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원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지원 실행연구

        신철균,고낙원,고영남,김평강,이상모,함진숙,김명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on research process on support of regionally-linked curriculum in schools conducted by graduate school dispatched teachers, and to examine the role of dispatched teachers in regional educational cooper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practice research on regionally-connected educ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 team composed of trainees dispatched to the graduate school carried out support activities to activate regional-linked educational activities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and to encourage teachers to step outside the school and connect with the village. Specific support activities include provision of regional-linked curriculum materials, online map production (local educational resource mapping), connection of villagers, and support for village feasts. As a result of this action research, the support for regional-linked educational activities by dispatched teachers not only helped schools to operate regionally connected curriculum, bu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dispatched teachers to support unit schools and grow as experts in local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f dispatched teachers. First, the school support activities of dispatched teacher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role of dispatched teachers and rethink the meaning of graduate school training. Second, it is meaningful as an activity that helped to improve school education activities by matching the areas that needed support from local schools with the expertise that graduate school dispatched teachers have accumulated as teachers. Third,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f dispatched teachers has the meaning of linking the parts learned at the graduate school with the school field. 본 연구는 대학원 파견교사로 구성된 연구진이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과정과 학교와 마을의 연계를 지원하여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활동 개선에 목적을 둔 실행연구이다. 연구진은 단위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지역연계 교육활동을 활성화하고, 교사들이 학교 밖 마을과 연계하는 활동을 지원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진은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연계 교육과정 제공, 온라인 지도 제작(지역 교육자원 지도화), 마을주민과의 연결 지원 등의 활동을 학교 현장 교사들과 함께 실행하였다. 실행연구 결과 파견교사의 지역연계 교육활동 지원이 학교가 지역연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파견교사가 단위학교를 지원하고 지역교육 전문가로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파견교사의 참여 실행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파견교사의 학교 지원 활동은 파견교사의 역할과 파견연수의 의미를 새롭게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대학원 파견교사들이 교사로서 쌓아온 전문성과 지역 학교의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 매칭되어 학교 교육활동 개선에 도움을 준 활동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셋째, 파견교사의 참여실행연구는 대학원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과 더욱 긴밀하게 연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석사과정 파견교사들의 파견제도 인식에 대한 단일 사례 연구 -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초등과학교육전공 석사과정을 중심으로-

        김경 ( Kyung Kim ),유선아 ( Suna Ryu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2 No.2

        본 연구는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과학전공 파견교사들의 경험 속에서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파견교사들의 이야기와 그들의 경험이 가지고 있는 교육학적 의미 및 논의점을 알아보고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 파견 5명을 목적표집하여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심층 면담방법을 통한 참여자의 경험 속에서 의미를 찾기 위해 인터뷰자료를 전사하고 줄 단위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비교 및 분석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초등과학전공 파견교사들은 바쁜 학교생활의 탈출구로서의 파견생활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거기에서 멈추지 않고 배움에 대한 열망을 보였으며 초등과학교과 전문가로서 다양한 능력을 키우고 싶은 바램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위해 본교에서는 초등과학전공으로서의 특수성 및 교육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좀 더 질적으로 향상된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파견교사 제도는 많은 연수 프로그램 중 가장 긴 형태의 연수이며, 교사 개인 및 교육적 측면에서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실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끊임없이 연구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또한 초등과 학교육 전공으로 파견제도는 단순히 과학분야에 대한 자신감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 현장에서 겪는 어떤 일이든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해주는 의미 있는 경험임을 알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파견제도 자체를 모르는 교사들도 상당수 있다는 인터뷰 내용으로 볼 때,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파견제도를 알려 더 많은 교사들이 파견제도에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질향상과 파견제도에 대한 정책적 측면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많은 행정적 예산을 투입하여 만들어진 `개인의 교육 전문가`의 경험이 파견 종료 후, 더 많은 교사와 공유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파견연수라는 국가적 사업이 한 개인의 경험에서 끝나지 않고, 궁극적으로 전체적인 교육의 질 향상과 연결 될 것이다. The study describes teachers` reflections, ideas and concerns from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experience at a university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this purpose, five elementary science dispatches were invite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elementary science majors` dispatch teachers appreciate their intensive graduate program and want to develop various abilities as elementary science subject experts. To do this, teachers suggest that the university need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to reflect the special needs of elementary science majors and the needs of educator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systematic effort to advertise this program intensively because many teachers did not even know the existence of this program. The dispatched teacher system is the longest type of training program among many other training programs, and has a significant impact in terms of individual and educational teachers. Therefore, the curriculum satisfying the needs of the teachers should be further studied. In addition, the elementary dispatches said they came to believe that they would overcome any challenge from their schools with the confidence gained from their experience in this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policy aspects of teacher quality improvement and dispatching system are as follows. Teachers other than the dispatches can be benefit if there ar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hat the dispatches can share their knowledge and skills gained from this program with others. In doing so, the national project of dispatching training not only becomes an invaluable personal experience, but becomes a pipe line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national education.

