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장과 컬에 관한 물리교육과 대학생의 이해 특성 및 설명 모형 제안

        조광희 한국물리학회 2016 새물리 Vol.66 No.5

        We analyze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url of the magnetic field and their difficulties in upper-level electromagnetism courses, and we suggest a model to explain these difficulties. The participants were 36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physics education majors. Two survey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level of the contents, and reflective journals were gathered. The correctness rates were relatively high in problem solving and field line drawing at the general physics level. The students were also able to write correctly the formula of the curl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url on a calculus level. However, they rarely applied the concept of differentials to determining the curl of the field in magnetism. Of respondents, 56% felt the curl in magnetism, especially as related to mathematics, was difficult. The negative coefficien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test scores and the degree of difficulties was –0.53, which showed that students with greater difficulties tended to be lower achievers. Finally, a ‘4 blade pinwheel’ model was proposed to explain the curl of the magnetic field with a link between physics and mathematics. 이 연구에서는 전공 전자기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자기장과 컬에 관한 이해 특성과 어려움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설명 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부지역 사범대학의 물리교육과 학생 36명이었다. 설문 내용의 수준에 따라 1, 2차로 나누어 지필 검사를 실시하고, 성찰 저널을 작성하도록 안내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반 물리학 수준에서 문제 풀이나 자기장 그리기, 미적분학 수준에서 컬의 공식이나 뜻 쓰기는 비교적 정답률이 높았다. 그러나 자기장의 컬 값을 구하는 전공 물리학 수준의 문항에서는 미분 개념을 적절히 활용한 응답자가 거의 없었다. 56%의 응답자는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는데, 특히 수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해 조사 결과와 어려움 정도 사이에는 –0.53의 부적 상관이 나타나, 어렵다고 인식하는 응답자일수록 이해 조사 점수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고려하여 물리학과 수학을 연계하는 방식으로 자기장과 컬의 관계를 설명하는 ‘4엽 바람개비’ 모형을 제안하였다.

      • LCA - BCG를 활용한 국내 산업 분석

        조광희,이광식,양광모,조용욱,박재현,나승훈,강경식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2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1

        본 연구는 통계청(2009-2010)의 국가 산업 표준을 기본으로 생애주기를 고려한다. 생애주기에 대한 변수는 경제활동인구와 사업체 동향을 분석하여 실시하며 이에 따른 자격은 산업과 직업에 관련하여 해당하는 자격의 매칭 테이블을 기준으로 그 자격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산업에 대한 분석은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경영기법에 따라 그 절차를 수용하고 관련변수를 응용 또는 적용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계열 선택 및 과학·수학 선택 과목 이수에 관한 의견 조사

        조광희,최지선,조향숙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asons why students chose a particular academic track in high school, their future majors in college, and elective courses for science and mathematics. We surveyed 414 female and male high school students of year 11 in the Seoul area.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 major factors why students chose a particular academic track in high school and their future majors in college were their interests and achievements in mathematics and science (48.8%), their aptitude for the fields, and their plans for future vocations. Secondly, external factors (27.8%) such as the Korean SAT, their high school GPA, and the school curriculum were also significant; although student interest (44.9%)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elective courses for science. According to the survey, however, 44.7 percent of the participants gave up their original choices of elective courses in science as a result of external factors. Finally, in choosing elective courses for mathematics, external factors(40.1%)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pointed external factors in the case of mathematics was 12.3 percent higher than in the case of scie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selective rights for choosing elective cours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were not sufficiently guaranteed and some educational plan is required to solve this problem.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계열 선택 이유 및 대학 진학 희망 분야를 조사하고 과학, 수학 선택 과목의 이수를 결정하거나 포기한 이유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총 41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고등학교 계열 및 대학 진학 희망 분야를 선택할 때 수학 또는 과학에 대한 흥미나 성적의 영향, 해당 분야에 대한 자신의 적성, 미래 직장 등을 주로 고려하였다. 특히, 수학이나 과학 때문에 본인의 고등학교 계열을 결정하였다는 의견이 응답자의 절반(48.8 %)에 가까웠다. 둘째, 고등학생들은 과학 선택 과목을 선정할 때에 해당 과목에 대한 흥미를 가장 중시하였지만(44.9 %), 학교 사정 및 대입 제도에 따른 결정(27.8 %)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 44.7 %는 학교에서 해당 과목을 개설하지 않았거나 내신 및 수능에서에서 불리하기 때문 등과 같은 외적 여건 탓에 희망 과목의 이수를 포기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수학 선택 과목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수능, 내신, 개설 여부와 같은 외적 여건(40.1 %)을 상대적으로 크게 고려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선택 과목을 결정할 때 과학 과목에서 외적 여건을 고려하는 비율보다 수학 과목의 경우에 12.3 %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능 및 내신을 포함한 대입 제도가 과학, 수학 과목의 선택권을 충분히 보장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학생의 적성에 따른 진로 결정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Analysis of GNSS Signal Acquisition Performance Spreading Zadoff- Chu Codes

        조광희,최윤섭,임덕원,이상정 사단법인 항법시스템학회 2019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Vol.8 No.1

        This paper analyzes the signal acquisition performance of the legacy GNSS spreading codes and a polyphase code. The code length and chip rate of a polyphase code are assumed to be same as those of the GPS L1 C/A and Galileo E1C codes. The autocorrelation and cross correlation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In addition, a way to calculate a more accurate probability of false alarm for a code with sidelobe non-zero auto-correlation function is proposed. Finally, we estimate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and the mean acquisition time for a given signal strength and the probability of false alarm.

