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Jigsaw식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이웅(Woong Lee),강승호(Seung-Ho K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김세라․김진아․박병기(2007)의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을 Jigsaw 학습방법을 적용한 Jigsaw식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으로 수정․보완하여 두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수행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비교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S고등학교 1학년 세 학급에서 선발된 60명으로 A학급 20명은 Jigsaw식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에, B학급 20명은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에, C학급 20명은 통제집단에 각각 배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Jigsaw식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의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향상에 뚜렷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기존의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의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향상에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었다. 셋째, Jigsaw식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과 기존의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효과의 크기(ε)를 비교했을 때, Jigsaw식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기존의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보다 실험효과의 크기가 뚜렷하게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igsaw program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which took part in Jigsaw program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ly more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self-efficacy than control group. Second, the group which took part in academic performance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showed significantly more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class attendance self-efficacy as a subfactor than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thers; information processing self-efficacy and self-study self-efficacy.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academic performance self-efficacy between Jigsaw program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academic performance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However, comparing the size of effect(ε) of the two programs, the size of effect(ε) of Jigsaw program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self-efficacy was bigger than that of academic performance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This study showed that Jigsaw program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self-efficacy could be better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self-efficacy than academic performance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 KCI등재

        대학생이 인식하는 강의 질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경민(Choi, Kyeong-Min),백제은(Bak, Ja-eun),김경현(Kim, Kyu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본 연구에서는 수업에서 대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강의 질과 학습 만족도에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을 상승시키는 강의 질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2학기에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 3개교를 선정하여 재학생 620명에게 강의 질,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를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들 각 요인들의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강의 질의 하위변인 중 수업내용은 학업적 자기효능 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내용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변 인(과제난이도 선호도,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에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강의 질의 하위변인 중 학습환경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 효능감에만 정적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강의 질의 모든 하위변인(수업내용, 상호작용, 학습환 경)은 학습만족도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셋째, 강의 질(수업내용, 상호작용, 학습환 경)과 학습만족도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변인(과제난이도 선호도, 자기 조절 효능감, 자신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학습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의 질 중 수업내용과 학습환경의 개선을 통하여 학 업적 자기효능감을 고양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강의 질 개선에 있어서 교수자의 노력뿐만 아니라 학교 측면에서의 제도적인 지원이 뒷받 침된 학습환경 개선이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승효과를 위해 강의 질과 학습환경의 개선이 대학교육의 질 을 향상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 among lecture quality ,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satisfaction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specific information on improving academic lecture level by checking whether academic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academic lecture quality and academic satisfaction. This study sets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First, what effects do the lecture quality (lecture content, interaction, lecture environment) have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lecture difficulty preference, self-control efficacy, confidence) and the academic satisfaction for university students ? Second, does the academic self-efficacy play a mediating role from the relation between the lecture quality and the academic satisfaction ?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naire survey containing lecture quality ,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satisfaction scale targeting 620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Jeollabuk-do.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 Firstly , the lecture content of quality showed that it influenced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The lecture content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s all sub -factors (lecture difficulty preference, self-control efficacy , confidence), and the academic environment which is another element of lecture quality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Secondly, all the academic self-efficacy s sub -factor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lecture quality and the academic satisfaction. Through the study s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the professors effort and the universities systematic support on improving the lecture quality to enhance th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Such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offer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academic education quality .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중심으로

        황은정(Hwang Eun Jeong),문숙자(Moon Sook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사회적지지,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전남 소재 S 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35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 5일부터 10월 23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는 전공만족도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셀프리더십과 사회적지지, 학업적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 간에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위영역에서 가족지지는 모두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셀프리더십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은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을 측정하고 이를 함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훈련과 지원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7 students from S University nursing department in Jeonnam,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5, 2020 to October 23,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Windows 20.0 Program. Results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jor satisfaction,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social support ha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but family support had a full mediating role in all sub-areas. Conclusions I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upport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which has recently emerg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universities need continuous training and support to measure and cultivate self-leadership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청소년의 학습시간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행동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개인공부시간과 사교육시간을 중심으로

