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韓)ㆍ중(中) 문화교류를 통한 전통조경의 비교 연구

        펑홍쉬 ( Peng Hong-xu ),장징 ( Zhang Jing ),장치엔두어 ( Jiang Qian-duo ),노재현 ( Rho Jae-hy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8 No.4

        전통조경은 선현(先賢)들이 현대사회에게 남긴 문화적 자산으로, 고대의 전통문화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의 조경설계에도 새롭고 창의적인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한ㆍ중 양국은 고대부터 문화교류를 통해 전통 조경문화의 계승과 보호 및 발전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전통과 현대’ 및 '지역성과 국제성'이 서로 어우러져 발전하여 왔음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한ㆍ중 전통조경의 비교 연구를 목적으로 우선 양국 전통조경문화를 선행연구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양국의 문화적 배경을 종교사상, 전통문화, 자연관으로 나눠 해석하고 양국의 조경 역사와 원류관계를 조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ㆍ중 조경 사조(思潮)의 비교 및 전통조경의 발전과정, 한ㆍ중 조경의 예술적 공간과 경지(境地) 등 세 방향에서 분석 고찰하였으며, 양국의 전통조경의 조성 방식에 있어 차이점을 분석하고, ‘의경조성’ 및 ‘의경수법’을 구명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전통조경의 이론적 배경 및 조경의 경의성(景意性)에 대해 전통조경의 배치 및 주변 환경과 형식 그리고 전통조경의 색채 등을 명ㆍ청시대의 ‘이화원(頤和園)’과 조선 시대의 ‘경복궁(景福宮)’을 사례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ㆍ중 조경의 특징을 토대로 국제화를 위한 전통적인 조경문화의 계승과 혁신방안을 모색하였다. 한ㆍ중 조경사의 발전 추세에 따른 양국 간 문화교류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앞으로 양국 조경의 발전은 전통문화에 대한 국제 간 협력 및 지역 특색의 창조적 결합, 화이부동(和而不同)한 전통조경 환경의 조성, 다양한 문화의 다층적 상생이 양국의 우호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raditional landscape is a cultural asset left by Seonhyeon to modern society, and it can not only understand the landscape culture of ancient tradition but also provides / provided a new creative material for modern landscape designs / designed. However, it is well known that Korea and China have a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and exchange of landscaping in a global background,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culture in a global background covers many dimensions, including protection, development and innovation, and that "traditional and modern" and "regionally and internationality" should be harmonized with each other. This study uses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landscaping buildings as research subjects to extract and organize related data through various channels, including basic literature research that understands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I interpreted the cultural backgrounds of the two countries by dividing them into religious ideas, traditional culture, and natural views, and highlighted the history of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is, it analyzed the differences created by traditional landscaping between Korea and China, and also specifically analyzed the "creation of righteous army" and "the law of righteous army."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to inherit and innovate traditional landscape culture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One Belt, One Roa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China's landscap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elements and methods of Yihwawon of the Ming and Qing periods and Gyeongbokgung Palace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andscaping and the significance of landscaping.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and exchange with landscap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presented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trend of Korea-China landscaping in the global environment.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landscap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expected to be key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raditional culture, creative combin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creation of a harmonious landscape architecture environment, and co-prosperity of various cultures.

      • 외국인이 바라본 한국정원: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 Sang Jun Yoon ),( Eun Yeong Par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1 No.-

