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정주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6 No.1

        “Career maturity” is very crucial for high school students since it has an impact on their career path and decision-making. Not only that, it is also important in self-realization and happiness as well as maximizing human resources. When it comes to understanding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ath, it is necessary to know how they perceive school life since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in school. It's also vital to observe in the perspective of students' personal growth.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ife”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To accomplish this, the 7th additional surveys conducted by Welfare Panel Study were use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496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come up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self-esteem” as well as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self-esteem” on “career maturity.” The Baron and Kennny mediation analysi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effects when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come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career matur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ge fo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is 2.07, while it is 1.91 for “self-esteem”. For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dience to school regulations”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school life” and “interest in school life” Secon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self-esteem” were though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since it showed that the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ird, “interest in school life” “attitude toward school life” and “obedience to school life”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in which all of these are the sub factors for “adaptation to school life” together with “self-esteem” had an influence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career maturity” was proved to be influenced by the partial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As the study seeks to find relationship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meaningful information is given out for the development and progress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areer maturity”. This was done by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and systematic approach towards “career maturity” in the students' perspective. 진로의 결정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고등학생에게 있어 진로성숙은 개인적인 자아실현과 행복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국가 인적자원의 극대화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고등학생의 진로에 대한 이해는 학생의 측면에서 그들이 인지하는 학교에 대한 생각과 개인적인 성장의 관점에서 바라봄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을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파악해 보고자 7차년도 한국복지패널의 부가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고등학생 496명을 분석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 진로성숙의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고자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을 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변인 역할을 파악하고자 Baron과 Kennny의 매개효과분석법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은 평균 2.07이며, 자아존중감은 1.91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에서는 학교규범준수와 친구관계가 학교생활태도, 학교생활흥미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성숙,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인 학교생활흥미, 학교생활태도, 학교규범준수,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은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넷째, 학교생활적응과 진로성숙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성을 파악한 본 연구는 학생측면에서 진로성숙을 위한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진로성숙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진행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잠재계층분석을 이용한 지적장애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특성 분석

        김동일,김경선,이재호,장세영,이미지,조영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ypes of latent class about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population and social factors effect influence latent class of career maturity. By using Career Maturity Scale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299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national scale. As a result, latent classes of career maturity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lassified ‘overall higher career maturity group’, ‘higher career ability and lower career behavior group’, ‘average career maturity group’, and ‘overall lower career maturity group’. The study conduct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o identify socio-demographic factors effect four different types of latent classes. Therefore, if their functioning level is higher, they are likely in group of overall higher career maturity, higher career ability and lower career behavior, and average career maturity. If their severity is milder, they are likely in group of overall higher career maturity and higher career ability and lower career behavior. If they are male, they are likely in group of higher career ability and lower career behavior. According to result of study, a discussion of the improving career maturity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presented at the conclusion. 본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이 진로성숙 하위 영역의 발달 정도에 따라 어떠한 이질적인 집단으로 유형화되는지 확인하고, 인구․사회학적 변인이 유형화된 집단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장애청소년 진로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여 전국의 지적장애 청소년 29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애청소년 진로성숙 잠재계층은 ‘전반적 높은 진로성숙 집단’, ‘높은 진로능력 낮은 진로행동 집단’, ‘평균 진로성숙 집단’, 및 ‘전반적 낮은 진로성숙 집단’ 등 4개의 잠재계층으로 분류되었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이들 4개의 잠재계층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능수준이 높을수록 ‘전반적 낮은 진로성숙집단’에 비해 다른 3개의 잠재계층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장애정도가 가벼울수록 ‘전반적 낮은 진로성숙 집단’에 비해 ‘전반적 높은 진로성숙 집단’과 ‘높은 진로능력 낮은 진로행동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남자일수록 ‘전반적 낮은 진로성숙 집단’에 비해 ‘높은 진로능력 낮은 진로행동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지적장애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류상희(Ryu, Sang-H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진로성숙 정도,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진로성숙과 하위요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북 소재의 초등학교 5~6학년 300명을 편의표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t-검증, Pearson 상관분석에 의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 수준은 보통 정도였다. 하위요인에서는 자신의 진로 선택을 주체적으로 하는 태도인 독립성 요인에 가장 높은 평균을 보였고, 진로 선택에서 현실적인 요소보다 내재적인 요인을 더 선호하는 것과 관련된 목적성 요인에 가장 낮은 평균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요인인 목적정과 확신성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목적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으나 확신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셋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은 5학년이 6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인 목적성과 확신성에서도 5학년의 평균 점수가 6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진로교육을 받은 경험의 유무도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였다. 하위요인에서는 목적성과 독립성에서 진로교육을 경험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진로성숙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성숙은 하위요인들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결정성은 진로성숙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확신성, 독립성, 준비성, 목적성은 보통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함과 동시에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variables affecting career matur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sub-factors to provide basic data for organizing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this purpose, 3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fifth to sixth grade in Chungbuk were selected.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moderate. In the sub-factors, the highest average was shown for the independence factor. Second, gender was not a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the sub-factors, objectivity and certainty, differed by gender.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mean score than male students in the objectivity. Male students showed higher mean score than female students in the certainty. Third, the career maturity of fifth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sixth graders. The average score of fifth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sixth grader in the objectivity and certainty. Fourth, career education experience was a significant variable that influenced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verage score of students who experienced career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did not in the objectivity and independence. Fifth, career matur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career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verify their effectiveness.

