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루이 라벨의 ‘존재에 대한 체험’과 ‘철학적 지혜’의 의미

        이명곤(Lee, Myung Go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4

        철학사에서 ‘존재’에 대한 탐구는 형이상학의 중심 되는 주제였다. 근대 이후 철학은 이러한 존재에 대한 탐구를 소홀히 하였고, 루이 라벨의 철학은 존재에 대한 관심을 프랑스 철학사 안에 다시 도입하고 있다. 그의 존재론의 장점은 존재에 대한 주제를 통해 인간의 심오한 본질을 밝히고자 하는 데에 있다. 그는 인간의 삶이 시간성의 개념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파악하면서, 이로부터 인간의 정신이 영원성과 관계하고 있음을 도출해 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영원성을 파악하고, 영원성을 휘어잡고자 하는 인간의 노력이 ‘예술에 대한 체험’과 ‘종교적인 체험’에서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예술의 순수성은 ‘사물들의 순수성’ 즉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파악하고, 종교는 인간의 실존을 ‘절대적인 지평’으로 들어 올린다. 이는 곧 세계와 존재자들의 지반이요, 모든 삶의 근원이 되는 ‘존재자체’에 참여하는 행위로 가장 실존적인 행위이다. 이러한 존재자체와의 관계성에서 모든 존재하는 것의 진정한 모습 즉 ‘존재의 진리’를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 파악하고 이를 실행하는 것은 곧 인간정신의 몫이며, 또한 매순간 이를 감행할 수 있는 것이 곧 ‘정신의 자유’이다. 인간으로 하여금 이러한 삶의 근원에로 나아갈 수 있게 하는 ‘용기’를 라벨은 ‘지혜’라고 부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혜는 매우 역동적인 것이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고전적인 의미의 ‘지혜’가 한층 ‘현대적인 의미’를 가지고 다시 부활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그리하여 그의 존재에 대한 철학은 ‘영원의 철학’의 한 범형(凡形)이 되고 있다.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research of “being” was one of the central subject. Since the modern age, philosophy has neglected this research of “being”; Louis Lavelle’s philosophy has reintroduced the interest of “being” in the history of French philosophy. The advantage of his ontology is its unveiling of the profound essence of the human being through the theme of “being.” Lavelle knows that human life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of time, from which it derives the relationship with the eternal nature of the human spirit, and he recognizes that the human effort to grasp eternity appears in the “artistic experience” and “religious experience”. The purity of art is to find out “just the way” of things, and religion is to lift human beings as the “absolute horizon.” The purity of art and religion are the most existential acts as an act of participation to being itself, which is composed of the world and beings and is the source of all life. In these relationships with “being itself”, the true appearance of all things that exist, or the truth of being, will be revealed. Knowing and run it is left to the human spirit; in addition, it can be ventured that every moment it is the freedom of spirit. Louis Lavelle calls “wisdom” the courage that allows to take man in to the source of human life. Therefore, this wisdom is very dynamic. His concept is understood to have revived the classic meaning of “wisdom” with more “modern meaning”, and thus, his “philosophy of being” has become an example of a “philosophy of eternity.”

