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천신학 연구를 위한 합의적 질적연구의 활용

        배아론,이현철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3 갱신과 부흥 Vol.31 No.-

        In this study,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wa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as a practical sugges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search methodology and individual oriented research that practical theology faces.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focused on this study allows field-oriented research to be carried out by departing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research, as known as practical theology, and at the same time overcomes the individual research-oriented methods to create an academic field for group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appropriately implement the academic foundation for group research by experts who have experienced the field. Specifically,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practical theolog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within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applicability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within practical theology. In this process, the current status of practical theology courses offered at domestic and foreign seminaries was also explored. In addition, for the critical application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some points were advised when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in practical theology. There is a possibility of being influenced by subjective evaluation and perception, and there are limits to generalization of phenomena. Based on this, contents such as the need for advancement and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within practical theology, the need for developing training progress courses to strengthen the practical capabilities of the next generation, and the need for cooperative projects between academia and the field are addressed for future research and academic work in the field of practical theology followed by suggestions for academic environment improvement. 본 연구에서는 실천신학이 직면하고 있는 연구방법적 측면과 개인 연구 중심의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한 실제적인 제안으로서 합의적 질적연구를 대안으로 제시해보았다. 합의적 질적연구는 실천신학인 기존의 문헌연구 중심에서 탈피하여 현장지향적 연구를 수행하도록 해줌과 동시에 개인 연구 중심을 극복하여 현장을 경험한 전문가들의 집단 연구수행을 위한 학문적 토대를 적절히 구현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연구과정에서 실천신학 분야의 특징과 한계 분석, 질적 연구 내 합의적 질적연구의 개념 및 특성 그리고 실천신학 영역 내 합의적 질적연구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보았다. 이 과정에서 국내외 신학대학원에서 개설되는 실천신학 교과목 개설 현황도 탐색하였다. 또한 합의적 질적연구에 대한 비평적인 적용을 위하여 실천신학 연구 내 합의적 질적연구 활용시 유의해야 할 사항들 몇 가지도 제시하였는데, 현상에 대한 다원주의적 해석 가능성에 대한 경계가 필요하다는 점, 연구자들의 주관적인 평가와 인식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 현상에 대한 일반화의 한계가 존재한자는 점 등이다. 이를 바탕으로 실천신학 내 연구방법적 고도화와 다변화의 필요성, 학문후속세대의 실천적 역량 강화를 위한 훈련 과정 개발의 필요성, 학계와 현장 간의 협력 프로젝트의 필요성과 같은 내용을 향후 실천신학 분야의 연구와 학술풍토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음악치료사들이 내담자로서 경험한 심리치료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이나영,김동민 한국질적탐구학회 2017 질적탐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사들이 내담자로서 경험한 심리치료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음악치료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개인 및 집단 심리치료의 경험이 있는 음악치료사 10명을 대상으로 심도 깊은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합의적 질적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악치료사들이 내담자로서 경험한 심리치료는 ‘심리치료를 시작하게 된 동기’, ‘심리치료에 대한 기대’, ‘심리치료 과정에서의 긍정적 경험’, ‘심리치료 과정에서의 어려운 경험’, ‘심리치료를 통한 개인적 성장’, ‘음악치료사로서의 전문적 성장’으로 6개의 영역이 나타났으며, 영역에 따라 2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음악치료사들은 심리치료에서 개인 이슈에 대한 심층적 탐색을 할 수 있었으며, 치료사에 대한 불신과 정서적 소진, 저항과 같은 어려움도 경험하였다. 이후 심리치료의 경험은 자기에 대한 이해 확장과 치료사 역할에 대한 확인, 치료의 질적 성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들의 성장에 심리치료가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고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music therapists as a client in psychotherap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ten music therapists and their experiences were examined by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As a result, 6 domains of “motivation of starting psychotherapy,” “expectation on psychotherapy,” “positive experiences in the psychotherapy process,” “difficult experiences in the psychotherapy process,” “personal development through psychotherap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psychotherapy” were defined from the data. These domains were further divided into 22 categories. Music therapists were able to explore in-depth issues in psychotherapy and had difficulties such as distrust, burnout, and resistance from their experiences as a client. The experiences of psychotherapy further led to the extension of self-understanding, confirmation on the role of a therapist, and improvement of therapy qua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e meaning and values that psychotherapy can have for the growth of music therapists and provide basic data on them.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질적연구 도구 활용 경험