        한국이 서양세계에 처음 알려진 것은 16세기 후반이나, 한국과 한국정원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7세기 네덜란드인 하멜에 의해서 이다. 1876년 개항 이후 한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많은 저서가 외국어로출간되었다. 당시 출간되었던 많은 책 중에서 한국의 정원과 식물상을 자세히 기술한 책들이 있다. 이 책들은 한국에 대한 선입견과 그들의 지식기준으로 기술된 부분도 있지만, 서양인들이 직접 관찰 기록한 것으로 당대의 한국정원과 경관을 알 수 있다는 면에서는 유용한 자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7세기 하멜에서부터 19세기까지 서양인들이 직접 경험하고 관찰하여 이해한 한국정원을 조사하고, 한국정원에 대한 서양인들의 시각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영국 쉐필드 대학의 한국서고를 중심으로 영국 18세기 컬렉션 웹사이트에서 조사한 서양인의 여행기와 일지를 취합한 서적 그리고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경험을 기술한 책을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하였다. 몇몇의 서양인들은 한국의 미는 그들의 주변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소박함에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자연미학을 인공적이거나 관습적인 것이 아닌 자연적인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서양인은 그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하고 그림이나 글을 통하여 느낀 한국 경관의 특징적인 부분은 실존한다고 믿지 못하였다. 직접 한국을 경험한 서양인들은 한국정원에 대한 특징으로 작은 정원을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으며, 이를 "코티지 화훼정원"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마을에서 커뮤니티 시설로서 그늘을 제공하는 정자나무가 있는 휴식공간을 마을 아고라(Village agora)라고 표현하였다. 한국정원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으로 연못과 괴석을 언급하였다. 특히 정원 시설물로 전통재료와 방법으로 만든 온실에 대해 설명하고 있었으며, 현대적 개념의 원예산업과 재배원이 도입되고, 잔디밭 등 외국인의 기호가 한국정원에 혼합되기 시작하였다. 정치적, 사회적으로 안정되지 않은 시기로서 궁궐과 왕실정원이 버려지고, 관리가 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그들의 시각이 정확했던 오류가 있었던 것을 떠나, 그당시의 한국과 한국정원이 외국인에게 비쳐졌던 면모로서 우리가 숙지해야 하는 우리 역사의 일부분이다. Although Korea was introduced to the West from the end of the 16th century, Hendrik Hamel`s account was the earliest record, depicting a Korean garden in the 17th century. After signing Treaty of Kanghwa with Japan in 1876 Korea opened to the outside world, and a number of books were published in Western languages to satisfy the growing interest in the former Korea. These records mentioned gardens and the variety of flora they contained -some were well elaborated and some were brief but above all they were valuable as they accoun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gardens and landscape at that time, based on first-hand observation, even though some cases were disparaged based on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or a supposed sense of superiority to the Korea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esterners` viewpoint of Korean gardens based on their first-hand observation in the seven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and evaluates their perspectives on Korean gardens. Hence this research is focused on literature studies, published books which were compiled from travel notes, diaries and residential experiences from Westerners, found in the Korean Collection at the library at the University of Sheffield as well as Eighteenth Century Collections Online.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information gathered from the literature was made to draw the corresponding conclusions. Some westerners understood that Korean esthetics of nature, by means of art, with a focus on natural rather than artificial and conventional as well as the strong simplicity dominated Korean art inspired from surrounding nature but usually they refused to believe that the salient points of landscape features in paintings or texts were in reality without seeing with their own eyes.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Korean gardens that were noted were expressed as the following: gardens were expressed simply as "cottage flower-garden" no matter their position or location; an old big tree - called village agora - serving as a shady resting area, took on the role as a community facility and was placed in many villages; the lotus pond and the rock wer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Korean gardens; there were garden facilities such as the greenhouse which was constructed with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methods; the modern concept of horticultural business and nursery was introduced; the fusion garden blended with Western tastes and brought with it the introduction of Western elements such as the lawn; due to the unstabl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palace grounds and royal gardens began to be abandoned. Whether Korean approved it or not, or whether it is right or wrong, the way Koreans are presented to the outside world is an integral part of them.

      • KCI등재

        용산 총독관저 정원의 조경사적 의의

        김해경 ( Hai Gyoung Kim ),유주은 ( Joo Eun Yu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조영된 용산 총독관저와 그 정원에 관한 연구이다. 네오바로크풍의 건물과 정원이 계획되었는데, 이때 작성된 설계도면은 기존과는 달리 정원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용산 총독관저 정원설계도면의 해석과·신문기사·관련 문헌을 통한 분석으로 도출한 조경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산 총독관저 정원이 근대시기에 조영된 최초의 서양식 정원으로서의 가능성이다. 건물과 함께 정원이 1909년에 완성되어 1911년 조영된 덕수궁 석조전 정원보다 시기적으로 앞선다. 둘째, 당시 근대건축과 함께 도입된 정원 양식과 정원 구성요소를 알 수 있다. 건물의 중심과 정원 진입부의 기념비가 연결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원구성요소가 배치되었는데, 시각적 중심이 되는 비스타(Vista)를 이루는 기념비, 바로크 정원에서 보이는 화단 형태, 축과 대칭으로 배치된 수공간, 화단 형태와 축을 강조한 배식 패턴이 이에 해당한다. 셋째, 서양정원문화의 전파이다. 서양식 문화인 가든파티 형식의 원유회가 열렸으며, 관저에서는 저녁시간대에 만찬과 의전 행사를 진행하였다. 넷째, 근대 조경도면으로의 사료적 가치이다. 도입 수종과 배식 패턴을 구분한 최초의 근대 조경도면으로 기존의 간략한 수목 심벌 또는 화단 형태의 표기에서 진일보한 표현이다. 부차적으로 지형 변형을 위한 현재 표고와 계획고, 수경요소의 배관, 상세 단면 등이 표기되어 있다. 향후 근대조경의 실질적인 분석을 위해서 새로운 사료의 발굴과 분석으로 근대조경에 대한 연구의 폭이 확대되길 바라는 바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governor general`s official residence and its garden in Yongsan that were construc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al time. The garden design drawing was also made while planning such Neo-Baroque style building, and it contains particular information of the garden unlike the other existing landscape drawings. The content of garden translated and landscape historical value drawn out by analysis of garden drawings, press articles and literatures are as follows; First, such governor general`s official residence garden in Yongsan is likely to be the Korean first western style landscape form. For, from the point that it was completely constructed together with such official residential building in 1909, its construction time should be before that of the garden of Seokjojeon, Deoksu Palace, which was constructed in 1911. Second, it shows the garden style and garden planting factor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modern architecture then. Such garden planting factors are placed from the center axis of the garden that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building and monument as well. Such style and factors cover and show the flower bed appearing in Baroque style gardens, the monument that forms Vista playing the center of audience`s vision, water space that is placed symmetrically against the axis, planting pattern that emphasizes the plants` space, flower bed shape and axis, and what kinds of plants were introduced then. Third, it shows the using pattern of western style gardens. Western style garden parties used to take in place in this garden while official dinner and reception were held in the evening in the official residence. Fourth, it shows the historical value as a modern landscape drawing, which is the Korean first landscape drawing that shows the plants` names and planting techniques marking the current height and planned height for change of topography and water system as a water landscape factor. That is, this drawing has the value that it was upgraded from the other existing ones that expressed only simple plants` symbols or flower bed shapes. I, therefore, hope that the studies on the modern landscape would be getting wider by excavation of new historical records in the future.