      • KCI등재

        인간의 경제적, 도덕적 그리고 종교적 차원 - 애덤 스미스의 경제학과 윤리학을 넘어 왕양명과 키에르케고어의 종교적 존재로 -

        양선진 ( Yang¸ Sun-ji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인간은 영혼과 함께 육체를 지닌 존재이기 때문에 인간의 육체적 욕망인 이기심을 극대화하려는 욕망과 욕구를 실현하려고 한다. 애덤 스미스((Smith, A., 1723 ~ 1790))는 인간이 이익을 추구하는 것은 자연스런 인간의 욕망이며 이러한 욕망이 결과적으로 타인에게도 이익을 제공한다면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상호이익의 관점이 타인의 자비심에 의존하는 것보다 더욱 효율적인 사회라고 간주하였다. 왕양명(王陽明: 1472-1528)은 인간이 육체적 욕망과 영혼의 복합체인 형기(形氣)를 지녔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사욕(私慾)을 극대화하려는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는 점을 인정한다. 이런 차원에서 현실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주류 경제학은 인간을 기본적으로 이기적인 존재로 본다. 인간이 인간다움을 지닐 수 있는 근거는 바로 현실에 매몰되지 않고 삶의 가치와 의미를 추구하는 존재라는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인간은 경제적 모습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도덕적 삶을 추구하는 존재라는 사실이다. 애덤 스미스는 인간이 자신의 이웃에게 또는 자기 자신에게 자산의 성품과 행위가 드러날 때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도덕법칙, 즉 도덕감(moral sentiments)이 존재함을 인정한다. 왕양명의 심즉리는 인간의 마음이 자신의 비도덕적인 이기적 격정과 욕망을 제거하고 인간 내부의 양지(良知)의 목소리에 따라서 행동한다면 인간의 마음이 곧 도덕적 원리와 이치에 부합한다는 관점(心卽理)이다. 왕양명의 도덕적 원리는 사적인 욕망을 제거하고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유익이 되는 행동을 촉구하는 인간의 도덕적 감정(良知)을 의미한다. 키에로케고어(Søren Kierkegaard: 1813-1855)는 심미적, 윤리적 그리고 종교적 단계로 나눈다. 그는 인간의 정신 또는 인간의 영혼의 기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 영혼의 근원자인 절대자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간 영혼의 기원자에 접근하는 방법은 이성이나 감성이 아닌 인간이 지닌 신앙(영성)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인간의 본래적 본성을 회복하는 길은 바로 인간의 종교적 단계인 신앙 속에서 신과의 만남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왕양명은 인간이 지닌 생리적 욕구 또는 이기적 욕망이 인간 안에 자리 잡은 하늘의 이치와 원리를 제압하지 못하도록 통제하고 다스릴 것을 강조한다. 인간의 본성이 참다운 본성인 자연의 지배를 받는다면 인간이 인간다운 선한 도덕성을 발현할 수 있지만 인간과 자연이 하나라는 본성을 인지하지 못한다면 인간이 자연의 본성에 거역하는 행동을 하게 되기 때문에 비도덕적 행동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두 철학자를 이러한 3 단계로 나눠서 인간의 복잡하고 다양한 층위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오늘날의 인간의 모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차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차원에서 가장 낮은 단계인 감각적(심리적)단계 및 사욕의 단계를 경제적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경제적 차원 이외에 인간의 도덕적 차원이 우리 사회에 어떠한 문화적 위상을 가지게 되었는지를 고찰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인간의 도덕적 문화를 바르게 정착하기 위해서 종교적 차원이 왜 중요한지도 살펴볼 것이다. Adam Smith (1723-1790) found it efficient to pursue one's own interests within the scope of satisfying others' interests, and to rely more on mutual interests than to expect of others' benevolence. As such, human beings are physical beings with their souls, so they try to realize the desire and desire to maximize their selfishness, the physical desire of human beings. If understood from th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of Wang Yang-Ming (1472-1528), the human term means a complex of physical desires and souls, and the human term naturally flows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one's self-interest. In this regard, mainstream economics, which approaches at a realistic level, sees humans as basically selfish beings. The reason why human beings can be human is that they are not buried in reality but rather seek the values and meanings that life pursues. In this regard, human beings are both economically-looking and at the same time seeking moral life. Adam Smith explored the moral laws, or moral sensibilities, that occur in the mind when a human being enters into the nature and act of an asset to his neighbor or himself. Wang Yang-Ming's point of view is that if the human mind removes its immoral selfish passion and desire and acts according to the voice of the sheep within the human body, the human mind corresponds to the moral principle and reason. Wang Yang-Ming's moral principle refers to the moral feelings of humans that urge individuals to take actions that are beneficial to others' positions and remove desires for their own sake. Kierkegaard(1813-1855) argues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human mind or of the human soul, one must move on to the absolute, the source of the human soul. The originator of the human soul was not accessible by reason or sensibility, but only through the faith of man. Kierkegaard is divided into aesthetic, ethical and religious levels. And he saw that the path to restoring the fundamental nature of man becomes human through meeting with God in faith, which is the religious stage of man. Wang Yang-Ming stresses that men's physiological or selfish desires should be controlled and governed to prevent them from subdueing the reason and principle of heaven, where they are located in humans. If human nature is governed by nature, which is a true nature, human beings can express good morality like human beings, but if human beings do not recognize the nature of being one of nature, they can act against nature and act immorally.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complex and diverse strata of human beings by dividing the two philosophers into these three stages. In particular, we want to look at the lowest level of sensory (psychological) and self-interest at an economic level in order to understand the human nature of today. And besides the economic dimension, we will look at what cultural status human moral dimension has become in our society, and finally, why religious dimension is important in order to properly establish human moral culture.

