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팬덤활동 참여는 학업을 방해할까?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지수,안현선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2

        This study examined the concurrent and longitudinal effects of adolescents’ fandom activity participation and perceived parenting styles on their academic attitudes and achievement using the 1st~3rd year data of the middle school student panel from the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 YPS) 2018.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arenting styles perceived by students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academic attitudes and achievement. Although the main effects of students’ fandom activity participation on the outcomes were only significant to a little degree, the direction and the extent to which fandom activity participation predicted the outcomes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n perceived parenting styles. While online fandom activity participation negatively predicted academic attitudes and achievement for students with high perceptions of negative parenting styles, i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prediction to the outcomes for those with low perceptions of negative parenting styles. The results imply the importance of emphasizing the roles of parenting styles concerning the increases in fandom activity participation during adolescence. 이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 중학생 패널 1~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학업태도와 지각된 학업성취에 대한 팬덤활동과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의 종단적 영향력과 두 변인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1학년 때의 온라인 팬덤활동 참여는 같은 해 학업태도를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부모양육태도는 중학교 시기 동안의 학생의 학업태도와 학업성취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팬덤활동 참여가 학업태도와 지각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방향 및 정도는 부모양육태도 유형(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과 수준(상·하)에 따라 유의하게 달랐다. 특히,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낮은 경우에는 온라인 팬덤활동과 학업태도 및 학업성취 간에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나, 부정적 양육태도가 높은 경우 온라인 팬덤활동을 많이 할수록 같은 해의 학업태도뿐만 아니라 이후의 학업성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팬덤활동이 학업영역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중요한 환경요인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 KCI등재

        부모의 경제수준이 중학생 자녀의 학업태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李停?),김혜원(金慧原)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8년부터 수집한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자료 중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 1차 연도 자료(N=2,590명)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학업태도(학업열의, 학업무기력, 그릿)에 대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족원의 수와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하여 저소득 군(N=426명)과 고소득 군(N=305명)으로 구분지어 부모의 경제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학업태도와 학업성취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패널에 참여한 모든 청소년의 응답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3개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이 추출되었다. 학업열의와 그릿이 높고, 학업무기력이 낮은 청소년의 학업태도 유형은 자율적인 학업태도 유형(28.1%)으로, 학업열의, 그릿, 학업무기력에 특징적 차이가 없는 청소년의 학업태도 유형은 수동적 학업태도 유형(56.6%)으로, 학업열의와 그릿이 낮고, 학업무기력이 높은 청소년의 학업태도 유형은 무기력한 학업태도 유형(15.3%)으로 구분하여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부모의 경제수준에 따른 자녀의 학업태도 유형과 학업성취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자녀의 학업태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경제수준이 자녀의 학업태도 유형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적으로 확인하고, 학업태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부모의 경제수준이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classify Korean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learning; their academic enthusiasm, academic helplessness, and grit were used as the indicators. The study also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parental economic status on their child’s attitude toward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by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Latent Profile Analysis (LPA) of 2,590 Korean adolescents identified three distinct profiles: Profile 1, Autonomous Attitude Toward Learning, comprised 28.1% of the total sample (N=2,590) and showed a higher level of academic enthusiasm and grit, but a lower level of academic helplessness. Profile 2, Passive Attitude Toward Learning, comprised 56.6% of the total sample, showing an average level of the indicators. Profile 3 (15.3%), Helpless Attitude Toward Learning, had lower academic enthusiasm and grit and higher academic helplessness. Regarding parental economic status, we selected samples of higher economic status families (N=305) and lower economic status families (N=426), considering th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number of family members. According to parental economic statu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the profiles and the child’s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 study found that parents’ economic status moderates the effect of the profiles of attitude towar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firmed the effect of parents’ economic status on their children’s attitude towar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학생의 영어 학습태도,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권혁일 ( Hyug Il Kwon ),박순희 ( Sun Hi Ba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학교에서의 영어 교육은 시각장애 학생이나 일반 학생 모두에게 중요하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학습태도,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를 비교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영어 학습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으로 전국 시각장애 특수학교와 충북 청주시 일반 인문계 남녀공학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총 122명(시각장애 학생 56명, 일반 학생 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영어 학습태도는 전체적인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 범주에서 영어 교과태도는 시각장애 학생이 일반 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영어 학습전략은 전체적인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일반 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하위 범주에서 초인지 전략과 인지 전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영어 결과는 일반 학생이 시각장애 학생보다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영어 학업성취도에 따른 영어 학습태도와 학습전략은 전체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업성취도가 우수학력인 학생들이 다른 수준의 학생들보다 영어 학습태도의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영어 학습전략에 있어서도 기억전략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영어 학업성취도 결과에 대한 장애유무, 영어 학습태도와 교과태도, 초인지 전략이 유의하게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가 있지 않는 경우가 장애가 있는 경우보다 우수학력과 보통학력에서 학업성취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었고, 학습태도와 교과태도, 초인지 전략은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에서 학업성취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만 초인지 전략이 영어 학습태도보다 모든 학력 수준에서 학업성취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어 학업성취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우수학력의 학생일수록 영어 학습태도가 높고 학습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학력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태도와 학습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영어 교과의 구체적이고 개별화된 지도계획과 실천이 필요한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영어에 대한 올바른 학습태도와 학습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시각장애 학생이나 일반학생 모두에게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시해 주고 있다. English education in school is important for bot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ed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itudes, strategies and scholastic achievement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ed students, and analyzed relevant variables for both groups as a means of providing basic data that may contribute to greater effectiveness in English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22 high schoolers (56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66 sighted students) studying in their second year. Scholastic achievements in both groups were measured using the English language evaluation results contained in the “2009 National-Level Scholastic Achievement Evaluation” report. In addition, the researchers used both student attitude and learning strategy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overall student attitudes to English language learning betwee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ed students, bu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rat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b-category of “attitudes toward English language class”. Second, sighted students rated higher overall tha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their English learning strategies. Significant differences obtained in the sub-categories of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cognitive strategi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lastic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e national-level scholastic achievement evaluation report showed that sighted students rated higher overall tha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Fourth, student attitudes and strategies to scholastic achievement in English had overall significant impact only on those students possessing excellent scholastic abilitie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scholastic achievement among impairment status, learning attitudes and attitudes of curriculum, and meta- cognitive strategies. Learning attitudes, attitudes of curriculum,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affected their scholastic achievement. It is obvious that metacognitive strategies were the most effective factor. Therefore, in the English classroom, maximum educational support must be provided to raise academic achievement levels through producing effective attitudes and strategies in the learners. This study suggests that instructing learning strategies and attitudes, especially focusing on meta-cognitive strategies, will help bot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ed students.

