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3-5세 누리과정 영역별 내용 체계 분석

        정찬기오 ( Chang Gi Ho Chuang ),윤미정 ( Mi Jeong Youn ),정다운 ( Da Uoon Chung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3 현대교육연구 Vol.2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5세 유아의 누리과정 영역별 활동 내용의 체계를 분석하여 유치원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취지와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신체운동·건강 영역의 교육 활동 내용 체계는 어떠한가? 둘째, 의사소통 영역의 교육 활동 내용 체계는 어떠한가? 셋째, 사회 관계 영역의 교육 활동 내용 체계는 어떠한가? 넷째, 예술 경험 영역의 교육 활동 내용 체계는 어떠한가? 다섯째, 자연 탐구 영역의 교육 활동 내용 체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 사용된 주된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6호로 고시된 유치원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교사용 지침서, 3세 교사용 지도서 10권(①유치원/어린이집과 친구, ②나와 가족, ③우리 동네, ④동식물과 자연, ⑤건강과 안전, ⑥생활도구, ⑦교통기관, ⑧우리나라, ⑨환경과 생활, ⑩봄·여름·가을·겨울), 4세 교사용 지도서 11권(①유치원/어린이집과 친구, ②나와 가족, ③우리 동네, ④동식물과 자연, ⑤건강과 안전, ⑥생활도구, ⑦교통 기관, ⑧우리나라, ⑨세계 여러 나라 ⑩환경과 생활, ⑪봄·여름·가을·겨울), 5세 교사용 지도서 11권(①유치원과 친구, ②나와 가족, ③우리 동네, ④동식물과 자연, ⑤건강과 안전, ⑥생활도구, ⑦교통 기관, ⑧우리나라, ⑨세계 여러 나라 ⑩환경과 생활, ⑪봄·여름·가을·겨울),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수정·보완서(교육과학기술부, 2013)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신체운동·건강 영역의 신체 인식하기는 감각 능력 기르고 활용하기와 신체를 인식하고 움직이기가 중심이 된다. 신체조절과 기본운동 하기는 신체조절 하기와 기본운동 하기가 중심이 된다. 신체 활동에 참여하기는 자발적으로 신체 활동에 참여하기와 바깥에서 신체 활동하기와 기구를 이용하여 신체 활동하기가 중심이 된다. 건강하게 생활 하기는 몸과 주변을 깨끗이 하기와 바른 식생활하기와 건강한 일상생활 하기와 질병 예방하기가 중심이 된다. 안전하게 생활하기는 안전하게 놀이하기와 교통안전 규칙 지키기와 비상 시 적절히 대처하기가 중심이 된다. 의사소통 영역의 듣기는 낱말과 문장 듣고 이해하기와 이야기 듣고 이해하기와 동요·동시·동화 듣고 이해하기와 바른 태도로 듣기가 중심이 된다. 말하기는 낱말과 문장으로 말하기와 느낌·생각·경험 말하기와 상황에 맞게 바른 태도로 말하기가 중심이 된다. 읽기는 읽기에 흥미 가지기와 책 읽기에 관심가지기가 중심이 된다. 쓰기는 쓰기에 관심 가지기와 쓰기 도구 사용하기가 중심이 된다. 사회관계 영역의 나를 알고 존중하기는 나를 알고 소중히 여기기와 나의 일 스스로 하기가 중심이 된다. 나와 다른 사람의 감정 알고 조절하기는 나와 다른 사람의 감정 알고 표현하기와 나의 감정 조절하기가 중심이 된다. 가족을 소중히 여기기는 가족과 화목하게 지내기와 가족과 협력하기가 중심이 된다.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기는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기와 공동체에서 화목하게 지내기와 사회적 가치를 알고 지키기가 중심이 된다. 지역사회에 관심 갖기는 지역사회에 관심 갖고 이해하기와 우리나라에 관심 갖고 이해하기와 세계와 여러 문화에 관심가지기가 중심이 된다. 예술경험 영역의 아름다움 찾아보기는 음악적 요소 탐색하기와 움직임과 춤 요소 탐색하기와 미술적 요소 탐색하기가 중심이 된다. 예술적 표현하기는 음악으로 표현하기와 움직임과 춤으로 표현하기와 미술 활동으로 표현하기와 극 놀이로 표현하기와 통합적으로 표현하기가 중심이 된다. 예술 감상하기는 다양한 예술 감상하기와 전통 예술 감상하기가 중심이 된다. 자연탐구 영역의 탐구하는 태도 기르기는 호기심을 유지하고 확장하기와 탐구과정 즐기기와 탐구기술 활용하기가 중심이 된다. 수학적 탐구하기는 수와 연산의 기초개념 알아보기와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아보기와 기초적인 측정하기와 규칙성 이해하기와 기초적인 자료수집과 결과 나타내기가 중심이 된다. 과학적 탐구하기는 물체와 물질 알아보기와 생명체와 자연환경 알아보기와 자연현상 알아보기와 간단한 도구와 기계 활용하기가 중심이 된다. 본 연구의 결과들에 근거하여 제시 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누리과정은 만 3-5세 유아의 조화로운 발달을 돕기 위하여 흥미 중심의 활동·놀이 중심의 활동·생활 속의 경험 등을 소재로 능동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야 하며,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적이고 균형 있는 활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리과정의 운영 내용 및 활동은 유아의 발달수준과 흥미, 그리고 요구수준에 적합하게 선정·조직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give substantial help to kindergarten teachers by analyzing the content system of each area in the Nuri Curriculum of 3-5 year Old Children. Based on the purpose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content system of the educational activity contents in the area of the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Second, what is the content system of the educational activity contents in the area of communication? Third, what is the content system of the educational activity contents in the area of social relations? Fourth, what is the content system of the educational activity contents in the area of art experience? Fifth, what is the content system of the educational activity contents in the area of nature exploration? The main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include the Curriculum for Kindergarten published as Notification No. 2012-16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2013), The manual of the Nuri Curriculum for 3-5 year old childre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the Teachers` Guide, 10 volumes of the Guide for Teachers of 3 Year Old Children (① Kindergarten/Daycare Center and Friends, ② Me and My Family, ③ My Neighborhood, ④ Animals, Plants, and Nature, ⑤ Health and Safety, ⑥ Appliances, ⑦ Transportation Facilities ⑧ My Country ⑨ Environment and Life, ⑩ Spring, Summer, Winter, and Fall), 11 volumes of the Guide for Teachers of 4 Year Old Children (① Kindergarten/Daycare Center and Friends, ② Me and My Family, ③ My Neighborhood, ④ Animals, Plants, and Nature, ⑤ Health and Safety, ⑥ Appliances, ⑦ Transportation Facilities ⑧ My Country ⑨ Various Countries in the World ⑩ Environment and Life, ⑪ Spring, Summer, Winter, and Fall), and the Modified and Supplemented Guide for Teachers of 5 Year Old Childre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2013).