      • KCI등재

        박경리 『토지』에 나타난 윤리적·종교적 존재로서의 인간 이해

        박상민(Park, Sang Mi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2 인간연구 Vol.0 No.23

        문학 작품에 나타난 인간관을 논하는 것은 작품에서 인간 존재의 본질을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이는 작가의 개인 사상을 연구하는 외재적 연구가 아니라, 작품 자체의 분석을 통해 도달하는 문학주제론의 한 양식이면서, 동시에 인간의 존재적 의미에 대한 철학적 담론이다. 이 글은 박경리의 『토지』에 나타난 인간관을 윤리적, 종교적 차원에서 논의하고 있다. 윤리적 차원에서 『토지』를 읽었을 때 가장 먼저 지적할 수 있는 것은, 『토지』가 ‘권선징악’이라는 고전적 구성을 고수하는 듯하면서도 동시에 이를 해체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토지』는 권선징악을 추종하는 듯한 서술자의 태도와 작중 인물들의 권선징악적이지 않은 인생 역정이 상충하면서 윤리에 대한 독자의 주체적 해석 지평을 확장시키는 독특한 서사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작품의 이러한 이원적 특징은 도덕 원칙을 위반하려는 인물들의 욕망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작품은 표면적으로 인간이 도리를 지키며 살 것을 강조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 수많은 작중 인물들은 도덕 원칙을 배반하면서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키고 있으며, 작품 전체를 통해서 인물들의 이러한 태도는 오히려 수용되고, 미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서사적 장치를 통해 도덕은 보편적 이성에 근거 하여 판단할 수 있는 담론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나아가 독자는 자신이 도덕의 담론을 구성하는 주체임을 자각하게 된다. 다르게 말하자면, ?『토지』의 독자는 자신의 기대 지평을 끊임없이 배반하는 작품을 읽어나가면서 기존에 지니고 있던 도덕관이 위협당하는 고통스러우면서도, 매력적인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종교적 차원에서도 동일한 설명이 가능하다.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이 작품에서, 대부분의 인물들은 종교적 인간으로 나온다. 하지만 이때 ‘종교’는 인간을 억압하는 도구이면서 동시에 인간의 내면에 깊이 내재한 선한 본성을 일깨워 진정한 자기해방과 구원의 길을 열어 주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To discuss humanity in literary work is to probe how humanity is illustrated with in it. This is not a study within which to understand the author’ personal ideology, but instead to analyze the literary work itself also to discuss the meaning of humanity philosophicalil. This thesis discusses the moral and religious meaning of humanity in Park Kyong Ni’ novel, Toji. Morally Toji defends the traditional value of ‘romotion of virtue and reproval of vice’while simultaneously destructing value. Even though the narrator fosters traditional moral values such as faithfulness, obligation, etc, the characters and their life journeys do not comply with them. This situation creates an unique duality of moral values in Toji, while additionally affecting the characters’desire to violate traditional moral. Toji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taining what is morally right. however many of the characters gratify their desires by betraying moral norms such as filial duty, parent’ obligation, etc. In fact, Toji glamorizes these immoral behaviors and attitudes as the story develops. The same explanation can be made for religion. The historic background of Toji is the Japanese colonial era. Most of the characters seem very religious. However, at this time, ‘eligion’was not only a mechanism that leads to self-liberation and salvation by awakening one’ virtue from deep inside, but also served as a tool to suppress human beings.

