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 연구

        임정완(Lim, Jeongwan)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14 영어교과교육 Vol.13 No.1

        To examine how English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is being used in public high schools in Seoul, this study surveyed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operation, contents, and the effects of level-differentiated English instruction. A total of 200 high school students and 42 high school teachers of English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exhibited overall moderat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 operation, especially the advanced level studen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views about level-differentiated English instruction among the students with different English proficiency. Third, the teachers responded that it was more effective for advanced level students than for other groups. Based on the findings, some pedagogical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rovement of level-differentiated English instruction.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교육 활동 변인 탐색

        남창우(Nam Chang woo),신수영(Shin Su y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교육 활동 변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2010년~2014년까지 5개년의 에듀데이터(EduData Service System) 중에서 1316개 고등학교의 6349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학교배경특성, 조사시기별 학교교육 여건, 프로그램 운영 관련 변인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다층성장모형(MG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운영 관련 변인으로는 수준별 이동 수업 여부, 교과교실제 실시 여부, 방과후학교 학생참여 비율 등을 포함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별 이동수업의 경우, 국어, 영어, 수학 교과 모두에서 수준별 이동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교실제의 경우, 국어, 영어, 수학 교과 모두에서 교과교실제 운영이 해당 교과목의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학교의 경우, 국어, 영어, 수학 교과 모두에서 방과후학교 참여가 해당 교과목의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과 학교유형, 지역규모 등을 통제한 연구모형 분석에서 효과의 크기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riables of school instructional activities influencing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e study utilized 6349 high school students using ‘Edudata Service System (2010-2014)’ from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In addition, it employed Multi-level Growth Model (MGM)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istics of school background, school conditions for instruction, educational program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the variables of educational programs are composed of ‘level-differentiated classes,’ ‘subject-oriented class system,’ and ‘after-school programs.’ The study focused on three subject areas of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interesting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level-differentiated classe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all three subject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subject-oriented class system’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terms of all three subject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terms of all three subjec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terms of all three subjects after controlling times, school types, and scale of area surrounding the schools.

      • KCI등재

        고등학생의 수학 및 영어 성취도에 대한 방과후학교 참여의 성취수준별 효과 분석 : 지역과 학교 특성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변상민(Sangmin Byeon),신중휘(Junghwi Shin)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2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1 No.1

        이 연구는 방과후학교 참여가 고등학생의 수학 및 영어 성취도에 미치는 성취수준별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동시에 이러한 효과가 지역 및 학교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학교 및 고등학교 연계자료를 활용한 다층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인변수를 통제한 이후, 두 교과 모두 방과후학교 참여가 정적 효과를 보였다. 둘째, 지역에 따라서는 대도시일수록 방과후학교 참여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읍면지역에서는 성취수준이 높을수록 방과후학교 참여가 정적 효과를 보였다. 넷째, ‘기초미달’ 학생들의 경우 소속학교의 방과후학교 참여율이 높을수록 방과후학교 참여의 효과가 배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방과후학교 정책이 중소도시와 대도시에서는 ‘기초미달’ 집단에 대한 학업성취 향상이라는 목표를 일정 정도 달성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방과후학교 참여율을 높이되 근본적으로 방과후학교 자체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 및 단위 학교의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achievement-level specific effect of the After-School Program(ASP) on high school students Math and English achievement and verified that the effect differed by region and school characteristics. To this end, a multilevel model was established using middle and high school data from the national-leve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As a result, first, after controlling individual variables, ASPs showed positive effects in both subjects. Second, the effect was greater in large cities. Third, considering the region and achievement level simultaneously, the higher the achievement level in rural areas, the stronger positive effect the program showed. Fourth, in schools with high ASP participation rates, the program showed the positive effect for underachieved students. These results may imply that the ASP policy achieved its goal to some extent for the underachieved students in large cities. We suggest that further efforts in each school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ASP participation rate and fundamentally improve the quality.

