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SR 활동별 성과와 재무적 성과간의 영향에 관한 연구

        신일성,홍정화 한국상업교육학회 2012 상업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국내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어떤 재무적 성과가 CSR 활동별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떤 CSR 활동별 성과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CSR 성과는 경제정의실천연합이 매년 발표하는 CSR성과 우수기업 2000(KEJI Index)에 2006년에서 2009년까지 4년동안 연속적으로 선정된 기업 중 결산일이 12월인 기업, 감사의견이 적정인 기업, 변수로 사용될 재무자료를 모두 나타낸 기업들로 모두 59개 기업을 대상으로 전년도의 재무적 성과가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성과가 t=1, t=2, t=3, t=4 기간에 걸쳐 재무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업규모는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전년도 재무적 성과가 다음 해의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도마다 다른 결과를 보이고는 있으나, 재무비율 중 부채비율과 자기자 본비율이 높을수록 환경보호만족도와 경제발전기여도가 높고, 종업원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출액순이익률이 높을수록 환경보호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동비율이 높을수록 종업원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사회적 성과가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건전성이 높을수록 기업의 유동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봉사기여도가 높을수록 부채비율은 낮아지고, 자기자본비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만족도가 높을수록 매출액순이익률은 낮아지고 부채비율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보호만족도가 높을수록 유동비율과 자기자본비율은 증가하고, 부채비율은 낮아지는 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업원만족도가 높을수록 부채비율이 높아지고, 자기자본비율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발전기여도가 높을수록 자기자본비율과 유동비율, 총자산순이익률, 매출액순이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부채비율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t=1, t=2, t=3, t=4의 사회적 성과가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시차적으로 검증한 추가분석의 결과로 사회적 성과가 미치는 영향을 한 번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기업이 적극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고,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어떤 CSR 활동에 더 중요성을 부여할 것인지를 전략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financial performance in Korean listed compani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used an index published by Korean Economic Justice Institute(KEJI) as the measure of CSR activities. Empirically, we analyzed an information on measures of social performance in the 2006-2009 perio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KisValue. Main results are as follow. Firstly, previous year's financial performance appeared to have influenced partly CSR activity. The debt-to-equity ratio and equity-to-total capital ratio contribution of financial performances a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y and economic development contribution of CSR activity. Secondly, CSR activities appeared to have influenced partly financial performance. Corporate with higher social service activity have lower debt-to-equity ratio and higher equity-to-total capital ratio with higher customer protection activity have higher debt-to-equity ratio with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y have higher current ratio and equity-to-total capital ratio. This study induced Korean corporate's positive social activitie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ntinuous CSR activities and financial performance.

      • KCI등재

        공기업의 CSR활동과 사회적 신뢰와의 관계분석:

        임성환(Lim, Seong hwan),박병식(Park, Byoungsi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1 No.4

        공기업은 경영이익 달성과 함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CSR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공기업의 CSR활동은 사회 서비스 제공과 소득재분배 활동 등을 통해 공공성을 추구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제고하며 지역사회에 공기업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확산시킨다. 본 연구는 ㈜한수원의 CSR활동이 사회적 신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CSR활동의 진정성과 적합성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개별 CSR활동들의 사회적 신뢰의 증진정도를 분석하여 공기업의 사회적 신뢰 제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한수원 CSR활동의 진정성(β=.221)이 지역사회의 사회적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거주지역별 CSR활동 요인별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양남면은 ‘CSR활동의 진정성(β=.295)’, 양 북면은 ‘CSR활동의 지역봉사활동사업 적합성(β=.381)’, 감포읍은 ’CSR활동의 지역차세대지원사업 적합성(β =.347)‘이 각각 사회적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거주지역별 여건에 따라 차별화된 CSR활동의 추진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The CSR activity of the public enterprise seeks public character through provision of a social service and the income redistribution activity, raises credibility of the enterprise and spreads in a local community social trust as regards the public enterprise. This research aims at finding out what influence the CSR activity of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KHNP) is having upon social trust. Also, by analyzing the influence awareness of authenticity and appropriateness has upon social trust, and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 CSR activities enhance social trust, the author aims at proposing ways to raise social trust.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authenticity of the CSR activity of KHNP has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trust of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each CSR activity factor by residence area, the author found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trust in Yangnam-myeon by ‘authenticity of the CSR activity( β =.295)’, in Yangbuk-myeon by ‘appropriateness of the local volunteer activity project of the CSR activity( β =.381)’, in Gampo-eup by ‘appropriateness of the support project, of the CSR activity, for the local future generation( β =.347)’, respectively. This shows the necessity of propulsion of a CSR activity that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conditions of each residence area.

