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인증마크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환경의식 수준과 이타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우성,박윤서,이승인 韓國商品學會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중요 소비 트랜드로 주목받고 있는 ‘웰빙(Well-being)’과 ‘로하스(LOHAS)’를 주제로, 친환경인증마크유무와 유형(로하스 인증마크 vs. 웰빙 인증마크)에 따른 소비자들의 친환경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가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 중 친환경제품 구매 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소비자의 환경의식 수준과 이타주의 성향에 따라서 어떻게 조절되는가를 살펴보았다.연구 설계 및 방법론: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친환경인증마크 유무 및 유형에 관한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두 가지 다른 친환경인증마크 유형에 따라 두 가지 버전으로 작성되었으며, 응답한 설문 중 총 287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분석 및 연구 결과: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친환경인증마크가 부착되지 않은 제품보다 인증마크가 부착된 제품에 대해서 보다 긍정적인 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증마크의 유형(로하스 인증마크 vs. 웰빙 인증마크)은 소비자들의 친환경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차이를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친환경인증마크 유무와 제품태도의 관계에 있어서 환경의식 수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이타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증마크 유무와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환경의식 수준과 이타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환경인증마크 유형(로하스 인증마크 vs. 웰빙 인증마크)과 제품태도,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환경의식 수준과 이타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에서는 인증마크가 구매와 관련한 위험 지각을 감소시키고, 제품에 대한 품질의 단서로 이용되며, 더불어 구매시점에서 구매에 대한 자신감을 증대시켜 매출 증대에 기여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면서, 친환경제품을생산하고 판매하는 기업의 마케팅 담당자에게 상품에 대한 인증마크 부착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에서는 인증마크와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단지 환경의식 수준 과 이타주의 성향만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소비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성별, 지역,소득수준 등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공헌점: 본 연구는 최근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트랜드를 반영하여 친환경인증마크의 유형을 나누고 환경의식과 이타주의 성향을 통해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Purpose: As consumers have recently started to become interested in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prefer eco-friendly products, companies are putting more effort into showing that their products are eco-friendly. A typical way to do this is to attach certification marks. Since this helps consumers make rational decisions by providing them with a type of external condition that can solve problems related to the asymmetry of information, i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both companies and consumers. Though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related to brands or countries of origin as external conditions, researches on certification marks are relatively insufficient. Focusing on 'Well-being' and 'LOHAS'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as an essential consumption trend, this paper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th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s eco-friendly products in accordance with the existence and type of eco-friendly certification marks. It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onsumers' environment consciousness and altruistic tendency that are expected to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onsumers' purchase of eco-friendly products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Design/methodology/approach: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crea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roducts have environmentally-friendly certification labeling and what types of labels are put on the products. The questionnaires were divided into two versions depending on the types of labeling and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complete one of the two versions randomly. In both versions, the respondents gave responses to questions about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s products without certification. Of 320 questionnaires, 287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fin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existence of certification marks(products with certification marks vs. products without certification marks) on th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s eco-friendly products, first, consum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s towards products with certification marks than products without certification mark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the type of certification marks(Well-being certification marks vs. LOHAS certification marks) on th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s eco-friendly products, second, the two types (Well-being and LOHAS certification marks) had no difference in influencing th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s eco-friendly product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level(high/low) and altruistic tendency(high/low),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level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existence of certification marks and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s products, while the moderating effect of altruistic tendenc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existence of certification marks and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s products,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level and altruistic tendency were all shown to be significant. While,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level and altruistic tendency was not all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type of certification marks and consumers' attitude as well as purchase intention.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Supporting the existing studies which found that certification marks reduce the risk perception related to purchase, and can be used as a clue of the product quality and contribute to the sales increase by increasing confidence in purchase, this study also place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ttaching eco-friendly certification marks to products for the people in charge of

      • KCI등재

        A Study on the Adjustment of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 Items for Compulsory Safety Certification and Autonomous Safety Confirmation Report

