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어의 문맥적 의미 평가 문항의 특성과 자장-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언어) 영역을 중심으로-

        신명선 한국국어교육학회 2018 새국어교육 Vol.0 No.116

        본고는 ‘단어의 문맥적 의미’의 개념과 ‘단어의 문맥적 의미 평가 문항’의 특성을 검토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한 것이다. 자료는 최근 10년간 수능 국어(언어) 영역 문항 중 비문학 읽기 지문에 딸린 단어의 문맥적 의미 평가 문항이다. ‘단어의 문맥적 의미’라는 용어는 그 동안 명확한 개념 규정 없이 ‘단어의 함축적/비유적/관용적/사전적 의미’ 등과 혼효되어 사용되어 왔다. 본고는 ‘단어의 문맥적 의미’라는 용어가 국어과에서 그동안 어떻게 소통되어 왔는지를 관련 용어들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단어의 문맥적 의미 평가 문항은 ‘다의어’와 ‘단의’에 초점을 두어 비문학 지문에서 출제되고 단어의 함축적 의미 평가 문항은 ‘이의’에 초점을 두어 문학 지문에서 출제되는 관례가 농후하게 드러났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비문학 지문에 딸린 단어의 문맥적 의미 평가 문항은 문장 수준에서 단어의 공기 관계 파악만으로도 문맥적 의미 파악이 가능한 쉽고 간단한 문항들로 주로 출제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비문학 지문에서도 ‘이의’에 초점을 둔 보다 심화된 문항 출제가 가능함을 지적하고 문항 유형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contextual meanings of wor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evaluation items’ and suggests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data were the contextual meaning evaluation items of words related to non-literary reading fingerprints among the items of the SAT in the last 10 years. The term ‘contextual meaning of the word’ has been used in combination with ‘implicit, metaphorical, idiomatic, lexical meaning’ of words without definite conceptualization. In this paper, we tried to reveal how the term ‘contextual meaning of words’ was communicated in Korean language classes through comparison with related other terms. The contextual meaning evaluation items of the words have focused on ‘polysemy’ and ‘seme’, and the implicit meaning evaluation items of the words have focused on ‘alloseme’. According to this point of view, the contextual meaning evaluation items of the words related to the non-literary fingerprints have been mainly composed of easy and simple questions that can be solved only by grasping the co-occurrence information of sentence. In this paper, I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question types.

      • KCI등재

        사설시조의 사물 분류 방식과 그 시적 의미

        고정희 ( Jeong Hee Ko ) 한국고전문학회 2012 古典文學硏究 Vol.41 No.-

        이 논문은 사설시조에서 사물을 분류하는 방식과 그것의 시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사설시조가 일상의 사물을 끌어 들여 어떻게 긴장감 있는 시어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폈다. 2장에서는 동시대의 박물학적 취향과의 비교를 통하여 사설시조의 사물들이 지니는 의미의 변화를 추론하였다. 그 결과 사물들이 작품 밖에서 지니는 지시적 의미가 그대로 작품 속으로 들어오는 것은 아니며, 사소하고 자질구레한 사물들에 관심을 두는 동시대적 취향을 반영하면서 작품 밖의 지시적 의미가 작품 속의 함축적 의미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장에서는 박물학적 문헌 가운데서도 物名類와 사설시조의 공통점이 많다는 점에 착안하여 양자를 대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설시조가 物名類와 마찬가지로 사물들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연역적으로 이원 분류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이원 분류 방식이 지니는 시적인 의미를 고찰하였다. 사설시조의 사물들은 이원 분류로 인해 견고한 의미론적 병렬 속에 편입되면서, 자신이 본래 가지고 있었던 지시적 의미와는 다른 함축적 의미를 부여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지시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 사이에 팽팽한 긴장이 생겨나면서 일상의 非詩的 사물들이 시적인 언어로 변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thod used to classify objects in Saseol-sijo and its poetic meaning. In order to this, the difference between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objects has been examined. In chapter 2, the transference of objects` meaning has been inferr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trend of encyclopedic knowledge of the era. It can be said that denotation of objects is not directly introduced to Saseol-sijo and transferred into connotation by encyclopedic knowledge of the era which showed preference for minor and trivial objects. In chapter 3, the common features between the literature of encyclopedic knowledge of the era-Mulmyeongryu(物名類)- and Saseol-sijo has been examined. Saseol-sijo deductively classifies objec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its own standard as with Mulmyeongryu(物名類). In chapter 4, it is revealed that two-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objects from Saseol-sijo constructs parallelism and because of this relationship, the objects are given new connotational meanings. This, in turn, creates a great tension between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objects and results in transference from non-poetic objects of everyday life in Saseol-sijo into the poetic diction form.

