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기초한 역사 교육과정 실행연구: 신라 문화 교류사를 중심으로

        곽병현(Kwak, Byeong Hyeon),김은석(Kim, Eun Suk)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1 사회과수업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신라의 문화 교류사를 UNESCO 세계유산의 등재 기준인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다시 읽고 수업으로 구성하여 실행한 후, 이 과정에서 얻은 성찰을 토대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고대 문화 교류사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다시 읽기> 차원으로, 우선 현행 고대 문화 교류사 교육에는 ‘협소한 수준에서의 교류 강조’, ‘세계사적 시야의 부재’, ‘문화의 수용보다는 문화의 전파 강조’라는 문제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신라의 문화 교류사를 다시 읽어 본 결과, 신라의 문화 교류사는 동북아시아 수준을 넘어섰었고, 이러한 교류를 토대로 신라는 보편성에서 탁월성을 추구한 사회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다시 쓰기> 차원에서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고대 문화 교류사를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다시 구성하여 실행하였다(<신라의 문화 교류사 다시 읽기> 수업). 셋째, <성찰하기> 차원에서 문화 교류사 수업 및 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우선 수업 성찰과 관련하여, ‘문화 교류사 수업에의 천착’, ‘탐구형 프로젝트 수업으로의 지향’, ‘보편성 획득의 의미를 가르치는 수업 방식에 대한 고민 필요’, ‘탁월성 중 예술적 우수성 또한 강조’, ‘초등학생의 수준과 학습 가능성 고려하기’, ‘신라만이 아닌 한반도의 고대와 중세를 아우르는 방식의 주제 구성’ 등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성찰과 관련하여, ‘문화유산에 대한 외형적 요소보다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중점적으로 서술하기’, ‘전파보다는 교류의 관점에서 서술하기’, ‘탁월성 뿐만 아니라 보편성의 관점도 다루기’, ‘특정 코너나 프로젝트 단원(또는 주제)으로 교과서 구성하기’, ‘열린 해석을 지향하는 교과서로 전환하기’, ‘초등학교에서도 세계사 다루기’, ‘탄력적 환경확대법 강화하기’ 등을 제시하였다. 결국, 문화 교류사 교육은 보편성을 토대로 탁월성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d Silla s cultural exchang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the UNESCO World Heritage Registration Standard,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ancient cultural exchange history based on reflection obtained in this pro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dimension of <reading the curriculum again>,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ancient cultural exchange history education has problems such as emphasizing exchange at a narrow level , the absence of a world historical perspective , and emphasizing the spread of culture rather than accepting it . Next, as a result of rereading Silla s cultural exchang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t was found that Silla s cultural exchange history exceeded the level of Northeast Asia, and based on these exchanges, Silla was a society that pursued outstanding character in universality. Second, in the dimension of Rewriting the Curriculum, the ancient cultural exchange history of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was reorganized and implem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Rereading Silla Cultural Exchange History> instruction). Third, the direction for teaching and education of cultural exchange history was presented in the dimension of reflection . First of all, regarding instruction reflection, it suggested focusing on cultural exchange history instruction , orientation to exploratory project instruction , need to think about teaching methods to acquire universality , emphasize outstanding artistic characteristics , conside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vel and learning possibility , and composition of the theme encompassing the ancient and medieval times of the Korean Peninsula, not just Silla. Next, regarding curriculum reflection, Rather than describing only the external elements of cultural heritage, it focuses on describing outstanding universal values, Describing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xchange rather than spreading culture, Controlling not only outstandingness but also universality, Organizing textbooks into specific sections or project units (or topics), Conversion to textbooks aimed at open interpretation, Even in elementary school, dealing with world history, and Enlarging the flexible expanding environments principle were suggested. In the end, education on cultural exchange history should be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 KCI등재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상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의 이념과 실제