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reasing and using sense abilities and recognizing the body and moving constitute the core of recognizing the body in the area of the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Adjusting the body and engaging in basic exercise constitute the core of adjusting the body and engaging in the basic exercise. Spontaneously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engaging in outdoor physical activities, and using instruments to engaging in physical activities constitute the core of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Cleaning the body and surroundings, leading a good dietary life, engaging in healthy daily life, and preventing diseases constitute the core of leading a healthy life. Safely playing, observing traffic safety rules, appropriately responding to emergency constitute the core of leading a safe life. Listening to and understanding words and sentences, listening to and understanding stories, listening to and understand children`s songs, poems, and stories, and listening with a good attitude constitute the core of listening in the area of communication Speaking in words and sentences, speaking of feelings, ideas, and experiences, and speaking with a good attitude in a way appropriate for a situation constitute the core of speaking. Having interest in reading and having interest in book reading constitute the core of reading. Having interest in writing and using instruments for writing constitute the core of writing. Knowing and cherishing myself, doing my job on my own constitute the core of Knowing and respecting myself in the area of social relations. Knowing and expressing my feelings and others` and controlling my feelings constitute the core of Knowing and controlling my feelings and others`. Living harmoniously with families and cooperating with families constitute the core of cherishing families. Get along with friends, living harmoniously in a community, knowing and observing social values constitute the core of living together with others. Having interest in and understand local society, having interest in and understand my country, and having interested in the world and various cultures constitute the core of having interest in local society. Exploring musical elements, exploring movement and dancing elements, and exploring artful elements constitute the core of looking for beauty in the area of art experience. Expressing in music, expressing in movement and dancing, expressing in art activities, and expressing in drama play constitute the core of creating artful expressions. Appreciating various genres of art and appreciating traditional art constitute the core of appreciating art. Maintaining and extending curiosity, enjoying explorative processes, and using explorative skills constitute the core of promoting explorative attitudes in the area of natural exploration. Investigating the basic concepts of numbers and calculations, investigating the basic concepts of space and figures, doing basic measurement, understanding regularity, basic data collecting, and presenting results constitute the core of engaging in mathematical exploration. Investigating objects and matters, investigating life forms and natural environments, investigating natural phenomena, and using simple tools and machines constitute the core of engaging in scientific exploration. The conclusion that can be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order to help 3-5 year old children`s harmonious development with the Nuri Curriculum, it is desirable to enable active interactions with such subject matters as interest-oriented activities, play-oriented activities, experiences in life etc. and carry out integrative and balanced activities with focus on themes. It is desirable to select and organize the opera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appropriately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interest, and requirement levels.

