예술은 분화, 발전하여 몸짓은 무용과 연극으로, 소리는 음악으로, 노래는 시로 나타났다. 이에 시가를 음악과 노래의 통합적 사고로서 좀 더 본질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음악과와 노래의 변화와 융합이 서로 어떤 관련성을 가지는지를 논의함으로써 시와 음악에 대한 이해와 통찰력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2. <시가와 음악>의 융합과목은 연합강의로 개설되었다. 연합강의란 두 명 이상의 교수가 하나의 본질을 동시에 고민하며 같은 시간에 같은 강의실에서 동일한 주제를 다른 시각으로 교습하는 형태를 띠면서 기초적인 융합역량을 극대화 시키는 형식의 강의이다. 즉 고전음악과 고전문학의 만남인 <시가와 음악>은 고전예술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이해함으로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해내는 창의성이 발휘될 수 있는 계기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가와 음악>과 같은 인문기반융합은 현 사회 수요를 반영하는 융합교육으로 현 시대에서 요구되는 교육 형태의 예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교과를 수행한 결과 수강생들은 국악을 이해하는데 국문학의 융합은 도움이 되었으며 특히 음악의 역사 및 배경 그로 인한 콘텐츠 구상을 꼽을 수 있었다. 하지만 수업 전반에 음악 감상, 토론, 역사, 지식전달, 콘텐츠 논의 등 보완해야 할 점이 드러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술, 철학, 역사, 무용, 등 인접 학문과의 융합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으며 융합과목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국악은 언어, 역사, 철학, 문학, 무용, 미술, 연극 등 통합적 요소를 많이 담고 있는 영역이므로 이러한 특징은 국악을 융합교육의 중심에 두는 것이 가능하게 만들게 한다. 다방면으로 연합된 강의가 설강된다면, 국악교육에 있어 보다 확대된 형태의 영역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선택의 폭이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사회적 변화와 요구에 부응하는 디자인 기반 융합교육 연구

        방경란 ( Kyung Rhan B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1

        미래의 주요 키워드로서 융합과 통섭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에서도 2014년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 추진계획에 따라 융합교육 개발과 적용이 본격화되었다. 본 연구의 범위로는 융합교육의 개념 및 흐름, 디자인교육과의 관계성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점검하고, 국내외 4년제 대학의 디자인 융합교육의 현황분석을 위하여 국내10개교와 국외 7개교를 조사하였다. 국내의 경우에는 전공연계를 통한 융합교육이 많았으며, 국외의 경우에는 대학별독자적인 방식의 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저학년에 학부중심 통합교육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국내외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디자인교육에 있어서 융합에 대한 가치 논의를 통하여 본 연구는 학습자의 관심과 필요 및 수준 등에 따라서 차별화될 수 있는 3가지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3가지 방향의 핵심내용은 ‘thinking-context-innovation’으로 대학의 교육목표 및 요구에 따라서 선별적으로 적용가능하다. 다시 말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융합교육은 학문영역 간 강제적 연결이 아니라 다양한 현상과 사고, 지식 등의 연합체계에 의한 새로움의 추구를 위한 것이다. ‘thinking 융합교육’의 과정과 내용은 문제해결을 위한 사고과정 중심의 융합이며, ‘context 융합교육’은 사회 요구 및 필요에 의한 콘텐츠 개발을 위한 융합이고, ‘innovation 융합교육’은 미래에 가능한 사회현상이나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한 혁신적 융합에 대한 것이다. With the heightening interest toward convergence and consilience at both home and abroa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officially started in Korea according to the structural reform pla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4. The final goal of research focuses on the academic value and significance of design that has multidisciplinary characteristics, thereby designing and developing convergence education to generate creative ideas. The research reviewed the concept and flow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ideation educa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examined 10 schools at home and 7 schools abroa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design convergence education of 4-year universities at home and abroad. Korean universities have many convergence educations through connections with majors, while overseas universities frequently conduct undergraduate-oriented integrated education in the lower grades in spite of independent convergence education by university. This research aimed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universities at home and abroad, and discuss the values of convergence in design education. Through this, it proposed 3 directions that can b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interest, necessity, and level of education demanders. The keys of 3 directions are ‘thinking, context, and innovation,’ which can be applied selectively according to a university’s educational purpose and requirement. ‘Thinking Convergence Education’ is the convergence of thinking-process for problem-solving; ‘Context Convergence Education’ is convergence to develop context by social demands and needs; and ‘Innovation Convergence Education’ is innovative convergence for creating new values or social phenomena that can predict future.

      • KCI등재

        고등학교급 영재교육기관의 융합 교육과정의 분석연구

        이정규(Jeong-kyu Lee),성은현(Eun-Hyun Sung),김주아(Juah Kim) 한국영재교육학회 2022 영재와 영재교육 Vol.21 No.2

        영재교육을 잘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지능정보화사회의 변화 트렌드를 인식하고 예측하여야 하며, 미래를 살아갈 영재들이 갖추어야 할 혁신역량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를 탐색하여 영재교육에 반영해야 한다. 세계경제포럼(WEF), OECD 등의 교육보고서들은 미래 인재들이 갖추어야 할 혁신역량으로, ‘융합력’을 공통으로 꼽고 있다. 이에 고등학교급 영재교육기관들의 융합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최근 융합교과를 새로이 신설하여 비록 적은 비율(2.20~11.49%)이기는 하지만 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음을 이번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융합교과의 내용은 ① 실제 사회 문제해결에 기반한 융합교과, ② 기존의 융합학문으로 확립된 분야에 기반한 융합교과, ③ 교과의 핵심개념 및 원리에 기반한 융합교과, ④ 이론의 실체화 및 실제 세계에서의 활용을 매개로 한 융합교과, ⑤ 사고력 향상에 중점을 둔 융합교과, ⑥ 특강 및 체험활동 형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융합교과의 운영은 학교별로 차이가 있으나 융합교과의 학습 선택권을 다양화하기 위하여 다시 융합필수·융합선택과목으로 세분하여 운영하고 있다. 융합교과구성도 융합교과와 별도로 융합교과활동으로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2020 교육부도 융합교육종합계획을 발표한 만큼 영재교육에서도 융합교육이 더욱 내실있게 확대되어야 한다. In order to teach the gifted education well, we need to recognize and predict the change trends of the highly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we need to explore how to educate the gifted people who will live in the future and reflect them in education for the gifted. Education reports such as the WEF, OECD commonly point to 'convergence' as the innovation competency that future talents should hav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 school-level gifted education academy, this study confirms that convergence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and is gradually expanding, although a small percentage (2.20~11.49%) of newly newly established convergence subjects are being established. could The contents of the convergence curriculum are ① convergence curriculum based on real social problem solving, ② convergence curriculum based on fields established as existing convergence studies, ③ convergence curriculum based on core concepts and principles of the subject, ④ realization of theory and real world It can be classified into convergence subjects based on utilization, ⑤ convergence subjects focusing on improving thinking ability, and ⑥ special lecture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As the 2020 Ministry of Education also announced the Comprehensive Plan for Convergence Education,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more substantively in gift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