      • KCI등재

        인물관계로 본 ‘운보의 집’ 정원의 조영과정

        신현실 ( Shin Hyun-s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운보의 집 정원 조영과 관련된 인물의 사상과 주요행적 및 정원조영에 미친 직ㆍ간접적 영향 등을 인터뷰와 관련자료 비교분석을 통해 공간조영에 미친 관련 인물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보의 집 정원 조영에 직접적 관련자들은 우리나라에서 문화재와 전통예술 분야의 대표적 인물들로 전통공간에 대한 전문가적 식견과 풍부한 경험으로 운보의 집을 전통공간으로 창조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운보의 집 정원조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인물로 운보 김기창은 부지선정, 입지선정 및 주요 정원식물 식재와 전통조경시설물의 설치에 영향을 주었으며 혜곡 최순우는 김기창의 부탁을 받아 와본 김동현을 설계자로 추천하고 전체계획에 관여한 인물이다. 와본 김동현은 주택설계 및 공간설계와 연못 등 주요시설물 설계를 담당하였다. 둘째, 간접적 영향을 미친 인물로 부인 우향 정래현은 김기창이 정원을 조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노산 이은상, 화가 이석호는 운보의 집에 현판을 지어주었다. 이 글의 주제들은 창작공간으로서의 이미지를 부여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오랜 기간 운보와 함께 한 김형태와 운보의 아들 김완은 운보의 집 정원 변화과정을 지켜보고 또 영향을 미친 인물들이다. 셋째, 인물들이 조영에 영향을 미친 주요요인으로 운보 김기창은 철저한 기록정신과 어머니와 아내에 대한 그리움이 부지선정과 정원의 향 설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미술세계에서 드러난 전통산수에 대한 인식, 전통 점경물 등의 상징성 부각에 영향을 주었다. 혜곡 최순우는 그의 전통적 의식과 경험을 운보의 집 조영에 반영하였으며 와본 김동현은 연경당을 모티브로 한 전통건축의 기본틀을 적용하면서도 장애에 대한 배려와 독창적 변화를 주었고, 동궁과 월지 발굴을 통해 습득한 연못의 입수시설 등을 전통조경 설계에 반영하였다. 노산 이은상과 이석호는 운보의 집 공간에 내재된 고유의 장소성을 완성시킨 인물들이다. 김형태는 운보의 집 정원공간 변화에 관여하였고 운보의 아들 김완은 김기창에 이어 운보의 집을 경영하였다. The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basic data to identify the original forms of the garden in Unbo's House. Through interviews and related data comparison analysis the ideas and major events of the person involved in establishing a garden in Unbo’s House. Also, deriv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se people on garde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ose directly related to garden in Unbo's House are representative figures of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art in Korea. Based on their expertise and abundant experience in traditional spaces, they contributed greatly to the creation of Unbo's House as a traditional space. Unbo Kim, Gi-Chang who directly influenced Unbo's House gardening, which affected the site selection, location, and the installation of major garden plant plants and traditional landscaping facilities. Hyegok Choi, Soon-Woo recommended Wabon Kim, Dong-Hyun at the request of Kim Ki-Chang and was involved in the overall plan. Housing design, space design and design of major facilities such as pond were confirmed Wabon Kim Dong-Hyun. Second, Kim, Gi-Chang’s wife Jeong, Rae-Hyun, who motived to construct a garden. Nosan Lee, Eun-Sang and Korean artist Lee, Seok-Ho were created a signboard and board of the Pillar to encourage simple life in paintings. The themes of the article motived image as creative. In addition, Kim, Hyeong-Sik and Kim, Wan who son of Unbo, has been with Unbo for a long time, watching and influencing garden changes in Unbo's House. Third,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d the garden by character are as follows. Unbo Kim, Ki-Chang had a thorough record-setting spirit and his longing for his mother and wife affected the selection of the site and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garden. His art world with the symbolic emphasis of traditional landscapes, including traditional facilities, and especially plant materials. Choi, Sun-Woo reflected his traditional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in the construction of Unbo's House. Kim, Dong-Hyun applied the basic framework of a traditional building based on Yeonkyongdang hall in Changdeokgung palace. He also reflected on the traditional landscaping design the facilities of ponds acquired through excavation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Gyeongju. Nosan Lee, Eun-Sang and Lee, Seok-Ho completed their unique place in Unbo's House. Kim, Hyung-Sik was involv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 while Kim Wan ran the Unbo’s House which he inherited from Kim, Ki-Chang.