      • KCI등재

        Field-induced Weak Ferromagnetism in Single-crystalline DyFe0.8Mn0.2O3

        조광희,박순용 한국물리학회 2013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3 No.1

        Single-crystalline DyFe1−xMnxO3 perovskites with the nominal Mn contents of x = 0.2, 0.5, and 0.7 were grown successfully. The solid solutions have an orthorhombic structure with space group Pbnm. Magnetic susceptibilities at different crystallographic axes show a large magnetic anisotropy,primarily originating from the large spin-orbit coupling of the Dy moment. For DyFe0.8Mn0.2O3, a room-temperature weak ferromagnetism is confirmed along the c-axis. A spin reorientation transition occurs at TSR ≈ 225 K, below which the canted weak ferromagnetic moment disappears. The application of a high magnetic field (µ0H ≥ 6 T) along the c-axis at T = 200 K unveils a hidden field-induced weak ferromagnetism, which probably has the same spin configuration as that above TSR ≈ 225 K.

      • KCI등재

        고등학생의 계열 선택 및 과학․수학 선택 과목 이수에 관한 의견 조사

        조광희,최지선,조향숙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계열 선택 이유 및 대학 진학 희망 분야를 조사하고 과학, 수학 선택 과목의 이수를 결정하거나 포기한 이유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총 41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고등학교 계열 및 대학 진학 희망 분야를 선택할 때 수학 또는 과학에 대한 흥미나 성적의 영향, 해당 분야에 대한 자신의 적성, 미래 직장 등을 주로 고려하였다. 특히, 수학이나 과학 때문에 본인의 고등학교 계열을 결정하였다는 의견이 응답자의 절반(48.8 %)에 가 까웠다. 둘째, 고등학생들은 과학 선택 과목을 선정할 때에 해당 과목에 대한 흥미를 가장 중시하였 지만(44.9 %), 학교 사정 및 대입 제도에 따른 결정(27.8 %)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 44.7 %는 학교에서 해당 과목을 개설하지 않았거나 내신 및 수능에서에서 불리하기 때문 등과 같 은 외적 여건 탓에 희망 과목의 이수를 포기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수학 선택 과목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수능, 내신, 개설 여부와 같은 외적 여건(40.1 %)을 상대적으로 크게 고려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선택 과목을 결정할 때 과학 과목에서 외적 여건을 고려하는 비율보다 수학 과목 의 경우에 12.3 %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능 및 내신을 포함한 대입 제도가 과학, 수학 과목 의 선택권을 충분히 보장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학생의 적성에 따른 진로 결정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새물리” 논문 분석을 통한 국내 물리 교육 연구의 변천 및 동향 탐색

        조광희 한국물리학회 2020 새물리 Vol.70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hysics-education-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s of “New Physics: Sae Mulli” in the early 2000s and recently, a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and the trends in the field of physics education research. The analysis targeted 40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02 and 113 papers published from 2017 to 2019.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physics education research has tended to increase over the past 20 years, and that its weight has gradually increased in the journal. In the early 2000s, development research, which suggested experimental tools, for mechanic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the most representative case.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school level of participants has risen, based on pedagogical factors and learner responses. A tendency to turn to research using social science methods was noted.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targets, physics contents, and research methods have been diversified.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some approaches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hysics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초반 및 최근에 “새물리” 학술지에 게재된 물리 교육 관련 논문들을 분석하여변천 특징 및 연구 동향 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2000년 – 2002년에 해당하는 새물리 게재 논문 40편, 2017년 2019년에 해당하는 113편이 분석 대상이었다. 분석 결과, 지난 20년간 물리 교육 연구는 증가하는경향을 보였으며 새물리 학술지 내에서 물리 교육 관련 연구의 비중이 커지고 있었다. 2000년대 초기에는중학생을 대상으로, 역학 관련 내용에 관해, 실험 도구를 제안하는, 개발 연구가 가장 대표적 사례였다. 반면에 최근에는 연구 대상의 학교 급이 높아지고, 교육학적 요소 및 학습자의 반응을 근거로 하며, 사회과학적 방법을 이용한 연구로 바뀌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 전반적으로 연구의 대상, 내용, 방법 등이다양해졌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물리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필요한 시도와 시사점 등을 추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