        Jung, Ji-Hyun,Lee, Hak-Ki,Yoo, Hyun-Dong,Jeong, Seong-Chun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0 No.3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의 신고 제도를 통하여 가설기자재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으나 관련 기준의 형식과 다름으로 인하여 안전성 적용기준이 모호하고, 신소재 및 신제품의 출현으로 인한 안전인증심의위원회 및 민원사항이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안전인증 표시가 마찰 등 손상으로 인하여 확인의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안전인증제도 전반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설기자재의 안전인증제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국내외 가설기자재 관련 기준, 안전인증심의 위원회 및 민원사항, 가설기자재별 인증마크 표시 실태 등의 조사 분석을 통하여 현행 가설기자재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의 신고 제도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의 기준은 일본과 유사하며, 반면 유럽과 미국의 제도는 권장사항으로서 강제성이 없으며, 신소재 및 신소재에 대한 적용이 유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인증심의위원회의 심의내용 및 민원제기내용이 다양하며, 계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었고, 표시방법에서는 음각을 선호하였으며, 일부 인쇄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전반적인 가설기자재 안전인증제도의 안전성 정착을 위해서는 가설기자재 품목조정을 위한 법제화 및 연계화, 자율점검기준 및 시험방법, 반영구적인 안전인증 표시 및 위치 지정방안을 도출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minimizes the number of items subject to compulsory safety certificate by switching them to autonomous safety confirmation when they have low risks and frequency of application for certificates. It is also intended to add items to compulsory safety certification based on the certification performance, frequency of use, high risks of accidents, and poor management standard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eceding studies, it was concluded that quantitative assessment criteria are required to discuss the needs to adjust the standards and the level of safety control restrictions. The items of feasibility assessment were derived to reflect the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manufacture, rental, and awareness of users. The objective standards to secure safety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properties of each item based on the risk assessment using past history of accidents. As a result of reclassification, the items subject to compulsory safety certification were reduced from 33 items of 12 types to 12 items of 4 kinds and the items subject to autonomous safety confirmation were increased from 8 kinds to 16 items of 9 kinds.

      • KCI등재

        인증이 기업혁신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인증을 중심으로

        김태영,전정환,오승환 한국혁신학회 2024 한국혁신학회지 Vol.19 No.1

        기존 규제적 성격이 강했던 인증은 최근 들어 신기술・신제품의 상용화를 촉진하고 기업의 시장 확장을 위한 기업 경쟁력 강화 측면으로 의미가 변화하고 있다. 또한, 국가 간 자유무역체결의 증가로 기술무역장벽이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각국의 시험인증기관들은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기업의 기술개발 초기단계부터 함께 참여해 신기술 시장의 선점을 꾀하고 다양한 인증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중요성이 높아지는 인증이 성장성, 수익성, 고용창출, 혁신성 관점에서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자료로 한국산업기술시험원으로부터 인증을 획득한 기업과 NICE 신용정보(주)가 보유한 기업 DB를 병합하여 활용하였으며, 방법론으로 성향점수매칭법을 사용해 선택편의 문제를 해결하고 동일 산업 분류군의 쌍둥이 기업을 찾아내어 비교함으로써 인증획득에 따른 기업의 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증에 따른 기업의 성장성이 정(+)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인증이 기업의 외형적 성장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고, ROA 증가율도 정(+)의 효과가 있으며, 당기순이익 또한 1년차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 인증이 수익성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인증과 고용창출의 연계성은 유의함이 확인 되지 않아 연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증획득이후 특허증가에 있어 유의한 양(+)의 효과가 분석되어 제품인증에 따른 기술혁신활동이 특허로 연계되어 인증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증의 중요성과 정부의 중소기업에 대한 인증획득지원의 필요성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nature of certification, which used to function mainly as regulatory instruments, has recently transformed in meaning to promote the commercialization of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enhanc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for market expansion. With the increase in international free trade agreements(FTA), technical barriers to trade(TBT) is emerging as new trade barriers. Certification bodies in various countries are actively participating with companies from the early stages of technology development to expand the market, striving to enter the new technology market and provide diverse certification service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growing importance of certification on companies from the perspectives of growth, profitability, job creation, and innovation. The analysis utilizes certification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Testing Laboratory and merges it with corporate databases held by NICE Credit Information Co., Ltd.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is used as a methodology to address selection bias, and the study compares twin companies in the same industry classification to analyze the net effects of certification acquisition on compan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 a positive effect of certification on the growth of companies and an increase in return on assets(ROA).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net profit also appear in the first year after certification, indicating a positive impact on profitability. However, there is no confirmed correlation between certification and job creation. Finally,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certification on patent growth is observed, suggesting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related to product certification are linked to patents and confirming the impact of certification on corporate inno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such as the importance of certification and the need for government support for certification acquisi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e derived.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의 강원교육인증제 운영실태 연구