      • 산업화 관점에서 본 한국 조경 태동의 특징과 정체성

        ( Se Hwan Cho ),( Yo Seob Kim ),( Joon Teack R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0 No.-

        본 연구는 한국에 조경이라는 전문용어가 처음 나타난 1970년부터 조경 태동의 산파 역할을 했던 청와대 조경담당 비서관이 존속했던 1980년까지 한국 조경의 태동기를 미국 조경 태동의 경우와 비교하여 고찰함으로써 한국 조경 태동의 정체성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산업문명은 그 시대에 유사 이래 인류 역사에서 가장 진보된 문명으로 인식되고 있었고, 조경의 태동은 산업화와 산업문명의 켤레로서 출현한 근대화의 새로운 전문분야였다. 둘째, 한국 조경의 태동기의 정체성 파악은 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산업화 관점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한국 조경 태동의 중심에는 산업화를 이루고 각별한 자연애호 사상을 가진 박정희 전 대통령(이하 박대통령)과 한국 최초의 조경가이자 대통령 조경·건설담당비서관이었던 오휘영의 역할이 있었다. 넷째, 한국 조경의 태동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박대통령의 개발 독재’-``박정희 조경관’-``개발 환부에 대한 눈속임’-``화장술 조경’-``친일 행적 가리기용’ 등이 오늘날 한국 조경 문제의 근원이라는 부정적 시각은 ‘산업문명’-‘자연 개발’-‘국토 인프라 구축’-‘박대통령의 자연관’-‘국토 훼손 치유’-경제 원리-결과론적 후속 민주화-라는 새로운 관점의 긍정적 축으로 논의될 수 있었다. 다섯째, 미국 조경의 태동이 농업문명에서 산업문명으로의 전환과정에서 정원 또는 조원, 정원건축, 조경 간의 치열한 경쟁을 거쳐 조경으로 진화한 것처럼 한국 조경의 태동 국면에서도 농업화 사회에서 일제 강점기, 해방기를 거치며 산업화 사회로 전환되는 시대적 변화 과정에서 미약하지만 그 이전에 있어 왔던 조원과 경쟁을 거치며 정착되는 과정을 거쳤다. 여섯째, 한국 조경은 한국의 근세 역사에서 산업화를 통해 세계 문명국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태동되고 전개되어온 전문 분야인바, 오늘날 한국 조경의 문제는 동시대 지식창조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그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 논의되었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fetal movement of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from the year of 1970 that the word, Landscape Architecture, is emergent till the year of 1980 that the presidential secretary of Landscape Architecture that had lasted in government since year of 1972 by the comparison with the beginning of American Landscape Architecture.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 industrial civilization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st evolved civilization at climax in the those days and the fetal move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new professional was the subjected to the industrial civilization. In America. The second, it also was analysed that identifying the fetal movement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would be discussed in the view of industrialization as like America. The third, there were two peoples, the one was the former president of Korea, Jung-Hee, Park(PresidentPark) who launched the radical industrialization, decided the decision of introduc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 and had deeply nature-loving world view, the other was Whee-Young, Oh, the former presidential secretary of Landscape Architecture who was the first Korean landscape architect educated in America. The forth, the negative point of views as like President Park`s the view of Landscape Architecture to deceive the citizens` eyes on the destructions of national nature`, ``the pursuing of decoration-oriented Landscape Architecture``, ``the introducing of Landscape Architecture to screen the past Japanese-friendly behavior of President Park, ``the peremptory introduc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by government that have been the roots of the all modern Korean problems`` etc. in a former research on the fetal movement in Korea in a series of negative image conceiving President Park the dictator could be retransfer to the positive points of view of ``introduction of industrialization civilization for nation wealth``, ``anavoidable nature development to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land infrastructure, ``the world view of nature-loving of President Park, ``the trying to restore and conserve the nature and national land``, ``the national economic success leading to the democratization`` in Korea, there after. The fifth,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has been also settled down in self-organization process through the competition with the gardening based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s of Korea as like America did dur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from agricultural society to industrialization society in the varies professional names of Gardening, Landscape Gardening, Garden Architecture. The sixth, as the fetal movement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was introduced in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process to be the advanced world civilization country in modern history of Korea, the problems that the Korean Landscape Archi tecture is confronting now-a-days would be searched in a new way of trying to adapt to the new paradigm of the knowledge-creative society of 21st century.