      • KCI등재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그릿과 우울을 매개로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김지혜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2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cademic helplessness mediated by grit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To this end, data from the third year of the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were used,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2,384 people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n academic helplessness was not significant,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helplessness. Seco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had a positive effect on adolescents’ grit, and the effect on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grit of adolescents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helplessness, and dep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helplessness. Finally,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grit completely mediates the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on academic helplessness and partially mediates the effect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cademic helplessnes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e method to decrease the academic helplessness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그릿과 우울을 매개로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의 중1패널 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384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 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유의하지 않 았으며, 부정적 양육태도는 학업무기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 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그릿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부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그릿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우울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그릿은 학업무기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우 울은 학업무기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 분석 결 과, 그릿은 긍정적 양육태도가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고 있으며, 부정적 양육태도가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양육태도와 학업무기력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 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부정적 양육태도와 학업무기력의 관계에서는 우울 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학 업무기력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유미영(Mi Young You),홍혜영(Hye Young H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양육태도와 정서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위치한 2개 초등학교 5학년 총 306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척도와 정서지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척도, 교과학습 진단평가점수 등을 사용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 정서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 모두 직접적으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 모두에서 애정을 높게 지각한 아동 일수록, 부로부터 과보호를 낮게 지각할수록, 학업성취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 지능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부와 모 모두에서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아동이 지각한 부 양육태도와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하였고, 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동의 학업성취 향상을 조력할 때, 부모의 양육태도 뿐 아니라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 효능감을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성과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및 학습상 담 개입 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했다. The study was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toward child-rearing,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performa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otal 306 participants of 5th grade student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at Seoul,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of paternal rearing attitudes which children perceive,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were execut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y show whole meaningful static correlations between paternal rearing attitudes which children perceive and academic achieve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also have whole meaningful static correlations from academic achievement and paternal rearing attitudes which children perceive. Second, all of parental attitudes toward child-rear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directly a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t shows that the higher children perceive affection from parents and the lower children perceive overprotection from father, the higher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s. Next, emotional intelligence reveals that the effect of rearing attitudes which children perceive on academic achievement acts as a partial mediator from both parents. Last, academic self-efficacy shows as a partial mediator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paternal attitudes which children perceive and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reveals as a full mediator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rearing attitudes which children perceiv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t suggested the necessarily of considering not any parental attitudes but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for helping childre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necessarily of parental education training program and counseling intervention.