        김진희 ( Kim Jin-hee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4

        연구목적: 새로운 기준을 뜻하는 뉴노멀이 질적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에게도 필요한 것인지가 본 연구를 이끈 문제의식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분야 질적연구 수행에 필요한 디지털 도구활용 자료 수집과 자료 분석 사례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2020-2021년 국내 및 국제 문화예술교육 관련 현장사례를 담은 문헌과 연구자의 질적연구 수행 경험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질적연구의 전환을 살펴보았다. 수집한 자료는 2020 생애전환문화예술교육사업 결과보고서와 2021 세계문화예술 교육주간 자료집, 유네스코 유니트윈 국제 학술대회 자료집, 연구자가 수행한 온라인 도구 활용 질적연구 자료를 내용 및 분류분석 하였다. 결과: 첫째, 화상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온라인 관찰과 구글 폼인터뷰 자료 수집을 위해 참여자들과 소통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 참여자의 주체적이고 당사자적인 문화예술 활동은 포토보이스를 활용해 사진과 이야기가 합쳐진 내러티브적 탐구가 필요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에서 질적연구수행시 자료 분석을 위해 합의적 질적연구를 제안하였으며, 유튜브, 밴드, SNS 미디어를 통한 자료수집 및 분석과정에서 연구자가 알아야 할 디지털 도구 활용 방향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new normal, meaning a new standard, is also necessary for researchers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was a question that led to the start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what kind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explore and set the direction in the reality that the with corona phenomenon is recognized. Methods: Data collection were 2020 Lifetime Transitional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ject result and 2021 UNESCO Unit Twin inter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 Data analyzing was conduct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enter the field face-to-face, qualitative researchers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need first, skills to communicate with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online observation and interview using a video conference platform. Second, participant and independent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quire a narrative inquiry that combines photos and stories using photo voices. Third, I discussed the direction of the use of digital tools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through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via YouTube, band, and SNS media.

      • KCI등재

        공격성 구성개념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 적응적이고 긍정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강선희(Gang Seon Heu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공격성의 구성개념 탐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공격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에서는 공격성을 나쁘고 해가 되는 것으로 인식하며, 공격성의 부정적인 결과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론적 및 임상적 측면에서는 공격성을 중립적인 시각에서 바라보면서, 역기능적이고 파괴적인 측면뿐 아니라 기능적이고 건설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함께 고찰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경험적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공격성의 긍정적이고 적응적인 측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먼저 일반인들의 공격성에 대한 인식을 탐색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대학(원)생 173명을 대상으로 공격성의 구성개념과 공격성의 필요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CQR-M(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격성의 구성개념에 대해 공격성의 ‘본질’, ‘기능’, ‘표현’, ‘관련된 심리적 특성’의 4개 영역, 11개 범주가 나타났고, 공격성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개인적 차원’, ‘관계적 차원’, ‘사회적 차원’의 3개 영역, 9개 범주가 나타났다. 대학(원)생들은 공격성의 부정적인 측면뿐 아니라 긍정적이고 적응에 기여하는 측면에 대해서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론가들이 제안한 공격성의 적응성에 대해 일반 대학생들도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struct of aggression. Aggression is often perceived as bad and harmful, and empirical studies are also universally focused on negative consequences of aggression. However, in theoretical and clinical aspects, aggression has been viewed from a neutral perspective, and not only dysfunctional and destructive aspects but also functional and constructive aspects have been considered. Therefore, this study wanted to look at the positive and adaptive aspects of aggression that have not been noticed in empirical studies, and to do so, it was necessary to first explore the public’s perception of aggress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73 university students on the constructive concept and the necessity of aggression, and the survey was analyzed through CQR-M(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4 domains and 11 categories of aggression’s constructive concepts: ‘essence’, ‘function’, ‘expression’, and ‘relat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for the necessity of aggression, 3 categories of ‘personal dimension’, ‘relational dimension’, and ‘social dimension’ were found. The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not only the negative aspects of aggression but also the positive and contributing aspects to adaptation, and the students also recognized the adaptability of aggression proposed by theoris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교사연구자 인식과 실천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전공심화 재학생을 중심으로-