      • KCI등재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대한 기호학과 존재론적 고찰

        권성훈(Kwon, sung-hun)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2 No.-

        이글은 한용운의 님의 침묵 에서 ‘님’이 가지는 기호적 파장과 실존적 의미를 에코의 기호학과 바디우의 존재론으로 탐구하면서 ‘님’을 재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한용운 연구는 그의 시집과 표재작인 「님의 침묵」을 중심으로 88편의 시가 분석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에 대한 축적된 탐구는 크게 두 가지 방법론에서 나눌 수 있는데, 일제강점기 활동한 작가의 전기적 측면에서 사상적, 민족적, 종교적 등의 세계관에 대한 조명과 문학적 측면에서 구성 원리, 수사적, 상징, 비유, 이미지 등의 시적 경향과 시의식이 주된 분석의 대상이었다. 선행연구에서 집약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한용운의 시에서도 절대적으로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님」이라는 기표에 주목하고 있다. 여기서 ‘님’은 상실한 조국을 대체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연인, 중생, 친구, 민족, 중생, 불타, 산천 등으로 상징이 되기도 했는데, 논고를 통해 기호학적 측면과 존재론적 측면으로 규명했다. 이글에서 상정한 ‘님’은 에코가 말한 특정한 신호로서 모든 신호 체계가 유일한 시그널을 가지지 않는데 있다. 그것은 의미의 차원에서 다양한 소음(Noise)과 동일시되어 수신 된다는 것은 약호가 지닌 함의와 내용 국면 그리고 내용 체계의 추상적 요소들의 다의적 결합이 발생시키는 효과라고 할 수 있다. 한용운의 ‘님’이라는 약호가 보내는 신호를 복합적 신호(complex signal)라고 명명하면서 이러한 복합적 신호는 예견된 후행의 인식된 선행으로 쓰여 질 때에 그것은 약호로 보여 지며 수신자로 하여금 표현 국면의 요소가 관습적으로 내용 국면의 하나의(또는 몇 개의) 요소와 항상 상호 관련되어 나타난다. 또한 한용운 시에서 지속적으로 출몰하는 ‘님’은 지금 공간의 축에서 과거의 시제를 불러오는 것으로써 나의 현존으로부터 제외되거나 배제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론에서 말하는 귀속(출현) 또는 포함(재출현)을 전재로 할 때 어느 한쪽에서 보더라도 그 양자를 충족하지 않은 것으로써 ‘정상’적인 범주에 해당되지 않으면서 돌출과 특이 상황으로 드러난다. 요컨대 한용운의 ‘님’은 화자에게 완전한 귀속도 포함도 되지 않는 비정상적인 층위에서 존재하며, 있음으로 없는 것이며, 없음으로 있는 존재로서 현실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것이다. 가령 한용운 시에 나타난 ‘님’을 에코의 기호학을 통해 바디우의 존재론인 정상 범주가 아닌 비정상 범주인 출현의 상황으로 인식하고, 출현은 귀속을, 재출현은 포함이라는 점을 감안해서 돌출 상황과 특이 상황 등으로 파악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discover ‘Lover’ by exploring the symbolic wavelength and existential meaning of ‘Lover’ in Han Yongun’s “The Silence of Lover” with Echo’s semiotics and Badiou’s ontology. In the study of Han Yongun, 88 poems have been the subject of analysis, centered on his poetry collection and the surface work “The Silence of Lover”.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accumulated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methods. Illumination of world views such as ideological, ethnic, and religious views of artists who were activ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n terms of literature, in terms of literature, poetic tendencies and poetic awareness such as compositional principles, rhetorical, symbolic, metaphorical, and imagery etc were the main subjects of analysis. In this way, what appears to be concentrated in the previous research is paying attention to the “Lover” form, which is absolutely dominant even during the Han Yongun’s poem. Here, “Lover” is also used to exchange the lost homeland, but also became a symbol such as lover, rebirth, friend, ethnicity, rebirth, burning, nature etc. Through discussions, we investigated semiotic and ontological aspects. On the other hand, what the echo is not a specific signal, and all the above signals are received by being equated with various noises in a dimension that does not mean a single thing, this can be an effect caused by the ambiguous combination of the abbreviated ship and the abstract element of content aspect and content system. This abbreviation “Lover” of Han Yongun names the transmitted signals as composite signals, and these composite signals are seen as symbols in the foreseeable subsequent recognized prior written and quality, To the recipient, the elements of the presentation aspect are customarily displayed in relation to one (or several) elements of the content aspect. In addition, “Lover” who appears continuously from Han Yongun is excluded from personal existence by the reading of the past tense on the axis of space now, and it is attributed (appeared) in ontology or When the inclusion (reappearance) is reproduced, even if viewed from either side, it does not fall under the “normal” category because both are not satisfied. In essence, his “Lover” is above and above the anomalous stratum that is neither fully imputed nor imputed to the speaker, what is and is not, and is not a reality as being that is none. For example, “Lover” that appeared at the poem of Han Yongun is recognized through the Echo’s semiotics not in Badiou’s ontological normal category but in the abnormal category situation of occurrence, and the appearance is attributed and the re-emergence is included. In consideration of the points, we grasped the situation of overhang and unusual situations.

