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개정 7학년 기술·가정교과서 분석 - 가정 영역을 중심으로 -

        이민정,이경숙,유태명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2

        본 연구는 2010년부터 학교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2007 개정 7학년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준거로 하여 지식차원 및 인지과정 차원의 범주가 어떻게 서술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준거로 한 교과서 분석을 위해 3권의 교과서를 선정하였으며, 학습목표-본문내용-활동영역-평가영역으로 분석 대상영역에 대해 분석하였다. 학습목표와 평가영역은 이차원적 분석을 하였으며, 본문내용은 지식차원, 활동영역은 인지과정 차원으로만 분석을 하였다. 신뢰성 있는 분석을 위해 연구자를 포함하여 전문가 4명을 coder로 선정하였으며, 우선 코더들이 개별적으로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준거로 하여 교과서의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주요유형과 주유목 및 하위유형과 인지과정으로 분석하였고, 불일치 판정 부분에 대해서는 3차에 걸친 협의회를 통해 최종 판정에 합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준거로 한 교과서 분석에서 2007년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지식차원은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 차원의 범주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인지과정 차원은 ‘이해하다’ 범주차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 사고에 해당되는 ‘메타 인지 지식’은 전혀 없었으며,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의 범주차원은 아주 낮은 비율을 보이거나 없는 영역도 있었다. 연구결과로부터 2007년 개정 7학년 기술·가정교과서가 단편적 지식을 기억하거나 이해하는 하위사고 범주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보다 다양한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이 반영된 교과서의 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in what category that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 are described based on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n the revised 7th grade home economics textbooks. Three textbooks were selected to analyze a textbook, Areas of analysis were reconstructed into learning objectives, body contents, activity, evaluation. The learning objective and the evaluation went through a two-dimensional analysis, the body contents was analyzed in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activity was analyzed in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 Four experts were selected as a corder for reliable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knowledge dimension in 2007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 was focused on the categories of factu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in textbook analysis based on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the category dimension of 'understand' showed to be the most for the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 Moreover, there was no 'meta cognitive knowledge' that conforms to a higher-order thinking and the category dimensions of 'analyze', 'evaluate', and 'create' took very low proportion or did not exist.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반한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김지숙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4 實科敎育硏究 Vol.30 No.1

        이 연구는 2022 개정 실과 기술 분야의 성취기준을 지식 및 인지 과정 차원으로 분류하여 성취기준진술의 구체적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적용하여 48개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 분야의 성취기준은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일부 유형에 편중되어 있었다. 둘째, 고등사고 능력과 관련 있는 인지과정 유형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셋째, 개념적 지식을 제외한 나머지 지식 차원의 유형 분포는 내용 영역별 차이가 뚜렷하였다. 넷째, 전 내용 영역에서 개념적 지식과 ‘이해하다’, 절차적 지식과 ‘적용하다’, 메타인지 지식과 ‘이해하다’가 연결되는 빈도가 높았다. 다섯째, 실과교육에의 시사점으로 다양한 유형의 지식 및 인지과정 유형 반영, 구체적이고 명확한 동사를 활용한성취기준 진술, 학습목표 설정에서 적절한 인지과정 유형에 대한 충분한 고려, 지속적인 교육목표 분석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classify the technology area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into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and analyz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achievement standard statements. To achieve these purposes, 48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using Bloom's revised taxonomy.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area of technology were skewed towards certain types in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Second, the proportion of cognitive process types related to higher-order thinking skills was very low. Third, the distribution of types in dimensions of knowledge other than conceptual knowledge showed distinc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ontent areas. Fourth, in all content areas, there was a high frequency of connection between ‘conceptual knowledge and understand’, ‘procedural knowledge and apply’, and ‘metacognitive knowledge and understand’. Fifth, as implications for Pactical Arts education, it suggested the reflection of various type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s,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using specific and clear verbs, sufficient consideration of appropriate cognitive process types in setting learning objectives, and the necessity for continuous analysis research on educational objectives.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프로그램의 학습목표 특성 분석