      • KCI등재

        유통기업의 CSR 활동과 기업가치 및 경영성과

        전호진,김영민 한국유통경영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1

        In this study, the authors examined the effect of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social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rporate value and business performance, as well as environmental CSR for domestic distribution compani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n social CSR activ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did not reveal significant results. From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social CSR activities of distribution firms do no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However, it can be seen that continuous local community-related CSR activities contribute substantially to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company by deriving significant results of EV, ROI, ROE and positive (+) in the long term. Overall CSR efforts in the social sector did not lead to positive financial performance, but rather the results of the T-test analysis yielded the negative result. The CSR activities of the environmental aspect do not directly affect firm value of the distribution companie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In conclusion, In the Korean Distribution industry, environmental CSR activities negatively affect firms value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erms of short-term, Environmental CSR activities that require a lot of time and money will negatively affect the company's performance. However, as global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strengthened, Environmental CSR activity will be a need for continued investment in the long term.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기업을 대상으로 사회적 CSR과 환경적 CSR 활동 변수가 기업가치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사회적 CSR 활동과 관련한 실증 분석 결과 유의한 결과는 많이 도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유추해볼 때 유통기업의 사회적 CSR 활동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지속적인 지역사회 관련 CSR 활동은 장기적으로 EV, ROI, ROE와 양(+)의 유의한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실질적인 해당기업의 경영성과에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전반적인 사회적 부분에서의 CSR 활동 노력이 실질적인 경영성과와 기업가치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었으며, 오히려 T-test 분석 결과는 반대의 결과를 도출했다. 환경적 측면의 CSR 활동이 직접적으로 해당기업의 가치와 경영성과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통기업의 경우, 환경적 CSR 활동이 기업가치 및 경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기업에 있어 단기적으로 환경적 CSR 활동과 관련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은 경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나 글로벌 환경 규제의 강화에 따라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패션 기업의 운영효율성과 마케팅 활동이 CSR 활동에 미치는 영향

        류은정,이기세,안미강 한국세무학회 2023 세무와 회계저널 Vol.24 No.1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effects of operating efficiency and marketing activities on CSR performance of fashion corporate. This study collected a sample of total 223 companies that can obtain the corresponding data among fashion manufacturing companies listed on KOSPI. The data of the financial statements reported from 2011 to 2019 were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rst result showed that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fashion corporat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CSR activity. Second, as a marketing activity for external stakeholders, advertising expenses had a positive effect on CSR activities, but entertainment expens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Third, as a marketing activity for internal stakeholders, welfare benefi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SR activities, but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had no significant effect. Operational efficiency and internal and external marketing activities were identified as determinants of CSR activities of fashion companies. Strategic CSR activities should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another marketing activities for management performance. 본 연구는 패션 기업의 운영효율성과 마케팅 활동이 CSR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상장된 223개의 패션 기업이며, 주설명 변수로는 DEA분석에 의해 측정된 상대적 운영효율성과 내부 및 외부 고객을 위한 마케팅 활동에 대한 비용 변수이고, 종속변수는 CSR 점수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패션기업의 운영효율성은 CSR 활동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외부 이해관계자를 위한 마케팅 활동으로서 광고선전비와 기부금은 CSR 활동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으며, 접대비는 음(-)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내부이해관계자들을 위한 마케팅 활동으로서 복리후생비는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으나, 교육훈련비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지속가능경영 및 환경문제 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강하게 받는 패션업계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운영효율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마케팅 활동이 CSR 이행에 차별적인 영향을 주고 있어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략적 마케팅 활동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다른 마케팅 활동과 연계하여 실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산업 내 경쟁에 따른 경쟁전략으로써의 CSR 활동의 선택과 기업의 재무성과간의 관련성 연구: 시장유형별 분석을 중심으로