      • KCI등재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영란(Young-Ran Park),이윤주(Yoon-Joo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과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러한 결과가 이들의 교사로서의 인식과 실천에 주는 함의를 탐구하는 데에 있다. 방법 본 연구는 파견교사의 수학체험센터 운영 경험을 통해 교사의 삶과 자질의 변화를 생동감 있게 담아내고 총제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를 진행하였다. 수학체험센터 파견근무 경력이 1년 이상인 중등수학교사 2명을 대상으로 각 3회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직접 센터를 방문하여 현장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파견근무를 선택한 교직 경험에서부터 시작하여 공간성과 관계성을 기준으로 교사, 파견교사, 개인 영역으로 범주화하여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결과 파견교사들은 수학체험센터 운영을 통해 ‘자신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교과 전문성 향상’을 통한 ‘교육 전문가’로서의 성장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첫째, 수학 교육의 방향성을 찾으면서 ‘만들어진 교사’에서 ‘만들어 가는 교사’로의 역할 전환. 둘째, 지위에 따른 주체성을 자각하면서 ‘가르치는 교사’에서 ‘스스로 배우고 노력하는 교사’로의 태도 전환, 셋째, 관계 형성과 업무 환경의 변화를 통해 ‘교과 전문가’에서 ‘교육 전문가’로 정체성 성장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교사가 새로운 교육환경에서 주체적인 지위와 도전을 통해 얻은 교육적 성취가 자신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목표 행동을 활성화시켜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교육적 실천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dispatched teachers’ experiences of operating a Math Experience Center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ir perceptions and practices as teacher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narrative inquiry to vividly capture the changes in the life and qualities of teachers through the experience of operating the mathematics experience center of dispatched teachers an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ee times each for two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with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working at the mathematics experience center, and field texts were collected by visiting the center in person. Starting with the teaching experience that chose dispatched work, the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by categorizing them into teachers, dispatched teachers, and individual areas based on spatiality and relationship. Result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Math Experience Center, the dispatched teachers experienced a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themselves and growth as ‘education professionals’ by improving their subject expertise. These experiences led to, first, a role shift from a ‘made teacher’ to a ‘making teacher’ while searching for a direction for mathematics education; second, an attitude shift from a ‘teacher who teaches’ to a ‘teacher who learns and strives’ while recognizing the subjectivity of status; and third, an identity growth from a ‘subject matter expert’ to an ‘education expert’ through relationship formation and changes in the work environment.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achievements gained by teachers through subjective status and challenges in the new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mselves and activate target behavior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al practice.

      • KCI등재

        유아영어 파견교사의 교사교육 요구조사

        박지유,김지영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8 외국학연구 Vol.- No.4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of dispatched early English teacher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background information and teacher-training course experiences of two hundred in-service teachers. Five teach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a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in order to analyze their developmentneeds. Most dispatched teachers have a bachelor’s degree; 21.5% of them hav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33% have English-related degrees, and 45.5% have other subject-related degrees. In addition, 99% of them participate in teacher-training programs provided by thecompany . They argue that understanding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s for a teacher, and 70% of teachers respond positively to the teacher-training programs’ efficacy. Based on the interview data gathered from the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teachers, we conclude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eacher-training programs in general—not because of the curriculum but rather because of the teacher community involved in the program. They emphasize the ne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learners and English teaching methods. Thus, a teacher-training program instructor should possess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nglish teaching.

