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07 &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with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in U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942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교육목표를 안내하고,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며, 평가의 방향을 지시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2009 개정과학과 교육과정은 자연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

      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교육목표를 안내하고,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며, 평가의 방향을 지시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2009 개정과학과 교육과정은 자연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새롭게 개정된 교육과정인 만큼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과학교육이 추구하는 목표를 지향하는 성취기준이 되어야 바람직할 것이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사용하여 우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담아내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에서 고등사고를 촉진하는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의 유형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NGSS와 비교하여 인지과정 차원과 지식 차원에서 특정 범주의 인지과정이나 지식 유형에 편중되어 있었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와 같은 인지과정이나 ‘메타인지 지식’과 같은 지식의 유형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성취기준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은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서도 다루어지지 않음을 비교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천명하고 있는 과학교육의 목표를 고려하였을 때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 진술이 일부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 편중되어 있는 것은 분명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방식에 대한 제고를 통하여 다양한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을 지향하는 성취기준을 작성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int for improvement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7 &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NGSS of the United States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int for improvement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7 &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NGSS of the United States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compared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has expanded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which promote a higher level thinking. However,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has been biased to the type of specific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in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nd knowledge dimension as compared to the NGSS of the United States.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such as ‘analyze,’ ‘evaluate,’ ‘create,’ and the type of knowledge such as ‘meta-cognitive knowledge’ have been treated inattentively. In addi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that were neglected in achievement standards were not dealt with in the learning objective of teachers` guides, either. The revised curriculum should consist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curriculum to reflect better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chievement standards including various types of cognitive processes and knowledge by improving the method of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curriculu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세영, "미국의 Core Knowledge Sequence를 통해 본 우리나라 국가수준 초등교육과정의 변화 가능성 탐색"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7 (7): 69-95, 2013

      2 서영진,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성취 기준’의 진술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회 46 (46): 415-450, 2013

      3 김혜자, "교육목표 이론의 고찰 및 단원목표의 분석과 진술방안韓國實科敎育學會誌 第15卷 第1號 pp.1~21" 한국실과교육학회 15 (15): 1-21, 2002

      4 박인숙,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314-327, 2011

      5 Pintrich, P. R., "The Role of Metacognitive Knowledge in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41 (41): 219-225, 2002

      6 Kim, 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 Evaluation Instrument Based on the National Achievement Standards and Evaluation Criteria – Focused in life science cont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8

      7 Bybee, R. W., "Teaching secondary school science: Strategies for development scientific literacy" Merrill 2008

      8 Bloom, B.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1:Congnitive domain" David Mckay 1956

      9 Duschl, R. A.,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 K-8" National Academies Press 2007

      10 Matthews, M. R., "Science teaching :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Routledge 2014

      1 김세영, "미국의 Core Knowledge Sequence를 통해 본 우리나라 국가수준 초등교육과정의 변화 가능성 탐색"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7 (7): 69-95, 2013

      2 서영진,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성취 기준’의 진술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회 46 (46): 415-450, 2013

      3 김혜자, "교육목표 이론의 고찰 및 단원목표의 분석과 진술방안韓國實科敎育學會誌 第15卷 第1號 pp.1~21" 한국실과교육학회 15 (15): 1-21, 2002

      4 박인숙,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314-327, 2011

      5 Pintrich, P. R., "The Role of Metacognitive Knowledge in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41 (41): 219-225, 2002

      6 Kim, 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 Evaluation Instrument Based on the National Achievement Standards and Evaluation Criteria – Focused in life science cont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8

      7 Bybee, R. W., "Teaching secondary school science: Strategies for development scientific literacy" Merrill 2008

      8 Bloom, B.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1:Congnitive domain" David Mckay 1956

      9 Duschl, R. A.,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 K-8" National Academies Press 2007

      10 Matthews, M. R., "Science teaching :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Routledge 2014

      11 Cho, H., "Science Education" Kyoyookgwahaksa 2014

      1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1-361 of the MEST"

      13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07-79 of the MEHRD"

      14 Wang, S., "Research for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tools on the National Curriculu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999

      15 Deno, S. L., "On the behaviorality of behavioral objectives" 6 (6): 18-24, 1969

      16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GSS Executive Summary"

      17 Marsh, C., "Key Concept for Understanding Curriculum Development" UNESCO 1992

      18 Jonassen, D. H.,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learning outcomes" 45 (45): 65-94, 1997

      19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Guide for Science Curriculum"

      20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 General Statement. Notification No. 2009-41 of the MEST"

      21 Cho, 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20 (20): 307-328, 2000

      22 Marzano, R. J., "Designing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orwin Press 2005

      23 Lee, H., "Classification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Biology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7

      24 위수민, "Bloom의 신교육 목표 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과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체계 비교"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 (30): 10-21, 2011

      25 이은영,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따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수업 목표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 (31): 1-12, 2012

      26 김영신,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570-579, 2007

      27 신진걸,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지리 수업목표의 진술과 평가의 실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6 (16): 129-144, 2008

      28 김윤희,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기초한 중학교 생물 영역 총괄 평가 문항의 목표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4 (34): 164-174, 2010

      29 곽대오,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의한 초등 과학 영재교육 자료의 수업목표 사례 분석" 한국영재학회 18 (18): 591-612, 2008

      30 Kreitzer, A., "Bloom's Taxonomy: A Forty Year Retrospective"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1994

      31 Ormell, C. P., "Bloom's Taxonomy and the Objectives of Education" 17 : 3-18, 1994

      32 이상희, "Archimedes의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분석을 통한 과학교육에의 함의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30-45, 2013

      33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ment for main respect of 2015 integrated curriculum of liberal art and natural science"

      34 이경숙, "Anderson이 개정한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의한 2007 개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제시된 인지적 학습목표 및 성취기준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3 (23): 53-68, 2011

      35 Kang, K., "Analysis of the cognitive domain in the science textbooks’ questions. - Focused on “Materials” in the 7th grade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4 (4): 125-132, 2010

      36 Anderson, L. W.,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Pearson 2005

      37 Kim, S., "A review of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evaluation criteria’ in national level" 11 (11): 47-73, 1998

      38 Choi, K., "A Study for the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 Focusing o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nd Classroom Observations" 18 (18): 149-160, 1998

      39 Krathwohl, D. R.,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41 (41): 212-218, 2002

      40 Kim, E. C., "A Resource Guide for Secondary School Teaching" Macmillan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54 2.13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