      • KCI등재

        신체활동과 인지활동이 경증치매환자의 뇌활성도와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

        심소예,백지영,정화식,차태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4

        본 연구는 신체활동과 인지활동이 경증치매환자의 뇌 영역별 활성도와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상자 선정 기준에 맞는 경증치매환자 30명을 신체활동군과 인지활동군 각각 15명으로 나누어 1일 1회, 30분씩, 주 3회, 총 12주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뇌 영역별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해 QEEG-8을 사용하여 뇌파(EEG)를 측정하였으며, 작업수행을 알아보기 위해 COPM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경증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과 인지활동 후 뇌 영역별 활성도에서 신체활동군은 전전두엽, 전두엽, 측두엽 영역에서 SMR파와, 모든 뇌 영역에서 β파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인지활동군은 전전두엽 영역에서 SMR파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작업수행은 신체활동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군간 뇌 영역별 활성도의 변화는 전전두엽, 전두엽 영역에서 β파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신체활동은 경증치매환자의 뇌 영역별 활성도와 작업수행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신체활동은 경증치매환자의 뇌활성도와 작업수행 증진에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활동 영역의 재정립에 관한 연구

        문성호,윤동엽,박승곤,정지윤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6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3 No.2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re-establish the range of youth activities. For this, the concept of youth activities was discuss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youth activities were divided into 12 activity ranges and 102 detailed activities first. Later, two times of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for 38 hands-on workers, and 5 academic experts were consulted. In particular, AHP method was used in the second Delphi survey to identify relative importance among activity rages. As a result of the first Delphi survey and consultation, club activity/group activity, family and personality activity, self-improvement (personality) activity/self-development activity were deleted; and 9 ranges and 62 detailed activities were suggested based on inclusiveness. In the second Delphi survey and consultati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ity was excluded, and detailed activities were created based on contents. Through the process, 8 ranges and 34 detailed activities of youth activities were drawn ultimately. The results of the study need to be utilized in investigating the status of and demand for youth activities, improving law and regulations and practical fields. Additionall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on the concept and ranges of youth activit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의 영역 재정립에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문헌고찰을 통해 청소년활동의 개념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고, 1차적으로 청소년활동을 12개의 활동영역, 102개의 세부활동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두 번에 걸쳐 현장 실무자 38명을 대상으로 하는 델파이 조사와 학계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자문을 실시하였다. 특히, 2차 델파이 조사에서 AHP 방법을 활용하여 활동영역 간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보았다. 1차 델파이 조사 및 자문 결과, 동아리활동/집단활동, 가족․인성활동, 자기(인성)계발활동/자기개발활동이 삭제되었고, 세부활동이 포괄성을 중심으로 정리되어 9개 영역, 62개 세부활동이 제시되었다. 2차 델파이 조사 및 자문에서는 환경보존활동을 제외하였고, 내용을 중심으로 세부활동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8개 영역, 34개 세부활동의 청소년활동 영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활동의 실태 및 요구조사, 법령 및 제도의 정비, 실무 현장 등에서 활용될 필요가 있다. 향후에도 청소년활동 개념과 영역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누리과정에 기초한 자유선택활동의 사회관계영역 활동 내용 분석