      • KCI등재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최윤희,김순자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Influence of the Ego-identity of a child from an international marriage on career maturity of multicultural youth. The questionnaires were done by 125 students in 13-20 years old who attend general schools and alternative schools of 10 prim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 Seoul, Jeonnam and Chungnam where families of international marriage are intensively distribu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school type, scholastic achievement, fluency in Korean language and national identity affect sub-factors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in the ego-identity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it is found that dual self-regulation of national identity affects sub-factors of variables when gender, school type, scholastic achievement and higher and fluency in Korean language is better in the case of career maturity. Second, it is found that ego-identity and career maturity are in correlation and the sub-factors of ego-identity which affects the average of career maturity are self-receptivity and confidence in the future. Finally, it is found that subjectivity affects the determination of career maturity(-), confidence in the future affects the determination of career maturity(+), subjectivity affects the involvement of the determination of career maturity(-), self-receptivity affects the involvement of career maturity(-), initiative affects the independence of the career maturity (+), confidence in the future affects the career maturity(+) and self-receptivity affects the compromise of career maturity(+) in the multi regression analysis of sub-factors of ego-identity and those of career maturity. This may implies that the higher ego-identity of multicultural juvenile is the higher career maturity is and if they trust self-receptivity and confidence in the future to heighten the above they well adapt to the school and perform the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ir course. Thus, this result becomes the milestone that can be utilized in the field of career education and consultation so that children in the family of international marriage can overcome the difficulty of double culture through difference and individualization of general school and alternative school as the principal of multicultural society. Further, it suggests that more consultation is required in the aspect of ego-identity based on the double self-regulation of multicultural juvenile and its career maturity. 본 연구는 국제결혼가정을 중심으로 다문화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결혼가정 분포가 높은 경기, 서울, 전남, 충남에 소재하는 10개 초, 중, 고의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13세-20세의 1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 차이에서는 학교형태와 학업성적, 한국어실력, 국가소속감이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진로성숙도의 경우 성별, 학교형태,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한국어실력 좋을수록 국가 소속감의 이중적 자기규정의 변인이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진로성숙도 평균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정체감 하위요인은 ‘자기수용성’과 ‘미래 확신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과 진로성숙도 하위요인의 중다회귀분석에서 주체성은 진로성숙도의 결정성(-), 미래확신성은 진로성숙도의 결정성(+), 주체성은 진로성숙도의 관여성(-), 자기수용성은 진로성숙도의 관여성(-). 주도성은 진로성숙도의 독립성(+), 미래확신성은 진로성숙도의 성향(+), 자기수용성은 진로성숙도의 타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고, 자기수용성과 미래 확신에 대한 믿음을 가질수록 학교적응과 진로를 잘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일반학교와 대안학교 차이에 따른 개별화를 통하여 이중문화라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다문화 사회의 주역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진로교육 및 상담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들의 이중적 자기규정에 기반을 둔 자아정체감과 이에 따른 진로성숙도에 대한 보다 많은 상담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학교청소년의 비행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전문계 고교를 중심으로-