        서재권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26 No.4

        이 글은 세계유산협약상 ‘탁월한 보편적 가치’라는 불확정적 개념으로부터 파생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탁월한 보편적 가치는 조약을 관통하는 중요한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정의규정을 따로 두지 않고 이 해석을 운영지침에 맡겨두고 있다. 그러나 운영지침에 의한 해석은 국제법상 조약 해석에 관한 원칙과 거리가 멀고, 특히 유산의 등재와 관리에 상당한 권한을 지닌 세계유산위원회와 유산이 존재하는 주권국가와의 관계에 있어 세계유산제도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담보하기 어렵게 한다. 이런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 글에서는 국제조약의 본질과 해석 원칙에 비추어 세계유산협약상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개념을 평가하고, 운영지침에 의한 변형적 해석이 세계유산 관리의 준칙으로서 작동하기에 적합한 것인지를 사례와 함께 살펴보았다. 결론으로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개념과 그에 기반한 등재기준의 영향지수를 객관화하여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위원회 구성과 운영을 보다 투명하게 하는 대신 권한을 확대하여 세계유산의 등재와 관리, 기금 운용에 있어서 개별 회원국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아울러 최근 세계유산법 개정에 따라 그 후속조치로 시행령이 마련되고 있는 만큼 유네스코에서 논의되는 유산영향평가 등 관련 제도의 도입을 고려할 때 회원국의 재량을 보장하는 세계유산협약과 법적 강제가 작동하는 국내법의 지위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point out problems derived from the indeterminate concept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under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and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Although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s an important concept penetrating all over the Convention, its interpretation is left to the operational guidelines not defining withing the text of the Convention. However, interpretation by operational guidelines is far from the principle of treaty interpretation under international law, and make it difficult to guarantee the objectivity and transparency for protecting and managing the heritages,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and the States Parties. This is because the Committee has considerable authority in governing the World Heritage List, while the heritage exists within each sovereign states. This article evaluate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n light of the principle of treaty interpretation, and examines whether nonconventional methods of treaty interpretation is suitable for acting as a rule of world heritage management system under the Convention. In conclusion, it argues that the concept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and the criteria for the assessment should be regularly reviewed and the system needs to be improved to make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committee more transparent. In addition, as the amendment of “Special Act on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se of World Heritage(World Heritage Act)” has been proposed and the enforcement decree is being prepared as a follow-up measure,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new system related to heritage management such as Heritage Impact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which guarantees the discretion of States Parties and the domestic law which legally enforceable.

      • KCI등재후보

        세계문화유산으로서 하회마을 민속의 문화적 가치

        임재해(Lim Jae-hae) 한국국학진흥원 2008 국학연구 Vol.13 No.-

        전통마을은 어디서나 소멸되어가고 있는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마을공동체 하나는 수십 개의 박물관과 도서관을 겸하고 있는 것과 같다. 따라서 유네스코에서는 전통마을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해서 보존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하회마을은 지리적 입지와 역사적 전통, 사회적 구성, 문화적 독창성이 모두 뛰어나서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잘 간직한 전통마을이자, 세계적으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을 만한 특출한 마을이다. 유네스코에서 제정한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평가 기준'을 중심으로 보면, 하회마을은 세계문화유산으로서 모두 다섯 가지 문화적 요건들을 잘 갖추고 있다. 첫째 사람의 창조적 천재성이 만들어낸 걸작으로서 하회탈(기준 ⅰ), 둘째 오랜 시간 동안 안동지역 안에서 기념비적 예술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하회탈춤(기준 ⅱ), 셋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을 입증하는 독보적 증거로서 하회별신굿(기준 ⅲ), 넷째 인류역사의 중요한 단계를 보여주는 문화유산의 탁월한 사례로서 유교문화 경관(기준 ⅵ), 다섯째 환경과 사람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거주지로서 하회마을 자연경관과 지리적 입지(기준 ⅴ)를 들 수 있다. 세계문화유산은 평가 기준 6가지 가운데 한 가지 이상의 기준을 충족시키면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있는 마을로 인정한다. 따라서 평가 기준 중심으로 하회마을의 민속문화를 검토한 결과 5가지를 충족한다. 그러므로 하회마을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할 만한 가치를 충분히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Every heritage village is facing the crisis of extinction. One village community is like having numerous museums and libraries at the same time. Consequently, UNESCO is carrying out a policy which designates and preserves heritage villages as World Cultural Heritage. Hahoe village is a traditional village which treasured up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with its excellent location, historical tradition, social structure and cultural originality; and a remarkable village which its universal value is recognized world-wide. When looking at Hahoe village with UNESCO's ‘Evaluation standard for excellent universal value’, it has all five cultural conditions as World Cultural Heritage. The five conditions are the following: the first is Hahoetal, Hahoe mask, as masterpiece made by the genius of human's creativity(Standard Ⅰ); the second is Hahoetalchum, Hahoe mask dance, which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monumental art in Andong region for a long time(Standard Ⅱ); the third is Hahoe Byeolsingut, Hahoe exorcism, is the unique evidence proving the disappeared cul tural tradition(Standard Ⅲ); the forth is the scenery for Confucianism culture, which is an excellent case of cultural heritage for showing the important step of human history(Standard Ⅳ); and the fifth is the landscape and the location of Hahoe village, as the typical place of residence, showing the interactions between human and nature (Standard Ⅴ). World Cultural Heritage is recognized to be a village with excellent universal value, when more than one out of six evaluation standards are met. It has shown that 5 standards are met after examining the folk culture of Hahoe village with the evaluation standards. Therefore, Hahoe village has the satisfactory values to be registered as World Cultural Heritage.