        임승렬(Lim, Seung-Ryoul),정미라(Joung, Mi-Ra),김연미(Kim, Yeon-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누리과정에 기초한 자유선택활동의 사회관계 영역 운영 실태를 밝히기 위한 것으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의 일일계획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이 계획한 자유선택활동 중 사회관계영역 내용을 포함하는 활동이 15% 내외 수준으로 낮게 편성되었고, 생활주제별 편성 정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의 흥미 영역 내에서 계획된 사회관계영역 관련 내용은 기관 유형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누리과정에서 제시한 사회관계영역 관련 내용 범주가 골고루 편성되지 않았다. 또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의 사회관계영역 내용 편성은 흥미 영역에 따라 편차가 있었다. 둘째,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은 자유선택활동의 사회관계영역 관련 활동 내용을 약 60% 이상 평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된 사회관계영역 활동의 평가 내용을 분석한 결과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은 ‘교수내용’ 또는 ‘유아 태도’를 주로 평가하였으며, ‘교육목표’, ‘교수방법’, ‘유아흥미’, ‘유아발달’ 등에 관한 평가는 대부분 이루어 지지 않았다. 따라서 누리과정 사회관계영역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누리과정의 내용과 운영 방법에 대한 교사의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사회관계영역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교사의 재교육 등 교사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ocial relationship activities in free choice activity time based on Nuri curriculum, were conducted. To achieve this, daily lessons plans of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within the planned free-choice activities, the portion of activities regarding social relationship area were quite low, as the portion was only about 15%. In addition there was a gap in the degree of composition of activity in accordance with each daily life based theme. Among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re was no apparent difference in contents of social relationship area planned for the area of interest in free choice activity. Furthermore, categories of social relationship area set out by Nuri curriculum, were not evenly composed by all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 care center teachers. Moreover,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contents of social relationship area according to areas of interest in all teachers from both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lso it was found that 60% of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did not evaluate the content of free-choice activities in social relationship area. Upon analyzing the evaluation of planned social relationship area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most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teachers did not conduct evaluation on teacher or children’s interest or attitudes, using categories that should have been included in the plan during their evaluation, such as education objective, teaching methodology, child development factors. Therefore, for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ocial relationship area within the Nuri curriculum, teachers should fully understand the content and operational methods of the Nuri curriculum. Also it is imperative to provide sufficient teacher support such as teacher training regarding the efficient management of social relationship area.

      • KCI등재

        노인의 사회참여 활동영역과 수준에 따른 삶의 질 비교연구

        주경희(Kyong Hee, Ju)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9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참여 활동영역과 수준에 따른 객관적 및 주관적 삶의 질과의 관계를 보다 정밀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수도권지역의 60세 이상 노인 5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사회참여의 5가지 활동영역 참여는 주관적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경제활동, 사교친교활동 및 자기개발활동의 3가지 영역만 객관적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활동의 5가지 영역의 참여지수 중에서 종교활동 참여지수만 주관적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경제활동, 종교활동, 자기개발활동 참여지수가 객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객관적 삶의 질의 매개효과 검증에 있어서 경제활동, 사교친교활동, 자기개발활동 참여와 경제활동과 종교참여활동의 참여지수가 객관적 삶의 질을 통하여 주관적인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more precisely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lder"s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is study randomly selected 586 Korean elders aged over 60. and conducted an interview surve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participation of the five areas of social activities affected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affirmatively. while only three areas involving economic activities, social and friendly activities and self-development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bjective quality of life. Only the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ies at the participation of the five areas of social activities affected positively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while economic activities, religious activities and self-development activities had an effect on the objective quality of life. Also, the quantitative level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social and friendly activities and self-development activities was found to affect affirmatively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objective quality of life.

