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Acinetobacter 병원내 폐렴에서 다제 내성군과 약제 감수성군 간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박인일 ( In Il Park ),김익근 ( Ick Keun Kim ),구현철 ( Hyun Cheol Koo ),한재필 ( Jae Pil Han ),김영묵 ( Young Mook Kim ),이명구 ( Myung Goo Lee ),정기석 ( Ki Suck Jung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6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1 No.1

        연구 배경: A. baumannii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병원 내 병원균으로 부각되고 있고 이들 균에 의한 감염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 감염에 연관된 사망률(균혈증:52%, 폐렴:23-73%)은 매우 높고 다제 내성은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다제 내성 A. baumannii 감염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 이들의 임상 특징과 결과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A. baumannii 병원내 폐렴 중 다제 내성군과 약제 감수성군간의 임상적 특징, 사망률, 이환율을 비교하였다. 방법: 2002년 1월 1일부터 2004년 11월 1일까지 춘천성심병원에 입원했던 환자 중 Acinetobacter 병원 내 폐렴으로 판단되는 47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제 내성 A. baumannii를 실험 환경에서 A. baumannii에 효과적이며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47명의 A. baumannii 병원내 폐렴 환자 중 17명이 다제 내성군, 30명이 약제 감수성군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다제 내성군은 69±11세, 약제 감수성군 70±13세이었고 APACHE II 점수, 중환자실 입원기간, 사망률에 있어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16.1±5.4 vs 14.9±4.8, P=0.43, 25.1±13.6 vs 39.1±31.0, P=0.2, 58.8% vs 40%, P=0.21). 결론: Acinetobacter baumannii 다제 내성군과 약제 감수성군 간의 사망률과 임상적 특징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양군 모두 사망률과 이환율은 높게 나타나 A. baumannii 감염의 효과적인 감시 및 조절이 지속적으로 필요하겠다. Background: Acinetobacter baumannii has emerged as an important nosocomial pathogen worldwide. The incidence of these infections has recently begun to increase. The mortality rate associated with these infections is high (bacteremia; 52%, pneumonia: 23%~73%) and multidrug resistance has been reported.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MDR-AB), the impact of these organisms in clinical practice should be determined.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mortality and morbidity of Acinetobacter nosocomial pneumonia between MDR strain and non-MDR strain. Methods: From Jan. 1, 2002 to Nov. 1. 2004, 47 adult patients with Acinetobacter nosocomial pneumonia in Chuncheon Sacred Heart Hospital were recruited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MDR-AB was defined as showing in vitro resistance to all commercially available antibiotics against A. baumannii. Results: There were 47 patients with Acinetobacter nosocomial pneumonia. MDR-AB and non MDR-AB was the cause of the pneumonia in 17 and 30 patients, respectively. Mean age of the former was 69±11 years old and the latter was 70±13 years old. The mean APCHE II score, ICU days and mortality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16.1±5.4 vs. 14.9±4.8, P=0.43, 25.1±13.6 vs. 39.1±31.0, P=0.2, 58.8% vs. 40%, P=0.21). Conclusion: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rtality and morbidity between MDR and non-MDR Acinetobacter baumannii. The mortality of the two groups is surprisingly high, therefore proper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re essential. (Tuberc Respir Dis 2006; 61: 13-19)

      • SCOPUSKCI등재

        다약제 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에 의한 폐렴에서 Colistin 분무치료의 효과

        최혜숙 ( Hye Sook Choi ),황연희 ( Yeon Hee Hwang ),박명재 ( Myung Jae Park ),강홍모 ( Hong Mo Kang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4 No.1