      • 일반논문 : 서울 한양도성의 보존현황과 주변부 관리

        김영수 ( Young Soo Ki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3 도시인문학연구 Vol.5 No.1

        서울 한양도성은 역사도시 서울의 정체성을 규명하고 정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사문화유산이다. 한양도성은 조선의 도읍으로 결정된 이래 500여년이 넘는 오랜 세월동안 도성으로서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지역적으로 유사한 문화권에 속하는 동아시아의 성곽도시와 구별되는 독창성과 차별성을 지닌 서울의 대표유산이다. 서울 한양도성이 갖는 가치는 크게 네 가지이다. 첫째, 도심을 둘러싸고 있는 내사산의 지세와 지형을 이용한 성벽건축이며 둘째, 수백년동안 지속되어온 성곽축성의 역사를 포함하며 셋째, 수차례의 수축 과정속에서 성곽 축성술의 발전을 이루었으며 넷째, 성곽과 관련된 다양한 기록들과 그것을 배경으로 한 많은 예술적 창작품이 만들어졌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서울 한양도성의 가치를 우리뿐만 아니라 세계 인류와 함께 공유하고 보존하기 위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가 추진되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세계의 모든 인류가 공동으로 보존하고 관리할 만한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를 갖추어야 하고 그 가치의 진정성(Authenticity)과 완전성(Integrity)을 인정받아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운용지침에 따라 보호관리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우리는 이미 국토의 개발과 역사문화유산의 보존관리 사이에 상충되는 모순과 갈등을 많이 경험해 왔다. 따라서 지속적인 도시 발전과 역사문화유산의 보존 사이에는 유산의 가치를 유지하기 위한 지혜가 필요하며, 이러한 지혜를 시현하기 위해서는 대상유산에 대한 정확한 현황 파악을 바탕으로 그 특징과 가치를 유지하기 위한 관리수단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표는 서울 한양도성의 가치 및 특성을 바탕으로 성곽의 구간 별 현황을 파악하고 성곽을 현황별로 유형화하여 각 유형별 주변부에 대한 높이관리 원칙을 제시하는 것이다. 서울 한양도성을 잘 보존하기 위해서는 성곽뿐만 아니라 주변부의 관리가 필요하며 이 중 높이에 대한 관리는 축성당시 도시와 성곽 그리고 자연과 성곽의 관계를 지키고 회복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으로 서울 한양도성의 보존관리에 필수적인 사항이다. 연구의 방법으로 먼저 세계유산적 관점(OUV,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서 서울 한양도성의 가치를 재조명해 보고 현재 한양도성을 보호하고 관리하는 도시 건축제도와 보존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서울 한양도성 관련 법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서울 한양도성의 특성 및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보존관리원칙과 성벽의 잔존유형별 주변부에 대한 높이관리 기준을 제시하였다. Seoul City Wall is an important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 to identify and figure out identity of historic city Seoul. Seoul City Wall plays a role as the wall for more than 500 years since it became the capital of Joseon. It is a representative relics of Seoul with unique characteristics from other cities in East Asia in the similar cultural zone. It has four values. Firstly, it is a fortress building using topography of Naesasan(inner mountain) surrounding urban areas. Secondly, it includes history of fortress building for hundreds of years. Thirdly, it demonstrates the development of fortress wall construction technology in multiple constructions. Lastly, it has a variety of documents and artistic works with Seoul City Wall in the background. Recently, Seoul City Wall is promoted to register UNESCO world heritage so that it would be shared with others. In order to be registered in the UNESCO world heritage, it ha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to preserve and control by human being. and its authenticity and integrity must be recognized. For the preservation of such values, the protection management plan must be set up in accordance with the UNESCO world heritage operation plan. We have experienced conflicts and contradiction between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historic relics. Accordingly, we need wisdom to keep value between urban development and historic preservation. For the realization of such wisdom. we need to have proper management plan to keep value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ccurate status understand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sectional status of wall based on its value and characteristics and classify its type by current status in order to provide height control principle of surroundings. For the proper preservation of Seoul City Wall, it not omly needs to preserve the wall itself, but also to manage surroundings. The height control is a factor having direct effect on the restoration of relation between city and wall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between nature and wall, Thus, it is essential to keep wall preservation. As for the methodology, this study observed the value of Seoul City Wall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heritage (OUV, outstanding universal value). reviewed the urban construction system and preservation condition for the protection of Seoul City Wall, It was followed by figuring out problems os legal system of Seoul City Wall preservation and its preservation condition. Lastly, this study suggested height management criteria by analyzing the preservation management principle and height management criteria to keep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Seoul City Wall.