        박인옥 ( In Ock Par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2

        003년 3월부터 강원도교육청은 전인교육 실현과 학교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 유?초?중?고등학교 및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교육인증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강원도내의 일선 학교에서는 지역과 학교 특성에 맞게 이를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인증제가 실제 일선 초등학교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보다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에 소재한 4개의 초등학교를 사례 대상으로 선정하여 2009년 3월부터 11월까지 방문 조사 및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수?선택인증제와 관련된 내용을 학습시킬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여, 실제적으로는 선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즉, 대부분의 학교에서 4개 영역 이상의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인증 활동과 관련된 시간은 아침 등교 후 수업 전까지의 시간과 재량이나 특별활동 시간밖에 없으나, 현실적으로 재량이나 특별활동 시간에는 성교육, 교통안전교육 등과 같은 행사로 대부분 채워져 있어 실질적으로 인증 활동과 관련된 시간은 짜투리 시간이나 가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사례 학교 대부분이 필수인증제(독서, 영어, 정보) 위주로만 공통 시행하고 있어서, 운영계획에서의 지역 특성과 학교 실정이 반영되지 못하고 시도교육청의 최소한의 운영방침에 맞추기에 급급한 실정이다. 셋째, 현재 일부 학교에서는 인증장을 수여하는 선에서 끝나거나 인증 등급을 기록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학생들은 인증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있으며, 교사들도 아무런 제재나 보상이 따르지 않기에 잡무 정도로 취급하고 있다. 이상의 운영 실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방과 후 인증활동의 확대 실시, 교육청 차원에서의 외부강사 지원, 인증 단계에 따른 공식적 공인과정과 포상제도의 마련, 인증제와 관련된 교육청 차원의 평가체제 구축 등의 개선이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강원교육인증제가 보다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운영 취지와 필요성에 대한 학교공동체 구성원의 공감대 형성으로 자발적인 운영과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is promoting an education certification system targeting preschool,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or realization of the whole-person education and ensuring internal stability of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education certification system is managed in the actual elementary schools in Gangwon-do and find more effective measures for management. 4 elementary schools in Gangwon-do were selected as example targets and visiting inquiry and face-to-face inquiry were conducted from March to November of 2009.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is actually operated selectively because there is no time to teach contents related to mandatory and selective certification system. In other words, most of schools are carrying out a certification system of more than 3 fields, only leftover times are used for certification activities as occasions such as sex education and traffic safety education are filled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times when only time for certification related activities are limited to time before the class starts or extracurricular activity time. Second, as most of example schools are operating the mandatory certification system (reading, English, information), regional characteristic and state of school in operation plan are not reflected, and it is only trying to adjust to the minimum operation policy of education office of city and province. Third, students are not actively participating in certification activities as some schools are only giving out a certification pater or recording a certification rating. And even teachers consider it as miscellaneous work since there is no restrictions or reward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expansion of after school certification activities, support the outside teachers at the level of local education authority, prepare an official process and a reward system, and establish evaluation system related to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most of all, voluntary oper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of community members must be done by forming bond of sympathy on purpose of operation and its necessity in order for Gangwon education certification system to settle and achieve effects.

