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2011년부터 2020년을 중심으로

        윤옥한 ( Okhan Yo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육과정 학회지에서 발행하는 교육과정연구 논문을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330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10년 전(2000-2010) 연구 동향과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주제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의 경우 총 59편(18%), 교육과정 이론은 총 65편(20%), 둘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은 문헌 또는 이론연구가 총 209편(63%)으로 가장 많았으며, 질적연구는 총 85편(26%), 양적 연구가 총 36편(11%)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과거 10년(2000년~2010년)과 현재 10년(2011년~2020년)을 비교한 연구 동향은 전체 논문 편수는 10년 전총 365편에서 10년 후(2011-2020) 총 330편으로 35편(10%) 감소하였다. 연구주제별로 보면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분야가 총 64편(52%) 감소하였다. 문헌 및 이론연구의 경우 총 34편(14%)이 감소하였으며, 양적 연구의 경우 총 12편(50%)이 증가하였고, 질적연구의 경우 총 12편(12%) 감소하였다. 향후 교육과정연구 학회지뿐만 아니라 한국통합 교육과정학회, 교육학회 등 인접 학회지와 비교 연구와 더불어 단행본, 석·박사학위논문 등도 함께 살펴볼 필요도 있다. This study’s purpose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330 curriculum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Studies and compare these with research trends 10 years ago to study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rends by subject for 10 years were 59 articles (18%) 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design, and 65 articles on (20%). Second, in the same 10-year period of the curriculum journal research trends relating to methodology were most frequently identified with 209 articles (63%) on the literature and theoretical studies, 85 articles (26%) involving qualitative studies, and 36 quantitative studies (11%). Third, another research trend emerged when comparing the past 10 years and the current 10 years of the curriculum journal. In the first decade examined, 365 articles were published, whereas 10 years later 330 were, indicating a decrease of 35 (10%).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review not only journals for curriculum research, but also books,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s well as comparative studies with adjoining journals such as that of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ed Curriculum and Education.

      • KCI등재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농업분야 연구동향 분석

        이기철(Lee, Ki-Cheol),양정혜(Yang, Jeonghye)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4

        이 연구의 목적는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농업 분야의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실과교육학회지는 1985년부터 발간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102권의 학회지가 발간되었으며, 그 중 농업 분야의 연구는 145편이 발표되었다. 발표된 논문을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적용된 시점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1) 각 교육과정 시기 중 7차 교육과정 적용시기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2)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 식물을 주제로 다룬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농업교육과 환경에 대한 연구로 나타났다. 3)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을 때 문헌연구와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4) 학회지의 주제어로 제시된 단어를 워드클라우드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해보았을 때,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교육이라는 주제어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고, 7차 교육과정과 2007 교육과정에서는 환경, 2009 교육과정과 2015 교육과정 시기에는 농업이라는 키워드가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농업 분야는 학회지 논문 전체의 12.6%에 해당 되는 비중을 가지고 있으며, 7차 교육과정 시기 이후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in the agricultural field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began to be published in 1985. Currently, 102 academic journals have been published, of which 145 studies in the agricultural field have been publish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ublished papers based on the time of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1) the most papers were published during the 7th curriculum period among each curriculum period. 2) When looking at the research topic, most of the studies dealt with plants as the subject, followed by studies on agricultural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3) When examining the research trend centering on the research method, it was analyzed that literature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were conducted the most. 4) When analyzing the words presented as the keywords of the journal using the word cloud analysis method, the keyword education appeared most frequentl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the keyword environment in the 7th curriculum and 2007 curriculum, and the keyword agriculture appeared many times in 2009 curriculum and 2015 curriculum. The agricultural field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accounts for 12.5% of the total academic papers,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more actively after the 7th curriculum.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roportion of research related to agricultural education is increasing in recent studies.