      • KCI등재

        설계과정을 통해 본 정원박람회 작가정원의 전통재현 특성

        이송민 ( Lee Song-min ),소현수 ( So Hyun-su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정원박람회에 출품한 작품 중에서 전통을 테마로 설정한 작가정원 14개소의 사례연구로서 문헌 분석과 현장 조사로 진행하였다. 전통재현을 결정하는 설계과정에 주목하고 작품마다 설계목표 수립, 전통재현의 대상 선정, 재현의 방법 결정, 경관구성요소 디자인 단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전통재현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수의 작가정원에서 전통구조물을 재현 대상으로 선정한 양상은 좁은 부지에 적합하고 주제 전달성이 좋다는 장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들은 작품명에 마당, 울, 부뚜막, 장독대, 취병과 석가산 등 전통구조물의 명칭을 넣어 설계의도를 직접 전달하였는데, Wall, 한국정원, 수원, 서울 장인처럼 간접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은 주제 전달성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선비, 여백, 풍류와 같이 재현대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도 있었다. 둘째, 한옥마당을 재현하면서 잔디와 석재로 포장한 정원, 수원화성 성곽과 망루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을 분리하고 연계성 없는 용연(龍淵)을 미니어처 형태로 배치한 정원과 낙안읍성을 모티브로 하여 휴게공간에 낮은 장식담장으로 재현한 정원은 전통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반면 전통정원의 입지 선택, 주변 환경과 유기적 배치가 중요함을 보여준 한국정원, 한옥 중정이 가진 여백의 미와 선비가 누렸던 느림의 미학, 달밤 뱃놀이라는 풍류 문화를 재현한 작품들은 전통구조물 모사를 넘어 전통에 대한 이해가 정원문화와 정서로 확산된 양상이다. 셋째, 디자인과 관련하여 실제 크기의 전통구조물을 직설적 방법으로 재구성한 작품이 많았다. 취병으로 정원을 구획하고, 담장 안에 부뚜막, 굴뚝, 텃밭 등으로 생활공간을 꾸미고, 경복궁, 소쇄원, 서석지를 대표하는 시설들을 유기적으로 배치하였다. 하지만 규모가 큰 수원화성과 낙안읍성을 추상적 방법으로 재현한 작품들로부터 핵심이 되는 디자인 요소의 취사선택, 구조물의 입면 구성, 공간의 스케일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해체적 방법을 선택한 정원 중에는 원형 이미지와 멀어진 한옥 마당과 바자울의 사례가 있는 반면에 정육면체를 구성한 프레임만으로 표현한 여백의 정원과 많은 전통구조물로 달빛 스며든 선비의 사랑방을 재구성한 정원은 긍정적 사례이다. 현대적으로 디자인한 경관구성요소들을 전시한 서울 장인 정원, 직지심체정원, 풍류정원은 작가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on-site research as a case study of 14 artists' gardens with traditional themes presented at the garden fair. With Focusing on the design process for determining traditional reproductio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design goals, selection of subjects for traditional reenactment, determination of methods for reproduction, and design stages of landscape components. First, the pattern of selecting traditional structures as subjects for reproduction in many artist gardens can be understood as an advantage of being suitable for narrow sites and having remarkable topic communicability. They directly delivered the design intent by adding the names of traditional structures such as Madang, Wool, Buttumak, Jangdokdae, Chuibyeong and Seokgasan. Works expressed indirectly, such as Wall, Korean Garden, Suwon, and Seoul craftsmen, have relatively weak topic communicability. There were also symbolic representations of objects to be reproduced, such as Seonbi, marginal spaces, and Pung-lyu. Second, while reproducing Hanok Madang, separate the gardens paved with grass and stone, the fortress wall of Suwon Hwaseong and the northwest Gongsimdon of the watchtower. Also the garden with a miniature version of the extraneous Yong-yeon and the garden, which was reproduced as a low decorative wall in the rest area based on Nakan-Eupseong Fortress, shows the need for a deep understanding of tradition. On the other hand, the reproducting works of choosing the location of the traditional garden, the Korean Garden showed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arrangement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beauty of the space in the courtyard of Hanok, the beauty of the slowness enjoyed by the scholars and the reenactments of the Pung-lyu culture of Moonlight boating are not only imitating traditional structures but also spreading understanding of tradition to garden culture and sentiment. Third, there were many works that reconstructed the real-size traditional structure in a straightforward way in relation to design. The garden was divided into Chuibyeong and the living space was decorated with Buttumak, chimneys, and gardens, and facilities representing Gyeongbokgung Palace, Soswaewon, and Seoseokji were systemically arranged. However i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electing the key design elements, constructing the elev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sense of scale of the space from works that reproduced the large Suwon Hwaseong and Nakan-Eupseong in an abstract way. While there are examples gardens of Hanok yards and Bazawul, which are far from the original image among the gardens that chose the dismantling method, the Blank-space garden expressed only by a frame composed of cubes, and Seonbi's Sarangbang garden, that permeated the moonlight with many traditional structures are the positive examples. The Seoul Artisan Garden, Jikji Simche Garden and Pung-lyu Garden, which display modernly designed landscape components, need an explanation to understand the author's intention.