      • KCI등재

        연속동사 구문에 관한 의미지도 연구: 중국어 방언을 중심으로

        정혜인 한국중국언어학회 2019 중국언어연구 Vol.0 No.81

        In Mandarin and Chinese dialects (or other languages of the world), the meaning types of serial construction verb are pletiful. The phenomenon of different semantic types expressed in one identical form suggests that the semantic function of does not exist coincidentally and arbitrarily, but with certain relevance between meanings. How these meanings relate to each other can be determined by the distribution patterns in which different kinds of meanings are represented in a single language form, the serial verb construction. However, the inherent correlation between several semantic functions of the serial verb construction is difficult to make clear only on the basis of a single Mandarin and can be analyzed on the basis of a comparative study of various dialects of Chinese or different languages of the world. In this study, through the distribution situation of standard Chinese and Chinese dialectics, we intended to establish a conceptual space in which linguistic typological universality was implemented, showing the distances between semantic functions.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the distribution patterns in 38 Chinese dialects, including Mandarin. The semantic functions related to the serial verb construction in each dialect drawn in the conceptual space exists in a continuous connected zone,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alect. By these semantic maps, the study derived several implicational universals. 표준중국어와 중국어 방언(혹은 세계의 다른 언어)에서 연속동사 구문의 의미 유형은 다양하다. 서로 다른 의미 유형이 연속동사 구문이라는 하나의 동일한 형식으로 표현되는 현상은 연속동사 구문의 의미기능은 우연적, 임의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 간 관련성을 지닌 채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 의미들이 서로 어떠한 관련성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는 여러 종류의 의미가 하나의 언어형식으로 표현되는 분포 양상을 통해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연속동사 구문의 몇 가지 의미기능 사이에 존재하는 내재적인 상관관계는 표준중국어 하나의 언어를 근거로 알기 어렵고 중국어의 각종 방언 또는 세계의 여러 언어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토대로 분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중국어와 중국어 방언의 분포 상황을 통해 의미기능 사이의 원근 거리를 보여주는 언어유형학적 보편성이 구현된 개념공간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어 연속동사 구문 의미의 표준어를 포함한 중국어 방언 38종에서의 분포 양상을 조사하였다. 개념공간 상에 그려진 각 방언의 연속동사 구문 관련 의미기능은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존재하며 각 방언의 특수성을 드러내 주었는데 이를 통해 의미기능 간의 함축적 보편성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 KCI등재

        학교문법교과서에 나타난 의미 유형

        이광호(Lee Kwang-ho) 한국어문학회 2008 語文學 Vol.0 No.101

        Which variously expresses and classifies meaning of language are meaning types. Meaning types are to observe the method which delivers meaning from the varying degree and to classify. In this thesis, I will present the propriety of classification and the model of effective studying on the eight kinds of meaning types from the school grammar. For this purpose, I observed accurately the eight kinds of meaning types and then reclassified. The eight kinds of meaning types from the school grammar are central meaning and derived meaning, conceptual meaning and connotative meaning, social meaning and affective meaning, thematic meaning and reflected meaning. Though they introduce opposing pairs, their opposing concept is not clear. Negativity verification leads the opposing pairs. But the opposing pairs appear clearly only relationship of central meaning and derived meaning, conceptual meaning and connotative meaning. In order to classify a meaning types according to whether to be descriptive on the dictionary is [±descriptive]. To classify other distinctions I will present some features, [±derivative], [±personal], [±syntatic], [±universal].