      • KCI등재

        한국 사회과교육 70주년의 회고와 전망

        김원수(Kim, Wons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4

        한국의 사회과/사회교과(social studies)는 한국의 사회현상을 진단하고, 사회생활의 지혜를 함양하는 주축(主軸)교과로서 역사적 위상을 가지고 있다. 그 같은 위치는 한국 사회과교육의 성립과 발전 뿐 만 아니라, 사회교과의 연구와 교육 전반에도 역동성을 부여해왔다. 특히 한국사회과교육의 태동에 있어서 연구학회의 역할은 결코 간과될 수 없다. 왜냐하면 연구학회가 지향한 바, 한국적인 사회과교육의 토착화를 위한 개척자적 정신, 학제적 융합을 위해 열어 놓은 개방적인 학문연구의 장, 그리고 한국사회의 변화에 대한 비판적인 도전 정신은 한국사회과교육의 과거, 현재 뿐만 아니라 미래에도 지속가능한 발전의 원동력이 되리라 예상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본 학회를 거쳐 간 수많은 전 현직 교육자와 연구자들의 면모를 둘러봐도 충분히 드러난다. 그들은 동시대와 함께하거나, 앞서 나아가 시대와 사회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교육의 장에 실천하려 하였다. 그 과정에서 국가건설을 둘러싸고 전개된 식민주의, 근대화, 민족/국가주의와 탈식민주의의 중층구조에서 발전론적 또는 종속주의적 담론의 장을 만들었다. 그리고 나아가서는 근현대적 발전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민주화와 평등화와 병행된 포스트모던과 글로벌리제이션의 역사적 전환을 겪으며 이데올로기적 해체의 탈냉전과 글로벌 사회의 지구시민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새로운 담론들을 만들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반영되었고, 총론중심적이며 영역간 분과적 통합교육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현장과의 괴리 뿐 만 아니라 학교급 및 대학 교원 양성 체제의 왜곡이 심화되었다. 게다가 민주화 이후에는 사회교과의 영역 간 갈등과 분쟁이 노골화되어 사회과교육은 혼란과 위기를 맞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진단과 치유를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주지하다시피 작금의 사회과는 어느 교과보다도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시대적 변화 뿐 만 아니라 역사적 변화에 민감해야 한다. 지난 세기말의 문화적 전환(cultural turn)과 새로운 세기의 글로벌 전환(global turn)은 인간의 자유와 평등과 우애에 기초한 인권의 존중,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통한 지구 환경의 보존으로 수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사적 전환을 적극 반영한 새로운 사회과의 역동성은 수렴과 확산이라 판단된다. 그 지향점은 하나된 지구와 하나된 사회와 하나된 인간이다. 사회과를 통해 학습자가 인간주의적 사고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사회와 국가의 갈등과 대결보다는 조화와 정의와 평화를 이루어내고, 세계인류가 국적, 종교, 언어 피부색에 관계없이 하나가 되어야함을 체득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한다는 오만함을 반성하고 새로이 자연환경의 질서와 생명을 존중할 수 있다는 이상이 사회과교육의 현실로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21세기의 전지구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사회과교육은 더 이상 분절적인 지식의 축적에 억매일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현실을 창조하기 위해 글로벌한 사회와 교육을 지향하는 창조적이고도 미래에 지속가능한 능동적 학습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것이 홍익인간과 지구시민의 길을 지향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This article is a key not speech which held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Korean Social Studies Association on August 20th, 2016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t consists of three chapters. The 1st chapter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Social Studies & Korean Social Studies Association. The 2nd chapter is to the historical phase and task of Korean Social Studies related on the curriculum. The last is to be the use of global approach as a scholarly nexus in social studies. All of these are to make the national standard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global age. The aim is to become a human, one society & one Earth. I think it might have been oriented in the way of Hongikingan(홍익인간) and global citizen in the global age. Hongikingan (hanja: 弘益人間) is the unofficial national motto of South Korea. The phrase is English translated as “Benefit Broadly the Human World”.

