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과학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홍미영 ( Mi Young Hong ),김주아 ( Joo Ah Kim ),박현주 ( Hyun Ju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aking elective science courses in high school on studying science at the university level. The research methods undertaken for this study included surveys of college students in science areas. For physics and biology major stud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hievement in the basic courses at the university level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that took only Science I courses and the group took Science I and II courses. For chemistry major students, achievement for the group that took Chemistry I and II cours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asic course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in the advanced courses. The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 effects of their science learning experience in high school on learning science at the university level were investigated. All the college students perceived that whether or not they took Science II courses in high school, it did not affect their learning in basic science courses in college. They also perceiv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overcome difficulties by making extra effort even if they did not take Science II courses in high school.

      • KCI등재

        고등학생의 계열 선택 및 과학·수학 선택 과목 이수에 관한 의견 조사

        조광희,최지선,조향숙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asons why students chose a particular academic track in high school, their future majors in college, and elective courses for science and mathematics. We surveyed 414 female and male high school students of year 11 in the Seoul area.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 major factors why students chose a particular academic track in high school and their future majors in college were their interests and achievements in mathematics and science (48.8%), their aptitude for the fields, and their plans for future vocations. Secondly, external factors (27.8%) such as the Korean SAT, their high school GPA, and the school curriculum were also significant; although student interest (44.9%)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elective courses for science. According to the survey, however, 44.7 percent of the participants gave up their original choices of elective courses in science as a result of external factors. Finally, in choosing elective courses for mathematics, external factors(40.1%)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pointed external factors in the case of mathematics was 12.3 percent higher than in the case of scie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selective rights for choosing elective cours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were not sufficiently guaranteed and some educational plan is required to solve this problem.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계열 선택 이유 및 대학 진학 희망 분야를 조사하고 과학, 수학 선택 과목의 이수를 결정하거나 포기한 이유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총 41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고등학교 계열 및 대학 진학 희망 분야를 선택할 때 수학 또는 과학에 대한 흥미나 성적의 영향, 해당 분야에 대한 자신의 적성, 미래 직장 등을 주로 고려하였다. 특히, 수학이나 과학 때문에 본인의 고등학교 계열을 결정하였다는 의견이 응답자의 절반(48.8 %)에 가까웠다. 둘째, 고등학생들은 과학 선택 과목을 선정할 때에 해당 과목에 대한 흥미를 가장 중시하였지만(44.9 %), 학교 사정 및 대입 제도에 따른 결정(27.8 %)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 44.7 %는 학교에서 해당 과목을 개설하지 않았거나 내신 및 수능에서에서 불리하기 때문 등과 같은 외적 여건 탓에 희망 과목의 이수를 포기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수학 선택 과목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수능, 내신, 개설 여부와 같은 외적 여건(40.1 %)을 상대적으로 크게 고려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선택 과목을 결정할 때 과학 과목에서 외적 여건을 고려하는 비율보다 수학 과목의 경우에 12.3 %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능 및 내신을 포함한 대입 제도가 과학, 수학 과목의 선택권을 충분히 보장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학생의 적성에 따른 진로 결정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 재구조화 연구

        김연화,곽영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25년 고교학점제의 전면도입에 직면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변화 방향을 탐 색하고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하여 지구과학 선택 과목 재구조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 구과학교육 전문가 델파이 조사, 현장지구과학 교사 설문 조사, 전문가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에 따르면, 지구과학 선택과목 재구조화에서 고려해야 할 점으로 지구과학소양 함양, 학생 진로와 연계, 지구 과학 자체의 재미, 학생선택률과 대학입시라는 4가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구과학 선택과 목의 구체적인 재구조화(안)으로 지구과학 소양을 강 조하는 지구시스템과학, 그리고 교과내 진로 연계를 강화한 고체지구과학, 대기·해양과학, 우주과학의 총 4 개 과목을 구성하였다.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지구과학 과목의 선택률이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를 해소하려면,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진로 연계성을 높이는 등 지구과 학 교과의 위상 재정립을 필요로 한다. 후속 연구에서 는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명칭과 핵심개념 등에 대한 정교화와 공론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change high school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and ways to restructure them in preparation for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For this purpose, Delphi surveys with earth science education experts, a survey with in-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we need to consider four keywords such as cultivation of earth science literacy, connection with student career paths, emphasis on the fun of earth science itself, and student selection rate and college entrance exam in restructuring Earth science electives. Based on this direction, we composed four subjects: Earth System Science emphasizing earth science literacy, and three such subjects reinforcing career connection as Solid Earth Science, Atmospheric and Ocean Science, and Space Science. To resolve concerns about falling selection rate of earth science cours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status of the earth science subjects including enhancing the career connection of the earth science electives. Follow-up studies are necessary to elaborate and publicize the titles and core concepts of Earth science electives.