      • KCI등재

        교사와 학생과 연구자 사이에서: 석사과정 파견 과학교사들의 연수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정영희,신세인,이준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1

        이 연구에서는 석사과정 파견교사 중 과학교사의 경험을 그들의 입장에서 현상학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석사과정 파견과학교사들의 경험과 그 경험이 가지는 교육학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석사과정 파견교사로서 과학교사들의 경험은 그들 자신에게 어떠한 것인가?’라는 의문에 초점을 맞추었고, 이 의문에 답하기 위하여 중부권과 서남권의 국립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파견연수 과정을 경험한 7명의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접근 방법을 시도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Van Manen(1990)의 분석틀을 원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21개의 드러난 주제로부터 5개의 본질적 주제를 추출하였다. 교사와 학생, 그리고 연구자로 생활하는 석사과정 파견교사들의 경험들은 ‘전문성계발 욕구의 기회’, ‘교사와 학생의 정체성 혼재’, ‘연구자의 정체성 형성’, ‘교사로서 자신감’, ‘덤으로 얻은 선물과 애로점’으로 나타났다. 파견연수 경험을 통해 향상된 교사의 자신감과 교사전문성으로 교육현장에서 교사로, 연구자로서의 생활하거나 연수과정에 있는 파견 과학교사들의 경험들은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파견교사들에 대한 경험적 이해가 교사연수에 제공하는 함의를 교사의 질 향상과 교사연수에 대한 정책적 측면에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dispatched science teachers’ experienc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during master course. Four teachers who experienced ‘dispatched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of the university located in southern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all participants. Field notes, recording under the participants’ agreements. The data interpreted to using Van-Menen(1990)’s phenomenological analysis framework. Result of study revealed that participants are experiencing the following 5 essential themes: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and opportunities’, ‘Identity confus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 ‘Forming identity as a researcher’, ‘Confidence as a teacher’, ‘Gift and sorrow, which is obtained as a bonus’. More precisely this study found following 21 identified themes. The meaning of dispatched science teachers’ experienc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during master course foun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new scienc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 KCI등재

        Measur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Overseas Dispatch of Korean Language Teachers: Focusing on the Cooperative Governance of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Institutions

        장미경 한국어학회 2022 한국어학 Vol.94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cooperative governance of related institutions to support the enhancement of the efficiency of the overseas dispatch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o this end, recruitment notices for dispatched teachers of government-affiliated institutions and requirement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dispatch recipient countri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nd the subsequent implications were present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stitutions in Uzbekistan, where there is a high demand for Korean teachers, the selection and utilization of ‘local base institution’ was presented as a necessary measure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eacher resources in the local country.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t the government level and to operate a common teacher training curriculum for overseas Korean teaching position applicants through the ‘Teacher Training Center Platform’ in which all domestic institutions participate with their own specialties in related fields.

      • KCI등재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 운영 현황 분석 연구

        노정은 ( Jung-eun Noh ),이인혜 ( Inhye Lee ),최윤정 ( Yunjung Choi ),곽혜윤 ( Hyeyoon Kwark ),김지예 ( Jiyea Kim )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3 No.-

        The present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faculty management at the King Sejong Institute through an analysis of the data of the past three years. The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1) the total number of Korean teachers has increased over the past three years; 2) the number of dispatch teachers has also increased, especially at the lowest level, and 3) the number of locally hired teachers also increased; however, the ratio of the experienced teachers and the teachers holding Korean language teachers’ certificates remained largely unchanged. In the light of this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as ways to improve faculty management at the King Sejong Institute: 1) a clear division of responsibilities should be provided through job analysis, 2) the current faculty rank system should be subdivided and teacher education should be redesigned in accordance to the system, and 3)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acher education for locally hired teachers. (Hansung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 Harvard University Korea University)

      • KCI등재

        부산지역 아동센터 복지교사의 직업인식

        허재영(Jae-Young Heo),양해술(Hae-Sool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4