      • KCI등재

        초・중・고 도덕・윤리 교과교육 연구활동의 변천

        서강식(Kang Sik Suh)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광복 이후의 도덕교육은 사회과의 공민에 포함되어 시작되었다. 제3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과가 교과로 설정되었고, 이후부터 도덕․윤리교과와 관련된 전공학위 논문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여 제7차 교육과정시기에는 거의 18 배 정도 증가하였다. 도덕․윤리교과 연구는 국민윤리학회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주축이 되어 이루어졌는데, 제4차 교육과정 시기에 도덕교육에 인지적 접근이 도입되면서 콜버그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1980년대 초에 전국 국립대학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국민윤리교육과가 설치되었고, 전국 교대 윤리교육과 교수들을 포함하여 동과 소속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를 창립함으로써 새로운 교과교육연구집단이 등장하였다. 1996년에는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가 창립되었고, 전국 교대 교육대학원에 윤리교육전공이 개설됨으로써 교과교육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98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창립되면서 도덕・윤리교과 교육과정과 평가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교육의 접근 기조가 통합적 접근으로 바뀌었는데, 이 시기 동안 교과 교육연구는 양적 및 질적 도약을 가져왔다. 앞으로 도덕․윤리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도덕교육이론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도덕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 등에 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1945, July 15th, moral education was done within civic subject education. At 1972 Augs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established, and many moral education research was conducted by KEDI. At the 3rd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was conducted by the form of a moral subject education. It was titled 「moral」and was taught 2 period per week in school. Since 3rd moral curriculum era, numbers of thesis for moral education was increased steadily. At the 4th moral curriculum era,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in moral subject education was introduced, and many studies was centered on Kohlberg's moral education theory. In 1980s, there were established many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in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y. Professors of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established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KSMEE)'. In 1996,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KEMES)' was established by professors of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ll over the country. In 1998,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was established. Really many moral subject education was conducted by KICE. At the 7th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studies have got a great jump in quantity and quality. But we have to study for moral education theory, teaching-learning theory,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ory and so on. We should make a strong basis for moral subject education.

      • KCI우수등재

        한국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 서구중심주의

        강성호 ( Kang Sung-ho ) 한국서양사학회 2017 西洋史論 Vol.0 No.133

        이 논문은 서구중심주의와 관련해서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정을 고찰한다. 서구중심주의 문제는 고등학교 세계사 내용체계 구성의 중요한 부분이고, 한국현실에 맞는 세계사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반드시 고민해야 될 부분의 하나이다. 한국서양사학계에서 2000년대 이후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개인연구자, 연구소, 학회차원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어왔다. 이러한 영향을 받아 2007∼2011년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정은 서구중심주의적 세계사구성을 개선하는 데 큰 진전을 보였다. 그러나 2015년 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정은 서구중심주의 세계사교육과정을 다시 강화하면서 지역간 교류를 삭제하고 세계사 교육분량을 대폭 줄였다는 점에서 서양사학계와 시대의 흐름을 역행하였다. 이러한 검토에 근거하여 이 논문은 한국 고등학교 세계사 교육 활성화방안을 몇 가지 제안하였다. 한국서양사학계가 세계사교육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고, 세계사교사들과의 교류를 확대하고, 교사대상 세계사교육직무연수를 활성화하고, 세계사교육 교재를 개발하고, 2015년 세계사교육과정 개편에 적극 참여하고, 그리고 교육부나 외교통상부 등에 영향력을 미쳐 세계사교육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Euro-centrism and the world history curriculum of Korean high schools. The issue of Euro-centrism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constructing the world history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 Critical review of Euro-centrism and Western history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Korean academia since 2000. Influenced by these trends, the 2007 - 2011 world history curriculum of Korean high schools made great strides in escaping from a Euro-centric world history. However, the world history curriculum of Korean high schools reversed the trend in 2015, restrenghtening the perspective of Euro-centric world history and eliminating descriptions of inter-regional exchanges. This drastically reduced the amount of world history text. Based on this review, this paper suggests some ways to revitalize western history education in Korean high schools. We suggest that Korean academia of Western history needs to deepen research on world history education, expand exchanges with world history teachers, improve teacher training, develop new teaching materials for world history, actively participate in rearranging the new world history curriculum introduced in 2015, and encourag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to support the world history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한국 음악교육의 발전과정 19세기말에서 현재까지의 역사적 흐름을 중심으로

        함희주 ( Hee Ju Ham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3 예술교육연구 Vol.11 No.1

        본 논문은 19세기말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음악교육의 역사적 흐름을 정리한 것이다. 중점 주제는 시대적 흐름 안에서 학교음악교육이 국가적, 사회문화적, 정치적 변화와 함께 어떻게 발전되었는가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음악교육의 발전과정을 구분하는 시기는 모두 7기로 구분하였다. 각 시기 구분과 핵심 주제어를 제시 한 근거는 국가 정책적 요인을 근거로 나타난 사회 문화적 변화와 그에 따른 교육정책 음악교육현황 등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제1기에서 제6기까지 시기구분과 핵심적 주제어는 이러한 사실을 배경으로 제시하였고, 제7기는 시기 구분에 적합한 핵심 주제어를 정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시기와 2000년대 이후의 음악교육으로만 표기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먼저 배경적으로 각 시기별로 국가정책, 사회문화적 현상,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개정, 인물 등을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음악교육발전에 공헌한 인물들은 먼저 각 시대에서 활동하면서 음악교육 발전에 공헌했던 학자들을 선두로 제시하였고, 이후 1980년대 이후에서 2000년대 이전까지 외국에서 수학하고 한국음악교육계에서 중요한 역할중인 현존하는 대표적 학자들의 영향과 그들의 업적들을 부분적으로 소개하였다. 결론 부분에서 한국음악교육의 미래적 전망에 관해서 간략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 우리나라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 고찰

