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CN 자녀의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AAC 부모교육에 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2014~2023년 연구를 중심으로

        조아라,이영지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3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11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AAC for parents over the past 10 years. Method: A total of 11 studies on AAC parental education conducted between 2014 and 2023 were selected, an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and the parental education intervention and child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Results: Research on AAC parental education has recently increased, with 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not only the improvement in children's communication abilities and parental communication-prompting strategies but also parenting stress. The most commonly used strategies in parental education were oral explanations, guidance on intervention strategies, and role-playing and rehearsal. Printed materials were also used in many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he intervention fidelity of parents in their children's communication was assessed in almost all studies and mainly focused on topics related to daily life in a home setting.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AC parental education needs to first expand the verification of AAC educational effects not only for parents but also for their children, and secondly, studies using variou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AAC parental education research need to be expanded. Thir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ontent of parental education based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child.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 년간의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AAC 부모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연구 목적에 따라 2014 년부터 2023 년 사이에 이루어진 국내외 AAC 부모교육 연구 총 11 편을 선정하였고, 연구의 전반적 특성과 부모교육의 중재 특성, 이를 적용한 아동 중재에 관한 특성이 분석되었다. 결과: 국내외 AAC 부모교육 연구는 최근 들어 실험연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부모의 의사소통 촉진 전략뿐 아니라 양육 스트레스까지 아동 변인과 부모 변인을 종속변수로 진행되었다. 부모교육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전략은 구어적 설명, 중재 전략 안내, 역할극과 연습 등이었다. 부모교육에 관한 중재 충실도는 소수의 연구에서만 평가되었지만, 부모의 아동에 대한 직접적 중재는 거의 모든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가 측정되었고, 중재 내용은 주로 가정에서의 일상생활 관련 내용이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에 따라, AAC 부모교육은 첫째, AAC 교육 효과를 부모뿐 아니라 이들의 자녀를 대상으로 검증을 확대할 필요가 있고 둘째, AAC 부모교육 연구에 양적, 질적으로 다양한연구방법을 사용하는 연구들이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자녀의 개별 특성 및 요구에 기반한 부모교육 내용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체중복장애인을 위한 AAC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의 의사소통 경험 및 지원요구

        조아라,이설희,최진희,박은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0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8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Education programs to support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fficulties are mainly provided to teachers and related experts. In contrast, support programs for parents who spend the most time with their children are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the AAC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children with CCN and to find out their support needs.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communication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AC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Results: Three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 Communication experience with children, 2) AAC parent education program experience, 3) Communication support needs. Conclusion: First, the AAC education program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family members other than parents, teachers, assistants, and peers. Second, families and schools should cooperate to maximiz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Third, parent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based on the composition of the training contents centered on the parties and specific cases. Fourth, the AAC education program needs to deal with not only the method of making AAC or using tools, but also the communication intervention strategy. 배경 및 목적: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Complex Communication Needs, CCN)를 가진 아동의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은 주로 교사나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제공되어 왔고, 실제 아동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육은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CCN을 가진 지체중복장애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AAC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들의 지원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CCN을 가진 지체중복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의사소통 경험과 지원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포커스그룹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3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자녀와의 의사소통 경험, 2) AAC 부모교육 프로그램 경험, 3) 의사소통 지원 요구. 논의 및 결론: 첫째, 부모 외 가족 구성원과 교사, 활동보조인, 또래 등으로 AAC 교육 프로그램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의사소통 중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가정과 학교가 협력하여야 한다. 셋째, 부모교육은 당사자 중심의 연수 내용 구성 및 구체적인 사례 중심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넷째, AAC교육 프로그램에는 AAC 제작이나 도구 사용방법 뿐 아니라 의사소통 중재전략을 비중있게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의 뇌성마비 자녀의 의사소통 발달을 위한 AAC 부모교육 효과

        고희선,최진희,박은경,박은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2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10 No.2

        배경 및 목적: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장애인의 의사소통 발달을 위해 AAC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며, 그들의 의사소통 주 상대자인 부모를 대상으로 한 AAC 부모교육은 뇌성마비 장애인의 의사소통 발달 촉진을 위해 필수적이다. 하지만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장애인의 부모를 대상으로 AAC 부모교육을 실행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의 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장애인의 의사소통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AAC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어머니와 자녀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자녀의 어머니를대상으로 부모교육을 실시하였고, 교육 전후에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AAC 부모교육 후, 어머니와 장애 자녀의 의사소통 행동의 사후검사 결과가 사전검사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첫째, AAC 부모교육은 어머니의의사소통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고, 장애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자신감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의사소통 중재 기술의 향상은 AAC 사용자인 장애 자녀의 의사소통 행동을 촉진하였다. 셋째, 다양하게 구성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내용은 어머니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하였고, 교육 만족도를 높였다.

      • KCI등재

        지체·중복장애 자녀의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자조모임에 참여한 부모의 경험과 인식

        김경양,박경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4

        연구목적: 부모들 스스로 자녀의 의사소통 지원을 위해 결성된 자조모임을 통해 자녀의 특성을 반영한 의사소통 도구제작 및 중재에 필요한 부모교육을 진행하여 부모들의 참여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참여자는 지체중복장애를 자녀로 둔 어머니 8명이었고, 자조모임별로 2그룹을 구성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여 3개의 대범주와 12개의 중범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지체중복장애학생 부모가 주도적으로 구성하여 운영한 자조모임의 경험과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부모 자조모임을 통한 변화와 향후 부모의 자녀 지원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기 위한 부모자조모임의 향후 실천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에게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지체중복장애가 있는 자녀를 양육과정에서 자녀의 현행 수준에 적합한 의사소통 중재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 및 부모 주도의 적극적인 부모모임 결성 및 참여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ental involvement experiences through parents' education for the production and intervention of communication tool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hildren through self-help groups formed to support their children's communication. Metho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eight mothers of children having brain disorders as primary disorders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duplicate disorders. Two self-help groups were organized to conduct focus group interviews. Results: The data were analyzed by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to derive three major categories and 12 major categories.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self-help groups organized and operated by parents of students with physically disabilities, the implications for change through parents' self-help groups, the ability of parents to support their children in the future, and the practices of parent self-help groups were analyz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arents should be informed about the method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appropriate to their current communication developmental level in the process of raising children with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the formation and participation of parent-centered parent self-help groups.

      • KCI등재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질적 연구

        김정연 ( Jeongyoun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1

        본 연구는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중재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에서의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의 부모 8명을 대상으로 9회기로 구성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조사자료, 현장연구일지, 교육 참여 소감문, 포커스 그룹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3개의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 (1)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의 부모가 아동의 의사소통 문제로 인해 겪는 어려움, (2)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의 어머니에 미치는 영향, (3)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요구 및 방안.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요소를 고찰하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과 학교와 가정을 연계한 교육 지원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in mother-child communicative interaction.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s offer mothers of children who have communication disorders and Cerebral Palsy. 8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so 8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to share their experiences regarding their participation to the program. Three themes emerged from qualitative analysis: (1) the impact of child``s communication difficulties on parents, (2) The effects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3) the support needed for implement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and the support plan for the family by parents education service, suggested the points to be considered afterwards in providing the assistance services to the family of a child with communicative disabilities through a parents education program within the nation. And it also presented the contents of parents education programs and methods in order to apply the knowledge related to communication to the parents, and not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Parent as a promoter for the communicative abilities of a chi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