      • KCI등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쟁점 : 내용을 감축하고 고등학교 기하과목을 진로선택으로 분류

        심성아(Seong-A Sh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64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 9월 23일에 고시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정리하고, 세부적인 내용에서 이전의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어떻게 달라졌는지 비교분석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쟁점이 되었던 문제들과 그에 대한 각계의 의견들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발전적인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는 이전 교육과정의 문·이과 공통수학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 외에는 문·이과 통 합형 교육과정이라고 할 새로운 변화는 없으며, 내용 감축과 평가 가이드라인 제시로 학습 부담 완화를 모색하며, 선택과목을 재구조화한 것이그 특징으로 정리된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습부담 경감의 문제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선택 과목의 문제, 신설 교과의 정체성과 정착 방법의 문제, 수능연계 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문제 등의 많은 쟁점이 있었다. 이러한 여러 문제점들 중 기하 과목의 진로선택 분류는 수학 내용의 교육적 측면에서 빠른 시일 내에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다. 교육과정 개정은 더 긴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장기적인 계획으로, 면밀한 교육현장 조사와 사회 각계의 의견 수렴은 물론 전문가자문을 심도 있게 구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창의융합형 인재라는 목표에 부합하는 특징적 수학 과목을 개발하는 방안도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nounced on September 23, 2015, to analyze it in detail comparatively with the previous 2009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o examine controversial issues that arose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opinion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Also the author suggests a few methods of improvements for future revision of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 conclusion there are no changes that could be called an integrated curriculum of the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track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ts primary characteristics are seeking the load alleviation for students by reducing the learning content and providing evaluation guidelines, and the restructuring of the elective course system in that the High School Geometry is classified as an elective career course. Many controversial issues have arisen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cluding the issues of the study load alleviation, the elective career course system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 identities of the newly created courses and methods to settle them, and the absence of the linkage plan to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The task of revising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long-term plans and comprehensive field research in school classrooms along the process of requesting experts advice in-depth.

      • KCI등재

        2015개정 과학과 선택과목 수업 및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색

        곽영순 ( Youngsun Kwak ),이일 ( Il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2년차를 맞이하여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의 수업과 평가 구현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과학과 교육과정의 안착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44명의 고등학교 과학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9명의 과학 교사들과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심층적인 답변을 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조사에서 과학 교사들은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역량 신장과 학생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수업을 고민하고 있지만, 여전히 강의 위주 수업을 가장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측면에서는 과정중심평가와 관련된 문항들에서 교사들은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과학과 선택과목 운영의 어려움으로 교사들은 ‘담당해야 하는 과목의 수 증가’, ‘업무 과다’, ‘다양한 교수학습 및 평가 등을 고려한 수업의 재구조화에 대한 부담’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해 교사들은 통합과학에 비해 과학Ⅰ 선택과목에서는 탐구실험 등과 같은 학생참여형 수업을 덜 강조하며, 과학Ⅱ 과목의 경우 주로 3학년때 하므로 학생참여형으로 진행하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과학과 선택과목에서 과정중심평가를 하려면 시간 확보가 필요하며, 수능에 실험이 안 나와서 실험에 대한 과정중심평가도 할 필요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선택과목에서 과정중심평가 안착을 위한 지원방안, 학교현장의 학생참여형 수업이나 과정중심평가의 방향성과 원인에 대한 심층 분석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As part of the second-year monitoring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investigate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realization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of elective courses to derive measures to settle and improve the science curriculum. A total of 244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and 9 teachers participated in interviews. In survey results, science teachers are contemplating ways to increase students’ science competencies and their participation in classes, but still, lecture-oriented classes are most often used in their teaching. Regarding assessment, teachers responded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all of the questions related to process-based assessment (PBA). Regarding the difficulty of managing science elective courses, teachers most often selected increased numbers of subjects being covered, overload of work, and the burden of restructuring classes considering various ways of teaching and assessment. Through in-depth interviews, teachers argued the difficulty for Science I courses to emphasize student participatory classes compared to integrated science, and the difficulty to implement student participatory classes for Science Ⅱ courses, which are mainly placed in the third grade. Teachers also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time to implement PBA in science elective courses, and that there is no need to implement PBA for the science experiment since there are no tests on the SA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discussed in the conclusion are support plans for the settlement of PBA in elective courses, and the need for in-depth analysis of the direction and cause of student participatory classes and PBA at the school.