        본 논문은 지역아동센터 파견 아동복지교사의 직무 만족도 및 적성/직업 인식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보다 나은 아동복지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파견 아동복지교사 직무만족도의 인식차이는 성별에 따라서는 상사와의 관계(p<.01), 파견 아동복지교사직에 대한 만족(p<.01), 제공지식정보에 대한 만족(p<.05) 및 전체적인 파견 아동복지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해서 유의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적성 및 직업인식도에 대한 인식조사결과, 보다 나은 직장을 얻기 위하여 현재 노력하는지 여부는 학력에 따라서 다소 유의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파견 아동복지교사에 대한 긍지는 현재의 직업에 뚜렷한 사명감과 목표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의견은 27.5%로 나타나 파견 아동복지교사에 대해서는 학생교육을 통한 즐거움과 보람을 통하여 긍지를 느끼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아동지도프로그램 운영상 어려움은 교육교재부족과 설비부족, 부모님의 참여와 이 해부족을 가장 문제점으로 인식하였다. This thesis is to figure out the job satisfaction and aptitude/vocation recognition of the child welfare teachers dispatched to Region Children Center and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better children welfare policy in future based on it. First, as for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i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hild welfare teachers dispatched by the population-statistic property of the research objects, there appeared a meaningful difference by the gender concerning the relation with seniors(p<.01), satisfaction with the office of the child welfare teachers dispatched(p<.01), satisfaction with provided knowledge information(p<.05) and the whole job satisfaction of the child welfare teachers dispatched. As the result of the survey of the recognition on aptitude and job understanding level, there appeared some meaningful differences by the school background on whether or not currently to make efforts to get a better job. In the matter of the pride as to the child welfare teachers dispatched, 27.5% of opinion givers had a clear mission and an objective sense about a current job, and the child welfare teachers dispatched recognized that they felt pleasure and value through the education of students. They understood the difficulty of the management of the children instruction program of region children center in the biggest matters such as the insufficiency of education materials and facilities, and the insufficiency of parents'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 KCI등재후보

        한국어 예비 교원 국외 파견‧실습 지원과 한국어교육의 전망

        김수현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동서인문학 Vol.0 No.54

        이 논의는 국립국어원에서 올해 처음 실시한 한국어 예비 교원 국외 파견 실습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이 사업과 한국어 교육 발전과의 관련성을 설명하는 데에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어 예비 교원들의 부족한 현장 실습 지원을 위해 두 달 동안 국외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진행한 이 사업은 다음 세 가지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첫째, 파견 실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사전 연수 및 실습 프로그램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보다 많은 한국어 예비 교원들에게 파견 교육 실습의 혜택이돌아갈 수 있도록 지원 요건을 낮추어야 한다. 셋째, 국외 실습 교육 기관 확대를위한 한국어 교육 관계 기관들의 협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relevance of assistance for practical training(teaching practice) programs to prospective teachers and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must be a good teacher, and this excellent teacher is created through variety experiences in the classroom. This assistance project, cre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diversifies the field training of domestic Korean language prospective teachers. For teaching practice, prospective teachers are dispatched for two months at the overseas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assistance project must improve three current issues for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ly, It is necessary to organize pre-training and teaching practice program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s of dispatching and training. Secondly,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dispatcher requirements so that the benefit of the support is available to many prospective teachers. Thirdly, coordination of institution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must be done in order to exp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can practices.

      • KCI등재

        한국어 교원 해외 파견 현황 분석을 통한 정책 제언 연구-베트남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장미경,최윤정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어 교육 Vol.32 No.1

        Four different government agencies currently dispatch Korean teachers every year to meet the growing overseas deman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dispatch project and propose policy suggestions.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Vietnam region where Korean language education had grown up remarkably. Each agency has actively supported the request of the beneficiary institution, leading to the adoption of Korean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even at regular schools. It is true that the sup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so far has contributed to such achievements, but rather than simply increasing the number of teachers dispatched, changes are needed so that teachers can be dispatched more precisely to the request of the beneficiary institution and plan long-term career. In addition, now is the time to request reciprocal support from the Vietnamese government. Active cooperation and sharing information in carrying out the dispatch project among the agencies will definitely increase policy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