        여영준 ( Young Jun Yeo ),최순재 ( Soon Jae Choi ),권오진 ( Oh Jin Kwon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학연구 Vol.40 No.4

        본 연구는 시장유형별로 산업 내 경쟁정도에 따라 기업이 전략적으로 CSR 활동을 수행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전략적 CSR 활동의 수행이 향후 기업의 재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2004년부터 2010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허쉬만-허핀달지수(HHI)를 사용하여 산업 내 경쟁정도를 측정하였고, 경제정의지수(KEJI Index) 발표순위(상위 200개 기업) 포함 여부로 CSR 활동의 우수성을 측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 내 경쟁정도가 CSR 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시장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경쟁시장에서는 경쟁정도가 증가할수록 CSR 활동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쟁이 치열할수록 기업의 경영자들이 자신들의 위치를 유지하고, 주주와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며, 나아가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경쟁전략의 일환으로 CSR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경쟁시장에서는 경쟁정도가 증가할수록 전략적으로 CSR 활동을 수행한 기업은 향후 재무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그렇지 않은 기업은 향후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시장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경쟁시장에서는 경쟁이 증가함에 따라 경영자가 CSR 활동을 전략적으로 선택함으로써 경쟁우위를 점하여 향후 재무성과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지만, 나머지 시장에서는 CSR 활동의 효과가 재무성과로 연결되지 못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이 속해 있는 환경적 특성, 즉, 산업 내 경쟁 정도가 CSR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CSR 활동의 요인을 설명하였고, 경쟁시장에서 CSR 활동이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자본시장에서 CSR 활동에 대한 평가시 윤리적, 규범적 측면뿐만 아니라 전략적 측면까지 살펴보아야 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쟁정도에 따른 CSR 활동 여부가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시장별로 차이가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전략적 CSR 활동 연구에 도움이 될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industry competition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hereafter ``CSR``) activities as a competitive strategy. And then we investigate how CSR activities affect the association between industry competition and future financial performance. For empirical test, we use 3,591 firm-year observations collected from 2004 to 2010 period. The observations are composed of the non-financial companies which are listed on KOSPI and whose fiscal year-end is December 31. To reduce the influence of extreme observations, we winsorize all variable at 1% and 99%. The most commonly used proxy for the degree of industry competition is a industry concentration, measured as Hirschman-Herfindahl Index(hereafter ``HHI``). We assume that between industry competition and market concentration have an inverse association. For this reason, we use MC(=multiplied by -1 in HHI) to measure the degree of market competition. In doing so, we can capture higher industry competition when MC is increasing. Following prior studies, the excellent CSR activities of firms are measured in consideration of inclusion in the top 200 of KEJI Index. Because only these firms(i.e. top 200) are announced in the media. We test our hypothesis based on the market typ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erger Guidelines(published by U.S. Department of Justice and the Federal Trade Commission), we divide the observations into three sub-group by HHI. In this way, we can classify Korean market into three types. For example, (1) competitive market if the HHI is below 1500, (2) moderately concentrated market if HHI is between 1500 and 2500, and (3) monopolistic and oligopolistic market if HHI is above 2500.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hypothesized by us, the effect of the market competition on CSR activities is different for each market. Especially,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y competition and CSR activities in the competitive marke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nagers perform CSR activities as a competitive strategy to improve firm``s competitive position when their firms are in the intense competition.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CSR activ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ket competition and firms`` future financial performance is also different for each market. In the competitive market, CSR activities have the positiv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ket competition and firms`` future financial performance, but we can``t find any relationship in other marke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irms with strategic CSR activities can achieve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competitive market, which leads to increase firm``s future financial performance. We also conduct the several robustness check on the analysis and find that our results are robust to these additional analyses. Our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 First, this study shows that the firm``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i.e. industry competition) can affect CSR activities. Second, CSR activities can be used as the competitive strategy to improve firm``s competitive position in the face of intense industry competition. Based on our findings, we suggest that the stakeholders in capital market should consider the strategic aspect of CSR activities as well as the ethical aspect of CSR activities when they evaluate CSR activities. Finally,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 of CSR activit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industry competition and firm performance is a non-linear relationship in Korean market. Therefore, we expect that this study is useful in future studies about strategic CSR activities.