      • KCI등재

        중학교 영어 수준별 수업 진행시 교사발화에서 Okay 사용량 및 기능

        고정민 ( Ko Jungmi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서 중학교 교사가 상반과 하반을 가르칠 때 Okay의 사용량과 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중학교 2학년 상반과 하반에 속한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수업은 녹음되고 전사하였고, 전사한 자료는 에피소드와 단계로 구분되었다. 하나의 에피소드만 제외하고는, 하반에서 Okay 사용량이 상반보다 더 많았다. 그러나 Okay 사용량이 많다는 것이 수업이 효과적이지 아니었다고는 말할 수 없다. 상반에서 TV 프로그램 평가표 작성이 유일하게 Okay 사용량이 하반보다 많은 에피소드였다. 해당 에피소드에서는 교사가 `review`라는 단어의 의미를 학생들에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단서를 제공하고 지엽적인 내용에서 본론으로 돌아가기 위해 Okay를 사용했다. 따라서 보다 건설적인 상호작용에서 Okay가 사용되었다. 하반에서는 모둠활동 에피소드에서 부가의문문 형태의 `Okay?` 사용이 많았다. 학습자가 영어로 전달된 교사의 활동지침을 이해하지 못하자 이를 명확하게 하거나 이해했는지를 확인하고자 할 때 `Okay?`를 사용하였다. 앞으로의 연구는 교사가 사용하는 Okay가 얼마나 효과적인지, 그리고 여러 명의 교사와 비교하여 그 사용과 기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mount and functions of okays used by a middle school teacher in her TEE level-differentiated classes. The students both in lower-level classes and higher-level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ranscribed data were categorized into episodes and phases. The teacher used more okays in the lower-level class except one episode. The higher amount of okay, however,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class is ineffective. Filling out the TV review table was the only episode which had more okays in the higher-level class. In this episode, more okays indicated a constructive way of interaction with students. However, the teacher in the lower-level class used `okay?` as a form of tag question at the end of the sentence to check comprehension and clarify her direction. The use of `okay?` indicated that the students in the lower-level class did not understand the teacher`s instructions of activities and their performance after her comments was correct.

      • KCI등재

        Investigating the Level-appropriateness of Listening Tasks in Middle-School English Activity Books

        전은영,전병만 한국영어교육학회 2012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67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evel-appropriateness of listening tasks in middle-school English activity books, which have been used in Korean secondary schools since 2009 in order to facilitate level-differentiated learning. Five different kinds of middle-school English activity books from grade 1 to grade 3 (i.e., 15 in total)were randomly chosen f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listening task difficulty of activity books as a whole became greater as the proficiency level went up, which implied listening tasks were well sequenced regarding the proficiency level. Some activity books, however, showed a problem with sequencing listening tasks in terms of difficulty because the task difficulty in the higher grade was lower than that in the lower grade. In terms of listening task difficulty, in addition, activity books were not homogeneous even in the same leve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the level–appropriateness of listening tasks and further research into listening task difficulty are discussed.

      • KCI등재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Kim, Joo-Hoon 한국과학교육학회 200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1 No.5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re identified and the problems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along with their possible solutions, are considered. For the betterment of education, educational reform was carried out and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a reflection of the basic reform guidelin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curriculum in the Republic of Korea are that it is centralized, disciplined, overloaded, and frequently revised and introduces STS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characteristics of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re as follow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differentiated for the ability and aptitude of children. The science curriculum is enrichment and complementary one.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the school, and teachers have the right to manage the curriculum the way they want. Complementary and enrichment curriculum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individual regions, schools and teachers. Science is taught as part of the basic common curriculum every year from the 3^nd to the 10^th grades, and is offered as elective courses in the second and third year of high school. In high school, students can freely choose what they want to take according to their specialization. The periods provided for science i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were drastically reduc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o establish school discretionary time. School discretionary time can be used for complementary and enrichment courses so science teachers should positively utilize school discretionary time for the benefit of science education. The science course Intelligent Life for the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s well establish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Life and Science is also introduced at the 2^nd and 3^nd grades of high school where students are expected to choose among vocational and technology education, humanities and the arts. Since science is offered as an elective in high school, many students will not choose a science class because it is a difficult subject, particularly chemistry and physics. So it is important to create textbooks that are interesting and fascinating for students while maintaining a level that is not too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 KCI등재

        학교급별 민주시민교육,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

        박하나 ( Park Hana ),엄수정 ( Um Sujung ),조현희 ( Cho Hyunhee ),김종훈 ( Kim Jonghun ),정수정 ( Jung SuJ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민주시민교육 실천 사례를 통해 학교급별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학교급에 따른 민주시민교육 내용 및 실행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단계에 걸쳐 질적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민주시민교육 실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교사 8명 및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급별로 주제별 영역 확대 전략이 필요했다.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개인적 삶에서 사회적 삶으로, 보다 큰 공동체와 보편가치 지향으로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었다. 초등에서는 민주적 절차의 간소화를 통해 학생들이 쉽게 민주주의에 참여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해야 하며, 일상에서 민주시민으로서 효능감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중요했다. 중등단계로 나아갈수록 의사결정의 절차를 스스로 생성하고, 나아가 사회문제를 기존방식과는 다르게 일상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창출해내는 등 창의적인 민주시민성 함양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었다. 이 같은 학교급별 민주시민교육의 특성을 토대로 연구진은 정의지향적 민주시민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과 교육목표를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민주주의의 이해’, ‘더불어 사는 삶’, ‘사회정의와 연대’라는 3개의 대주제와 하위 범주로 총 10개의 소주제(민주주의, 인권과 시민, 언론과 미디어, 다양성, 평화, 노동, 지속가능한 공동체, 사회정의, 연대, 사회참여)를 선정하였다. 이를 수준별로 세분화하였으며 구체적으로 1수준~4수준에 이르기까지 교사가 다룰 수 있는 내용 요소를 제시하여 사회과교육과정의 확장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급별로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이 어떻게 다를 수 있을지 조명하고, 민주시민교육이 추상적이고 모호하다고 느끼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학교급별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contex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accordingly, to explore what and how to teach during each school-level. The Justice-Oriented approach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offer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A serie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8 teachers and 10 experts who have years of experience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as conducted. The research participants reported that younger students need experiential learning with specific and concrete topics relevant to their daily lives while older students need to grasp the complexity and ambiguity of issues associated with democracy. The findings show that the breadth and depth of learning needs to be increased as school levels become higher. Based on the school-level characteristics, the study presents a way of enacting the justice-oriente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t identifies the goals, main topics (i.e., understanding democracy, living together, social justice and solidarity), sub topics (i.e., democracy, human rights and citizen, the press and media, diversity, peace, labor, sustainable community, social justice, solidarity, participation), and four levels of content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EFL 중학생의 수준별 영어 학습전략 사용에 따른 영어 성취도의 변화 분석