      • KCI등재후보

        단체표준 활성화 및 운영체계 개선 방안 연구

        이재학,허경옥 표준인증안전학회 2019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9 No.3

        This study discusses and suggests the activation of Collective Standards,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Standard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Collective Standards management system. Specific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basic understanding of Collective Standards, the current status of Collective Standards, the main issues of Collective Standards, the problems of the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direction of Collective Standards activation. Collective Standards are established in areas where national standards fall short, and there are points that duplication with national standards, fairness of certification related to Collective Standards and Collective Standards, and management, verification and monitoring of Collective Standardization and certification activities are not efficient. have. Tasks include organizing a dedicated organization to conduct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tasks, securing certification auditors, retaining certification task regulations, ensuring fairness of certification tasks, and securing test facilities and product inspectors.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system for designating and managing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bodies, the duplication of national certification and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nsumer-oriented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system still need to be improved. Organizations and administrations that manage and operate Collective Standards should thoroughly manage the management of Collective Standards and related certification systems, including the legal requirements of organizational standards, compliance with certification work regulations, and fairness of certification audit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plan for the activation and efficient operation of Collective Standards. In particular, the Collective Standards policy that responds to market changes, the redundancy problem and rearrangement of Collective Standard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utonomous and efficient operating system of Collective Standards, and the Collective Standards certifi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ccreditation system to secure credibility, to strengthen and improve the management of Collective Standards, and to expand the research on Collective Standard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manage organizational standards-setting organizations, manage the competence of group-based standards-setting organizations, and improve the review and registration procedures for Collective Standards.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consumer confusion and to promote consumer welfare in the too many certification systems such as private certification and national certification, the certification system related to the Collective Standards in terms of public financial characteristics, consumer interests and consumer welfare should be operated.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reinforce the management of Collective Standards organizations and Collective Standards-related certification system, to improve the advanced country type of Collective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s, and to establish and use a consumer-oriented Collective Standards operating system. 본 연구는 단체표준의 활성화, 민간표준 발전, 효율적인 단체표준 운영체계 구축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단체표준에 대한 기초 이해, 단체표준의 현황, 단체표준의 주요 이슈, 단체표준 인증 제도의 문제점, 단체표준 활성화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단체표준은 국가표준이 미치지 못하는 분야에 제정되는데 국가표준과의 중복 문제, 단체표준과 단체표준 관련 인증의 공정성 문제, 단체별 표준화 및 인증 활동에 대한 관리, 검증 및 모니터링이 효율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존재하고 있다. 단체표준 인증 업무 수행을 위한 전담조직 구성, 인증심사원 확보, 인증업무규정 보유, 인증업무의 공정성 보장, 시험설비 및 제품검사원 확보 등이 과제로 남아 있다. 단체표준인증 단체에 대한 명확한 지정 기준 확보, 단체표준인증 단체를 지정 및 관리하기 위한 관리체제 수립, 국가 인증과 단체표준 인증의 중복 문제, 소비자 지향적 단체표준인증제도 확립은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과제이다. 단체표준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단체 및 운영 사무국은 단체표준제정 단체의 법적 구비요건, 인증업무 규정 준수, 인증심사 공정성 등 단체표준 및 관련 인증제도 운영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체표준의 활성화 및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시장변화에 대응하는 단체표준 정책, 단체표준의 중복문제 및 재정비, 단체표준의 자율․효율적 운영체제 구축 및 운영, 단체표준 인증제도 신뢰성 확보를 위한 인정제도 개선, 단체표준 운영체계의 개선 및 관리 강화, 단체표준 관련 연구조사 확대가 필요하다. 특히, 단체표준제정 단체 관리, 단체표준제정 단체의 적격성 관리, 단체표준의 심의 및 등록절차 개선 등이 필요하다. 또한, 민간 인증과 국가 인증 등 너무 많은 인증 제도 속에서 소비자혼란을 막고 소비자복지 증진을 위해 인증 제도의 공공재적 특성, 소비자 이익과 소비자복지 관점의 단체표준 관련 인증제도가 운영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단체표준 기관 및 단체표준 관련 인증제도의 관리 강화, 단체표준 및 인증제도의 선진국형 개선, 소비자 지향적 단체표준 운영체계 구축 및 활용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그린인터넷인증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황성기(Sung-Gi Hwang)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14 경제규제와 법 Vol.7 No.1