      • KCI등재후보

        한국사찰의 세계문화유산등재를 위한 전략

        홍광표 ( Kwang Pyo Hong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한국사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가치와 전략을 살피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어떤 것인지에 대하여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요구하는 완전성과 진정성 그리고 보호 및 관리 체계적 측면을 고찰하고 구체적인 등재전략으로서 등재유형, 등재기준, 등재대상의 선택과 등재신청과정에서의 유의점 등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사찰은 완전성 측면과 진정성 측면에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있으며 보호 및 관리체계가 비교적 잘 가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사찰의 세계문화유산등재를 위한 전략을 살펴볼 때, 등재유형은 연속적 문화유산으로, 등재기준은 기준ⅰ, ⅲ, ⅳ, ⅵ 으로 하는 것이 좋겠으며 등재대상은 다양한 경우의 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등재를 위한 절차는 복잡하지만 조계종단 내에 ``한국사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특별위원회 (가칭)``를 구성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한국사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다양한 노력과 희생을 감수해야 한다는 전제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중 에서도 가장 어려운 일은 한국사찰이 가진 완전성과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원형의 복 원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려되는 것은 혹시 탁월한 가치가 있어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가 가능한 사찰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 감수해야 하는 다양한 제약들을 극복하는 일에 인색하거나 그러한 일들을 회피한다면 한국사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는 요원한 일이 될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strategy and the value to register Korean buddhist temples in World Cultural Heritage. In this study were examined integrity, authenticity, protection and systematic management that World Cultural Heritage requires regarding the excellent universal value of Korean buddhist temples, and also were examined the matters to be noted in terms of type, standard, selection and application process of the registration as strategy of registration.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at Korean buddhist temples have an outstanding universal value(OUV) in terms of integrity and authenticity and their systems of protection and management are relatively well implemented. As to the strategy and the value to register Korean buddhist temples in World Cultural Heritage, the registration standards of ⅰ, ⅲ, ⅳ, and ⅵ, would be favorable. It is thought that there would be many scenarios for the objects of registration. The application process is complicated and it seemed urgent to organize a Special Committee for Registration of Korean buddhist temples in World Cultural Heritage(provisional name) in the Jogye Order. Finally, it should be stressed that the registration of Korean temples in World Cultural Heritage requires much effort and sacrifice, which is indispensable. It is the most difficult, enter alia, to restore Korean buddhist temples to their original state in order to secure their integrity and authenticity, above all. To fail to overcome diverse constraints to put with in order to register Korean temples able to be registered due to their outstanding universal value or to evade such constraints shall make them far from the registration, which is a cause for concern.