      • 실존심리적 관점에서 「안심가」 읽기

        나동광 경주사학회 2012 경주사학 Vol.0 No.35

        인간은 세계 속에 던져진 존재이다. 이 땅에 발을 붙이고 살아가는 삶 자체가 하나의 실존이다. 본 연구는 심리적인 관점에서 최제우의 「안심가」를 통해 불안의 문제를 진단하고 극복할 수 있는 치료적인 가능성을 발견하려고 한다. 시적 화자가 돌아본 자신의 삶은 험한 일과 고생으로 얼룩져 있다. 그러나 그가 경험한 고생은 단지 그 자신의 실수나 시행착오의 결과로만 보지 않는다. 그는 모든 고통 역시 하늘이 정해준 천정의 원리에 기인된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인간이 고통을 경험할 수밖에 없는 세상에 던져진 존재라는 실존적 자각이다. 인간은 신의 명복을 받아 귀공자가 되기도 하고 초야에 묻혀 가난하게 살기도 한다. 제각기 처한 실존적 상황에서 인간은 삶을 영위한다. 그러나 삶의 자리가 바뀌어 진다고 해도 존재하는 것은 불안이다. 실존적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시적 화자가 제시하는 실존치료는 먼저 종교적 실존단계로 이동하는 것이다. 종교적 실존은 신앙에 의해 신적 존재를 수용하면서 시작된다. 다음으로 실존치료의 원리는 존재에 대한 자각이다. 불안을 자극제로 인정하는 존재의 자각은 더 이상 불안에 휩싸이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주체적 결정은 불안을 극복하는 실존치료의 원리이다. 개인, 가족, 민중이 주체적으로 현재를 개벽하면 태평가를 부르는 미래 사회가 열릴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진이정 시에 나타난 ‘욕정’의 존재론 연구

        최희진 어문연구학회 2023 어문연구 Vol.118 No.-

        본고는 진이정의 시에 나타나는 존재론의 양상을 ‘욕정’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구명한다. 진이정의 시편에서 욕정은 그 자신의 존재가 육체에 복속되어 있다는 인식 및 그로 인한 좌절의 근원이 된다. 내가 애욕을 관장하는 것이 아니라 애욕에 내가 지배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감각하게 함으로써, 욕정은 인간으로서의 자기 존재에 대한 환멸과 절망감을 불러일으킨다. 차라리 욕정에 충실하겠다는 위악적 태도를 표방해 보지만, 애욕으로 인한 고통과 그로 인한 좌절은 진이정의 시에서 쉽사리 소거되지 않는다. 결국 절망의 근원으로서의 욕정을 끊어내기 위해 진이정의 시적 화자들은 ‘경전’에의 천착으로 표현되는 종교적인 수행, 금욕과 형이상학에 의탁한다. 그러나 번뇌를 끊어내고자 하는 화자들의 시도는 인간적 한계 앞에서 번번이 실패한다. 거듭된 실패는 육체에의 환멸을 넘어 자기 환멸과 자학을 불러일으킨다. 시인은 경전에서 제시되는 형이상학이나 경전이 요구하는 금욕의 수행에서는 구원의 방편을 찾지 못한다. 대신 그는 경전과 전승의 이면에서 인류 보편의 허망과 애욕을, 형이상학에 선행하여 인간 존재에 직접 육박하는 구체성의 세계를 발견한다. 그 자신의 존재를 구원하기 위해 탐색했던 형이상학이 도리어 인간을 억압할 수 있음을 발견하며, 구원은 금욕적인 형이상학의 세계가 아닌 구체성의 세계 속에서 모색될 수 있음을 발견한다. 형이상학과 종교를 폐기함으로써 시인은 한때 자신이 혐오했던 인간을, 초탈하지 못하고 애욕과 그리움에 허덕였던 자신을 더 이상 환멸하지 않고 인정할 수 있게 된다. 욕정과 환멸에서 출발하여 종교적·철학적 사유를 참조하면서도, 그러나 온전히 그것으로 귀의하지 않고, 불가지론이나 허무주의로 귀결되지 않은 채 독자적인 존재론을 구축하였다는 점에 진이정 시의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 of ontology that appears in Jin Yi-jeong's poem, focusing on the keyword "lust". Lust is the main root of the existential frustration in Jin Yi-jeong’s poem, due to the subjection to the physical instinct. Lust evokes disillusionment and despair of the human being by making him dominated by his instinct rather than managing it. The despair evoked by lust is not easily erased in Jin Yi-jeong's poem, despite his attempt at an evil-pretending attitude about love and lust. Therefore, Jin Yi-jeong’s poetic speaker makes devotion to ascetic religion due to severe lust. However, his attempt fails due to the human being’s finitude, which provokes self-disillusionment and self-destruction. Metaphysics or religion cannot save the human being from the lust in Jin Yi-jeong’s poem. Instead, Jin Yi-jeong attempts to regard lust as humankind's universal topic and regard the physical world as prioritized over metaphysics or the religious scriptures. He notices that salvation can be groped only in this real world, not in the metaphysical world nor in religious asceticism. By abandoning metaphysics and religion, he can avoid disillusioning himself, who is still in the middle of the agony and the lust. The significance of Jin Yi-jeong's poem is that it built its ontology without resulting in agnosticism or nihilism nor completely subordinated to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hinking.