        인터넷중독 이슈는 한국 사회에서 인터넷이 보편화되고 일반화되면서 인터넷의 역기능 중의 하나로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던 의제인데, 정부는 이와 관련된 입법이나 정책의 일환으로 2013. 5. 22. 국가정보화기본법의 개정을 통해 2013. 11. 23부터 소위 ‘그린인터넷인증제’를 도입·실시하고 있다. 그린인터넷인증제는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를 그 목적으로 인터넷사업자의 자율규제를 유도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평가된다.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라고 하는 취지에도 불구하고 그린인터넷인증제의 법적 성격을 어떻게 파악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 그린인터넷인증제가 규제적 성격을 갖고 있지는 않은지의 문제, 한국 사회에서 적용되고 있는 인터넷 규제입법 내지 정책 전반에 있어서 그린인터넷인증제가 어떠한 위치 내지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의 문제, 더 나아가서 그린인터넷인증제와 인터넷 자율규제가 조화될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문제 등에 관한 의문은 여전히 남는다. 그린인터넷인증제에 관한 이러한 여러 가지 의문들을 바탕으로 이 글은 현행 국가정보화기본법이 채택하고 있는 그린인터넷인증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인터넷 자율규제와의 조화의 관점에서 그린인터넷인증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인터넷 사업자의 자율규제와 그린인터넷인증제를 조화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그린인터넷인증을 받은 사업자에 대해서는 각종 법적 규제를 면제시키는 방향으로 그린인터넷인증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그린인터넷인증의 기준 4가지 상호간의 관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그린인터넷인증을 받기 위한 기준 충족에 필요한 비용 및 시스템을 정부가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 넷째, 인터넷 이용자뿐만 아니라 그린인터넷인증제의 수범자인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 등 관련 당사자들이 지속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인증기준 설정 및 변경절차를 공정하고도 개방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The issue of Internet addiction has been a burning one among dysfunctions of the Internet since the Internet became more common and universal in the Korean society. The Korean government is adopting and implementing so-called ‘Green Internet Certification System’ as one of policies concerning Internet addiction since Oct. 23. 2013. through May 22. 2013. revision of 「Framework Act on National Informatization」. The Green Internet Certification System is being analyzed as a tool to induce selfregulation of Internet service provider including game service provider with a purpose of prevention and alleviation of Internet addiction. There are still a few questions over how to analyze the legal characters of the Green Internet Certification, whether the Green Internet Certification is one of regulation, which position or meaning the Green Internet Certification has in the whole Internet regulation systems or policies in the Korean society, furthermore whether the Green Internet Certification can harmonize with Internet self-regulation, despite original intent of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and alleviation. Based on these questions, this study overviews the problems of the Green Internet Certification, finally aims to suggest a proposal for improvement of it in a viewpoint of Harmonization with Self-Regulation. This study is suggesting concrete proposals to harmonize the Green Internet Certification system with self-regulation of Internet service provider as follows. First,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 which received a Green Internet Certification from government should be exempted from the concerned legal regulations. Second, the four standards of Green Internet Certification should be modified and adjusted for activating self-regulation by Internet service provider. Third,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costs which are necessary for Internet service provider to satisfy the standards to receive a Green Internet Certification. Fourth, in standards setting or revising, so that the concerned parties can suggest their opinions continuously, the process should be set fair and open to Internet service provider as well as Internet users.

      • KCI등재

        신기술인증(NET)이 기업 매출성장 제고에 미치는 영향

        마창환 ( Changwhan Ma ),이동기 ( Donggi Lee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0 국가정책연구 Vol.34 No.1

        신기술 인증 제도는 신기술의 조기 발굴과 국가 인증을 통한 상용화 촉진 및 제품 신뢰성 제고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다양한 산업에서 목적에 부합하는 우수 사례들이 발굴되었으나, 신기술 인증과 기업의 매출성장간의 일반적 인과관계 검증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인증 연구의 대부분이 ISO 환경인증 또는 품질인증과 재무성과간 관계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산업기술진흥협회가 수집한 400개 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기술인증(NET)과 기업의 단기 매출성장간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해당 기업 설문조사와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비용절감, 품질개선, 시간절감을 인증-경영성과간 매개변수로 도출하고, 매개변수가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기술인증(NET)은 비용절감과 품질개선을 통해 매출을 증가시켰으나, 시간절감은 매출 증가에 유의한 매개가 아니었다. 또한 품질개선을 통한 매출 증가는 역 U자 인과관계를 가졌다. 즉, 연구 대상의 90%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에서 신기술을 통한 구매자 요구수준 이상의 과도한 품질개선은 매출을 감소시키며, 절감된 시간은 매출 증대를 위한 활동에 유의미하게 사용되지 않을 확률이 높다. 본 연구는 학술적으로는 인증을 통한 기업의 신기술 채택 활성화가 비용절감과 품질개선을 통해 매출을 증가시키는 경로를 검증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품질개선 및 비용절감 효과 분석을 통해 기업 단기 매출을 촉진하는 효과적 인증제도 설계와 관련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The new technology certification system aims at early discovery of new technologies, promotion of commercialization through national certification, and enhancement of product reliability. Although best practices have been discovered to meet the objectives in various industries, the gener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ertification of new technologies and sales growth of companies is insufficient. This is because most of the certification studie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SO environmental certification or quality certific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new technology certification (NET) and the company's short-term sales growth based on data from 400 companies collected by the Korea Industrial Technology Association. Based on the company survey and literature research, cost reduction, quality improvement, and time reduction were derived as parameters between certific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the effect of the parameters on sales was analyzed with a multiple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of analysis, the new technology certification (NET) increased sales through cost reduction and quality improvement, but time reduction was not a significant medium to increase sales. In addition, sales growth through quality improvement had a negative U-causal relationship. In other words, in SMEs, which account for 90% of the research targets, excessive quality improvement beyond the buyer's demand level through new technologies reduces sales, and the reduced time is likely to not be used significantly for activities to increase sal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cademically,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activation of the adoption of new technologies by companies through certification is a way to increase sales through cost reduction and quality improvement. In addition, through quality improvement and cost reduction effect analysis, it can contribute to designing an effective certification system that promotes short-term sales of companies and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 KCI등재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Certification Marks among College Student Consumers