        박희찬(Hee-chan Park) 한국직업재활학회 2003 職業再活硏究 Vol.13 No.2

        직업재활사의 전문성은 직업재활사업의 질적 수준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직업재활사의 전문성은 대학에서의 교육과정 체계화를 통하여 담보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의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을 국내 선행연구, 미국의 재활교육위원회 표준, 직업재활사자격위원회 표준에 비추어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루어 졌으며, 대학의 학부 교육과정을 담고 있는 대학 요람이나 국내외 웹 사이트 문헌을 참고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주요 월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선행연구를 통해 볼 때 직업재활사에 대한 교육과정은 필수이수과목과 선택이수과목으로 구성하여 각각 18학점씩 36학점을 이수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둘째, 현재 직업재활사톨 배출하고 있는 우리나라 4개 대학교 교육과정은 CORE의 기준에 비추어 볼 때 인턴쉽을 제외하면 적합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각 대학용 향후 CORE에서 정하고 있는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에 비추어 타당성을 검토하고 실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 대학의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은 CRCC에서 정하고 있는 교과목에 대체로 만족하었다. CRCC에서와 같이 대학 양성 유형 외에 재활현장 경험을 고려한 양성 유형도 포합시킬 필요가 있다. 그 외에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수를 위한 교육과정 마련, 우리나라에서 현장을 바탕으로 연구된 직업재활사 직무분석 결과의 반영, 직업재활사 자격과 배치에 관한 제도적인 보완 등이 제안되었다. The professional ability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is critical to provide high quality servic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ir professional ability can be secured through a systematic curriculum development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This study investigated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programs in Korea and discussed the programs in relation to previous studies in Korea, CORE Accreditation Manual, and CRCC Certification Standards and the Application Process. The study based on such literature as university bulletins and web-site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is study, the curriculum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program could be composed of 36 credits including 18 credits of requirements and electives, respectively. Second, the four undergraduate program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in Korea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CORE accreditation requirements except 600 hours of internship. The four programs should be refined to include CORE 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to the study-units or courses and to extend practicum or internship. Third, the four program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CRCC curriculum requirements. Like CRC s s various categories of eligibility criteria,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could be certified through inservice training programs. Other topics such as inservice training curriculum development, consideration of job analysi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in Korea, and legal arrangement on qualification and placement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were discussed as well.