      • 광고 포스터를 활용한 경도 지적장애 성인의 함축적 의미 추론 능력에 관한 예비 연구

        김아영,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1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 지적장애 성인 집단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초등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광고 포스터를 활용해 함축적 의미 추론 능력을 파악하고 추론 중재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하며 시행된 예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도 지적장애 성인 5명, 언어연령 일치 일반 학생 5명, 총 10명을 대상으로 하였 다. 검사 도구는 광고 포스터 12개를 선정하여 각 포스터에 대해 3문제씩, 총 36문항으로 추론 과제를 제 작하였다. 연구 결과, 광고 포스터를 활용한 함축적 의미 추론 과제에서 경도 지적장애 성인 집단의 전체 평균은 23.7점으로 나타났고 일반 학생 집단의 전체 평균은 26.2점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에서 상대가 말 하고자 하는 의도를 파악하는 추론 능력은 중요한 의사소통 기술이기에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광고를 활용해 추론 능력을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응 발화의 설정에 대하여

        김미령 우리말학회 2002 우리말연구 Vol.12 No.-

        이 연구는 대화에서 주는 말에 대한 받는 말로 쓰이는 표현 중에서 한 두 어구의 짧은 형태를 가지고서도 월이 가지는 완결된 의미를 나타내면서, 어휘가 본디 가지는 의미가 아닌, 상황에 따라 독특하게도 관습적이고 함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이 있음에 주목하고, 기존의 문법 범주에서는 완전하게 수용이 되지 않는 이들을 모아 하나의 새로운 범주로서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말들의 개념과 범위를 설정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받는 말 중에서 상황에 관계없이 의미의 예측이 가능하여 들을이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받는 말을 "순응 발화"라 하고, 이와 대조적으로 상황에 의존하는 성격이 강하면서 상황에 따라 관습적이고 함축적인 의미를 독특하게 나타내어 어휘만으로는 의미의 예측이 불가능한 받는 말을 "대응 발화"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대응 발화와 비슷하게 보이면서도 다른 성격을 가지는 여러 언어 단위들, 즉 홀로말, 관용말, 생략월과 성격을 비교, 대조함으로써 이들과의 구분을 통해 대응 발화를 하나의 독특한 범주로서 설정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참여자 중심의 박물관 교육 설계에 관한 시론적 연구

        이상민(Lee, Sang-M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e participatory techniques for experience centered museum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the area of meaning that could be utilized in the museum is divided into three area. The first is a implicit meaning of relics, The second is contextual meaning exhibition is showing and the third is participatory meaning for education program. Core participants in museum education has two functions. One is a function as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The other is a function as the story identity. These three areas of meaning help that viewers can experience the new. In order to be successful museum education programs, two main elements are needed. One is to provide an interesting challenge. The other is to switch the individual experience into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tudies the measures that can be designed to the participants in museum education programs. And in that it has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step-by-step techniques applied to the core participants in museum education to elicit the viewer exper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자 중심의 박물관 교육으로 설계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박물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이며, 연구 방법은 문헌과 이론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오늘날 박물관 패러다임은 유물 중심에서 참여자 중심으로 바뀌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 중심의 박물관 교육을 위해 박물관은 참여자들이 경험의 산물을 개인적으로 연계하여 ‘의미의 재구성’을 일으켜야 함을 밝혔다. ‘의미의 재구성’은 그것은 유물이 갖고 있는 함축적 의미의 층위, 전시가 보여주는 맥락적 의미의 층위 그리고 교육이 지향하는 참여적 의미의 층위에서 일어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것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이해와 해석으로서의 능력과 이야기 정체성의 구현 능력을 관람객이 갖고 있어야 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를 통해 참여자 중심의 박물관 교육은 3단계에 의해 일어난다고 분석하였고, 참여자 중심의 박물관 교육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의미 있고 흥미로운 도전 과제를 제공하는 것과 개별적 경험에서 집단적 관계로 이행하는 두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는 사실도 밝혀내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 박물관 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는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러시아어 불완전등가어휘의 한국어 번역 표현에 대한 고찰