        이쌍준,강혜영 대한공업교육학회 201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7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delinquency and career maturity in school adolescents and to determine whether activities for enhancing career maturity can have protective effects against juvenile delinquencies.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first, how serious school adolescents’ delinquencies are; and second, what relation there is between delinquency and career maturity in school adolescents. Third, how different is school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in delinquencies?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55.8% of the school adolescents committed one or more of the 14 types of delinquent acts included in the delinquency inventory during the last one year, and the percentage was higher among male students than among female ones. Second,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school adolescents’ overall delinquency level and overall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however, the overall delinquency level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bjectiveness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dependence/decisiveness. That is, objectiveness was higher in the group without experiences in delinquencies than in the group with such experiences. and Type II status offenses (truancy, runaway)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career maturity, and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bjectiveness and confidence. Thir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career maturity between those with experience in delinquencies and those without.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however, objectiveness was higher in those without experience in delinquencies than in those with. and Overall career maturity, and objectiveness and confidence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ithout experience in Type II (truancy, runaway) status offenses than those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objectiveness of career maturity can be a protective factor against juvenile delinquency. Furthermore, they suggest that activities for enhancing career maturity may protect adolescents from Type II status offenses. These results may provide basic materials necessary to develop career counseling approaches and interventions strategies for preventing school adolescents’ delinquencies. 본 연구는 학교청소년의 비행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활동이 청소년비행에 대한 보호요소가 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학교청소년의 비행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청소년의 비행과 진로성숙도와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학교청소년의 비행경험 여부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의 결과 첫째, 학교청소년의 55.8%는 지난 1년간 비행측정 문항에서 묻고 있는 14가지 비행행위 중 1가지 이상의 비행을 저지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비행 정도가 여학생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청소년의 비행과 진로성숙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비행과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목적성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독립성/결정성과는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비행유형별로는 지위비행Ⅱ(가출, 무단결석)는 진로성숙도 전체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목적성/확신성 요인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비행경험이 있는 집단과 비행경험이 없는 집단 간 진로성숙도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목적성 수준은 비행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이 비행을 경험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비행유형별로는 지위비행Ⅱ(가출, 무단결석)를 저지른 경험이 없는 집단이 비행을 저지른 경험이 있는 집단보다 진로성숙도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목적성과 확신성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성숙도 목적성 요인이 청소년 비행에 대한 보호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 하였다. 또한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활동이 가출, 무단결석을 감소 시킬 수 있음을 시사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학교청소년의 비행예방에 대한 진로상담적 접근 및 개입전략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김하나,김혜연 한국웰니스학회 2015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코칭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시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중학교 1학년과 2학년 학생 10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다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중학교 1학년과 2학년 학생 10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팀활동과 일대일 코칭을 포함한 진로코칭 프로그램을 주3회 120분씩 총 10회기로 진행하였다. 진로코칭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증을 통해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경험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진로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코칭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체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 며 4개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종속변인인 진로성숙도에 대해 사후검사에서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차 이가 나타났다. 셋째, 진로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주관적 경험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진로코칭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 진로성숙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고 진로코칭 프로그램의 세부 활동 중 가장 유익하고 좋았던 프로그램 은 일대일 코칭이라고 응답하였다. 결과적으로 진로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실험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진로성숙도가 향상되었고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의 진로교육에 있어서 진로교육, 진로상담, 진학상담과는 다른 방법 인 진로코칭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areer coaching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Career maturity was observed on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the coaching sessions for effectiveness check of the program. The result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sequence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areer coaching program on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 group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whole career maturity and in every four subdivisions.. After the consequence of post test verifying the differences of career maturity,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The analysis of subjective experience of students attended career coaching program showed that the most of the students??answered that the program helped improve their career maturity before they participated the program and chose the one to one coaching as the most beneficial and instructive activity. As a result, the effectiveness of career coaching program was verified because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the career coaching program had been in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take part in the program. There is a further significance since this research suggested career coaching program which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ways of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such as career consulting and admission consulting.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

        이상희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3

        This study examined how career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arent-related career support relate to career attitude maturity. A total of 427 college students(male 253, female 174)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urvey included questionnaires of career stress, patent-related career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DMS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for male and female groups, employment pressure and external conflict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only for female group, laking information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CDMSE between career stress(ca]reer ambiguity, laking information, external conflic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significant for male and female groups, but employment pressure stress, only for male group. Third, the results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parent-related career support variable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variables. Lastly, these results included differences by gender.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진로자기효능감을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 대한 매개변인으로 가정하고, 부모진로지지를 진로장애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 대한 조절변인으로 가정하여 이들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는 대학생 427명(남학생 253명, 여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하여 진로스트레스 척도, 진로자기효능감 척도, 부모진로지지 척도, 진로태도성숙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취업압박 스트레스와 외적갈등 스트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정보부족 스트레스는 여학생 집단에서만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진로자기효능감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은 진로모호 스트레스, 정보부족 스트레스, 외적갈등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취업압박 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남학생 집단에서만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는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지 않고 있었다.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부모진로지지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스트레스의 연구에서 성차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 및 진로활동 경험의 영향