      • KCI등재

        CSR 활동과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관한 연구

        마윤주(Yoon-Joo Ma),장성희(Sung-Hee Jang)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6 로고스경영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CSR 활동이 사회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장기지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사회적 기업, CSR 활동과 성과, 장기지향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연구의 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활동, 환경 활동, 자선 활동을 CSR 활동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CSR 활동이 사회적 성과 및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는 115개의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Smart PLS 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활동, 환경 활동, 자선 활동은 사회적 성과에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성과는 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기지향성은 사회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기업의 CSR 활동을 수행한 결과 사회적 성과가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사회적 성과가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장기지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에서 CSR 활동은 사회적 성과를 통해 기업의 경쟁 환경의 질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목표와 전략을 지향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and moderating effect of long-term orientation. This model tests various theoretical research hypotheses relating to social enterpris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y and performance, and long-term orientation. CSR activity have been classified as community, environmental, and philanthropic activity. The proposed model is analyzed to target 115 social enterprises. Smart PLS 2.0 have been utilized for deriving this study results. The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community, environmental, and philanthropic activity positively influence social performance. Second, social performance positively influence financial performance. Finally, long-term orientation as a moderating effec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results will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to improv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and CSR activity and long-term orientation.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회계성과에 대한 임원보수의 민감도

        조현우,박범진 한국회계정보학회 2017 회계정보연구 Vol.35 No.2

        Prior CSR research has long focused on the external assessment for CSR activities. However, understanding of the internal assessment for CSR activities may be more important than that of the external assessment in confirming definitely the role of CSR activities in management and also be helpful to mitigate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s and stakehold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compensation committees, the internal appraiser for performance assess CSR activitie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performance and then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SR activities on the sensitivity of executive compensation to accounting performance. The results are divided into two aspects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earnings management and accounting performance is weaker for firms involving in CSR activities, whereas strengthened for firms conducting relatively more excessive CSR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SR activities themselves may a effective tool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with external stakeholder but excessive CSR activities may be used as a way for concealing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ounting performance and executive compensation is strengthened for firms engaging in CSR activities, whereas reduced for firms conducting relatively more excessive CSR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ensation committees consider CSR activities a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external stakeholder for the increase of information value-relevance. On the other hand, the excellence of CSR activities are seen to be not reflected in their process for compensation determination due to the existence of mixed effects. The results will be useful to prevent stakeholder from the wrong decision related to CSR activities in the firm value-assessment process by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CSR activities and furthermore be used as empirical evidence for policy-making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그 동안 CSR 활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CSR 활동에 대한 외부평가에 치중해 왔다. 그러나CSR 활동에 대한 외부평가보다는 기업내부평가를 이해해야 CSR 활동에 대한 정확한 역할을파악할 수 있으며, 기업과 외부이해관계자들 간의 정보비대칭(information asymmetry)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CSR 활동이 회계성과의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다음, 회계성과와 임원보수 간의 민감도에 대한 CSR 활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기업내부의 평가주체자인 보상위원회가 CSR 활동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이익조정과 회계성과 간의 양(+)의 관련성이 CSR 활동을 하는 기업에서는 약화되었으나 지나치게 많은 CSR 활동을 하는 기업에서는 강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CSR 활동 자체는외부이해관계자들과의 정보소통을 위해 긍정적인 효과를 지니고 있으나 지나친 CSR 활동은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을 은폐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회계성과와 임원보수 간의 양(+)의 관련성은 CSR 활동을 하는 기업에서는 강화되었으나 지나치게 많은 CSR 활동을 하는 기업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보상위원회가 CSR 활동을 외부이해관계자와의 가치관련성 증대를 위한 효과적인 통로로 인식한 것으로보인다. 그러나 CSR 활동 우수성은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가 혼재하여 임원보수 결정과정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부이해관계자들에게 CSR 활동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기업가치 평가과정에서 CSR 활동 공시에 따른 왜곡된 의사결정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책입안 과정에서 실증적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CSR·CSV 활동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최성보(Choi, Seongbo) 한국상품학회 2018 商品學硏究 Vol.36 No.2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CSR(공유가치창출) 두 개념의 의의와 차이에 관하여 학자들과 실무자들 간에 논쟁이 끊이지 않고 지속되고 있다. 이에 국내 4개 대기업의 CSR/CSV활동과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토대로 CSR활동과 CSV활동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신뢰를 매개로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관계에서 CSR활동의 진정성과 CSV활동의 진정성 수준이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1,00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서베이 자료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SR활동과 CSV활동이 각각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신뢰를 매개로 브랜드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CSR활동이 CSV활동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쳤다. 둘째, CSR활동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CSR활동→브랜드이미지/브랜드신뢰 경로는 CSR활동의 진정성 수준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으나, CSV활동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CSV활동→브랜드이미지/브랜드신뢰 경로는 CSV활동의 진정성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브랜드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CSV활동보다는 CSR활동을 촉진하는데 더 힘쓸 필요가 있으며, CSV활동에는 사회 및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진정성이 담겨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controversy between scholars and practitioners on the significance and difference of the concepts of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SV(Creating Shared Value) is constantly ongoing. Based on CSR/CSV activities and Sustainability Reports of four big companies in Korea, this study verified using survey data from 1,000 consumers whether the consumer perception of CSR activities and CSV activities affect the brand loyalty through brand image and brand trust, and whether the level of authenticity of CSR activities and CSV activities plays a modulating role i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oth CSR activities and CSV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brand loyalty through brand image and brand trust, and CSR activities had a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than CSV activitie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ctivities and brand loyalty, CSR activity → brand image/brand trust path were not modulated by the level of authenticity of CSR activity, b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V activities and brand loyalty, CSV activities → brand image/Brand trust path were modulated by the level of authenticity of CSV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promote CSR activities than CSV activities in order to enhance brand loyalty, and that the authenticity to solve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is very important when CSV activities are carried out.