        연구배경: Acinetobacter baumannii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이 자주 발생하며 MDR Acinetobacter baumannii 감염의 치료 시 항생제 선택에 어려움이 있다. Colistin은 그람 음성균에 효과적이며 MDR Acinetobacter균에 감수성을 보이나 전신투여 시 신독성, 신경독성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잘 쓰이지 않는 약제이다. 전신투여에 의한 부작용을 회피하는 방법으로 분무치료가 있다. 그러나 MDR Acinetobacter baumannii 페렴환자에서 colistin 분무치료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국내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어서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6년 12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중환자실의 폐렴환자 중에서 호흡기검체 배양검사를 통해 imipenem에 내성을 포함한 MDR Acinetobacter baumannii균에 의한 폐렴이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항생제 정맥주사와 더불어 하루 3번의 colistin 분무치료를 시행했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임상 소견, 신기능, 인공호흡기의 최대기도압의 변화를 분석 하였다 결 과: 총 31명의 환자에서 colistin 분무치료를 시행하였다. Colistin 사용기간은 14±7일이었으며, 하루 흡입용량은 225∼300 mg이었다. Colistin 분무치료 후 25명/31 명(80.6%)에서 Acinetobacter균이 제거되었으나 이 중 11 명(44%)에서는 2차 감염에 의한 새로운 균이 배양되었다. Colistin 분무치료 전, 후로 백혈구 수는 감소하였다. Colistin 분무치료 후 신기능의 장애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의미 있는 기관지경련의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기 어려운 MDR Acinetobacter baumanii에 의한 폐렴을 치료하는데 colistin 분무치료는 비교적 높은 균 제거율과 낮은 부작용을 보이므로 고려해 볼 수 있는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cinetobacter infections are difficult to treat as they often exhibit multiple resistance to the antibiotic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for the treatment of pneumonia. Colistin is active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including the multiple drug resistant (MDR) Acinetobacter species. However,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colistin was abandoned because of its nephrotoxicity and neurotoxicity.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listin administered by aerosol in the treatment of pneumonia caused by MDR Acinetobacter baumannii.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from Dec. 2006 to Aug. 2007 who had been diagnosed as suffering from pneumonia due to MDR Acinetobacter baumannii and had been treated with nebulized colistin. Results: 31 patients received aerosolized colistin. The average duration of the treatment was 14±7 days and the daily dose of ranged from 225 mg to 300 mg. All patients received concomitant intravenous antimicrobial agents. The average length of the stay in the ICU was 34±21 days and in the hospital 58±52 days. The overall microbiological eradication was observed in 25 patients (80.6%). 14 of these (56%) were cured, and 11 (44%) were infected with other microorganisms. The overall crude mortality of the ICU was 48%. Nephrotoxicity and significant bronchial constriction did not occur in any patient during neublized colistin treatment. Conclusion: Nebulized colistin may be a safe and effective option in the treatment of pneumonia due to MDR Acinetobacter baumannii. Its role in therapy warrants further investigation in comparative studies. (Tuberc Respir Dis 2008;64:8-14)

      • KCI등재후보

        국내의 Acinetobacter baumannii와 Pseudomonas aeruginosa 임상분리주에 대한 Colistin과 Polymyxin B의 감수성 양상