        장현진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sonal, family, school, and career experience factors on the career maturi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data of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data surveyed from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to the 2nd grade of high schools in SEL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elf-concept is high, there are trusting classmates, and reading more than school study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of students. Second, the higher the frequency of career-related convers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students.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support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high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the more positively influences on career maturity of students. Fourth, the more voluntary career information exploration experiences of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periods, the more positively they have on career maturity. Fifth, career maturity of studen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has a high correlation with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s. The career experiences of students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increase the career maturity of students at that time, which can be expecte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improving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uggested some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career maturi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follow - up studies.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교육종단연구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 및 진로활동 경험 요인의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조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자아개념이 높고, 신뢰하는 교우가 있으며, 학교공부 외의 독서 시간이 많을수록 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높인다. 둘째, 부모와 자녀 간의 진로 관련 대화 빈도가 높을수록 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높인다. 셋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학생의 진로에 대한 지원 수준이 높을수록, 고등학교에서 교사의 학생 이해도 수준이 높을수록 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높인다. 넷째, 학생의 자발적인 진로정보 탐색 경험이 많을수록 진로성숙도를 높인다. 다섯째,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 학생의 진로성숙도는 고등학교 시기 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때 학생의 진로활동 경험이 그 시기 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높이며, 이는 고등학교 때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데 간접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제고 및 관련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진로체험활동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김영식(Kim, Young-Sik),이기정(Lee, KiJy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4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effects of an experiential career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c areer m aturity. For this p urpose, we explored the 6th year dataset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using OLS, PSM, and Quantile Regression. Our results show that participation in an experiential career program, as well as each type of experiential career program affect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statistically. Moreover, the size of impact on students" career maturity of each experiential career program type was found to differ from each other. The on-site professional activity is more effective for students with low levels of career maturity than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career maturity. However, professional lectures, pre-university experiences and career experience camps are more effective for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career maturity than students with low levels of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results, we suggest that students" career maturity should be considered before providing experiential career programs to students. Moreover, further analysis of the effects of various career activity program sizes on levels of career maturity could reduce the amount of excessive activities. It is also possible to propose in which grade experiential career programs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career maturity level.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체험 유형과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정주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career experiential learning and parent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number of subjects for this study was 290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attitude in career maturity were higher for students with communication, field trip and visiting, and field experience in career experiential learning. However, career planning did not have any correlation with field experience types of attitude in career maturity. The effect of competency in career matur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udent experience with theory, communication, and field trip and visiting in career experiential learning. Second, parent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factors of career maturity. Third, results identify career maturity impacts on career experiential learning. The types of communication as well as field trip and visiting significantly affected all components of career maturity. The type of theory was a factor affecting competency. In addition, the results reveal the impact of parental support on the career maturity. Emotional suppor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factors for career maturity, except for career exploration. Informative suppo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planning, career independency and career exploration. Finan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ccupational attitude, career independency and career exploration. 본 연구는 고등학생 진로성숙도를 함양하기 위하여 진로체험 유형과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인 태도적 차원(진로계획성, 직업태도, 진로독립성)과 능력적 차원(자기이해,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최근 1년 이내에 진로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290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도의 태도적 차원인 진로계획성은 대화형, 견학・방문형 경험을 한 경우, 직업태도과 진로독립성 수준은 대화형, 견학・방문형, 현장체험형 경험을 한 경우 높게 나타났다. 능력적 차원인 자기이해와 진로탐색은 이론형, 대화형, 견학・방문형 경험이있는 경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진로관련 부모지지인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모든 하위영역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진로체험 유형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대화형과 견학・방문형은 태도적 차원(진로계획성, 직업태도, 진로독립성)과 능력적 차원(자기이해, 진로탐색) 모두 진로성숙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론형은 능력적 차원에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모지지를 투입하여 체험유형과 부모지지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결과, 정서적 지지가 진로탐색을 제외한 모든 진로성숙의 하위영역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적 지지는 진로계획성, 진로독립성, 진로탐색에 물질적 지지는 직업태도, 자기이해, 진로탐색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 진로성숙도의 하위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진로체험 프로그램의 핵심 구성과 실행에 의미 있는 정보적 역할을하며, 부모지지와 연계한 실천적 측면을 강조하는 진로교육 운영지침에 유용한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