        박지순,나경희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6 영어영문학연구 Vol.58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what kinds of English learning strategies middle school students in level-differentiated classes used,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trategy use and English achievement. Participants consisted of 371 students (213 boys, 158 girls). Strategies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 (Oxford, 1990) was used, and students’ project work, midterm, and final exam were also used for data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the cognitive strategy was used among the students in groups A and B, and students in group C most frequently used the metacognitive strategy. On the other hand, the affective strategy was least frequently used by the students in all groups. Second, their achievement was the highest in class A and then class B. Lastly, it was found that English learning strategies ha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It is expected that better English achievement would come out if strategies are efficiently used with consideration of students’ characteristics.

      •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관한 연구

        고채영,손민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문화연구 Vol.14 No.1

        This study analyzed the 7th curriculum, which seeks to develop learners' individuality and respect their variety,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better curriculum.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high school education, especially general high schools. High school education comprises a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and the high school elective-centered curriculum and aims at broadening the autonomy of individual schools. Accordingly, this study monitored the process that individual schools had implemented the 7th curriculum for 3 to 5 years. At first, it analyzed organizing and implementing of their own curriculum, differentiated curriculum by level,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hen, it presented some suggestions for the better curriculum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이 표방하고 있는 ‘학습자 중심의 다양하고 특성화된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의 편성 과정과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보다 나은 교육과정의 현장 정착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의 이러한 취지는 다양한 학교급에서 다루어 볼 수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연구 범위를 특히 일반계 고등학교급으로 제한하였다. 일반계 고등학교는 한편으로 보면 그 조건상 외부의 변화 요구에 민감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러한 변화에의 요구가 반영되는 데 어려움도 잇따를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일반계 고등학교급은 제7차 교육과정 시행에 따라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으로 구분되어 운영되고 있는바, 기존의 운영 방식과 비교해 볼 때 그 변화의 폭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시행 3-5년차 학교 현장에서의 정착 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언구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수준별 수업, 그리고 선택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운영실태 현황을 살펴보고 추후 개선에 대한 시사점에 관해 탐색해보았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자기 존중감 및 자기 분화가 진로 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정실,김형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2

        이 연구는 진로 결정을 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로 결정 시 자기 존 중감과 자기 분화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 도 D 지역 중학교 3곳을 선정하여 각 학교에 100부씩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된 228부에서 남자 105명, 여자 123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 통 계프로그램을 활용해 t-검증, 일원 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인구 사회학적 요인 중 학년은 자기 분화의 하위 요인인 정서 인지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자기 존중감, 자기 분화 전체와 자기 분화 하위 요인인 자아 통합에 영향을 미치며, 남학생이 관계나 상황으로부터 정서적 압력을 받을 때 자신의 신념에 따라 독립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중학생의 자기 존중감과 자기 분화 정도에 따라 진로 결정수준은 자기 존중감, 자기 분화 전체와 하위 요인 자아 통합, 가족 투사, 정서적 단절, 가족 퇴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자기 존중감 및 자기 분화에 있어서 진로 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 존중감, 자기 분화 하위 요인 중 정서 인지 분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중학생의 진로 결정 시 자기 존중감과 자기 분화가 인구 사회학적 요인 중 학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의 결과는 탐색과 많은 경험을 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에 가정, 학 교, 사회적으로 자기 존중감과 정서인지 분화 및 자아통합의 자기 분화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환경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when making career decision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critical times when they need to make career decisions. For this study, three middle schools in Chungcheongnam-do D area were selected,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from 228 collected, For the collected data, t-test,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21 statistical program.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grade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emotional and cognitive differentiation, a sub-factor of self-division. Seco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was found to be related to self-esteem, overall self-differentiation and sub-factors self-integration, family projection, emotional disconnection, and family regression. Third,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decision level i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motional and cognitive differenti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In this study, among the 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 grade, the more self-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influence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home,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 that can enhance the level of self-esteem, emotional perception, and self-integr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search and rational deci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