      • KCI등재

        연행 인형'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인형 인식 양상

        허용호 한국구비문학회 2004 口碑文學硏究 Vol.0 No.19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figure of puppet on ‘Annals of Chosun Dynasty’. The recognition of puppet was grasped in daily life through the result of study. It is studied on the frame of performance comparing to the cognition of puppet in daily experience. Furthermore this study is conferred like that: How is recognition of puppet appeared through the process of puppet performance? What is cultural grounds or orientation on the cognition of puppet? What is the attitude of human on puppet? Why does people use puppe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The two aspects of performance puppet recognition in Chosun Dynasty come from magic-religious culture orientation and artistic-play culture orientation. These are cultural grounds of puppet performing object. These two types have a common things. The common things related human desire. The puppet of performance can do individual behavior and inhuman things with no hesitation. The puppet of performance is acted mimicry of human but essential character of puppet. But these behavior are managed by human performer. The attribute of managed existence is located in human mentality. The puppet performance is based on magic desire that can control supernatural existence and artistic desire that take off daily life. Human desire which control supernatural phenomenon, appeared magic desire in magic oriented culture and exposured artistic desire in art oriented culture. 이 논문을 통해 필자는, ‘조선시대 우리의 인형 전통은 일천하며 인형은 마를 부르는 흉물로 인식되었다’는 시각이 잘못된 것임을 주장했다. 논의는 일상에서 통용되는 인형 비유에서의 인형 인식 포착을 실마리로 하여, 여러 문헌에 나타나는 인형 연행에서의 인형 인식 고찰로 이어졌다. 이어서 인형 연행 전 과정을 통하여 드러나는 인형 인식의 지향성과 그 문화적 기반에 대한 논의로까지 확장하고, 문화적 기반 이면에 자리한 인간 태도에 대한 필자 나름의 견해를 피력했다. 논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 사람들은 연행 인형을 ‘초자연적 존재/자연적 존재’로 인식한다. 초자연적 존재로 인식되는 연행 인형에 대해 사람들은 경건함과 놀라움의 감정을 드러낸 반면, 자연적 존재로 인식되는 연행 인형에 대해서는 신기함과 흥미의 감정을 드러낸다. 이러한 변별성은 인형 연행의 전 과정을 통해서도 뚜렷하게 드러난다. 이를 바탕으로 할 때, 연행 인형 인식의 두 양상은 서로 변별되는 ‘주술적․종교적 문화 지향성/예술적․오락적 문화 지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두 문화 지향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연행 인형 인식의 두 양상은 인간의 욕망이라는 보다 상위의 차원에서 통합된다. 인간이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초자연적․자연적 제 현상을 자신 마음대로 하려는 욕망이, 주술 지향의 문화 속에서는 ‘초자연적 존재를 마음대로 하려는 주술적 욕망’으로, 예술 지향의 문화에서는 ‘자연적 존재의 일상에서 벗어난 파격적 모습을 드러내려는 예술적 욕망’으로 드러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엔도 슈사쿠(遠藤周作)의 「백색인」론 (「白い人」論)

        김경희(Kim, Kyung-hee)(金慶希)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4 No.1