      • KCI등재

        2015 개정 과학과 일반선택과목의 수강 현황 및 선택률 제고 방안 탐색

        이일,곽영순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suggestions on the settling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direction of science curriculum improvement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science general elective courses for high school sophomores, and examining teachers’ perception. To this end, with 12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cooperation, we analyzed the status of science elective subjects that freshmen took in 2018 by school year, school type and region.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science teachers of the focus group to discuss ways to improve curriculum operation and implementation of science general elective courses, and ways to raise the selection rate. The number of science general elective course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12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was confirmed to be 163,710 for Physics I, 216,754 for Chemistry I, 290,736 for Bioscience I, and 200,861 for Earth Science I. By school type, autonomous high schools have the highest completion rate, while specialized schools and vocational schools have very low rates. Units completed per semester for general elective courses were mostly three units (61.5%) and two units (28.7%).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suggested reconstruction of three-unit elective courses that can be completed in one semester, content development focused on competences rather than knowledge, and the need for a teacher community to improve teachers’ teaching compet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ays to operate high school science elective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2년차를 맞이하여 고등 학교 2학년의 과학과 일반선택과목 수강 현황을 파악하고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과 선택률 제고 방안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함 으로써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착과 고교학점제에서 과학과 선택과 목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12개 시⋅도 교육청의 협조를 얻어 2018년 고등학교 신입생들이 수강한 과학과 선택과목의 연도별, 학교유형별, 지역별 현황을 취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9명의 고등학교 과학교사를 초점집단으로 구성하여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에 대한 개선과 선택률 제고 방안에 대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2019년 11월 기준으로 12개 시⋅도 교육청의 2018년 고등학교 신입 생들의 과학과 일반선택과목 수강자 수는 물리학Ⅰ 163,710명, 화학Ⅰ 216,754명, 생명과학Ⅰ 290,736, 지구과학Ⅰ 200,861명이며, 학생 1인당 수강 과목의 수는 2.4개로 확인되었다. 학교유형별로는 자율고의 수강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특목고와 특성화고의 비율은 매우 저조하였다. 일반선택과목의 학기당 이수단위는 3단위(61.5%)와 2단위(28.7%)가 대부분이었으며 이수단위별 수강 비율은 교육청 간에 편차가 있었다.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은 고교학점제에 대비한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방안으로 한 학기에 이수할 수 있는 3단위 분량으로 선택과목을 재구성, 지식보다는 역량 중심의 내용 구성, 교사의 수업 역량을 신장하기 위한 교사공동체와 교과 중심 연수의 필요성 등을 주장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교학점제에 대비한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운영 및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Kim, Joo-Hoon 한국과학교육학회 200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1 No.5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re identified and the problems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along with their possible solutions, are considered. For the betterment of education, educational reform was carried out and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a reflection of the basic reform guidelin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curriculum in the Republic of Korea are that it is centralized, disciplined, overloaded, and frequently revised and introduces STS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characteristics of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re as follow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differentiated for the ability and aptitude of children. The science curriculum is enrichment and complementary one.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the school, and teachers have the right to manage the curriculum the way they want. Complementary and enrichment curriculum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individual regions, schools and teachers. Science is taught as part of the basic common curriculum every year from the 3^nd to the 10^th grades, and is offered as elective courses in the second and third year of high school. In high school, students can freely choose what they want to take according to their specialization. The periods provided for science i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were drastically reduc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o establish school discretionary time. School discretionary time can be used for complementary and enrichment courses so science teachers should positively utilize school discretionary time for the benefit of science education. The science course Intelligent Life for the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s well establish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Life and Science is also introduced at the 2^nd and 3^nd grades of high school where students are expected to choose among vocational and technology education, humanities and the arts. Since science is offered as an elective in high school, many students will not choose a science class because it is a difficult subject, particularly chemistry and physics. So it is important to create textbooks that are interesting and fascinating for students while maintaining a level that is not too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내용 구성 방안 탐색 -천문 영역을 중심으로-