        김화영,정은선,이성원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2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2 No.1

        유아교사는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해 교사연구자 역할을 인식하고 실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전문대 유아교육과 전공심화 과정에서 교사 연구과목이 주요하게 다루어지지만, 전공심화 재학생의 교사연구자 실천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들의 성장을 지원할 실질적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전공심화 재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연구자에 대한 인식과 실천에 대해 포괄적으로 탐색하고자 서울 지역 H 대학교 유아교육과 전공심화 과정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중 현직 유아교사인 9명을 대상으로 인터뷰하여 합의적 질적 연구(CQ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공심화 입학 동기(개인적 필요, 직업적 필요), 교사연구자에 대한 개념과 역할(교육전문가, 현장문제 해결자, 변화에 능동적인 교수자), 교사연구자로 여겨지는 경험(자발적 참여, 의무활동), 교사연구자 실천 어려움(연구자 역할에 대한 부담, 교사업무 과중), 교사연구자 실천을 위한 요건(유아교사의 의지, 교육적 지원, 재정적 지원, 제도적 지원)의 5개 영역과 13개 범주, 3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기 상실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윤운영,유금란 한국재활심리학회 2018 재활심리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죽음 및 관계 상실을 경험한 참여자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청소년기의 상실 경험에 대한 접근은 기존의 양적 연구방법보다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더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되고,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어 합의적 질적 분석방법(CQR)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에 어떤 상실을 경험했는지, 특히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충격적 상실 경험이라고 보고된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내용을 분석했다. 청소년기 상실 경험의 내용은 상실 경험에 따른 어려움, 상실경험 극복을 위한 대처, 주변에서 나를 힘들게 한 일, 상실 경험 후 내가 받은 영향, 앞으로의 바람, 상실 경험 극복을 위한 도움말로 6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상실경험을 통해 청소년들은 정서적․인지적․행동적 측면을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가자들은 상실 경험 이후에 현실적인 변화와 내적으로 단단해지는 것과 같은 긍정적인 변화를 보고하기도 했으나 지속적인 대인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포함한 부정적인 변화에 대해서도 보고했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의 상실 경험에 대해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 청소년 상담에서 고려할 점과 함께 본 연구의 함의와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보 미술치료사들의 치료종결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홍진주,박보람 한국질적탐구학회 2017 질적탐구 Vol.3 No.2

        이 연구는 초보 미술치료사들의 치료종결경험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치료종결경험을 가진 초보 미술치료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한 뒤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초보 미술치료사들의 치료종결경험은 ‘종결 준비 경험’, ‘종결 회기 경험’, ‘종결 후 어려움’, ‘극복 경험’, ‘성장 경험’의 총 5개 영역이 도출되었고 1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보 미술치료사들이 치료종결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요소들과 종결이라는 과정자체가 치료사로서의 성장을 가능하게 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초보 미술치료사들의 치료종결경험을 살펴봄으로써 미술치료현장에 있는 초보 미술치료사들에게 치료종결경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여 전문성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ovice art therapists’ experiences of treatment termination.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9 novice art therapists with experiences of treatment termination to collect data and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novice art therapists’ treatment termination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domains in total including ‘termination preparation experience’, ‘termination session experience’, ‘internal difficulties after termination’, ‘difficulty overcoming experience’, and ‘growth experience.’ Then, these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17 subcategories. The results show that various factors experienced by novice art therapists in the treatment termination process, as well as the termination process itself, can help them grow further as therapis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nsights, based on review over novice art therapists’ treatment termination experiences. Also it is expected to allow novice art therapists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treatment-termination experiences to improve their expertise and provide basic data for academic research on the subject.