        송원근,이태재,박민정,김한성,김재석,우흥정,이규만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배경 : 다약제 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와 Pseudomonas aeruginosa에 의한 감염의 증가로 인해 기존의 치료제를 대신할 수 있는 colistin이나 polymyxin B와 같은 대체 항균제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 분리된 A. baumannii와 P. aeruginosa에 대한 colistin과 polymyxin B의 감수성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국내 5개 대학병원에서 분리된 균주 중 ceftazidime과 imipenem의 감수성에 따라 93주의 A. baumannii와 99주의 P. aeruginosa를 선택하였다. 액체배지 미량희석법으로 colistin과 polymyxin B의 감수성을 시험하였다. 결과 : Ceftazidime과 imipenem이 감수성인 균주에서는 기타 β-lactam제, aminoglycoside제 및 ciprofloxacin에 대한 감수성율(각각 58-100%, 50-100%, 75-100%)이 높았으나, ceftazidime 또는 imipenem이 내성인 균주에서는 위의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율이(각각 ≤31%, ≤47%, ≤18%)이 낮았다(P<0.05). Colistin과 polymyxin B에 대한 A baumannii (MIC_(50/90), 1/2 ㎍/mL)와 P. aeruginosa(MIC_(50/90), 1/1 ㎍/mL)에의 항균 범위는 거의 유사하였고 두 약제 모두 매우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A. baumannii에서는 1주(1.1%)가 colistin 내성(MIC, 4 ㎍/ mL)이 었으나 polymyxin B에는 감수성(MIC, 2 ㎍/mL)이었으며 이외의 모든 A. baumannii와 P. aeruginosa는 colistin과 polymyxin B에 감수성(MIC, ≤2 ㎍/mL)이었다. 결론 : 국내에서 colistin과 polymyxin B에 둘 다 내성인 A. baumannii나 P. aeruginosa 감염은 없었다. 따라서polymyxin제를 다약제 내성 A. baumannii나 P. aeruginosa 감염에 대한 대체 항균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he emergence of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and Pseudomonas aeruginosa has become a major problem. The use of nontraditional agents such as colistin and polymyxin B have been tr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listin and polymyxin B susceptibility of A. baumannii and P. aeruginosa isolate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According to susceptibility of ceftazidime and imipenem, selected 93 isolates of A. baumannii and 99 isolates of P. aeruginosa were collected from 5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Susceptibility to colistin and polymyxin B was tested using the reference broth microdilution method. Results : The rates of other β-lactams, aminoglycosides, and ciprofloxacin susceptibility were high (58-100%, 50-100%, and 75-100%, respectively) in ceftazidime- and imipenem-susceptible isolates but were low (≤31%, ≤47%, and ≤18%, respectively) in ceftazidime- or imipenem-resistant isolates (P<0.05). Colistin and polymyxin B displayed a nearly identical spectrum of activity, exhibiting excellent potency against A. baumannii (MIC_(50/90), 1/2 ㎍/mL) and P. aeruginosa (MIC_(50/90), 1/1 ㎍/mL). Only one of the A. baumannii isolates was resistant to colistin (MIC, 4 ㎍/mL), but the isolate was susceptible to polymyxin B (MIC, 2 ㎍/mL). Conclusion : In Korea, no A. baumannii and P. aeruginosa isolates were resistant to both colistin and polymyxin B. These data suggested that polymyxins may be alternative drugs for multidrug- resistant A. baumannii and P. aeruginosa isolates.

      •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Acinetobacter의 항균제 내성(1991-1997)

        송호연,조성란,김휘준,고광균 대한화학요법학회 1998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6 No.2

        목적 : 최근 원내감염의 중요 원인균으로 대두되고 있는 A. baumannii의 발생 양상 및 병동 별 항균제 내성의 변화 추이를 조사하여 치료시 적절한 항균제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7년간 한 대학병원의 입원환자로부터 분리 동정된 Acinetobacter의 균종별, 계절별, 임상검체별 분리양상을 조사하고 디스코 확산법에 의한 항균제 내성의 변화 추이 및 중환자실과 일반 병실에서의 항균제 내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분리 동정된 Acinetobacter 4,128균주 중 91.5%가 A. baumannii로 연도에 따라 발생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여름철이 호흡기계 검체로부터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A. baumannii로 imipenem과 ciprofloxacin을 제외한 대부분의 항균제에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고 많은 항균제에서 내성율이 연도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3,777균주의 A. baumannii 중 45.2%가 중환자실 및 신생아실에서 분리되었는데 이는 중환자실 입원 환자수가 일반병동보다 훨씬 적은 것을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발병율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환자실에서 분리된 균주의 다제내성율은 일반병동에서 분리된 균주보다 훨씬 높았다. 결론 : 중환자실에는 일반병동에 비해 다제내성율이 훨씬 높아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된 중증환자들의 생명을 끊임없이 위협하고 있는데 이런 다제내성균의 출현 및 원내감염을 줄이기 우한 중환자실만의 집중적인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Acinetobacter baumannii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causative agent of nosocomial infec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nging pattern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to guide for antimicrobial therapy of infection by A. baumannii. So we compared the rate of miltidrug-resistance between ICU and general wards and we analyzed the trends of antimicrobial resistan changes during the past seven years. Methods : Acinetobacter isolated from 1991 to 1997 at a tertiary hospital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species, wards, seasons and clinical specimens. We tested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by the standard disk diffusion method and compared the multidrug-resistant patterns of A. baumannii isolated from ICU with those from general wards. Results : Among the 4,128 Acinetobacter isolates, A. baymannii was the most common species(91.5%), followed by A. Iwoff??(8.5%), Acinetobacter species were isolated mainly from respiratory specimens during the summer. A. baumannii showed high resistance rates to most of antibiotics except imipenem and ciprofloxacin and resistance rates were increasing year after year. Forty-five percent of A. baumannii was isolated from ICU and neonate room, it showed higher multidrug-resistance rate than those generated from general wards. Conclusion : Multidrug-resistant. A. baumannii was predominant in ICU than general wards. It will contribute to increase of mortality due to nosocomial infection in severly ill patients. In order to reduce occuranc of multidrug-resistant isolates and noscomial infection in ICU,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intensive surveillance system in ICU.