        김현종 ( Hyunj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6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지구과학 내용 영역과 핵심개념의 변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고, 국내외 지구과학과 교육과정의 천문 영역 학습 요소 비교·분석을 통해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천문 영역 내용구성(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전환하면서 지구과학 교과목에 도입된 내용 영역 및 핵심개념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4명의 지구과학교육 전문가들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캐나다 British Columbia(BC)주, 일본, 국제바칼로레아 디플로마 프로그램(IBDP) 교육과정에 제시된 천문 영역학습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지구과학 내용 영역중 학생들이 가장 큰 매력을 느끼는 내용은 천문 영역으로 나타났다. 천문 관련 핵심개념에 가장 큰 흥미를 느낀다고 응답한 고등학생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천체관측 관련 내용이 삭제된 것에 대해 많은 아쉬움을 나타내었다. 국내외 교육과정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와 IBDP 교육과정이 가장 많은 양의 천문 영역 학습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캐나다 BC주와 IBDP의 경우, 천문 영역을 독립된 과목으로 개설하며, 우리나라와 가장 유사한 일본의 교육과정은 지구과학 과목에서 천문 영역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천문교육강화를 위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학습 요소와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천문 관련 내용으로 지구과학 일반 선택과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 영역은 다양한 학문의 배경지식이 요구되며 교과 연계 학습이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천문학의 지식체계를 따라 진로 선택과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천문교육을 통한 과학소양교육 실현에 초점을 두고 2022 개정 교육과정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천문 영역 내용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composition of contents on the area of astronomy for high school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hanges in Earth Science core concepts over the curriculum revisions, and analysis of learning elements in the area of astronomy for domestic and foreign Earth Science curriculum. Four Earth Science education experts compared and analyzed the astronomy contents presented in Korea, the US, British Columbia (BC) in Canada, Japan, and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 (IBDP)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high school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most interested in the core concepts of astronomy expressed a lot of regret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astronomical observation were eliminated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comparing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 Korea and IBDP curriculum dealt with the largest amount of learning elements in astronomy. In the case of BC in Canada and IBDP, astronomy was offered as an independent subject, and the curriculums of Japan and Korea dealt with astronomy in the Earth Science subject.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general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with astronomy-related contents with high discriminating power in order to strengthen astronomy education. Since astronomy requires background knowledge from various disciplines and inter-disciplinary learning wa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areer-related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so that astronomy can be dealt with according to the knowledge structure of general Astronom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ays to organize astronomy contents for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were suggested.

      • KCI등재

        가정계열 선택과목에 대한 고등학생의 요구 분석

        한주(Han, Ju),주수언(Ju, Sue Un),유난숙(Yu, Nan Sook),박미정(Park, Mi Jeong),백민경(Baek, Min Kyung)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 및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에 발맞추어 고등학생들의 가정계열 선택과목에 대한 요구를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689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가정계열 선택과목에 대한 요구와 성별, 학년, 가정과학 이수여부에 따른 가정계열 선택과목(각 과목별, 분야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정 계열 중 식생활분야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았으며, 선호하는 수업 방식에 있어서도 식생활 분야에서는 다른 분야에 비해 실험과 실습 수업에대한 요구가 월등히 높았다. 성별 선호도의 차이에서는 가정계열 전체 분야에 걸쳐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은 선호를 보였으며, 학년별로는 식생활 분야에서만 3학년이 1학년보다 과목에 대한 선호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정과학을 배우고 있거나배운 학생들이 가정과학을 배우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모든 분야에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차기교육과정에서 가정계열 진로 선택과목 개발을 위한 심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needs for home economics elective courses in lin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the next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this end, 1,689 high school students across the country were analyzed for needs of home economics elective courses (eighteen elective courses and six sub-disciplines of home economics) and differences in the needs of home economics elective courses based on gender, grade levels, and completion of home economics science subject.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Among the six sub-disciplines, the preference for ‘dietary life’ was the highest, and in terms of teaching types, experiment and practice class ha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in ‘dietary life’ than other sub-disciplines. Girls showed higher preferences for home economics elective courses than boys, and the third grad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s only for the ‘dietary life’ sub-discipline than the first graders.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learning or have learned the home economics science subject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home economics elective courses in all the sub-disciplines than those who have not learned i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for the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that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to develop home economics career elective subjects.

      • KCI등재

        학생부종합전형 자연계 지원자의 과학 선택과목 이수 현황 분석

        최혜미,권지원,박해정,정민주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2

        학생의 과목 선택권이 확대되고 대입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이 정착되면서 대학 전공 공부에 필요한 선택과목의 이수 여부가 주요 평가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9, 2020학년도 K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자연계 지원자의 과학Ⅱ 선택과목 이수 현황을 분석하여 학생의 과목 선택 및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Ⅱ 선택과목별 이수 비율은 단과대학별로 다른 특성을 보여 단과대학과 과학Ⅱ 선택과목 간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과대학별로 특정 선택과목 조합의 이수 비율이 높아 해당 전공을 이수하는 데 유용한 선택과목이 서로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Ⅱ 선택과목 이수 경향이 중요한 평가요소가 될 수 있으며, 대학은 각 학교별 과목 개설 환경 파악 및 비교 분석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