      • KCI등재

        COVID-19로 인해 전환된 화상상담의 내담자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정광훈(Kwang-Hoo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2020년 초부터 확산된 COVID-19로 인하여 대면상담에서 화상상담으로 전환된 내담자의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효과적인 화상상담의 접근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COVID-19로 인해 대면상담에서 화상상담으로 전환된 내담자 7명을 대상으로 2022년 2월부터 2022년 3월까지 개별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QR)을 사용하였으며, 2022년 3월부터 2022년 4월에 걸쳐 최종적으로 7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결과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영역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의 영역은 ‘화상상담으로의 전환 경험’, ‘화상상담의 디지털 환경’, ‘화상상담 공간 환경’, ‘향후 화상상담 활성화를 위한 제안’이다. ‘화상상담으로의 전환 경험’에는 ‘화상상담 전환 직전 태도’, ‘대면상담에 비해 좋은점’, ‘대면상담에 비해서 아쉬운점’의 3개 범주, ‘화상상담의 디지털 환경’에는 ‘자연스럽게 적응함’, ‘장비 마련의 부담감’, ‘불안정한 네트워크 환경으로 인한 불편함’, ‘익숙하지 않은 디지털 환경으로 인한 불편함’의 4개 범주, ‘화상상담 공간 환경’에는 ‘사적 공간에서의 상담이 지닌 좋은점’, ‘사적 공간에서의 상담이 지닌 아쉬운점’의 2개 범주, ‘향후 화상상담 활성화를 위한 제안’에는 ‘원활한 상담 진행을 위한 사전 준비’, ‘원활한 상담환경 조성’, ‘효율적인 상담 진행’의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상담적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내담자의 화상상담 전환 경험을 통해 대면상담과 화상상담의 경험을 비교하고 화상상담의 효과적인 접근과 내담자 이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lients’ experience of a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int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prolonged COVID-19 outbreak. To identify clients’ experience of a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approach of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in the future. Methods For this purpos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February 2022 to March 2022 for 7 clients who switched from face-to-face counseling to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due to COVID-19, and 7 pieces of data were collect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4 areas and 12 categories were derived. The four areas derived are ‘experience of transition to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digital environment of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space environment’, and ‘suggestions for activating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in the future’. In the ‘experience of transition to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there are three categories of ‘attitude before the transition to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good points compared to face-to-face counseling’, and ‘disadvantages compared to face-to-face counseling’. In the four categories of ‘comfort due to unfamiliar digital environment’, ‘inconvenience due to unstable network environment’, ‘consultation due to unfamiliar digital environment’, ‘visual counseling space environment’ In the two categories of ‘good points’ and ‘disadvantages of counseling in a private space’, ‘suggestions for activating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in the future’ Three categories of ‘consultation progress’ were derived.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ounseling were presented. This study compared the experiences of face-to-face and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through the client's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conversion experience,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an effective approach to video conferencing counseling and understanding the client.