      • KCI등재

        CSR활동 추진동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성식,이영면 한국경영학회 2020 Korea Business Review Vol.24 No.4

        본 연구는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CSR활동 추진동기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어떤 원인에 대해 구성원이 긍정적으로 인식할 경우 구성원의 태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귀인이론을 참고하였으며, CSR활동 추진동기에 관한 기존연구를 통합하여 가치지향 동기, 이해관계자 지향 동기, 전략적 동기, 자기본위적 동기의 네 요인 관점으로 연구하였다. 그리고 조직몰입은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의세 요인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가치지향 동기와 이해관계자 지향 동기는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자기본위적 동기는 정서적 몰입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가치지향 동기일 경우에만 규범적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전략적 동기와 자기본위적 동기는 지속적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전략적 동기인 경우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몰입에 유의하지 않았지만,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한 학술적 시사점은 CSR활동 추진동기를 네가지 요인 관점으로 연구하였으며, 구성원의 조직몰입을높이기 위해서는 CSR활동이 가치지향 동기, 이해관계자 지향 동기로 추진되고, 특히, 전략적 동기로 추진될 경우더욱 효과적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무적 측면에서 다음 다섯 가지의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기업에서 CSR활동 추진동기를 검토할 때통합적 관점의 네 요인 연구를 권고한다. 둘째, CSR활동 추진동기가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유효한 영향을 준다. 셋째, 이해관계자 지향 동기가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회사의자발적인 CSR활동이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전략적 동기의 경우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 모두에서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기업의 CSR활동을 전략적 동기로 인식하게 되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CSR활동이 기업의 전략체계도에 반영되어 기업의 비전과 CSR전략과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와 연관된 CSR활동을 추진함으로써, 기업의 경제적 이익과 더불어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기본위적 동기로 CSR활동을 추진하더라도, 지속적 몰입 측면에서는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employees perception of the motives to promote CSR activit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rom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For this, the attribution theory was referenced, and the research on the motives to promote CSR activities was integrated,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erms of value-driven motives, stakeholder-driven motives, strategic motives, and Egoistic motiv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ubdivided into affectiv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value-driven motives and stakeholder-driven motives had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but Egoistic motives negatively affected affective commitment. And only if it was value-driven motives, it had a positive effect on normative commitment. Strategic motives and Egoistic motives positively influenced Continuance commitment. In the case of strategic motives, affe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were not significant, but they had an effect in the positive (+) direction. Academic implications through this study studied the motivation for promoting CSR activities from a four-factor perspective,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CSR activities are promoted with value-driven motives and stakeholder-driven motives, especially when promoted with strategic motives was predictable.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and result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five implications in practical terms. First, a four-factor study with an integrated perspective is recommended when reviewing CSR activities in companies. Second, the motives to promote CSR activities can have an effective effect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n order for the stakeholder-driven motives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needs of the stakeholders must be met and the company's voluntary CSR activities must be strengthened. Fourth, in the case of strategic motives, affectiv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were positive. Recognizing a company's CSR activities as a strategic motive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the CSR activities are reflected in the organization's strategic system diagram, thereby strengthening the link between the organization's vision and the CSR strategy, and by performing CSR activities related to the company's products and services, the company's profits and social benefits can be created simultaneously. Lastly, even if CSR activities were performed with Egoistic motiv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n terms of continuance commitment.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소비자 냉소주의를 감소시키는가?