      • KCI등재

        대학 전공 영역별 플립러닝의 교실수업 활동 유형 분석

        도현미(Do Hyunmi),김민정(Kim Mi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최근 대학 교육 영역에서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하여 동영상이나 학습자료를 통해 수업 전에 미리 사전 예습학습을 하고, 교실에서는 토론이나 팀 활동 같은 학습자 중심의 학습활동을 수행하는 플립러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플립러닝 선행연구를 보면, 교실수업에서 이뤄지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활동이 플립러닝에 서는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부분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 기에 실제 플립러닝을 수행하고자 하는 대학 교수자들에게 영역별로 충분한 가이드가 주어지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 교실수업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활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전공 영역별 플립 러닝 수업을 설계하고자 하는 교수자들에게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국내에서 플립러닝이 본격 소개된 2013년부터 2019년 사이 국내외에서 수행된 대학교육에서의 플립러닝 관련 연구 논문 총 86건을 선정하여 교실수업 활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플립러닝이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영역은 인문 영역이며, 다음으로 자연과학, 의학, 공학, 사회과학, 예체능 순으로 나타났다. 교실수업 활동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는 도입단계에서는 퀴즈, 질의응답, 미니강의를, 전개단계에서는 소그룹으로 토론·토의, 문제풀이, 문제중심학습, 실험 및 실습 등의 다양한 학습자 중심의 활동이 이뤄지고 있었다. 정리 단계에서는 발표 및 평가, 핵심 요약강의, 피드백, 성찰 등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교과 영역별 특징적인 교실수업 활동을 살펴보면, 인문계열에서는 토론·토의, 의약학계열에서는 팀별 문제해결과 실습·실험, 공학에서는 팀별 문제해결이 플립러닝 교실수업 활동으로 주로 이뤄지고 있었다. 글의 말미에서는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의 수업설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ately, people’s concern with the flipped learning has been increasing. The flipped learning means that students learn with the video or other teaching tools before the class and then, will be engaged in team debate or team-wise problem-solving activities in the class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in-class learning activities and thereby, provide a guideline for the teachers who want to design a flipped learning class in their majo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such key words as ‘flipped learning’, ‘flipped classroom’, ‘curriculum’ and their combinations to collect the data about the preceding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the area where the flipped learning has been researched into most actively is humanities, followed by natural science, medicine, engineering, social science and arts & sports in their order.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class learning activiti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prevalent activities at the stage of introduction are quiz, questions & answers and mini-lecture, and that those at the stage of development are mini-group debate and discussion, problem-solving, Problem-based learning, experiment and practice, and that those at the stage of conclusion are presentation and evaluation, core instruction, feedback and introspection. Thirdl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learning activities by major, it has been found that the debates & discussions prevail in the humanities, and that the debates & discussions and team-wise problems-solving prevail in the social sciences, and that team-wise problem-solving and practice & experiment prevail in medicine and pharmacy, and that team-wise problem-solving prevail in engineering, and that practice and performances prevail in arts and sports.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puts forwards some suggestions for the flipped learning class designs.