      • KCI등재후보

        절충통합적 상담가설 유형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고기홍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복지상담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type of eclectic-integrative counseling hypothesi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major counseling theory?’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What type of eclectic-integrative counseling hypothesis is included in the major counseling theory?’Research methods ar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first research question, eight major counseling theories were derived. More specifically, eight major counseling theories such as ‘psychoanalysis,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person centered counseling, family counseling, community counseling, transcendental spiritual counselling, neurophysiological counseling, and developmental counseling’ were derived. Among these, ‘psychoanalysis, cognitive behavior counseling, and person centered counseling’ were ‘general major counseling theory’. And ‘family counseling’ was ‘typical major counseling theory’. And ‘community counseling, transcendental spiritual counselling, neurophysiological counseling, developmental counseling’ were ‘variant major counseling theor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en types of eclectic-integrative counseling hypotheses were derived. More specifically, ten types of counseling hypotheses such as ‘stimulation management, response management, response style management, personality management, neurophysiological management, developmental task management, transcendental spirituality management, family system management, community system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response management’ were derived. Among these, ‘response management, response style management, personality management hypothesis’ were ‘typical counseling hypothesis type’. And ‘stimulation management, neurophysiological management, developmental task management, transcendental spirituality management, family system management, community system management, interpersonal response management hypothesis’ were ‘variant major counseling theory’.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상담이론 속에 포함된 절충통합적 상담가설 유형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절충통합적 상담사례 개념화 준거로 사용되는 주요 상담이론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 연구문제는 주요 상담이론에 포함되어 있는 절충통합적 상담가설 유형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합의적 질적 연구이다. 분석은 상담 전문성과 합의적 질적 분석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자들로 구성된 연구팀 3명과 감수자 1명이 실시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 8개의 주요 상담이론을 도출하였다. 즉, ‘정신분석, 인지행동 상담, 인간중심 상담, 가족상담, 지역사회 상담, 초월영성 상담, 신경생리 상담, 발달상담’의 8개 주요 상담이론을 도출하였다. 이 중에서 ‘정신분석, 인지행동 상담, 인간중심 상담’은 ‘일반적 주요 상담이론’에 해당하였고, ‘가족상담’은 ‘전형적 주요 상담이론’에 해당하였으며, ‘지역사회 상담, 초월영성 상담, 신경생리 상담, 발달상담’은 ‘변동적 주요 상담이론’에 해당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 10개의 절충통합적 상담가설 유형을 도출하였다. 즉, ‘자극관리, 반응관리, 반응양식 관리, 성격관리, 신경생리 관리, 발달과제 관리, 초월영성 관리, 가족체계 관리, 지역사회체계 관리, 대인반응 관리’의 10개의 상담가설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 중에서 ‘반응관리, 반응양식 관리, 성격관리 가설’은 ‘전형적 상담가설 유형’에 해당하였고, 나머지 ‘자극관리, 신경생리 관리, 발달과제 관리, 초월영성 관리, 가족체계 관리, 지역사회체계 관리, 대인반응 관리 가설’은 ‘변동적 상담가설 유형’에 해당하였다. 그리고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음악치료사들의 음악치료 학위과정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임지연,소혜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3

        음악치료사는 음악치료 학위과정을 통하여 전문적 성장 뿐 아니라 개인적인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사들이 학위과정동안 경험한 전문적, 개인적 발달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음악치료사 12명을 대상으로 음악치료 학위과정 경험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위과정 지원동기’, ‘이론학습’, ‘임상기술 학습’, ‘교육 치료집단을 통한 경험적 학습’, ‘실습/인턴쉽’, ‘슈퍼비전’, ‘개인적 성장’, ‘전문적 성장’, ‘훈련 내용에 대한 향후 제안’등의 총 9개의 영역과 3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음악치료사들이 학위과정 경험을 통해 음악치료관련 이론 및 임상적 기술을 습득하는 등 전문가로서의 성장 및 자신에 대한 통찰과 같은 개인적 성장을 함께 경험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한국 음악치료사들의 학위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고찰로, 그 결과는 음악치료 학위과정에서 학생들이 어떠한 경험을 통해 음악치료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Music therapists gain musical and clinical knowledge during their music therapy education as they work toward obtaining professional credentials. The training provides a crucial opportunity for student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 and personal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xamine the music therapy training experiences of Korean music therapists.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2 music therapists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Nine domains and 30 categories emerged from the data, which were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nine domains follow: motivation to study music therapy, theoretical learning, gaining clinical skills, experiential learning through therapy groups, fieldwork/internship, clinical supervision, personal develop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uggestions for music therapy train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music therapists now only learn about theories related to music therapy and clinical knowledge during their music therapy training but also experience invaluable personal growth. The results of this qualitative study provided important information on how Korean music therapists established their professional identity through music therapy training. 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music therapy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