      • 소아 화상환자에서 배양된 Acinetobacter baumannii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양상의 변화

        이상민,이소연,김영호,이규만,장영철,김광남 대한소아감염학회 2008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5 No.2

        Purpose :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A. baumannii) is recognized to be the most difficult pathogen to control and treat in pediatric burn centers. We analyzed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pattern of A. baumannii in our pediatric burn intensive care unit during the past 7 year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56 patients (105 samples) under the age 15 years and who were infected with A. baumannii between January 1999 and December 2005. Results : Fot the 56 patients, the ratio of males to females was 1.15:1 and the median age was 48.3 months. The sites of 105 isolates were wounds (65%), sputum (20%), blood (6 %), cutdown tips (5%), endo-tip tubes (2%) and urine (2%). A. baumannii presented yearround. The annual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 increased and the multidrug resistant rate for two or more antibiotics was 93.33%. For 3 patients in whom resistance emerged, the interval period between the susceptible and resistant strains after antibiotic use was a mean of 10 days. The A. baumannii isolated from blood were all multi-drug resistant pathogens. Conclusion : Multidrug resistance of A. baumannii is increasing. Strict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and active surveillance are need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 baumannii in hospitals.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8;15:146-151) Purpose :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A. baumannii) is recognized to be the most difficult pathogen to control and treat in pediatric burn centers. We analyzed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pattern of A. baumannii in our pediatric burn intensive care unit during the past 7 year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56 patients (105 samples) under the age 15 years and who were infected with A. baumannii between January 1999 and December 2005. Results : Fot the 56 patients, the ratio of males to females was 1.15:1 and the median age was 48.3 months. The sites of 105 isolates were wounds (65%), sputum (20%), blood (6 %), cutdown tips (5%), endo-tip tubes (2%) and urine (2%). A. baumannii presented yearround. The annual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 increased and the multidrug resistant rate for two or more antibiotics was 93.33%. For 3 patients in whom resistance emerged, the interval period between the susceptible and resistant strains after antibiotic use was a mean of 10 days. The A. baumannii isolated from blood were all multi-drug resistant pathogens. Conclusion : Multidrug resistance of A. baumannii is increasing. Strict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and active surveillance are need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 baumannii in hospitals.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8;15:146-151)

      • KCI등재후보

        다제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 의 항생제 내성 유전자분석

        임진아 ( Jina Lim ),이규상 ( Gyusang Lee ),최연임 ( Yeonim Choi ),김종배 ( Jongbae Kim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16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48 No.3