      • KCI등재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송희원(Hee Won Song),최성열(Sung Yeol Choi)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과 통합적인 이해를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가정의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을 학교적응 관련 변인으로 설정하고, 각 변인들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와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가정의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적응 간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3개 중학교 2, 3학년 남녀 564명과 4개 고등학교 1, 2학년 남녀 739명으로, 총 130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검사, 학업동기 검사, 심리적 안녕감 검사, 학교적응 검사를 실시하고, 보건복지가족부가 공표한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빈곤 가정 청소년과 비빈곤 가정 청소년을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 학교적응 간의 상관분석 결과, 각 변인들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정의 빈곤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동기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동기를 통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부모양육태도는 학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을 통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학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은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정의 빈곤과 지각된 부모양육태도는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세 변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빈곤 여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학업동기, 심리적 안녕감은 모두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pproach and underst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multi-dimensionally and integratively.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and variables including poverty level,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ll of which are expected to influenc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To achieve the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investigat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overty level,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do poverty level,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an impact on school adjustment? A total of 1303 students including 564 boys and girls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of three middle schools, and 739 boys and girl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four high schools located in Daegu were studied for this research. First of all, tests of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were conducted. Then, based on the minimum cost of living releas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udents from poverty level and non-poverty level families were divi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passiv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after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Specifically, poverty level influenced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learning motivation indirectly, and it had an impact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learning motivatio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affected school adjustment through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a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school adjustment, and both poverty level and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indirectly. Through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indirect impact of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school adjustment, it is revealed that these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meditation effects. Therefore, it is shown that poverty level,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부모양육태도가 협동의식과 학업활동을 매개하여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간 다집단분석

        함영난(Ham, Youngran),박분희(Park, Bun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협동의식과 학업활동의 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에 대한 성별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의 중학교 2학년 학생 총 2,377명(남학생 1,287명, 여학생 1,090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과 성별 간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집단에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협동의식, 학업활동 및 행복감에 정적효과를 나타내고, 청소년의 협동의식은 학업활동에 정적효과를 나타내며, 학업활동은 행복감에 정적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남녀 집단의 매개효과 분석에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학업활동 간 관계에서 협동의식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는 학업활동의 부분매개효과뿐만 아니라 협동의식과 학업활동의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 집단에서만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학업활동에 부적효과를, 협동의식은 행복감에 정적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남학생 집단에서만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행복감 간 관계에서 학업활동에 의한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넷째, 성별 간 다집단분석에서의 집단 간 경로 차이는 학업활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협동의식과 학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성별차이와 함께 논의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ooperation and academic activity between parental attitudes and adolescents’ happiness and to verify any gender differences which may exist. Using data from KCYPS 2018(second yea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a multigroup analysis across gender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in both groups showed positive effects on cooperation, academic activity, and happiness. Second, academic activity was not only individual partial-mediated, but also the dual-mediated effect of cooperation and academic activity between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s’ happiness in both groups. Third, cooperation of boy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adolescents’ happiness. Additionally, the academic activity of boys was fully mediated between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s’ happiness. Fourth,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only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academic activity on adolescents’ happiness.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고등학생의 학업지연행동: 부모양육태도, 학업탄력성 및 학업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

        Yile Wu,안도희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parenting styles, academic resilience,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385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Korea.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independent t-tes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AMOS 26.0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erceived parenting styles, academic resilience,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e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on academic resilience,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ccording to parenting styles (i.e., positive parenting style vs. negative parenting style). Finally,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academic resilience had direct negative influence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Furthermore, academic resilience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cademic resilience also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academic engagement.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parenting styles and academic resilience play important roles in academic procrastination.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의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학업탄력성, 학업열의 및 학업지연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2개 고등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85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 분석을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분석하였으며, 부모양육태도에 따른 두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부모양육태도, 학업탄력성, 학업열의 및 학업지연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AMOS 26.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학업탄력성, 학업열의 및 학업지연행동 간의 유의한 상호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 집단의 학생들은 부정적 양육태도 집단의 학생들에 비해서 학업탄력성과 학업열의 수준이 더욱 높고 학업지연행동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양육태도, 학업탄력성이 학업지연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열의 간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가 자녀의 학업탄력성과 학업열의를 함양하게 하며, 자녀의 학업지연행동을 완화시키며, 학업탄력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이를 통해 학업지연행동을 완화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는 고등학생의 학업지연행동 예방을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부정행위와 관련 변인 연구