      • KCI등재

        아산 외암마을 토속경관의 문화유산적 가치

        신상섭 국립문화재연구원 201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4 No.1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many rural villages in Korea have experienced degeneration and breakdown, losing sustainability. However, Oeam village in Asan City, South Chungcheong Province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Important Folk Material No. 236) has established itself as a unique folk village, which evolves with sustainability, pursuing the revival of Neo-traditionalism. Oeam village is a tribal village of the Yis from the Yean region and has maintained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sustainability and soundness for over five centuries. Thus, the village has sustained itself well enough to be a cultural asset with‘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n terms of its value as world cultural heritage. The village maintains its own identity, filled with a variety of traditional and scenic cultural assets that symbolize a gentry village. Those assets include Confucian sceneries (head family houses, ancestral shrines, tombs, gravestones, commemorative monuments, and pavilions), various assets of folk religion (totem poles, protective trees at the entrance of a village, shrines for mountain spirits, village forests),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related to daily lives (vigorous family activities, rigorous ancestral rituals, family rituals, collective agriculture and protection of ecosystem), which have all been well preserved and inherited. In particular, this village is an example of a well-being community with a well-preserved folksy atmosphere, which is based on environmentally sound settlements (nature + economy + environment + community) in a village established according to geomancy, East Asia’s unique principle of environmental design. In addition, the village has kept the sustainability and authenticity for more than 500 years, combining restraint towards the environment and the view of the environment which respects the natural order and cultural values (capacity + healthy + sustainability). Therefore, the Oeam folk village can b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folksy and scenic Korean community which falls into the category of Ⅳ (to exemplify an outstanding type of building, architectural or technological ensemble, or landscape which illustrates significant stages in human history) and Ⅴ (to exemplify an outstanding traditional human settlement, land-use, or sea-use which is representative of cultures, or hum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especially when it has become vulnerable under the impact of irreversible change) of Unesco’s World Cultural Heritage. 근대화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수많은 농촌마을은 문화경관적 건전성을 상실한 채 변질이나 해체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충청남도 아산에 위치하는 외암마을(국가지정 문화재 중요민속자료 제236호,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은 신전통주의 부흥을 추구 하며 지속성을 유지한 채 한국의 대표적인 민속마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외암마을은 예안이씨 동족마을로 500여년의 긴 역사 동안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지속성과 건전성을 지켜온 민속마을로서 문화유산적 가치 측면에서‘Outstanding Universal Value’의 필요충분조건을 갖춘 토속경관 사례이다. 유교적 문화경관 지표물(종가, 사당과 묘역, 신도비, 정려와 송덕비, 정자 등)과 다양한 민간신앙 요소(장승과 솟대, 당산목, 산신당, 마을숲 등), 그리고 유·무형의 생활문화(활발한 문중활동과 엄정한 조상숭배 의례, 가계계승의식, 공동체 농경문화 및 생태환경의 보존 등)를 지속성있게 전승함으로써 전통시대 양반촌을 상징하는 보편성과 완전성, 그리고 진정성을 유지한 채 정체성을 표출하고 있다. 특히, 동아시아의 독특한 환경설계원리인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마을을 자리 잡기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한 정주공간(nature + economy + environment + community)을 구축함으로서 토속성 짙은 문화경관을 완성한 사례가 되는데, 외암오산(광덕, 설아, 송악, 월라, 면잠)과 외암오수(용추, 인곡, 반계, 역천, 온정)와 같은 광역 생태문화경관의 보전과 같은 자연 환경의 절제, 그리고 생태환경의 질서와 문화적 가치를 중시하는 환경관(capacity + healthy + sustain-ability)을 결합하여 지속성과 진정성을 지켜나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외암마을 토속문화경관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기준 Ⅳ(인류역사의 발달단계를 보여주는 뛰어난 유형의 건축물이나 건조물 집합체 또는 조경유산)와 Ⅴ(뛰어난 유형의 전통 인간 거주지 또는 급격한 변화로 파괴의 위험에 직면한 문화의 대표적 유산으로서 토지에 기반을 둔 유산)의 범주에 포함되는 우리나라 공동체 사회의 대표적 사례가 된다.