        Acinetobacter baumannii는 병원환경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원내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으로 병원에서 집단감염 일으키고, 중증의 기저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감염되면 감염환자의 사망률이 다른 환자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천안시에 소재한 대학병원 두 곳의 진단검사의학과에 의뢰된 가검물에서 분리한 다제 내성 A. baumannii 85주의 항생제내성률과 내성유전자 양상에 대해 조사하였다. Carbapenemase와 Class B .-lactamase의 생성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modifiedHodge test (MHT)와 IMP-EDTA double-disk synergy test를 실시하였다. 항생제 내성을 유발하는 carbapenemases, 16S rRNAmethylases, aminoglycoside-modifying enzymes (AMEs)을 확인하기 위하여 PCR을 시행 하였으며, A. baumannii가 분리된 두대학병원간 분리균주의 유전학적인 근연도를 확인하기 위해 REP-PCR을 시행하였다. 실험결과 3균주를 제외한 82균주(96.5%)에서 bla<sub>OXA-23-like</sub>과 bla<sub>OXA-51-like</sub>이 검출되었다. bla<sub>OXA-23-like</sub>유전자가 검출된 균주에서는 bla<sub>OXA-23-like</sub> 유전자 상부에 ISAba1유전자가 확인되어 carbapenemase에 대한 내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Aminoglycoside에 대한 내성을 유발하는 16SrRNA methylase 유전자인 armA는 A병원에서 분리한 38균주 중34균주(89.5%)에서, B병원에서 분리한 47균주 중 40균주(85.1%)에서 확인되었고, aminoglycoside modifying emzyme 유전자는 A병원 유래 38 균주 중 33 균주(70.2%)에서, B병원 유래 47균주 중44 균주(93.6%)에서 aac(3)-IIa/ant(2 ````)-Ia/aac(6 ``)-Ib가 확인됨에 따라 천안지역에서 분리되는 대부분의 다제 내성 A. baumannii균주는 acethyltransferase와 adenyltransferase를 동시에 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는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분리된 MDR A. baumannii를 대상으로 한 보고서로서, 항생제 내성유형과 내성 유전자의 분포를 확인하여 MDR A. baumannii 균주에의한 감염증의 치료 지침과 내성세균 확산 방지를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cinetobacter baumannii (A. baumannii) is prevalent in hospital environments and is an important opportunistic pathogen of nosocomial infection. It is known that this pathogen cause herd infection in hospitals, and the mortality rate is remarkably higher for patients infected with this pathogen and already have other underlying diseases. Herein, we investigated the antibiotic resistance rate and the type of resistance genes in 85 isolates of multi-drug resistant A. baumannii from the samples commissioned to laboratory medicine in two university hospitals.in hospital A and hospital B.located in Cheonan and Chungcheong provinces, respectively, in Korea. As a result, bla<sub>OXA-23-like</sub>-like and bla<sub>OXA-51-like</sub>-like were detected in 82 stains (96.5%). These 82 strains of bla<sub>OXA-23-like</sub> producing A. baumannii were confirmed with the ISAba1 gene found at the top of the bla<sub>OXA-23-like</sub> genes by PCR, inducing the resistance against carbapenemase. The armA, AME gene that induces the resistance against aminoglycoside was detected in 34 strains out of 38 strains from Hospital A (89.5%), and in 40 strains out of 47 strains from Hospital B (85.1%), while AMEs were found in 33 strains out of 38 strains from Hospital A (70.2%) and in 44 strains out of 47 strains in Hospital B (93.6%). Therefore, it was found that most multi-drug resistant A. baumannii from the Cheonan area expressed both acethyltransferase and adenyltransfera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ulti-drug resistant A. baumannii isolated from Cheonan and Chungcheong provinces in Korea, and it is thought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information to cure multi-drug resistant A. baumannii infections and to prevent the spread of drug resistance.

      • KCI등재

        충청지역의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Acinetobacter calcoaceticus-baumannii Complex를 대상으로 항균제 내성 유전자 비교분석

        성지연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17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49 No.4