      • KCI등재

        조경기사 ‘조경사’ 과목이 조경역사학(造景歷史學) 분야의 진정성 확립에 미친 사회적 영향

        이창훈 ( Lee Chang-hun ),신현실 ( Shin Hyun-sil ),김규섭 ( Kim Kyu-seob ),이원호 ( Lee Won-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국가기술자격 검정인 조경기사 필기과목 중 “조경사” 문제에 대해 이의 제기된 자료를 중심으로, 출제문제에 대한 논점 유형과 경향, 요인 등을 분석하여 잘못된 학술적 내용을 바로 잡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순기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조경사 시험문제에서 출제되는 역사적 사실에 대해 검증할 수 있는 조경문화사 분야의 학문발전을 위한 대안을 찾는 것을 연구 목적에 두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가 제기된 조경사 과목의 진술내용을 분석한 결과 ‘조경 양식 및 형태의 개념 확립’과 ‘역사적 사실의 고증’이 조경역사학 분야의 발전을 위해 우선 정립되어야 하는 중요한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조경역사 이론을 참고할 만한 고증자료의 부재를 보완하기 위한 해당 분야 전문가 그룹의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회적 합의를 필요로 한다. 둘째, 문제가 제기된 서술내용의 분석결과 총 5가지의 논점유형으로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미확립된 양식 및 형태의 정의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52.94%), 검증되지 않은 역사적 사실(25.13%), 불확실한 시대구분(11.77%), 사용된 용어의 구체성 결여(6.95%), 사건의 내용적 범위가 모호함(3.21%)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경사 출제문항에 제기된 진술내용에서 비교분석하여 이론을 학습할 만한 정보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참고서적간의 내용이 상이함이 문제제기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경사 문제에 제기된 논점의 특징과 사례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현상과 관련되었으며, 문화적 요인과 정치적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넷째, 국가기술자격 검정인 조경기사의 조경사 종목에서 논점으로 인지된 내용의 해결과정에서 결정된 정보는 조경사 분야에 바로 활용이 가능하고, 논점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함으로서 검증과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로 해결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entered on the protested data of the issue of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handwritten course of landscaping articles of National Qualifications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of social problems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erroneous historical f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lternativ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landscape and culture history that can assist in the verification of the historical facts of the landscape sciences examination question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landscape architects' subject matter, the establishment of concept of landscape style and form and the confirmation of historical facts were investigated as important types to be established for development of landscape landscape history department. It seems that the social consensus of the expert group is needed to supplement the lack of data to refer to landscape architectural theory. Second, the analysis of the problematic narrative contents resulted in a total of five types of questionnaires. The appeared in the Undefined style and form(52.94%), Unproven historical facts(25.13%), Obscurity Era classification(11.77%), Lack of specificity(6.95%), Content scope of obscurity events(3.21%) Third, it is not only the lack of information to learn the theor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tatements in the landscape architect 's question items, but also the difference of contents between books was analyzed as the main cause of the proble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examples of the issues raised in landscape architectural problems, it was related to the social phenomenon, and it was classified into cultural factors and political factors. Fourth, the resolution of problematic issues in landscape architects' landscaping articles, which ar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tests, shows positive results. The information determined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perceived content can be used directly in landscaping field, and it helps the accuracy of the verification process by identify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ssues.