      • 전통 원림의 세계유산 문화경관적 가치 - 분명히 규정된 경관으로서의 보길도 윤선도 원림을 대상으로-

        ( Jung Hae-jo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6 No.-

        보길도 윤선도 원림(명승 34호)은 자연경관과의 종교적·예술적·문화적 결합양상과 자연조화미가 잘 드러나는 대한민국의 대표정원 유적이다. 본 연구는 분명히 규정된 경관으로서 보길도 윤선도 원림의 ‘문화경관’적 정체성과 가치를 염두에 두고 세계유산 등재기준의 정당성 제시, 대상 범위 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보길도 윤선도 원림을 세계유산 문화경관적 관점으로 재평가하며, 아울러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 입증해야 하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증명하기 위한 조건인 ① 10가지 가치 평가 기준, ② 진정성, ③ 완전성, 그리고 ④ 보호관리체계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보길도 윤선도 원림과 완도의 경관자원이 세계유산 문화경관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세계유산 등재 기준에 따라 이들 자원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인정되어야 한다. 원림은 세계유산 문화경관 세부유형 중 ‘분명히 규정된 경관’으로 규정 할 수 있으며, 10가지 OUV 가치 평가 기준 중 ‘(ii), (iv), (v), (vi)’ 에 해당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원림의 경우 재질이나 기법 등에서 원림 유산이 진정성을 보유하고 있어야하고, 원림의 가치를 충분히 보여줄 수 있는 제반요소(완전성)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윤선도 원림이 인근 국가 및 유사 문화경관자원과 뚜렷한 특징을 보이는 가운데, 기존의 명승 관리에서 더 나아가 유산을 체계적으로 보호하고 지속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보호·관리계획을 보충해나가는 과정이 요구된다. 또한 원림이 사회문화 및 환경적으로 완도의 유·무형 경관자원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해왔는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며, 이를 바탕으로 주변의 다양한 문화경관이 종합적으로 연계되어 하나의 대표성을 가지는 가운데 세계유산 등재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Yun Seon-Do's Garden on Bogildo Island (甫吉島 尹善道 園林, Scenic Site No.34) is Korea's representative historic garden where the harmony of religion, art, and culture with the natural setting is evident. With the thorough case study of Yun Seon-Do's Garden on Bogildo Island,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egitimacy and scope of Korean traditional Wonlim, or landscape garden’s inscription as a World Heritage, with its ‘Cultural Landscape' identity and value as a ’Clearly Defined Landscape’. For these, the study re-valued Yun Seon-Do's Garden on Bogildo Island in terms of the notion of the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 particularly with technical terms of ①the ten selection criteria, ②the notion of integrity and ③the test of authenticity and ④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which are required to meet OUV, and revealed how designated traditional gardens under the scenic site policy could be adopted effectively in the inscription process of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 Yun Seon-Do's Garden on Bogildo Island should meet the World Heritage criteria in order to be recognized for it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Yun Seon-Do's Garden on Bogildo Island can be defined as a 'clearly defined landscape' among the cultural landscape types. Of the 10 World Heritage OUV selection criteria, (ii), (iv), (v) and (vi) can be applied to the garden. It should also display authenticity in its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all elements (integrity) that can show the garden’s value. In addition, a comparative assessment with a similar garden heritage should be conducted and a protection and management plan should be implemented to systematically protect the heritage. It needs to be promoted for inscription through a comprehensive linkage with other heritage sites related to the garden.