        Species that belong to the Acinetobacter calcoaceticus-baumannii (Acb) complex are major causes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s. They are important opportunistic pathogens. These species are usually multidrug resistant (MDR), and the therapeutic options to treat the infections caused by these species are limite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fluoroquinolone resistance mechanisms in 53 ciprofloxacin resistant Acinetobacter species isolates in Chungcheong, Korea.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were determined using the disk-diffusion method. Detections of genes and identification of mutations associated with fluoroquinolone resistance were carried out using PCR and DNA sequencing. In our study, 47 out of 53 ciprofloxacin resistant Acinetobacter isolates harbored sense mutations at the 83rd residue (serine to leucine) in the gyrA gene as well as at the 80th residue (serine to leucine) in the parC gene. Among the 47 isolates harboring sense mutations in gyrA and parC gene, 44 isolates were A. baumannii and 3 isolates were A. pittii. Plasmid-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PMQR) determinants were detected in isolates in our study. Among the 46 ciprofloxacin resistant A. baumannii isolates, 41 showed type A, B, or F banding patterns on their REP-PCR profiles. This result suggests that clonal relation and horizontal spreading of the bacterial isolates have been around hospitals in Chungcheong area. To prevent colonization and disseminations of fluoroquinolone resistance Acb complex isolates, continuous investigation and monitoring of antimicrobial resistant determinants of MDR isolates are needed. Acinetobacter calcoaceticus-baumannii (Acb) complex 에 속한 종들은 빈번하게 병원감염 및 기회감염을 일으킨다. 또한 다제내성인 경우가 많아 이 균들의 감염증 치료를 위한 항균제 선택이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ciprofloxacin 내성Acinetobacter species 53균주를 대상으로 fluoroquinolone 내성기전을 조사했다. 항균제 감수성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디스크확산법이 시행되었다. Fluoroquinolone 내성과 관련된 유전자 및 돌연변이 검출을 위해 PCR과 염기서열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53균주의 ciprofloxacin 내성Acinetobacter 중 47균주가 gyrA 유전자의 83번째 serine 아미노산 잔기와 parC 유전자의 80번째 serine 아미노산 잔기가 leucine 잔기로 치환된 sense mutations 가지고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gyrA와 parC 유전자에 sense mutations을 가지고있는 47균주 중 44균주가 A. baumannii 였고 3균주는 A. pittii 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이 되었던 Acb complex 균주들 중plasmid-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PMQR) determinants를가지고 있는 균주는 한나도 없었다. 46 균주의ciprofloxacin 내성 A. baumannii 는 A, B, 또는 F형의banding pattern을 보였는데 이는 충청지역에 위치한 일개의병원에 ciprofloxacin 내성 A. baumannii가 수평확산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Fluoroquinolone 내성 Acb complex 균주의집락화 및 확산을 막기 위해서 다제내성 균주들을 대상으로 항균제 내성인자들을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한 병원의 집중치료실에서 분리된 Imipenem 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의 비율과 Carbapenem 계열 항균제 처방의 상관관계

        홍성극,성문우,이도훈,김의종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2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2 No.4

        Carbapenem resistance in Acinetobacter baumannii has increased rapidly worldwide.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carbapenem prescription in a hospital has a significant impact on imipenem resistance in A. baumannii.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validating these assumptions with statistical data. We performed a surveillance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bapenem prescription trends and the imipenem resistance rate of A. baumannii in an ICU. Carbapenem prescription data in the WHO 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ATC)/defined daily dose (DDD) format for the period from 2006 to 2010 were obtained from the hospital electronic pharmacy records. In the same period, microbiologic data for the ICU were extracted from the 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Imipenem resistance rates of A. baumannii increased from 4.3% in 2006 to 83.8% in 2010 (P <0.05; r2=0.85). Carbapenem prescription had increased from 19.71 DDD per 1,000 inpatient-days in 2006 to 36.99 DDD per 1,000 inpatientdays in 2010 (P <0.05; r2=0.95). Carbapenem prescription rate correlated with the imipenem resistance rate in A. baumannii (P <0.05; R=0.9). The results of our study demonstrated a correlation between carbapenem prescription trends and imipenem resistance in A. baumannii. Carbapenem 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가 전세계적으로증가하고 있다. Carbapenem 계열 항생제 사용의 증가가 imipenem 내성 A. baumannii의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일반적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 통계적인 자료를 이용해서 밝힌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경기도에 소재하는 한 병원에서 carbapenem 계열 항생제 처방량과집중치료실에서 동정된 imipenem 내성 A. baumannii 내성률의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Carbapenem 계열 항생제 처방 자료들은병원 전산기록을 통해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자료를 WHO ATC/DDD 단위로 얻었다. 같은 기간의 미생물검사 자료들은 미생물검사실 정보 시스템인 WHONET (WHO, Geneva, Switzerland)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얻었다. Imipenem 내성 A. baumannii의비율은 2006년에는 4.3%에서 2010년에는 83.8%로 증가하였다(P<0.05; r2 =0.85). 같은 기간 carbapenem 계열 항생제 처방은2006년에 19.71 DDD/1,000 inpatient-days에서 36.99 DDD/1,000inpatient-days로 증가하였다(P<0.05; r2 =0.95). Carbapenem 계열항생제 처방량의 증가와 imipenem 내성 A. baumannii의 증가는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R=0.90). Carbapenem 계열 항생제처방의 증가와 imipenem 내성 A. baumannii의 증가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단일기관 내 소아에서 Acinetobacter baumannii의 감염현황의 분석