      • KCI등재

        3,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과학영역 활동 비교 분석

        남기원 ( Ki Won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3,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영역활동을 분석함으로써 누리과정에서의 과학교육 경향성과 연령별 연계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현장 교사들에게 지도서 활용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3세, 4세 교사용 지도서 총 21권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유선택활동 중 과학영역활동 총 85개를 ``생활주제별 과학영역활동의 수, 과학교육 목표, 과학교육 내용, 타영역과의 관련 요소, 활동자료``등을 분석하고, 이 결과를 3,4세 연령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3,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영역활동은 3세 총 677개 활동 중 39개(5.7%). 4세는 총 737개 활동 중 46개(6.2%)로 3,4세 비슷한 비율이 나타났다. 둘째, 3세 과학영역활동의 목표는 태도가, 4세에서는 기술과 태도가 같은 빈도로 많이 나타났다. 셋째, 과학내용으로는 3,4세 모두 물체와 물질 알아보기가 가장 빈번하게 다루어졌다. 넷째, 타영역과의 관련 요소 분석으로는 신체운동·건강 영역과 사회관계 영역에서 3,4세 모두 높은 관련이 있었다. 다섯째, 3,4세 모두 과학활동자료로 일상적 자료-생물 및 자연물-사진 및 그립/글-과학도구 순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activities and content of science center activities included in r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 Materials for Kindergarten developed and suppl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3. For this study 82 activities were selected from 10 Guide Books for 3-year-old and 11 Guide Books for 4-year-old. These activ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five criteria Activities frequency, Science curriculum goals, Science education contents, relevance to another educational area, Activity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n 3-year old`s science activity in the r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 Materials for Kindergarten had similar rations with 4-year old`s. But there are wide variations in Kindergarten Education Subjects. Second, science activity purpose for 3-year-old aimed at children`s attitude form for science. For 4-years-old aimed at children`s attitude form and technology for science. Third, 4-year-old`s science center activities were organized more scientific contents than 3-year-old`s. And 3, 4-year-old` s science center activities frequently managed material object and matter. Fourth, 3, 4-year-old`s science center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area, social relation area. Fifth, 3, 4-year-old`s scientific material were as follow(from high frequency to low frequency): usual material, a living thing and natural o1ect, picture, drawing and writing, scientific tool. Worksheet was frequently used for 4-year-old.

      • KCI등재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교육과정 내 여가활동영역 편성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신규리,박수정,김민규 여가문화학회 2014 여가학연구 Vol.12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lan for improvement following the state of organization on the field of 'leisure activities' among departments of physical education in national colleges of education through the 2007·2009 revised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majors. Data on curriculum targeting departments of physical education in 25 national colleges of education was collected. This data was analysed by a team of professionals made up of two doctors in leisure studies, and one doctor in sports education utiliz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other research through the use of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courses in the field of leisure activities were divided into 5 inductive categories. Second, schools that offered a curriculum that was compiled of three courses in the field of leisure activities was the most common. Third, 5.46% of the total number of credits needed for graduation consisted of courses in the field of leisure activities. Fourth, of the courses passed in the field of leisure activities, 90.2% are found to be optional courses. Fifth, 74.8% of leisure activities courses are found to be one credit courses. Sixth, leisure activities courses consist of 10.5% theory and 81.8% practice. Seventh, 90.9% of courses in the field of leisure activities consisted of 2 hour lessons. Plans for improvement following this data are as follow. First, reasonable lesson times and passing requirements must be raised. Second, the establishment of courses based on the national education process are needed. Third, the establishment of courses based on leisure education theory and leisure activities theory are needed. Fourth, education on methods of guidance must be reinforced. 본 연구의 목적은 2007·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현 전국 사범대 체육교육과의 여가활동 영역 관련 교과의 편성 실태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전국 25개 사범대 체육교육과를 대상으로 교육과정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여가학 박사 2인과 스포츠교육학 박사 1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전문가 협의 및 SPSS 18.0을 사용한 기술통계 등을 활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여가활동 영역 과목명은 귀납적 범주 분류화를 통해 5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여가활동 영역 과목수는 3과목 편성학교 빈도가 가장 높았다. 셋째, 졸업학점 대비 여가활동 영역 과목 비율은 5.46%로 분석되었다. 넷째, 여가활동 영역 과목 이수는 선택과목이 90.2%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여가활동 영역 과목 학점 비율은 1학점이 74.8%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여가활동 영역 과목은 이론 10.5%, 실기 81.8%로 구성되어있다. 일곱째, 여가활동 영역 과목별 수업시수는 2시간이 90.9%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따른 개선방안은 첫째, 적정 수준의 수업시수와 이수구분의 제고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여가교육이론 및 여가행동이론에 기초한 교과목 개설을 필요로 한다. 셋째, 국가교육과정에 기초한 교과목 개설을 필요로 한다. 넷째, 지도법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