      • KCI등재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세계유산 등재와 활용 방안

        정재윤(Chung Jaeyun) 고구려발해학회 2017 고구려발해연구 Vol.59 No.-

        본 논문은 세계유산에 등재된 백제역사유적지구의 활용을 위한 여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세계유산 등재 전략과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통하여 여러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백제역사유적지구는 대부분 매장문화재이기 때문에 세계유산의 가치를 입증하는 데 어려워 유적의 가치에 대한 전략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백제의 지리적 · 정치적 환경은 중국의 발달한 선진문물과 제도를 적극적으로 수입하여 국가체제를 정비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도록 하였으며, 백제화된 문물과 제도를 주변나라에 전파해줌으로써 백제의 지원 세력으로 삼고자 하였다. 백제를 통하여 고대 동아시아 공유문화가 형성되었고, 이는 백제유적지구가 동아시아 문화교류의 중요한 가치를 지녔다는 점을 창출해준다. 아울러 독특한 백제문화를 창조함으로써 다른 나라의 문화와 구별되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입증해준다. 이처럼 공산성, 송산리고분군,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 부여나성, 정림사지, 능산리고분군, 미륵사지, 왕궁리유적은 세계유산에 등재됨으로써 동아시아 문화교류와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다음으로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세계유산 등재는 한국 고대사에서 백제문화의 가치를 인정받음으로써 삼국문화의 발전과 통합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학술적 뒷받침을 통해 그 가치를 창출하였다는 점은 남다르다 할 수 있다. 또한 백제역사유적지구는 각 주제별, 지역별 발전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시대적 · 공간적 변화의 의미도 크다. 무엇보다도 한국과 중국, 일본 세 나라가 치열한 역사문화전쟁을 벌이고 있는 시점에 백제문화는 진정한 동아시아 문화교류의 모델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활용한다면 현재에 더욱 그 가치가 높아질 수 있다고 하겠다. 이를 바탕으로 백제역사유적지구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백제역사유적지구의 활용은 먼저, 지역 조건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 다음으로 지역 사업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고도보존육성사업과의 연계는 바람직하며, 최근 추진되고 있는 백제왕도 핵심유적 복원 · 정비는 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백제문화제 등 지역 축제와의 결합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3개 지역의 공통점인 금강을 매개로 여러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도 필요하다 하겠다. 스토리텔링 기법의 도입도 3개 지역에 걸쳐 있는 백제역사유적지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주제별 유적 답사는 그 좋은 대안이다. 관람층을 구별한 차별화된 체험과 스토리텔링 기법은 다른 곳과 차별화된 전략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IT 기술을 접목한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도입은 매장문화재적 요소가 강한 백제역사유적지구에 큰 보탬이 될 수 있다. 포켓몬고와 같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백제GO’는 백제역사유적지구에 대한 역사적 사실과 정보를 흥미롭게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이다. 공산성과 무령왕릉을 가상현실로 재현하는 것도 관람객의 큰 호응을 얻을 수 있다. 무령왕릉과 연계된 백제 체험촌을 만든다면 백제문화의 체험과 활용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several measures for the utilization of Baekje historic areas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Accordingly, this study attached importance to the strategy for the registration of Baekje historic areas as a world heritage and presented several proposals through this. This study attempted a strategic approach to the registration of Baekje historic areas as a world heritage. As a result, this study analyzed Baekje’s geographical and political environment and found out that an ancient sharing culture was formed in East Asia through Baekje, which showed that Baekje historic areas had important values for cultural interchange in East Asia. In addition, by creating unique Baekje culture, Baekje proved its own Outstanding Universal Value (OUV) differentiated from the cultures of other countries. Next, the registration of Baekje historic areas as a world heritage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e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the culture of the Three Kingdom Period. In addition, since they show the aspects of development by topic and region, they have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Most of all, in a sense that Baekje culture is a true model of cultural interchange in East Asia, the utilization of its significance can further increase their values now when the three countries,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fight history and culture wars. It is desirable that the utilization of Baekje historic areas is done in connection to the Ancient Capital Preservation and Promotion Project, and the combination with local festivals like Baekje Culture Festival, etc. too, can be a good meas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everal contents with the medium of Geum River, the commonality of three areas. The introduction of a storytelling technique, too, can be a good plan for the utilization of Baekje historic areas across the three areas. Above all, the introduction of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in connection to IT technology can be very helpful for Baekje historic areas with strong elements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 KCI등재