        박혜진,김정민,김기환,김동수 대한소아감염학회 2011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8 No.1

        Purpose:Acinetobacter baumannii is an aerobic, gram negative coccobacillus. Due to its pathogenicity and ability to accumulate diverse mechanisms of resistance, the importance of this organism is increasing. Many reports have targeted adults, and studies of pediatric patients are limit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A. baumannii infection in children. Methods: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8, 505 patients hospitalized with A. baumannii infection were enrolled. Admission records for underlying diseas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previous antibiotic use, location of admission, presence of ventilator care, and resistance to antibiotic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nd analyzed. Results:Hemato-oncological disease and neurological disease were 30.6% and 24.3% of all cases; therefore, these were the most common underlying diseases of patients with A. baumannii infection. Prevalence of A. baumannii infection was 78.1% in patients with previous antibiotic use,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not using previous antibiotic. And prevalence of multi-drug resistant and pan-drug resistant A. baumannii infection was 76.4% and 38.3% in patients with ICU care, 76.8% and 38.9% with ventilator care, and these were higher than the others. Rate of resistance to all groups of antibiotics showed a gradual increase to over 50% in 2008. Multi-drug resistant A. baumannii was 63.5% and pan-drug resistant A. baumannii was 48.2% of all cases. Conclusion:Prevalence of A. baumannii infection and resistance to antibacterial agents of A. baumannii is increasing. Adequate use of antibiotics and infection control should be emphasized in pediatric patients. 목 적:A. baumannii는 원내 감염의 중요한 원인으로 다양한 감염증을 일으키고 있으며, 다양한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고, 다약제 및 범약제 내성도 점차 증가하고 있어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소아에서의 A. baumannii 감염 현황 및 내성 발생 현황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2001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치료 하였던 19세 이하의 소아환자 중 A. baumannii가 동정된 환자 505명, 680례에 대하여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다약제 내성은 3가지 이상의 항생제 그룹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거나 carbapenem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로 정의하였고, 범약제 내성은 세브란스 병원에서 항생제 감수성을 검사하는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낼 경우로 정의 하였다. A. baumannii의 감염빈도 및 항생제 내성 발생 현황의 연도별 추이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재원장소, 항생제 사용 유무, 기계 호흡유무 등에 따른 감염빈도 및 다약제, 범약제 내성 발생의 차이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이에 대해 카이제곱 검정, t-검정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알아보았다. 결과:A. baumannii가 동정된 환자들의 기저질환은 혈액종양성 질환, 신경계 질환이 각각 208례(30.6%), 165례(24.3%)로 가장 많았으며, 만성소모성 질환이 많았다. 객담과 소변검체에서 많이 동정되었다. A. baumanii의 검출 빈도는 항생제를 사용하였던 환자들에서 78.1%로, 사용하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더 높았다. 다약제 내성 및 범약제 내성 A. baumannii의 발생빈도는 중환자실 재원의 경우 각각 76.4%, 38.3%였고, 기계호흡을 하였던 경우 76.8%와 38.9%로 일반병실 재원 환자 및 기계호흡을 하지 않았던 환자보다 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 연도별 발생추이는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증가하다가 2005년 대폭 감소하였으며 이후 다시 증가하여 2008년에는 다약제 내성균주가 63.5%, 범약제 내성균주가 48.2%에 이르렀다. 항생제 내성균의 증가는 모든 계열의 항생제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2008년에는 모든 계열의 항생제가 50% 이상의 내성률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내성은 중환자실 재원여부, 항생제 사용 및 기계호흡 여부와 상관하여 증가하였다(P<0.0001). 결론:소아에서의 다약제내성, 범약제내성 A. baumannii의 증가는 항생제 과다사용 및 내성 균주의 전파 때문으로 생각되며, 철저한 환경관리가 A. baumannii 감염으로의 이환 및 내성 균주 발생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Colistin 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 감염의 위험인자