        박경진,류춘렬,최진수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1

        이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에 제시된 학습목표를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와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학습목표를 분석할 때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7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 중 과학 분야 169개 주제에 제시된 702개의 학습목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하고 코딩한 후 각 학습목표 사이의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로 나타난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 별로 사용된 학습목표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초등은 약 3개, 중등은 약 6개의 서로 다른 범주의 학습목표가 사용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방법과 학교 급에 관계없이 지식차원의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의 ‘기억하다’, ‘이해하다’, ‘창안하다’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단순 통계 분석 결과로는 확인할 수 없지만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통한 가중치에 근거하여 살펴본 결과 초등 단계는 과학적 사실에 대한 학습을 통해 실제 실험과정에 적용해 보는 활동을 강조한 반면, 중등 단계는 이보다는 과학적 사실, 개념 자체를 이해하는 것을 더욱 강조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기존 단순 통계적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것에 비해 보다 다양한 학습목표의 특성을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이 학습목표를 분석하는데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objectives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of centers for the university 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we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analyzing learning objectives by comparing the results of analysis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For this purpose, 702 learning objectives presented in 169 science subjects were selected as subjects to be analyzed. After classifying and coding the learning objectives according to Bloom’s revised taxonomy, we conducte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number of learning objectives used for each subject, and about 3 elementary school levels and about 6 middle school levels were used. Second, the knowledge dimension such as ‘factual and conceptual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such as ‘remember’, ‘understand’, and ‘create’ was high regardless of the research method and school level.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the weighting through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he elementary school level emphasize activities th be applied to the actual experimental process through learning about scientific facts, while the middle school level emphasize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facts and concepts themselve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can analyze characteristics of various learning objectives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simple statistical analysis.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최정인 ( Jung In Choi ),백성혜 ( Seoung Hye Pai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2

        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교육목표를 안내하고,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며, 평가의 방향을 지시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2009 개정과학과 교육과정은 자연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새롭게 개정된 교육과정인 만큼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과학교육이 추구하는 목표를 지향하는 성취기준이 되어야 바람직할 것이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사용하여 우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담아내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에서 고등사고를 촉진하는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의 유형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NGSS와 비교하여 인지과정 차원과 지식 차원에서 특정 범주의 인지과정이나 지식 유형에 편중되어 있었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와 같은 인지과정이나 ‘메타인지 지식’과 같은 지식의 유형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성취기준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은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서도 다루어지지 않음을 비교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천명하고 있는 과학교육의 목표를 고려하였을 때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 진술이 일부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 편중되어 있는 것은 분명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방식에 대한 제고를 통하여 다양한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을 지향하는 성취기준을 작성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int for improvement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7 &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NGSS of the United States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compared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has expanded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which promote a higher level thinking. However,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has been biased to the type of specific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in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nd knowledge dimension as compared to the NGSS of the United States.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such as ‘analyze,’ ‘evaluate,’ ‘create,’ and the type of knowledge such as ‘meta-cognitive knowledge’ have been treated inattentively. In addi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that were neglected in achievement standards were not dealt with in the learning objective of teachers` guides, either. The revised curriculum should consist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curriculum to reflect better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chievement standards including various types of cognitive processes and knowledge by improving the method of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

        Anderson이 개정한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의한 2007 개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제시된 인지적 학습목표 및 성취기준 분석

        이경숙,유태명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3 No.3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objectives in the 2007 revised 10th grade Home Economics textbooks of 6 different publishing compani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develop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09). Two experienced coders performed initial analysis based on the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had subsequent conferences to reach an agreement on different results between coders. For knowledge dimen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major types of learning objectives in the 「Future Family Life」unit are mainly consisted of fac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where as those of 「Family Life Culture」unit are consisted of factu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both 「Future Family Life」and 「Family Life Culture」units are solely in a factual knowledge major type. The sub-type of knowledge dimension of both learning objectives and achievement standards fall into ‘a specific facts and knowledge component’. For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leaning objectives are focused on ‘understand’ and ‘analyze’. Those of achievement standards are ‘analyse’ in the 「Future Family Life」unit and ‘understand’ in the 「Family Life Culture」 unit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both learning objectives and achievement standards do not adapt any meta-cognitive knowledge, higher order thinking, and cognitive process. 본 연구는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준거하여 2007 개정 10학년 교과서 6권과 성취기준을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이차원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을 위해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른 분석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 2명으로 코더(coder)를 선정하여 개별적으로 1차 분석을 한 후 2차에 걸친 협의회를 통해서 최종 판정에 합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과서에 진술되어 있는 학습목표는 지식차원의 주요유형은 「미래의 가족생활」 단원에서는 사실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범주에, 「가정생활문화」 단원에서는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 범주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성취기준에 진술되어 있는 「미래의 가족생활」단원과 「가정생활문화」 단원 모두 사실적 지식에 해당하는 하는 학습목표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교과서와 성취기준에서 지식차원의 하위유형은 구체적 사실과 요소에 관한 지식(AB)이 가장 많았다. 인지과정차원의 주유목은 교과서에서는 ‘이해하다’와 ‘분석하다’의 범주에 집중되어 있었고, 성취기준에서는 「미래의 가족생활」 단원에서는 ‘분석하다’ 범주로만, 「가정생활문화」 단원에서는 ‘이해하다’ 범주로만 진술되어 있었다. 연구결과로부터 교과서와 성취기준은 메타인지에 대한 지식과 고차적 인지과정의 활동이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을 설계할 때 성취기준과 교과서에 진술된 학습목표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고등사고 능력 신장을 위한 학습목표 재진술이 필요하고, 성취기준은 중단원보다 더 세부적인 소단원 및 내용요소별로 구체적이고 세분화하여 제시하여야 하며, 이후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되는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고려한 학습목표의 진술이 요구된다.