        이새봄(Lee, Sebom)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동서인문학 Vol.0 No.51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러시아 자연주의 문학의 완성자로 평가되는 작가 투르게네프(И.С.Тургенев)의 작품 중 그의 산문시를 대상으로 하여 민속어휘와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의 한국어 번역 표현을 다루었다. 투르게네프 산문시에는 러시아의 자연과 농촌에 대한 그의 짙은 애정이 담겨 있으며, 사실적인 묘사와 예리한 심리관찰로 유려한 문장들이 그의 산문시 속에 녹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그의 산문시에 쓰인 민속어휘와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는 러시아 민중의 역사와 생활 및 아름다운 자연을 예술적으로 부각시키는데 중요한 키워드로 사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민속어휘는 주로 함축적 의미(connotative meaning)가 아닌 지시적 의미(denotive meaning)를 지닌 어휘이다. 그 속에 러시아의 문화적 요소와 배경이 내재하고 있어 한국의 독자가 해당 문화에 대한 지식이 부족할 경우, 원문의 의미를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할 뿐 아니라 나아가 원문의 미학적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함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деревня』라는 산문시의 원문에서 러시아 북부 시골 특유의 평화로움과 아름다움을 전달하는 심미적 묘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때, 번역문에서는 이러한 심미적 기능이 제대로 살려지지 않았음을 볼 수 있었다. 앞으로 러시아어 민속어휘와 해당 어휘의 한국어 번역 비교와 이들 작품에서의 미학적 기능에 대한 보다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의 경우 한국어에는 러시아어와 같이 접사법(аффиксация) 을 이용해 대상에 대한 화자의 주관적 평가와 정서를 나타내는 문법적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러시아어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 전달은 매우 어려운 과제임에 틀림없다. 본 연구는 한국어 번역 시 지소형 및 비칭형어휘의 함축적 의미를 최대한 전달할 수 있는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이들을 대신 표현해 줄 수 있는 형용사 및 부사와 같은 수식어를 사용하여 의미전달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 좋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has presented how the vocabularies of Turgenev"s prose poems are transl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regarding semantic views. Primarily, it covers vocabularies of folklore that belong to incomplete equivalent words concerning referential meanings and also includes diminutive and pejorative that belong to incomplete equivalent words in terms of implicational meanings. This study investigates which role they play in Turgenev"s prose poems and how they affect the main theme of the prose poems. The vocabularies of folklore presented in six prose poems take place in the Russian rural setting along with different Russian cultural elements. Through these, the writer, Turgenev, shows readers the great wisdom, talents, kindness and the pure spirit of the people of the countryside in Russia. In the prose poems exists a lot of vocabularies that have an equivalent form of translation generally regarding referential meaning, but not equal regarding implicational meaning. This article shows the difficulties that exists in translating them into the Korean language.

      • KCI등재

        시 교육에서의 함축성 개념에 대한 고찰 -백석 시어의 의미 축적 사례를 중심으로-

        민재원 ( Jae Won Min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3 No.-

        시 읽기에서 독자가 마주하게 되는 어려움 중에 하나는 시어의 어려움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어에 대한 이해는 시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기본적인 조건이 된다. 그러나 시어가 함축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시어가 지칭하는 대상을 향한 주체의 태도 및 정서를 복원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따르게 된다. 함축성은 기존에 사용되던 언어의 일반적인 의미에 새로운 의미를 덧붙이거나 전복시키는 기능을 하기도 하므로, 이를 접하는 독자의 능동적인 활동을 요구한다. 이에 본 연구는 백석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하여 작품에서 함축성이 의미를 생성하는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통해 시 교육에서의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백석의 작품을 통해 확인한 함축성은 작품 밖에서 형성된 경우와 작품 안에서 새롭게 형성된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두 경우는 작품과 시어에 따라 상대적인 것이기는 하나, 작품 밖에서 형성된 경우에는 그 의미의 구체화가 독자의 시 읽기에서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고 작품 안에서 형성된 경우에는 독자가 새로운 의미를 축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시의 주요 특징 가운데 하나인 함축성은 정서와 관련된 감각적인 요소까지 포함하는 동시에 발산적인 의사소통을 촉진시키는 계기로서의 성격을 가지게 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언어의 함축성이 곧 언어 문화의 전승과 창조에 있어서의 중심 개념으로 기능할 수 있는 만큼, 시 교육에 있어서도 보다 구체적이고 발산적인 문학 독서 담화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properties of connotation in poetry-education. Connotation makes poetic words ambiguous and ambiguity of poetic words makes its sense or meaning plentiful. Connotation in poetic words can give readers new sense and interpretation of the world. But readers often feel difficult in reading poetry cause of connotation in poetic words. To understand the connotational sense of poetic words, readers have to struggle to represent emotion or attitude for the poetic object. Because connotation means that the poetic words get additional or alterative sense. Connotations need reader`s divergent process of thinking for representing the sense of words. Therefore, in the class of poetry-education, teachers have to secure plenty of time to make intercommunication that can evoke specific senses through the literature- reading discourse. In this way, students could get new meaning or deepen their own sense for the world.