        정혜선,함초롱,이미애 대한임상미생물학회 2023 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Vol.26 No.2

        Acinetobacter baumannii는 의료관련 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이며, 거의 모든 약제에 내성을 보이며, 최근에는 colsitin에도 내성인 균주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listin 내성과 감수성 A. baumannii 감염 환자군의 비교를 통해 colistin 내성 A. baumannii 감염의 위험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Colistin 내성 A. baumannii가 분리된 51예와 colistin 감수성 A. baumannii 균주가 분리된 환자 10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는 호흡기계 질환의 기왕력(P = 0.017), 균 분리전 재원 기간(P = 0.004), 중환자실 입원력(P = 0.020), 이전의 기계 호흡(P =0.003), 기관절개술(P = 0.043), 혈액투석(P = 0.002), colistin 사용력(P = 0.000), carbapenem 계열 항균제 사용력(P = 0.000), teicoplanin 사용력(P = 0.004), 중복 감염(P = 0.035)이 colistin 내성군과 감수성군에서 차이에서 차이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는 teicoplanin 사용력(Odds ratio [OR], 3.140; 95% confidence interval [CI], 0.529-18.650; P = 0.208), 이전의 혈액투석(OR, 2.722; 95% CI, 0.851-8.709), 호흡기계 질환의 기왕력(OR, 2.286; 95% CI, 0.998-5.283), carbapenem 계열 항균제 사용력(OR, 0.199; 95% CI, 0.863-5.603), 중복 감염(OR, 1.706; 95% CI, 0.746-3.898), 이전의 기계 호흡(OR, 1.614; 95% CI, 0.684-3.809), 중환자실 입원력(OR, 1.387; 95% CI, 0.560-3.435), 이전의 기관절개술(OR, 1.102; 95% CI, 0.344-3.527)이 colistin 내성군에서 위험도가 높았으나,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Colistin 사용력의 경우 다중회귀분석에서 증명할 수 없었지만, 위험인자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Acinetobacter baumannii is an important cause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and is resistant to almost all antimicrobial agents, with strains recently reported to be resistant to colsitin.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olistin-resistant A. baumannii infections by comparing colistin-resistant and -susceptible A. baumannii isolate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51 and 100 cases in which colistinresistant and -susceptible A. baumannii were isolated, respectively.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compared with patients with colistin-sensitive infections, patients with colistinresistant A. baumanni infections had a combined pulmonary disease (P = 0.017), were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 (P = 0.020), and had prior mechanical ventilation (P = 0.003), tracheostomy (P = 0.043), percutaneous drainage (P = 0.070), hemodialysis (P = 0.002); use of colistin (P = 0.000), carbapenem (P = 0.000), and teicoplanin (P = 0.004); and co-infection (P = 0.035).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eight variables were related to the likelihood of colistin-resistant A. baumanni infections: use of teicoplanin (Odds ratio [OR]: 3.140, 95% confidence interval [CI]: 0.529–18.650), prior hemodialysis (OR: 2.722, 95% CI: 0.851–8.709), combined pulmonary disease (OR: 2.286, 95% CI: 0.998–5.283), prior use of carbapenem (OR: 0.199, 95% CI: 0.863–5.603), co-infection (OR: 1.706, 95% CI: 0.746–3.898), prior mechanical ventilation (OR: 1.614, 95% CI, 0.684–3.809),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OR: 1.387, 95% CI: 0.560–3.435), and prior tracheostomy (OR: 1.102, 95% CI: 0.344–3.527); however,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observed. Although colistin use could not be proven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possibility of being a risk factor cannot be ruled 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