        조은별,박수원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6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y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olescents. The present study divided study time into self-study time and private tutoring time to investigate whether their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would differ. The academic achievement data of 21,390 middle school students and 29,698 high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from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provided b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The results suggest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both mediate study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lthough self-study time had less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an private tutoring time did, its indirect effect of mediat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was significant enough to induce greater total effects than that of private tutoring time. Lastly,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more susceptible to academic self-efficacy mediated by study time. The results propose that self-study time could be more effective than private tutoring time for better academic achievement, especiall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is also necessitates the need for improving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enhance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in learning such as academic self-efficacy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relevant to the school grade. 본 연구의 목적은 중, 고등학생의 학습시간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행동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특히 학습시간을 개인공부시간과 사교육시간으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두 유형의 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공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3학년 21,390명과 고등학교 1학년 29,69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행동조절능력이 학습시간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공부시간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분석에서 직접효과는 사교육시간에 비해 적었으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컸기 때문에 총효과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 집단보다는 중학생 집단에서 학습시간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인공부시간이 사교육시간에 비해 장기적 관점에서 학업성취에 보다 긍정적이며, 각 학습시간 동안 학습자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행동조절능력과 같은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이 학교급에 따라 차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개인별 변화궤적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김남연,김재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is study classified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in adolescence and analyzed the effect of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amily factors, and school factors on the potential class type of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Methods In the data of the Daegu Institute of Future Education's Daegu Education Longitudinary Study, some of the data tracked every year for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2017 to 2020 were analyzed.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the types of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were classified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types of potential classes. Results As a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rajectory types of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Low-level radical upward type’, ‘Medium-level maintenance type’, and ‘High-level gradual upward type’. Academic self-efficacy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 potential classes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self-recognition among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actors, and the better the challenge, the more likely it was to be included in the “Medium-level maintenance type” or “High-level gradual increase type.” The higher the parent's support,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ing included in the ‘Medium-level maintenance type’ and the ‘High-level gradual increase type’, the better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higher the parent's support,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ing included in the ‘High-level gradual increase type’. In terms of school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better the friend relationship and the higher the teacher's support, the more it was included in the ‘low-level radical rise type’.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average change in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for four years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was significant. In addition, predictors that are included in each type of ‘Low-level radical rising type’, ‘Medium-level maintenance type’, and ‘High-level gradual rising type’ of academic self-efficacy were identified, and the effects of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amily factors, and school factors on adolescents were explored.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actors affecting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through thi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life. It is also meaningful that it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school education and the role of teachers to improve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궤적을 분류하여 개인심리 특성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궤적의 잠재계층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대구미래교육연구원의 대구교육종단연구(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데이터에서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2017년에서 2020년까지 4년간 매년 추적한 데이터의 일부를 활용하였다.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궤적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으며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궤적의 잠재계층 유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궤적 유형은 ‘저수준 급진상승형’, ‘중수준 유지형’, ‘고수준 점진상승형’ 3개의 유형으로분류되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개인별 잠재계층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개인심리특성요인 중에서는 자기인정, 도전을 잘할수록‘중수준 유지형’이나 ‘고수준 점진상승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가정요인은 부모의 지원이 높을수록 ‘중수준 유지형’, ‘고수준점진상승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으며, 부모자녀 관계가 좋을수록, 부모의 지원이 높을수록 ‘고수준 점진상승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학교요인에서는 친구 관계가 좋고 교사의 지지가 높을수록 ‘저수준 급진상승형’에 포함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이 될 때까지 4년간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평균적 변화가 존재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개인 간 차이가 유의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저수준 급진상승형’, ‘중수준 유지형’, ‘고수준 점진상승형’ 각 유형에 포함되도록 하는 예측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안에서 개인심리 특성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이 청소년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여,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이 학업성취 및 학교생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학교 교육 및 교사의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학업적 정서조절이 놀이지원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김채연,지성화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4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academic emotion regulation on play supporting efficac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31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ademic self-efficacy test’, ‘Social support test’, ‘Academic emotion regulation test’, and ‘Play supporting efficacy test’ were used to collect research data. The collected research data were analyzed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Play supporting efficacy’. Furthermor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was found to be the highest positive predictor of ‘Play supporting efficac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sub-factor, ‘self-regulation efficacy’, a sub-factor of ‘Academic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a static predictor of ‘Play supporting efficacy’, followed by ‘support from friends,’ ‘support from parent/family’, and ‘support from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an academic environment that can support the positive emo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well a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that consists academic emotion regul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meaningful implications on the play supporting efficac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인과관계