      • KCI등재

        2009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본 실과 교과에 대한 도전과 전망

        전세경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1

        This study debates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Reform (NCR)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and position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PAE academic communities including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Association criticized the mistakes of 2009 NCR such as failing to diagnosis of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and problems and to meet the educational values, aims, and directions to raise wholesome future citizen. As a member of the PAE academic communities, researcher analyzed the challenges and futures of PAE in the 2009 NCR. This opinion posing article includes: a. the 2009 NCR's major agendas, b. procedures of the notification through the reform focusing on the PAE and the reactions of PAE academic communities, c. 2009 NCR's major contents and their influences on PAE's future pract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opportunities to re-define disciplinary identity and pride of PAE and/thus to broaden scholars' perspectives for future education. 이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개정의 시점과 그 내용에 비추어 실과 교과의 관점과 입장에서 2009개정 교육과정의 쟁점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한국실과교육학회를 중심으로 한 실과교과공동체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내용들이 우리 사회의 교육 문제를 잘못 진단하고 있으며, 또, 우리 교육이 지향하는 전인교육의 철학이나 가치, 방향과도 맞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러한 입장에서 이 연구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실과교과에 던져진 도전은 무엇이며, 개정 후 실과교과는 어떻게 전개될 수 있을지를 참여관찰자 관점에서 사실과 맥락을 분석하며 전망하여 보았다. 구체적으로 고찰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9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및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개정 논의의 출발에서 고시까지 어떠한 절차를 통해서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한국실과교육학회를 중심으로 실과교과공동체는 어떠한 활동들을 전개하였는가, 셋째, 2009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골자와 여러 쟁점의 고찰을 통하여 이것이 실과교과에 주는 의미와 도전은 무엇이며, 이로 인해 실과교과의 미래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이다. 이러한 고찰 과정은 2009개정 교육과정 하에서 실과교과의 자존심과 정체성을 재확인하는 기회를 제공하였을 것으로 보며, 그럼으로써 우리 교육의 현실을 재조명해 보고, 우리 교육의 미래를 생각하는 인식의 지평을 넓힐 수 있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송재홍,김규식,김봉환,김현아,이형국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한국상담학회에서 시행하고 있는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의 문제점을 발견하여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의 변천 과정을 고찰하고, 국내와 외국의 주요 상담사 자격제도를 비교․검토하여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그 과정에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의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주요 제안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격증 체계를 정비하고 자격검정 절차를 단순화할 것, 응시자격을 개방하여 확대하고 응시조건을 명확하게 규정할 것, 자격시험의 과목수와 문항수 및 출제형식을 적정화할 것, 수련심사의 기준을 단일화하고 수련심사 절차를 간소화할 것, 그리고 자격증 체계의 정비에 따른 보완책을 마련할 것 등이다. 또한 이 연구는 이러한 내용에 기초해서 임상상담경력 연한제과 상담관련교육프로그램 인증제의 도입을 골자로 하는 전문상담사 자격규정의 개정을 위한 잠정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전문상담사 훈련을 위한 교육과정과 자격검정을 위한 시험과목을 개발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some critical issues related to counseling specialist qualified by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accrediting system for counseling specialist. with a special focus on training programs and integrating such training into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certification system for counseling specialist, and have compared some types of expert certification system in counseling professionals; including Korean Youth Counselor, Korean Vocational Counselor, Korean Counseling Psychologist, and Korean Family Therapist, as well as those of foreign countries such as Japan, U.S.A., Canada, and New Zealand. On the basis of this findings, researchers have got some implications on the problems of existing certification system for counseling specialist,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counseling specialist's qualification,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 system; including the simplification of certificate's levels, the reduction of screening stages, the clarification of applicator's condition, the rationalization of the subjects and forms for examination, the unification of criteria for judging levels of training or practice requisite to acquire the certificate of counseling specialist, and the need to supplement policies to prevent the difficulties due to the transition of qualification system for counseling specialist.

      • KCI등재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 개선에 대한 요구 조사

        송재홍,김규식,김봉환,김현아,이형국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mbers' opinions on some critical issues related to counseling specialist qualified by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accrediting system for counseling specialist, with a special focus on training programs and integrating such training into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have developed the questionnaire, and have invited members to respond every item in the questionnaire. Researchers have invited members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he findings were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frame the structure of certification system for counseling specialist by simplifying the levels of certificate.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ocial utility of counseling specialist's certificate. Finally,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member's satisfaction of requirements for counseling specialist's qualification. 이 연구는 (사)한국상담학회에서 시행하고 있는 현행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의 주요 쟁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학회 회원의 의견을 조사하여 자격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현행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의 주요 쟁점에 대한 학회 회원의 만족도와 전문상담사 자격증의 사회적 인지도 및 활용가치 제고를 위한 회원의 의식 수준을 조사하고,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송재홍 외, 2012)를 토대로 마련한 자격검정제도 개정 방안에 대한 회원의 의견을 파악하여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본 학회 주최 통합사례발표회와 분과학회 주최 행사에 참여한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의 개선안에 대한 수정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주요 제안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자격체계의 단일화와 자격등급의 축소 조정을 통해 자격증의 구조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격증의 국가 공인화와 상담 법제화 등의 추진을 통해 자격증의 사회적 인지도와 유용성을제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격 요건과 자격 취득 절차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고 응시수수료를 적정하게 조정하며 자격검정시험과 수련심사 요건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상상담경력 연한제와 상담교육연수프로그램 인증제의 도입 등을 통해 지원 요건과 수련요건을 통합하여 자격 취득 및 검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자격시험 과목 및 평가방식의 조정 등을 통해 자격검정시험을 합리적으로 개선하는 등 전문상담사 자격검정제도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점검과 개선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