        Jun,Byoungho(전병호 ) 표준인증안전학회 2024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4 No.1

        Certification is a system whereby a reputable third-party organization evaluates the ability of a product or system to meet certain standards, thereby demonstrating its conformity or excellence in quality. Certification marks are awarded to products or services that meet the criteria for conformity, providing consumers with information to actively assess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and guaranteeing it. Thus, certification marks play an important role by simultaneously providing quality assurance and information provision among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standards. These marks enable consumers to verify the certification for the products they intend to purchase, making product selection easier for them. However, awareness and utilization levels of certification marks seem to be somewhat low. In this study, the awareness and utilization levels of certification marks were analyzed among university students consumers, who are expected to lead the industry.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 awareness of certification marks among university student consumers was lower compared to the level of standard knowledge,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utilized certification marks when purchasing products and services was also not very high.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ust level of certification marks between consumers who checked for certification marks and those who did not. Thus, it indicated that consumers check for certification marks when purchasing products and services because they trust the certification mark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prioritize increasing awareness of certification marks through education and promotion. Additionally,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trust in certification marks by implementing efficient certification systems. 인증이란 공신력 있는 제3자 기관이 제품이나 시스템의 품질 보증 능력을 일정 기준으로 평가하여 적합성 또는 품질의 우수성을 증명하는 제도이며, 인증마크는 적합성에 부합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인증마크를 부여하고,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품질 및 기능의 판단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보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즉 인증마크는 표준의 전통적 기능 중 품질 보증 및 정보 제공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증마크는 소비자로 하여금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인증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어 제품 선택을 더욱 수월하게 해준다. 인증마크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인증마크에 대한 인지도 및 활용 수준은 다소 저조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산업계를 주도할 대학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인증마크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 수준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 소비자의 인증마크에 대한 인지도는 표준 지식 수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 및 서비스 구입 시 인증마크를 활용하는 정도 역시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증마크를 확인하는 소비자와 그렇지 않은 소비자 간에 인증마크 신뢰도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증마크를 신뢰하기 때문에 제품 및 서비스 구입 시 인증마크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 및 홍보를 통해 인증마크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방법이 우선되어야 하며, 효율적인 인증제도의 운영을 통해 인증마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방안도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 영어졸업인증제 요건과 방식의 표준화 방안