      • KCI등재

        광고 속에 나타난 언어적 유추의 유형과 상관성

        최형용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8 No.-

        광고는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언어적 전략을 사용한다. 유사성에 기반한 언어적유추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이처럼 광고에 사용된 유추는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을 설정할 수 있다. 유추가 근거 영역과 표적 영역의 유사성에 기반한 추론 방식이라고 할 때 근거영역과 표적 영역이 모두 외현된 것을 명시적 유추라고 한다면 그 가운데 일부가 외현되지않은 것은 함축적 유추라 할 수 있다. 광고는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근거 영역이나 표적영역을 여러 번 제시하여 설득력을 높이기도 한다. 근거 영역이나 표적 영역이 한 번만 사용된 것을 단일 유추라 한다면 여러 번 사용된 것은 다중 유추라 할 수 있다. 광고에 사용된유추는 언어학적 부문에 따라서도 유형화가 가능하다. 음운 단위나 음운 과정에 기반한 유추는 음운론적 유추라 할 수 있고 새로운 단어 형성을 통한 유추는 형태론적 유추라 할 수 있다. 한편 문장 형식이 유추의 대상이 될 경우에는 이를 통사론적 유추라 할 수 있으며 의미의 유사성에 기반한 은유나 동음이의 관계처럼 의미 관계에 기반한 경우는 의미론적 유추라 할 수있다. 그런데 광고에 사용된 이들 언어적 유추는 서로 일정한 상관성을 갖는다. 일정한 기준에따른 유추의 세부 유형은 서로 배타성을 가져야 하지만 서로 다른 기준을 가지는 상위의 유추유형은 서로 넘나들 수 있는데 이를 교차적 상관성이라 부를 수 있다. 한편 함축적 유추는모두 단일 유추라든가 혹은 다중 유추는 모두 명시적 유추라든가 하는 것처럼 유추 유형이서로 일정한 방향성을 전제하는 일도 있다. 이러한 상관성은 조건적 상관성이라 부를 수 있다. An advertisement makes use of various linguistic strategies to accomplish its goals. Linguistic analogy based on similarity is one of them. Such an analogy in advertisements can be divided into many types. When we define analogy as an inference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source domain and target domain, ‘explicit analogy’ means that this similarity is revealed overtly. Therefore, in case of ‘implicit analogy’, parts of them do not come into view. An advertisement can increase the predictive possibility by suggesting the source domain several times. Such an analogy can be called ‘multiple analogy’, contrary to ‘single analogy’ which uses source domain only one time. We can also classify analogical advertisements into ‘phonological analogy’, ‘morphological analogy’, ‘syntactic analogy’, and ‘semantic analogy’ in terms of the linguistic component. We can find various correlativity between linguistic analogies. Such correlations can be divided into cross-typical correlativity and conditional correlativity. The former refers to the possibility of crossing between subtypes such as, for example, explicit analogy can’t be implicit analogy at the same time but can be single analogy or multiple analogy. The latter refers to the conditionality between subtypes such as, for example, implicit analogy always must be single ana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