        주희진(Ju Hee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와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모형 추정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최대우도 추정법으로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추정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기결정성 동기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는 정적으로, 학업성취에는 부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에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통해서, 학업성취에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결론적으로 자기결정성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모두 학업성취를 예언할 수 있는 변수이지만 독립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보다는 서로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변수들간의 연계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초등학생들이 높은 학업성취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변수들을 모두 포함하여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고려한 통합적 조력 프로그램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Model fit indices have been estimated to examine the model identification using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structural relationship has been analyzed using structur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positively affec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negatively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It affects academic self-efficacy indirectly vi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directly. It also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vi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indirectly. In conclusi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re variables to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t is more effective when they are closely connected each other than when they affect academic achievement independently. To increas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ll of these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ir cause and affect relationships. « Key Word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고등학생의 완벽주의가 학업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전선미,박주희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8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and also investigated whether academic self-efficacy moderated the relations between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10 students (252 boys and 258 girls) in three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was examined by using the analysis procedures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s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self-efficacy decreased academic procrastination whereas the level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increased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moderated the effects of both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their academic procrastination. Specifically, the influence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greater when the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was high, compared to when it was low.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significant when the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was high, but not when it was low.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완벽주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완벽주의가 학업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는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의 세 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510명(남 252명, 여 258명)을 대상으로 Aitken(1982)의 학업 지연행동 척도, Hewitt과 Flett(1991)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김아영과 박인영(2001)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수준이 낮을수록 학업 지연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낮았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학업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유의함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백승원(Baek, Seung-Won),윤채영(Yun, Chae-Y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using panel data of Busan Educational Longitudial Study, and through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to verif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in this structural relationship. Method: The data of this study included the first year(2016) to third year(2018) of 2,812 first graders in 50 middle schools in Busan.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itial state and rate of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ll was changed with time. Second, in the longitudinal path among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academic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me latent factors as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However, the path of different latent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rate of career maturity in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self-efficacy had a negative effect, and the path to change rate in the initial value of other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The initial value of career maturity mediated the path that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efficacy led to the initial value of school adaptation, and the rate of change in career maturity mediated the path that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self-efficacy led to the rate of change in school adapt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f academic self-efficacy is high at the time of admission to middle school, it will be carried out to explore their career specifically and to achieve career related goals based on self-confidence and self-understanding that will perform various behaviors successfully as well as learning, the driving force for adapting to school life.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중1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및 학교적응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교적응의 종단적인 관계를 검증하고 이 구조적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데이터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중1 패널로 부산시 소재 중학교 50개교에 1학년 재학생 2,812명의 1차년도(2016년)~3차년도(2018년) 자료이다. 연구변인 간 관계의 초기상태 및 변화율에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학교적응은 모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학교적응 간 종단적 경로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의 초기치, 즉 중1에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의 관계는 초기치에서 초기치, 변화율에서 변화율과 같이 동일한 잠재요인에서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초기치에서 진로성숙도의 변화율에 미치는 상이한 잠재요인의 경로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다른 변인의 초기치에서 변화율에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진로성숙도의 초기치는 학업적 효능감의 초기치가 학교적응의 초기치로 이어지는 경로를 부분매개하였으며, 진로성숙도의 변화율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율이 학교적응의 변화율로 이어지는 경로를 부분매개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학교 입학 시기에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다면 학습뿐만 아니라 다양한 행동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자기확신과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본인의 진로를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실천으로 옮길 것이고, 이는 곧 학교생활에 적응해 나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무기력, 학업성취의 종단적 관계

        우연경(Yeon-Kyoung Woo),노언경(Unkyung No)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1-3차년도 중학생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무기력, 학업성취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무기력, 학업성취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적인지, 이전 시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무기력, 학업성취 수준이 이후 시점의 각 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교 1학년 시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무기력, 학업성취는 중학교 2, 3학년 시점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둘째, 이전 시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이후 시점의 학업무기력을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학업성취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이전 시점의 학업무기력은 이후 시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이전 시점의 학업성취는 이후 시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반면, 학업무기력은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업무기력을 해소하기 위한 예방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중재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longitudinal inter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helpless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data from the 1st-3rd wav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By apply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helpless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seen to be stable over time, and the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helpless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t the previous time point are verified to affect each variable at the later time point. As a result, first,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helpless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t the time of the first year remained stable until the second and third year of middle school.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at the previous time negatively predicted academic helplessness at the later time and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Third, academic helplessness at the previous time predicted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t the later time negatively. Fourth, while academic achievement at a previous time point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self-efficacy at a later time point, it was found that academic helplessness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academic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intervention program is needed as a preventive measure to resolve academic helpless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