        남지영(Nam, Ji Young)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4

        본 논문은 각 대학이 재학생들의 영어실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시행하고 있는 영어졸업인증제의 현황을 살펴보고, 인증제를 시행하는 요건, 방식과 표준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2000년대부터 영어졸업인증제를 실시해온 대학을 중심으로 1) 인증제의 시행방식, 2) 인증제의 표준화된 기준 및 요건, 3) 인증제의 표준화를 위한 방안 등을 살펴보았다. 조사한 대학들에게서 보이는 일반적인 특징은 우선 공인영어시험을 인증의 기본 수단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대학 자체의 강좌를 단계적으로 이수하는 인증제도를 시행하는 대학도 일부 있다. 두 번째 특징으로 다양한 어학관련 공인시험을 허용하고 있는데, 이는 미국영어를 중심으로 하는 표준화 시험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고, 읽기 중심의 시험이 더 많다. 하지만, 최근에 말하기 중심의 시험이 추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세 번째 특징으로 대학 자체에서 개발한 평가를 주로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공인시험을 대체하는 특별시험도 거의 운영하지 않아서, 대내외에 표준화된 기준을 제공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실제로 하나의 표준화된 시험을 사용하기보다는 대학이나 학생들이 원하는 영어기능을 채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표준화된 시험과 대학별 혹은 학과별로 다른 기준을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서 영어졸업인증제를 하나의 표준화된 기준으로 통합하는것은 효율적이지 않지만, 공인시험과 같은 표준화된 기준들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각 대학은 학생들의 영어실력을 강화하기 위해 영어인증 설정단계에 따라서 그 대학에 적합한 인증제를 시스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English proficiency requirements for graduation implemented by universities, and to examine the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ertification systems, and the possibility of certification standardization. At universities that have implemented English certification systems for graduation since the 2000s, 1) the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ertification, 2) the requirements and standards of the certification, and 3) possible ways to standardize the certification system were examined. Above all, the TOEFL and TOEIC English proficiency tests are the most common means of measuring English proficiency, and a few universities have implemented a certification system where students complete the university s own courses in stages. The second feature is that various language-related accredited tests are allowed. They include mostly standardized tests centered on American English and mostly reading-oriented tests. However, it appears that speaking-oriented tests have been added recently. The third feature is that universities rarely conduct assessments that they have developed themselves, and university-created special tests that replace accredited tests are rarely used, so most universities provide standardized results from generally accepted accredited tests for their English certification requirement. In fact, rather than using one standardized test and proficiency level, various standardized tests, even different foreign language tests, and proficiency levels are allowed for different colleges and departments so that universities or students can adopt the desired English function and proficiency level. Instead of a single standardized system, each university should systematize the optimal certification system using standardized tests by the proper steps to strengthen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 KCI등재

        인증마크에 나타난 시각정보와 신뢰성연구 - 유기농 화장품에 표시되는 인증마크를 중심으로 -

        정유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4

        인증마크는 소비자와의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시각정보이며 약속이다. 이에 유기농 화장품 인증마크는 신뢰와 보증을 바탕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유기농 화장품 시장의 지속적인 증가로 세계의 주요 국가인 미국, 유럽, 호주, 중국 등은 각국의 기준에 적합한 유기농 화장품 인증마크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고, 철저한 관리 기준을 규정․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유기농 화장품 구매 시 소비자가 인증마크를 확인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구매 시 유기농 화장품 인증마크의 확인여부는 해마다 점점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연령은 30대, 직장인, 기혼인 경우, 소득이 많을수록 인증마크를 확인하는 경우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소비자는 마크에 대한 정확한 정보보다는 인증마크의 유무에만 집중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세계 유기농 화장품 시장에서 높은 수요를 차지하는 8개 국가, 19개의 인증마크를 선정하여 시각정보를 분석하였다. 인증마크의 네임은 인증기관의 약자, 또는 ‘Organic', ‘Bio'등의 단어를 사용하고 있었고, 색채는 그린계열, 타이포그래피는 고딕계열 또는 고딕 변형을 사용하고 있었다. 신뢰성 분석을 위하여 인증마크의 조형요소를 기호 감성 좌표축(Taste Scale System)으로 분석한 결과, 각 국가의 섬세한 표현과 신뢰감을 주는 조형요소로 디자인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신뢰감 있는 인증마크의 감성표현 언어들은 국내 유기농 화장품의 인증마크를 디자인할 때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Certification mark is a communication tool and commitment based on trust with consumers. So, Organic cosmetics certification marks must be built on trust and assurance.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of the organic cosmetics market, the major countries of the world such as USA, Europe, Australia, and China have adopted organic cosmetics mark conforming to the standards of each country and be stipulating and implementing strict management standards. As the organic market expands, consumers have been asked to check the certification mark when purchasing organic cosmetics. As a result, confirming the certification mark of organic cosmetics is increasing year by year but Consumers were focusing on whether there is a certification mark rather than the exact information of the mark. The 30-year-old married worker who has a large income showed more confirmation the certification mark. For this reason, we selected 19 certification marks from eight countries that have high market demand in the global organic cosmetics market, and analyzed the visual information. The name of the certification mark used the abbreviation of the certification authority which can give a trust, the words such as 'Organic', 'Bio' and color is green and the typography used the Gothic system or the Gothic syste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rm factor of the certification mark with the Taste Scale System for reliability analysis, it was proved that it is designed as a molding element which gives the delicacy and confidence of each countr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deriv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language which gain the trust of the certification mark will become the basic data when designing certification mark of domestic organic cosm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