        엔도 슈사쿠(遠藤周作1923 ~ 1996)는 『형이상학적신(形而上學的神)ㆍ종교적신(宗敎的神)』을 저술한 18세부터, 유작(遺作)인『깊은 강(深い河)』을 저술한 70세에 이르기까지 종교적 주제로 일관해 오면서 일본 현대문학에서는 거의 독보적인 존재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따라서 선행연구 역시도 가톨릭 작가로서 엔도 슈사쿠가 작품 속에서 이야기 하고자 하는 작가적 의도나 종교적 문제에 중점을 둔 것이 대부분이고, 허구내의 논리나 등장인물이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 「백색인」(白い人)에서는 위와 같은 기독교적인 연구 방법에서 벗어나 예술로서의 문학작품, 즉, 문학 텍스트 그 자체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오늘날 문학연구 방법으로 정착한 화자(카타리데)에 착안해서 작품의 구조와 그 세계를 분석했다. 연구방법으로서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작품의 생성 원인과『백색인』의 구성인물상을 중심으로 주인공〈나〉와 〈쟈크〉, 두 사람의 관계를 고찰했다. 분석결과 도출된 결론은 소설내의 인물들의 시점 설정이 작가의 의도와는 달리 마지막에는 확실하게 결실을 맺지 못한 작품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소설의 기교론, 방법론을 통해 그리스도교라는 유일 종교를 넘어서 인간존재의 근본적인 문제를 직시하면서 병들어 신음하는 인간 영혼의 치유와 구제의 주제, 즉 그리스도적인 신의 사랑의 구현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백색인』이 지향하는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Endo Shusaku won recognition and stands unchallenged in Modem Japanese Literature. He was consistent in metaphysical religious subjects from the age of 18, when he wrote “Metaphysical God, Religious God”, to the age of 70, when he wrote “Deep River” which is his posthumous work. Accordingly, most of the proceeding studies about his works have been focused on his intention as a writer and religious issues which and Shusaku, a Catholic, wanted to talk about in his work, therefore, the logic and characters in his fiction have not been dealt with thoroughly yet. In this thesis, I placed great emphasis upon the literary works as art so I tried to exclude a Christian study method. The structure of his works and the works themselves are analyzed here in a narrator way that has been settled as today’s literature study method. 「A Study on 『The White man』」, referring to some proceeding re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haracter “I and Jacker” is studied with priority given to the reason that the work was created and the characters of 『The White man』 遠藤周作が宗教的主題を中心に日本の現代文学のなかでの遠藤周作の独自の価値を決定づけているといっても過言ではないだろう。従来の研究には、彼の文学をキリスト教的次元から読み解こうと腐心することにおいてのみ、遠藤文学を理解しようとすることとなり、それはひいては護教文学としての読みの強制となる危険性を示すものである。そうした問題点を踏まえて、言語による芸術である文学作品、文学テクストそれ自体を対象として分析し、その上で作品構造を把え直してみたいと考える。『白い人』では、〈白い世界〉と〈悪魔の世界〉との対決は、ジャックと私との間にみられるのではなく、〈私〉の心の中に存在するものであり、『白い人』のドラマは、キリスト教を機軸とした善と悪の葛藤であるが、遠藤周作はそれを二人人物〈ジャックと私〉に張り付けていると指摘している先行論文を踏まえながら、『白い人』の構成人物を中心に〈私〉と〈ジャック〉の二人の関係を考察していく。考察した結論は、登場人物を「語り手」に統括させることと、〈善ㆍ悪〉〈人間ㆍ神〉と言うような対立的な構造を通すことによって大きなテーマに接近を試みたといえる。つまり、多様な小説の技巧と方法論を通じて、作家遠藤周作は読者たちに神の慈しみ深い愛を誰もが平等に受け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彼が到達しようとした窮極的な世界のメッセージの伝達を試み、効果的に成功しているといえよう。