        등산용 아웃도어 웨어의 착용 목적과 활동 영역에 따른 기능적 디자인 특성 연구

        이경수,김영인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2

        국내 아웃도어 웨어를 대표하는 남성 등산복과 용품을 대상으로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의류 와 용품의 상호관계를 구조적으로 접근하여 체계적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등산용 아웃도어 재킷의 디자인 분석을 위한 디자인 요소로 활동 영역, 맞음새, 소매산 및 후드, 주머니, 배낭의 용량과 벨트 등 다섯 가지를 선정하였다. 또한 매출 및 성장률을 토대로 상위 5위 안에 드는 국내 아웃도어 웨어 브랜드를 선정하 여 2017년도 봄, 여름부터 2018년도 SS까지의 e-카탈로그에서 남성용 방수 재킷과 방풍 재킷 772개 모두를 설문조사용 자극물로 추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의 활동 영역에서는 아웃도어의 대 표격인 익스트림에서 벗어난 트레킹과 트레블링 영역으로 확장되어 익스트림의 출현 빈도가 줄어든 경향을 보였다. 둘째, 고기능성을 갖추어야 하는 익스트림 활동 영역에서는 착용 목적과 활동 영역에 따른 맞음새, 소매산 및 후드, 주머니, 배낭의 용량과 벨트의 디자인 요소가 적절하게 고려되지 않은 결과이다. 셋째, 트레 킹은 중간 기능성에 해당하며, 분석 결과로는 활동 영역에 따른 디자인 요소와 브랜드에 따른 디자인 요소가 적절하게 사용되지 않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넷째, 트레블링은 최소한의 기능성을 필요로 하며, 분석 결과로 트레블링 활동 영역에서 디자인 요소의 접목과 활동 영역별 브랜드에 따른 디자인 요소의 이해 부족으로 적절하게 조형 요소가 적용되지 못했다. 종합적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등산용 아웃도어 웨어 중에서도 남성 용 재킷과 배낭의 활동 영역별로 고려되어야 하는 디자인 조형 요소가 적절하게 고려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 요소의 이해와 용품과의 구조적 디자인 관여도를 파악하여 착용 목적에 따라 의류와 용품의 상호관계를 구조적으로 접근하여 체계적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남성용 아웃도어 재킷과 배 낭의 구조적 디자인 특성 간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변화하는 아웃도어 웨어 환경 속에서 국내 아웃도어 범주 의 확장과 차별화된 디자인 요소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design and to firmly grasp the involvement of the design factors in the product, and to approach systematically in designing the co-relationships of clothing produc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wear. Outdoor activities are based on the wearing of clothes and equipments, and it is mandatory to systematically design the co-relation between clothes and supplies by structurally approaching them. Design factors for analysis of a mountain climbing outdoor jacket were selected as five factors: activity area, customizable fit, sleeve length and hood, pockets, backpack capacity and belt. Based on the sales and growth rate, we selected the top five domestic outdoor wear brands and extracted 772 men’s waterproof jackets and windproof jackets from the 2017 SS to the 2018 SS as surve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ctivity area of each brand, the frequency of extreme purpose showed a decreased popularity compared to increased volume in trekking and traveling areas, which is an unexpected result considering extreme purpose being the main purpose for outdoor wears. Second, in the extreme activity area where high functionality is required, customizable fit, sleeve length or hood, pocket, capacity of backpacks, and belt were not properly expressed. Third, trekking belongs to Medium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shows that design features did not match to activity area and design factors were not appropriately designed from each brand. Fourth, traveling requires low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shows that the design factors and molding elements in the traveling activity area reflected the insufficient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activity, hence elements did not match appropriately in each brand. In this wa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 design factors such as activity area, customizable fit, sleeve length or hood, pocket, capacity of the backpack and belt can be summarized, however it can be found that the five design factors are not properly applied in men’s jackets, and backpacks. In conclusi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al design characteristics of men’s outdoor jackets and backpacks provides a research direction necessary for expanding domestic outdoor categories and developing differentiated design elements in a changing outdoor wear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