        허정경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young people's cheating behaviors and their school grade, sex, morality, and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1074 children were selected from 10 middle schools and 9 high schools in Seoul, Korea. They were 7th, 9th and 11th graders. The research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s measuring their cheating behaviors, their school graders, sex, morality, and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young people's cheating behavior occurred only occasionally. More cheating was done on homework than while taking an examination. When they were taking an examination, cheating alone was more frequent than helping other students cheat. For cheating on homework, helping others cheat was more frequent than doing their own cheating. Cheating behavior increased as the grade went 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exes. Second, young people's perception of parental attitudes influenced their cheating behavior. When there was sufficient affection, rational explanation and supervision from parents, young people's cheating behaviors were hardly found. Also, paternal abuse increased young people's cheating behavior. As for maternity fostering, young people's cheating behavior was lowered when mothers was showed affection, rational explanation and inconsistency manner. Third, the young people's morality affected their cheating behaviors. In particular, morality reduces cheating behaviors. The study showed that the PHIL factor reduced cheating behaviors on examinations and the EMP factor increased cheating behaviors. Morality shows that the PHIL factor reduced cheating alone and helping others cheat on examinations In addition, morality influences all factors except the GIG factor for cheating on or helping others cheat on homework. With regard to cheating while helping with homework, the PHIL factor and the KRAT factor lessened cheating behaviors. However, the EMP factor increased cheating behaviors. To conclude, Youth's cheating behavior was affected by maternal fostering, their school grade, paternal fostering and morality. Other influencing factors for cheating on examinations were mothers’ fostering, fathers' fostering, morality, and their school grade. Influencing factors for cheating on homework were their school grade, mothers’ fostering, morality and fathers' fostering.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부정행위가 중학교 1학년과 3학년, 고등학교 2학년의 학년별, 성별에 따라 어떠한 특성이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도덕성에 따라 어떠한 관련을 갖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학업부정행위는 학업 부정행위를 전혀 하지 않거나 가끔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험 보다는 과제물에서 부정행위를 더 많이 하고 있었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업 부정행위가 증가하였으나, 성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청소년의 학업부정행위를 살펴보면,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고, 특히, 아버지의 양육태도 중 ‘학대’요인이 학업부정행위와 가장 관련성이 높았으며, 어머니 양육태도에서는 ‘애정’적인 태도를 보일 때 가장 학업부정행위와 관련성이 많음을 보여주었다 청소년의 학업부정행위와 도덕성 간의 전체적인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과제물에 대한 학업부정행위가 도덕성의 인지적 요인을 제외하고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여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청소년의 도덕성이 시험의 부정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무엇보다, 청소년의 학업 부정행위에 대한 학년, 성, 도덕성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태도는 어머니 양육태도가 학업 부정행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예측되었다. 세부적으로 청소년의 시험 부정행위에 대해서 어머니 양육태도가 매우 중요한 변인으로 밝혀졌지만, 청소년의 과제물 부정행위에서는 학년이 부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어머니 양육태도가 시험점수에 영향을 주지만, 과제물에 관한 것은 친구와의 영향력이 주된 것으로 보여진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년에 따른 차이가 청소년의 학업부정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학업중단의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한정자,홍지영 한국재활심리학회 2017 재활심리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학업중단의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남녀 재학생 362명을 대상으로 부모 양육태도, 학업중단의도, 자기통제력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부모 양육태도와 학업중단의도, 자기통제력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부, 모 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중단의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 자기통제력과 학업중단 의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의 양육태도, 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중단의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부모 양육태도가 학업중단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자기통제력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통해 부모양육태도가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통제력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중단 의도를 이해하고 개입하는데 있어 부모 양육태도와 함께 자기통제력의 영향을 고려하여 접근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학교 상담현장에서 학업중단을 예방하고 개입하는데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