      • KCI등재

        정치적 종교와 종교적 정치: 공유된 현실과 존재 정당화의 종교-정치적 성격

        심형준 한국평화종교학회 2022 평화와 종교 Vol.- No.13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is a scandal in modern society. Not only because it brings about social conflict, but because it brings back to life the biased old-fashioned frame of distinction between orthodoxy and heresy, religion and pseudo-religion. All of them are considered relics of the past, but they are not disappearing from our reality. The question may be raised as to why such a trend does not disappear. This article examin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through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religion and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politics. The reason why interpenetration characteristics appear at various levels of religion (natural, established, ideological) and in various areas of politics is that it is inevitable to justify the existence of individuals or groups, the violence to maintain the existence of such agents. And it is also because religion is the main product and tool of such justification, and the foundation of politics (the political) is constructed from the justified perception of reality. The honeymoon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does not consist solely of negative collusion. Those who believe in the legitimacy of religious (or politically biased) perception of reality tend to define the cooperation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as right in their consciousness and practice. The honeymoon scandal of religion and politics reveals the intricate interests of various agents in society. 종교와 정치의 밀접한 관계는 근대 사회에서 하나의 스캔들이다. 사회적 갈등을 불러온다는 점에서만이 아니라 정통과 이단, 종교와 사이비라는 과거의 편향적 구분틀을 다시 살아나게 하기 때문이다. 그 모든 것이 구시대의 유물로 여겨지지만, 우리의 현실에서 사라지지 않고 있다. 왜 그런 경향이 사라지지 않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 글에서 종교와 정치의 밀접한 관련성을 종교의 정치적 특성, 정치의 종교적 특성을 통해서 살펴본다. 종교의 다양한 층위에서, 그리고 정치의 다양한 영역에서 상호 침투적 특성이 나타나는 이유는 인간 개인이나 집단의 존재 혹은 그 존재를 지속하기 위한 폭력을 정당화하는 것이 불가피한 일이기 때문이다. 또 그 정당화의 주요한 산물이자 도구가 종교이고, 정당화된 현실 인식으로부터 정치의 토대(정치적인 것)가 구성되기 때문이다. 종교와 정치의 밀월 관계는 부정적 결탁으로만 이루어지는 게 아니다. 종교적(혹은 정치적으로 편향된) 현실 인식의 정당성을 믿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의식과 실천에서 양자의 결합을 올바른 것으로 규정하기 마련이다. 종교와 정치의 밀월 스캔들은 사회 내 다양한 행위자들의 복잡한 이해관계를 드러낸다.

      • KCI등재

        에디트 슈타인과 몸, 생명 그리고 종교

        이은영(Lee, Eun-young)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3 No.-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불안, 두려움, 괴로움, 분노, 슬픔, 갈망, 욕망, 쾌락과 같은 감정의 문제를 철학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로 인지하게 되었다. ‘감정의 문제’ 좀 더 포괄적으로 말하자면, ‘마음의 문제’를 우리는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마음에 대한 연구는 인간의 가장 깊숙한 내면의 느낌과 생각을, 그리고 다른 사람의 감정과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있게 한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오늘날 타인을 이해하기 위해서 그리고 더 나아가서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서 마음의 문제 중에서 감정이입 내지는 공감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심리학과 철학에서 그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필자는 감정이입이나 공감은 인간의 고독과 괴로움, 또는 소외감을 벗어나게 해 주며, 인간간의 소통을 위한 출발점이라는 사실은 분명 인정한다. 하지만 이 지점에서 가장 근원적 물음인 “인간이란 무엇이며, 누구인가?”라는 주제를 상기해 본다. 다시 말해서 인간은 정신 또는 마음으로서의 존재만이 아니라 “물질적인 것-생명적인 것-정신적인 것”이 포함된 “단일-존재”로서의 인간이라는 사실이다. 그런 한에서 인간과 연관된 문제는 인간과 물질적인 사물과 식물, 동물과의 유기적 연관성을 가진 생태학적 생명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삶의 원리와 가치를 부여하는 종교적 실천을 통해서 진정한 소통과 이웃사랑의 사회가 형성될 수 있기에, 종교적 영성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타진하는데 이 글의 근본목표가 있다. 결국 인간의 고통과 불행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제기되는 인간과 연관된 여러 문제들을 마음의 논의로 한정시키기 보다는 단일체로서의 인간관을 바탕으로 한 생명과 종교적 영성을 통하여 다양한 해결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함이 이 글의 내용이다. In the modern society, we have come to recognize human emotions such as anxiety, fear, pain, anger, sadness, longing, desire and pleasure as important topics of philosophy. How shall we study the ‘problem of emotions’, or in a bigger sense, the ‘problem of empathy’? With this critical mind, the research into empathy can be called as a starting point for studying the deepest feelings and thoughts of human beings in connection with the feelings of other people. Most of all, in order to understand other people and to understand human being itself, the role of sympathy or empathy has been emphasized among the problems of emotions, and this trend is especially distinctive in the philosophy of psychology. I definitely acknowledge that empathy or sympathy takes loneliness and agony away from a human being and therefore it is the starting point of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However, the very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are human beings, and who are they?’ is once again reminded. In other words, this thesis focuses on the fact that humans are viewed not only as the existence with a soul or heart, but also as a “unique existence” containing something “material-, life- and spiritual”, and in that sense, this world is an ecological organism that contains organic connections of humans, material things, plants and animals, which should be the point of view for approach. And it is also emphasized in this study to approach the question about human beings from the religious spirituality point of view that the society with true love for neighbors could be achieved through religious practices that provide principles and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