        박종철(Park, Jong Chul)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4

        CSR활동과 관련된 과거 연구들은 주로 기업의 CSR활동이 기업태도, 제품태도, 기업평판, 그리고 기업이미지 등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특히, Homburg et al.(2013)은 CSR활동의 3대 성과로 고객만족, 기업평판, 고객충성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고객만족, 기업평판, 고객충성도 요인은 CSR활동의 전략적 성과변수로 제시되어 왔으며, 특히 CSR활동과 성과변수 간의 관계에서 신뢰(trust), 호혜성(reciprocity), 고마움(gratitude) 같은 인지적 요소와 감정적 요소가 중요한 매개변수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업의 CSR활동이 소비자들로 하여금 긍정적 감정반응이나 인지적 반응을 유발할 수도 있지만, 기업에 대해 불신감을 줄여주는 역할도 수행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러한 불신감을 줄여주는 심리적 기제로 소비자 냉소주의 변수를 제시하였고, 그 결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CSR활동에 대한 연상을 높게 지각할수록 해당 기업에 대한 소비자 냉소주의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 냉소주의를 낮게 지각할수록,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는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본 연구는 기업의 CSR활동과 고객만족, 그리고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소비자 냉소주의라는 새로운 심리적 변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지닌다. 또한, 기업평판이 좋지 않은 기업들이 CSR활동을 수행하는 경우, 본 연구결과는 해당 기업들이 소비자들로 하여금 이기적 행동 혹은 전략적 행동에 대한 의심을 줄여줄 수 있음을 제시한다. 따라서 기업의 입장에서 자사의 부정적 이미지를 줄여줄 수 있는 활동으로서 CSR을 전략적으로 활용한다면, 효과적인 기업성과 혹은 소비자 반응을 유발하는 데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SR activities mainly considered the effect of the CSR activities on corporate attitudes, product attitudes, corporate reputations, and corporate images. In particular, Homburg et al. (2013) presented customer satisfaction, corporate reputation and customer loyalty as three major outcome variables of CSR activities. In addition, customer satisfaction, corporate reputation and customer loyalty factors have been presented as strategic performance variables for CSR activities, espec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ctivities and performance variables,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such as trust, reciprocity and gratitude have been presented as important parameters. However, the study predicted that the CSR activities would also play a role in reducing its distrust of the entity, although they might cause consumers to respond positively or cognitively. Thus, this researcher presented the consumer cynicism variable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to reduce this distrust and trie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corporation association with CSR activities, the lower the consumer cynicism towards that entity. And the lower the perception of consumer cynicism, the higher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From these results, the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esents a new psychological variable, consumer cynic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ntity s CSR activities,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In addition, if companies with poor corporate reputations perform CSR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ose companies may reduce consumers doubts about selfish or strategic behavior. Therefore, if CSR is used strategically as an activity that can reduce the company s negative imag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to induce effective business performance or consumer respo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