        피란수도 부산유산의 세계유산 등재 전략에 관한 연구 -일본 근대문화유산 사례 고찰을 통한 시론적 탐색-

        이정선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1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Global Strategy" to redress the imbalance in the operation of the World Heritage (WH) Convention, States Parties have been coping with the changing trend of the inscription. In this respect, this study focuses on the "Sites of the Busan Wartime Capital" during the Korean War, which is expected to be on the WH Tentative List. Given that this case is a vehicle for restoring the memory of modern history,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related research. As the results of the 5th Committee on Cultural Heritage Review in 2017 pointed out the enhancemen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logic of selection of sites, and the supplementation of components related to refugees,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relevant cases of Japan to derive the implications. Furthermore, the research suggests the strategy of inscribing the "Sites of the Busan Wartime Capit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as follows. First, the paper presents a concrete logic of the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nterpretation of Busan city as a wartime capital. Since this case is a multi-layered palimpsest inextricably interwoven with humanity, peace, and co-prosperity, it resonates with the preamble of UNESCO and the ideology of the WH. Accordingly, the paper introduces the approach of "Sites of Memory" that reflects the multi-vocality of the refugees, existing citizens, the government, and the UN forces, indicating the main character of the heritage as the key players in the "resilient community." In specific, the research proposes the Choryang Church as a component of refugees, along with Ami-dong Bi-seok village. Second, the paper suggests illustrating a correlation link among multiple components in the nomination dossier. Third, it proposes the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four aspects and takes the transnational site of France and Belgium as a valid example. Fourth, this study emphasizes the public awareness of conserv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preservation management system in line with UNESCO's recommendation on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HUL).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lay a foundation for the discipline of WH studies by preemptively presenting the cultural policies necessary for the inscription of “Sites of the Busan Wartime Capital” on the WH List.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의 운용과정에서 드러난 불균형 시정의 일환으로 글로벌 전 략이 도입된 이후, 급변하는 등재 경향에 걸 맞는 협약 당사국의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 대한민국 최초의 근대유산으로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조건부 등재된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이하 피란수도 부산유산)’은 단절된 근현대사의 기억을 복원하는 매개체라는 점에서 학술 담론과 정책 수립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편 2017년 문화재위 원회 심의에서 비교 분석 강화와 유산 선정 논리 입증, 피란민 구성요소 보완이 지적된 바 있어, 본 연구는 이에 중점을 두고 일본의 근대유산 등재 사례를 고찰하여 시사점을 도출 했다. 나아가 피란수도 부산유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이론 및 방법론적 전략을 제언 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란수도 부산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구체적인 논리를 마련했다. 본 유산 은 전쟁의 상흔에서 재건 및 평화, 상생 등 인류애를 지향하는 다층적 팰림세스트 (palimpsest)라는 점에서 유네스코의 설립 취지와 세계유산의 보편 이념과 상통한다. 이 에 따라 본 유산을 피란민과 기존 시민, 정부, 유엔군의 다성적 목소리가 투영된 ‘기억유 산’으로 접근하여 유산 당사자들을 ‘회복탄력성 있는 공동체(resilient community)’라는 내러톨로지의 핵심 주체로 나타낼 것을 제시했다. 또한 피란민 생활상 구성요소로 아미 동 비석마을과 전시 교육·국난 극복의 구심점이 된 초량교회를 제안했다. 둘째, 구성요소 간 유기적 연계성을 관계도로 도식화하여 평화 수호를 위한 회복탄력 적 공동체의 증거임을 등재신청서에 나타내도록 강조했다. 셋째, 4가지 관점에 입각한 비교연구의 일례로 프랑스·벨기에가 등재 추진 중인 잠정유산을 선정하고 세계인문학 포럼 등 국제 학술의 장에서 피란수도 부산의 의의를 전파할 것을 제언했다. 넷째, 22개 참전국 연구 기관과의 협업과 유네스코 역사도시경관(Historic Urban Landscape) 권고에 부합하는 보존관리체제 구축을 통해 사회적 총의를 확장할 것을 강조 했다. 마지막으로 물증 확보를 위해 세계기록유산센터와 연계하여 피란 기록을 세계기 록유산에 등재함으로써 세계유산 등재의 선순환 효과를 전망했다. 종합하여 본 연구는 피란수도 부산유산의 세계유산 등재에 필요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세계유 산의 학술적 기반을 정초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세계유산교육의 연구 및 실천 동향과 최근 쟁점

        한송이(Han, Song Yi)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2

        유네스코(UNESCO)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 Outstand Universal Value)를 가진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을 세계유산목록에 등재시키고 보호·보 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세계유산교육이 등장하였다. 세계유산교육은 세계유산을 보호·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서의 세계유산교 육’과 세계유산을 교육적 소재로 활용하는 ‘방법으로서의 세계유산교육’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적으로서의 세계유산교육을 첫째, 세계유 산의 교육적 가치, 둘째, 세계유산의 교육 콘텐츠화, 셋째, 세계유산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로 분류하고, 방법으로서의 세계유산교육을 첫째, 현장체험학습 장소로서의 세계유산교육, 둘째, 교과 교육 소재로서의 세계유 산교육, 셋째, 가치 교육의 매개로서의 세계유산교육으로 나누어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세계유산은 풍부한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학교 현장 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세계유산교육을 교육과정에 반영 하고자 세계유산교육의 최근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을 살펴보았다. UNESCO is trying to list on and protect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which ha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A way of these efforts, World Heritage Education(WHE) has started. WHE can be divide to ‘WHE as a purpose’ and ‘WHE as a means’. ‘WHE as a purpose’ is intended to protect World Heritage and ‘WHE as a means’ uses World Heritage as a means in the curriculum. This study considers precedent studies of WHE. In this study, ‘WHE as a purpose’ is categorized as Educational Value of WHE,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for WHE or Educational Program for WHE. And ‘WHE as a means’ is categorized as Field study location, Educational subject matter or Teaching materials of the value education. World Heritage has a wealth of educational values, but is not widely used in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is to cosider the current research trends and primary lssues of WHE to reflect WHE in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