      •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 체계에 기초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수-학습 활동 분석 연구

        장미정 ( Jang Miju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9 漢城語文學 Vol.41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제공되고 있는 교수 - 학습 활동을 분석하여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서 어떠한 차원의 교수 - 학습 활동이 제공되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 선행 연구 중 교수 - 학습의 결과가 유의미하다고 밝힌 연구 34개를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연구에서 교수 - 학습 활동을 추출하여 정리하였고,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 체계’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교수 - 학습 활동은 절차적 지식, 개념적 지식, 메타인지적 지식의 순으로 제공되었다. 각 지식을 인지과정 차원에서 분석하였을 때, 개념적 지식은 이해하기, 기억하기와 관련된 활동이 많이 제공되었다. 절차적 지식은 인지과정 차원에서 이해하기 활동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적용하기, 분석하기, 평가하기, 창안하기와 관련된 활동은 고루 제공되었다. 또한 메타인지적 지식은 인지과정 차원에서 기억하기, 평가하기, 이해하기와 관련된 활동이 많이 제공되었다.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수 - 학습 활동을 분석을 통해 지식 차원에서는 자기주도적 교수 - 학습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에서 메타인지적 지식차원의 교수 - 학습 활동을 보다 개발하고 제공하는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변인이 다양함을 고려할 때, 특정 인지과정 차원에 집중된 교육이 아닌 다양한 인지과정 차원의 교수 - 학습 활동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provided in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to reveal what dimens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s provided at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hirty-four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y stated that the results of education were significant among the preceding studies on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In each study,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ere extracted, organized, and analyzed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 Korean writing education were provided in the order of procedural knowledge, conceptu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When each knowledge was analyzed at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conceptual knowledge provided many activities related to understanding and remembering. Procedural knowledge was the most part of the understanding activity in the cognitive process, and the activities related to applying, analyzing, evaluating, and creating were provided evenly. Meta-cognitive knowledge also provided many activities related to remembering, evaluating, and understanding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it proposed that an attempt should be made to develop and provide mor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meta-cognitive knowledge in a reality wherein self-directed learning is being emphasized. In addition, given the diversity of learners’ variations in the teaching fiel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t various dimensions of the cognitive proces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pecific cognitive process dimension.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기반 2015 및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김보옥,김경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with those of the 2015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Methods The 2022 revised curriculum made efforts to ensure that the purpose of competency education is actually implemen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from the perspective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examine whether this purpose has been achieved,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revised English curriculum in 2015 and 2022 in terms of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Results In terms of knowledge dimensi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both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the most distributed in “factual knowledge”. There were almost no achievement standards corresponding to “concep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in both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Meta-cognitive knowledge has increased in propor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is is analyzed as a result of reflecting strategic knowledge and affective attitudes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 dimension, both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showed a tendency to be focused on low-level cognitive functions of “remember” and “understand”, but unlike 2015, the 2022 curriculum showed a change of introducing high-level cognitive functions such as “evaluate” and “create”. Conclusions These changes show that the 2022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trives to present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a balanced manner in term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order to reflect the purpose of competency education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15 개정 여행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인지적 영역 분석

        박진영,이보영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igher-order knowledge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ravel geograph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t the level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which are cognitive domain, using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tacognitive knowledge’ is the highest and ‘procedural knowledge’ is the lowest in terms of knowledge dimension. Second,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 ‘to analyze’, ‘remember’, and ‘understand’ appear high, but ‘to evaluate’, ‘create’, and ‘apply’ appear low. Third, the way of combining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is combined in various ways, but the distribution style is concentrated and distributed in either side. Educational consensus on achievement-based vocabulary and clear standards for educational verbs are required.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여행지리의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하여 인지적 영역인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하여 고차적 지식의 함양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첫째, 지식 차원에서 ‘메타인지지식’이 가장 높고, ‘절차적 지식’이 가장 낮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에서 ‘분석하다’, ‘기억하다’, ‘이해하다’는 높게 나타나지만, ‘평가하다’, ‘창안하다’, ‘적용하다’는 낮게 나타난다. 셋째,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결합방식은 다양하게 결합되어 있지만, 분포양식은 하부 지식 차원이나 하부 인지과정 차원의 어느 한쪽으로 집중되어 분포하고 있다. 성취기준 어휘의 교육적 합의와 교육적동사에 대한 분명한 기준이 필요하다.