      • KCI등재

        광한루원의 수목 및 구조물 정비 방안

        백종철 ( Chong Chul Paek ),김학범 ( Hak Beom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3

        전라북도 남원시에 위치한 광한루원은 조선시대 관아건축물인 광한루를 중심으로 주변에 조성된 정원과 함께 조선시대 대표적인 관아정원의 모습을 보여주는 장소이다. 그러나 광한루원은 현재 조선시대 관아정원으로서의 특성과 이미지보다는 지역문화인 춘향전의 배경 장서로서의 인식이 높은데, 이는 춘향전의 한문본인 "광한루기"에 광한루가 춘향전의 배경장소로서 나타났기 때문이며, 1930년대 이후 춘향사당의 건립과 춘향제가 열리면서, 조선시대 관아건축물로서의 인식보다는 일제강점기 시절 민족의식 고취와 춘향의 절개를 추모하는 장소로서 활용되었기 때문이다. 관아건축물로서의 인식보다는 춘향전의 배경장소로서의 인식이 높아지며 관아정원으로서 보전, 관리되기 보다는 춘향전의 배경장소로서 민가주택정원이나 지역문화 행사장으로서 관리되면서 무분별한 수목의 식재와 구조물 조성, 공간구성에 의해 관아정원으로서의 특성을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따라서 광한루원을 조선시대 관아정원으로서 보전, 관리해 가기 위해서는, 현재 광한루원에 조성된 수목, 구조물, 공간구성 등을 조사하고, 이를 문헌분석을 통해 파악된 광한루원의 원형과 비교, 분석하여, 광한루를 중심으로 조성된 관아정원 지역과 춘향전의 배경장소를 구분하여 정비,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광한루원은 관아정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전통공간의 광한루를 중심으로 펼쳐진 춘향전은 전통의 맥을 잇는 지역문화로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Located in Namwon-si, Jeonila Bukdo, Gwanghallu Garden is created around Gwanghallu, which was a government office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shows its looks as a government office building of the times. However, Gwanghallu Garden is recognized rather as a background site of Chunhyangjeon, representing a local culture, than the features and picture as a government office garden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because Gwanghallu appeared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in its Chinese character script and, after 1930s, Chunhyang Sadang was built up and Chunhyang Festival held, and it`s recognized rather as a site for arous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cherishing Chwthyang for its integrity in the Japanese ruling era of Korea than as a government office building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With it being more recognized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than an ancient government office building, Gwanghallu has been managed as a private house garden or event place of folk festival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than preserved and managed as ancient government office building, and now the looks and features as a garden of government office are hardly seen because of indiscriminate trees and making of structure and spaces. Therefore, to preserve and maintain Gwanghallu Garden as the garden of government office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it`s required to survey the trees, structure and spaces created in Gwanghallu Garden and compare the true condition th its original looks by studying its literature and it`s suggested that the garden area created around Gwanghallu should be repaired and managed by separation from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Such means of management may keep the looks of Gwanghallu as the ancient office garden while Chunhyangjeon can also settle down as a local culture in the background.

      • KCI등재

        중국 전통원림의 치석피도(置石被度)에 따른 원로경관의 시지각적 특성 분석 -한국인과 중국인 시지각 비교를 중심으로-

        김동찬 ( Dong Chan Kim ),박율진 ( Yool Jin Park ),송매결 ( Song Mei Ji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중국 전통 강남원림인 소주원림의 원로경관을 대상으로 치석피도(置石被度)에 따른 한국인과 중국인의 시지각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SD스케일에 의한 경관 형용사 분석방법으로 시지각적 이미지와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중국의 전통 강남원림인 소주의 졸정원, 창랑정, 사자림, 유원, 망사원 원림에 위치한 원로의 경관사진을 촬영하여 그 중 15매를 선정하여, 형용사 21쌍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로 대학생 한국인 51명과 중국인 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한국인과 중국인의 치석피도에 따른 원로경관의 시지각적 특성과 선호도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치석피도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치석피도를 산출해서 유형화하여 한국인과 중국인의 설문결과에 대한 평균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경관특성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정된 경관형용사를 척도화 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수행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과 중국인의 원로경관 선호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국인의 전체적 선호도는 한국인보다 더 높았다. 치석피도로 구분한 유형별로는 평균치가 중간, 매우 작은, 작은, 큰, 매우 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치석피도에 따른 선호도는 치석피도가 낮을수록 선호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석피도에 따른 선호도의 영향에 있어서는 중국인보다 한국인이 더 큰 영향을 받았다. 전통 강남 원림 가로 경관의 시각적 특성을 요인분석 결과, 한국인의 시각적 특성은 <심미성 요인>, <쾌적성요인>, <정연성 요인>, <흥미성 요인>로 총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중국인의 시각적 특성은 <심리성 요인>, <쾌적성 요인>, <정연성 요인>총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This study takes road landscape of traditional Chinese Kangnam gardens in Suzhou as the object. It compares the relations and differences between pre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on road landscapes with different rockery ratios, and studies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s adjective visual characteristics of road landscape of traditional gardens and impacts of visual characteristics on preference.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process: Firstly, the theoretical survey of road landscape of traditional Chinese Kangnam gardens is conducted, pictures of the road landscape of gardens in Suzhou are taken, and 15 pictures are selected based on rockery ratio. Secondly, in order to grasp the visual preference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road landscape of garden in Suzhou, 15 pictures and 21 pairs of adjectives are adopted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Thirdly, in order to grasp the differences between pre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on road landscape of traditional Chinese Kangnam gardens, the t-test analysis is conducted. In order to grasp the impacts of rockery ratio on preference, and after the classification of landscape pictures based on rockery occupancy, the average analysis, factor analysis of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for Korean and Chinese are conducted respectively. In order to grasp the differences of incentives of landscape preference, the incentive analysis of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for Korean and Chinese is carried out. In order to grasp the impacts of various factors on the prefer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s preference on road landscape of traditional Chinese Kangnam gardens show that the overall preference of Chinese is higher than that of Korean. The results of the landscape preference analysis show that the ranking order of average value of Korean and Chinese`s preference on rockery ratio categories is: medium ratio, very small ratio, small ratio, large ratio, very large ratio.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rockery ratio of traditional Chinese Kangnam gardens and preference show that the preference increases as the ruckery ratio decreases, and the rockery ratio variation causes greater impacts on Korean. Results of the analysis of visual characteristics, factors of visu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are "aesthetic factor", "comfort factor", "neat(orderly) factor", and "fun factor".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has three factors, namely "psychological factor", "comfort factor", and "neat factor".