      • KCI등재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분석

        박기락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4 초등과학교육 Vol.4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진술을 분석하여 곧 적용될 교육과정의성취기준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해 초등학교 전체 성취기준의 진술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기준의 진술이 특정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차원에 편중되어 있다. 이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와 과학과의 교수·학습 방향에 부합하지 못하므로 다양한유형의 활동과 탐구 학습이 가능한 성취기준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학년군별 지식 수준과 인지 수준의 위계화가 필요하다. 상위 학년군에서 오히려 하위 지식·인지과정 차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였으므로 체계적인 위계화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성취기준 서술어를 다양하게 사용할 필요가 있다. 특정 서술어에 의존하는 경향은이전 교육과정보다 줄었지만, 한두 차례만 사용한 서술어가 절반 정도를 차지하므로 다양한 서술어를 균형 있게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성취기준에 반영하도록 성취기준 진술의 설계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로 과학 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 요소를 고려하여 초등학교 과학 교육에 적절한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 탐색 및 과학과 전체 교육과정의 위계성과 연속성 분석을 위한 중·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lucidates the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to identify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upcoming curriculum. Therefor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statements of the overall elementary school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Bloom’s taxonomy of new educational objectiv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are biased toward certain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s; this aspect is not consistent with the goal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s of the science department. Thus, achievement standards that enable various types of activities and inquiry learning should be developed. Second, a need emerges for the hierarchization of knowledge and cognitive levels by grade level. The proportions of low level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s increased in the upper grades, such that a systematic hierarchy should be considered. Third, the need to diversify the use of the descriptors of achievement standards is also identified. Although the tendency to rely on specific descriptors decreased during the previous curriculum, approx imately half of the descriptors were only used once or twice. Therefore, balancing the use of various descriptors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results are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 tbooks under the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s in 2022, a discussion is required on the design of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s. As a follow-up study, the researcher propos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curricula for middle and high schools to explore the wording of achievement standard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considering its nature, goals, and contents and to analyze the hierarchy and continuity of the entire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방법의 제안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손준호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for analyzing suitabl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nature of science curriculum. This can be done by introducing various analysis methods, as well as using practical examples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that are the starting point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is paper, three methods are shown: ① the method suggested by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② the method using understanding verbs of backward design, ③ the method using Bloom’s revised taxonomy. In addition, we propose a method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curriculum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curriculum. This method takes advantage of the above three analysis methods. After separating the content and performance verbs, subdividing the performance verbs into the performance verbs of six aspects of understanding and restatemen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 re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enabled the analysis of in-depth achievement standards by linking to a process-focused assessment plan considering the level of thinking by utilizing the two-dimensional framework of Bloom’s revised taxonomy.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ll develop meaningfu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utilize the essence of the subject through in-depth analysi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as a subject.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 방향의 출발점이 되는 성취기준을 여러 가지로 분석하는 방법과 함께 실사례를 활용해 분석함으로써 과학 교과의 본질에 맞는 성취기준 분석 방법을 제안하 고자 하였다. 이에 초등학교 과학과 중 ‘지구와 우주’ 영역의 성취기 준을 ①경기도교육청이 제시한 성취기준 분석 방법, ②백워드 설계의 이해 관련 수행 동사를 활용한 성취기준 분석, ③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성취기준 분석 방법에 맞게 분석해 보고, 과학 교과의 특성을 살린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3가지 분석 방법의 장점을 살린 것으로, 내용과 수행 동사로 분리한 후, 수행 동사를 이해의 6가지 측면의 수행 동사로 세분화시킨 후, 성취기준을 재 진술하여 신교육목표분류체계의 이차원 틀에 의해 사고 수준을 고려한 과정 중심 평가 계획까지 연계짓는 심층적인 분석 방법이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교사들이 과학 교과의 성취기 준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교과의 본질을 살린 유의미한 교수 ⋅학습 방법을 전개해 나가길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