      • 틀짜기 방식과 정원과의 관계 -한국, 중국, 일본의 정원을 중심으로-

        ( Eun Yeong Park ),( Jung Kwon Choi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5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3 No.-

        정원에서 그림틀에 관심을 갖는 것은 틀짜기를 통해 자연미(自然美)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정원은 자연을 가두는 것으로 물리적으로 담장을 통해 구획 짓는 것은 동서양이 다르지 않다. 그러나 틀 속에 만들어지는 자연은 나라마다 정원마다 제각기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한국, 중국, 일본 정원에서 펼쳐지는 그림틀은 틀의 형태와 담기는 내용, 자연요소를 표상하는 방식도 서로 다르다. 다양한 틀짜기를 통한 미적 체험은 세나라 정원에서 선호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의 예술로서의 정원 특징에 대한 논의와 함께 이들 정원에서 나타나는 틀짜기의 취향과 수법의 차이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세 나라에서 정원에서 일정하게 나타나는 대표적 틀짜기는 한국에서는 방지와 누마루의 기둥, 처마, 난간을 통해 나타난다. 틀을 만드는 대상과 내용이 작위적이지 않다. 중국에서는 회랑과 누창을 통해 나타난다. 광대한 자연을 축소하여 나타내려 하며 인공적이다. 일본에서는 방안에서 바라보는 그림틀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려 한다. 좌선(坐禪)하면서 조용히 바라보는 축소된 자연에 대해 그림을 대하듯 항상 일정한 형태와 분위기를 유지하려 한다. 정원에서 틀짜기수법을 하는 의도를 찾아보면, 우선, 공간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틀의 내용을 더 강조하는 수법을 사용한다. 둘째, 공간이 더 많은 이야기 꺼리를 제공하게 하는 데 있다. 틀이 많아지면 이야기가 많아지고 공간을 이해하는 폭이 넓어진다. 셋째, 상대적으로 전체적인 풍경에서 차경이나 틀짜기를 통한 시각적 층위를 풍부하게 하는 방식으로 자연미를 찾는다. In gardens, the picture frame becomes the center of interest as layering tells us how natural beauty is recognized. A garden is to confine nature. Physically making boundaries with walls is no different in the East and the West. But the appearance of the framed nature varies by country and by garden. The painting frames of gardens in Korea, China and Japan differ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not only their shapes but also their contents, i.e., how they express natural elements such as flowers and trees. Aesthetical experience through various ways of layering is the preferred way in the three countries’ gardens. Accordingly, this study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gardens as art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e styles and methods of layering in these gardens. Representative layering techniques constantly present in the three countries’ gardens are shown, in Korea, through square ponds and the pillars, eaves and balustrades of upper floors.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the frame are not artificial. In China, layering is shown through corridors and openwork windows. They intend to down scale vast nature and are artificial. Japanese gardens intend to keep the picture frame seen from the room constant. They calmly gaze at the scale-down nature while sitting in meditation and try to sustain certain forms and atmosphere as if they are facing paintings. The intentions of using layering techniques in gardens include: firstly, it gives space meanings to further highlight the contents in the frame. Secondly, it offers more stories to the space. The more frames, the more stories and the wider understanding of the space. Thirdly, in overall landscapes, natural aesthetics are ensured by enriching visual layers through borrowed landscapes or laye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