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말 이래 중국(中國)의 퇴계학(退溪學) 연구 특색

        李燕 ( Li Ya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퇴계학논총 Vol.34 No.-

        海東 朱子로 이름난 退溪 李滉은 중화 민국 시대에 이미 국가 지도자의 눈길을 끌었다. 20세기 1930년대 중국 漢口에서 출판 된 『聖學十圖』는 퇴계가 중국 중부 지역까지 영향이 넓게 미쳤음을 분명히 나타낸다. 중국에서 현대적 퇴계학 연구는 20세기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 약 169편정도의 전문적인 논문이 발표 되었다. 10년마다 50편정도가 발표 되었고 張立文과 馬正應, 高令印, 謝寶森, 李甦平 등을 비롯한 전문 연구자들은 哲學과 文學, 敎育學, 美學, 生態學, 醫學, 政治學등 분야에서 퇴계의 사상을 자세히 해석하였다. 철학 분야를 중심으로 하여 미학, 생태학 등의 분야에서도 새로운 연구 성과가 나왔다. 퇴계학 연구 기관은 北京부터 중국 남북양쪽으로 동시에 뻗어 나갔고 上海, 浙江, 山東, 安徽, 吉林 등 지역에 집중되었다. 중점 연구 기관은 延邊大學과 北京大學, 中國人民大學, 中國社會科學院, 復旦大學, 山東大學, 山東社會科學院, 安徽大學 등을 뽑을 수 있다. 이처럼 깊이 있고 풍부한 연구는 35년간 지속되어 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퇴계학을 연구하는 연구기관이 더욱 많아지게 되었고 영향 지역도 넓어졌으며 향후 연구가 한 층 더 나아 갈수 있도록 튼튼한 기초를 다지게 된 것을 성과로 꼽을 수 있다. Toegye Yi Hwang, who is famous as an orient Zhuzi, had already made the Chinese leaders of Minguo period lean their attention on him. Th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 which was published in Hankou(China) by the 1930s, indicates that his influence had already spread out to the centre district of China by then. However the modernistic Toegye Study in China started during the middle of the 1980s and has already had almost 169 specialized thesis until now. Every 10 years about 50 thesis appeared. Specialized researchers such as Zhang Liwen, Ma Zhengying, Gao Lingyin, Xie Baosen, Li Suping has analysed Toegye’s thoughts minutely by philosophy, literature, education, aesthetics, ecology, medical science, politics, etc. Philosophy field is the most distinguished one. Aesthetics, ecology etc. fields are new research trends. Toegye study institutes extended to south and north at the same time from Beijing and centred around Shanghai, Zhejiang, Shandong, Anhui, Jilin etc. Yanbian University, Beijing Universtiy, Renmin University of China,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Fudan Universtiy, Shandong Academy of Social Sciences, Anhui University etc. can be counted as key research institutes. The research achievements during these 35 years are deep and rich. The number of research institute is increasing. The influenced district is also getting wider and wider. These work has laid a solid foundation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Toegye study in future.

      • KCI등재

        퇴계 活人修養과 도다 廣宣流布의 相關連動

        김용환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2 퇴계학논총 Vol.40 No.-

        As the anxiety and depression of global citizens increases due to the COVID-19, which has not yet ended, we will seek ways to revitalize future-oriented spirituality for the spiritual world of the Human cultural activation of Toegyee and Dharma wide spread of Doda. It is said that the realization of heavenly reason reaches human heart would be felt when the attitude of serving is straightened. For this reflection, a construction of public common happiness that could be made by correlative linking between Human cultural activation and Dharma wide spread through mediating the public and private dimension. The realization of heavenly reason of Toegyee's self-discipline leads to a public common level, reducing pain, and giving pleasures to neighbors. Dharma wide spread of Doda converts life into a joy life force as a human revolutionary movement to realize human public happiness, social prosperity, and world peace. The Jiyong Bodhisattva is dedicated to transforming his life into mysterious dharma awareness. The realizing public happiness is the common origin from taking a vow as Jiyong Bodhisattva. Since Lotus flower of mysterious dharma maintains its faith by creating the public solidarity of chanting dharma. Toegye had established the reason dharma by entering the training of saving people. Dharma wide spread of Doda’s can enlighten persons with one’s own behavior to the public common happiness. By increasing the sensitivity of cultural capabilities between Korea’s spirit and Japan’s cultivation spirit, It can deepen memorial services for meritorious deeds. 아직 종식되지 아니한 코로나로 말미암아 세계시민들의 불안과 우울증이 가중되고 있기에 퇴계의 활인수양과 도다의 광선유포의 상관연동을 통해 미래지향적 영성활성화 방안과 상생을 위한 영성회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퇴계 활인수양에서는 천리가 인간에게 도달하는 理到와 활인수양으로 인간 섬김 자세가 올곧게 天命으로 드러나는 觀道를 체험한다. 인간이 천리에 다가서는 정성에 비례하여 천리가 인간에게 도달함은 거경을 유지함으로 이루어지고, 醒悟에 의한 천명자각 체인천리가 체득된다. 체인천리는 관도성오의 순일체험으로 타자와 더불어 拔苦與樂을 활성화함으로 자행화타 행복에 도달한다. 마음을 가다듬어 정진하고 정제엄숙을 유지함으로 체인천리의 결실을 맺는 것이 활인수양의 요체를 이룬다. 마음챙김 지속의 持敬은 삼가 살피는 작용으로 경건하게 이루어져, 천리가 자신에게 미침을 하늘인격으로 체감하기에 타자행복 신심을 키워 활인경천으로도 이어진다. 또한 도다의 廣宣流布는 인류경애를 묘법신해에 근거하여 佛界로 끌어 올려 공동체의식을 함양한다. 생명존중에서 인존으로 나아가 자타상통 행복, 사회번영 그리고 세계평화구현의 인간혁명으로 이어져 생명을 불계생명력으로 전환시킨다. 지용보살은 법화신행 주체가 됨으로 한 생애를 ‘불계생사’로 전환시키는 존재이다. 수행공덕에 의한 타자감화가 퇴계 활인수양에서 드러나듯 자행화타 공공행복을 구현한다. 동아시아인들의 자행화타 행복발원은 서양의 개인주의와 구별되는 ‘願共衆生成佛道’로 이어져 ‘戒定慧三學圓明’을 깨치고 이 세상을 살기 좋은 법화세계로 결실을 맺도록 한다. 지용보살은 법화결실을 이 땅에서 구현함으로 종교개혁의 정신으로 원명 깨침을 일구고 인존구현 만인성불에 도전한다. 광선유포 실천은 묘법을 사람 마음속에 심는 ‘사람나무 심기운동’으로 공동체의식 함양의 활명연대를 실천한다. 묘법연화경 은 법화영험 요체로, 묘법연화경 당체를 제목창제 함으로 일상에서 지경을 이어지게 할 뿐 아니라 수행공덕을 타자에게 회향한다. 이처럼 한일간문화 역량감수성을 높여 활인수양을 공동체 의식함양 활명연대의식으로 확장하고, 자행화타 공덕을 공동체에 회향함으로 활인의 영성체험을 심화시킬 수 있다.

      • KCI등재

        퇴계(退溪) 『활인심방(活人心方)』의 활용방안 연구 - 심리상담을 중심으로 -

        정재권 ( Jeong Jae-kwo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1 퇴계학논총 Vol.37 No.-

        퇴계의 『活人心方은 단지 체력적 건강을 위한 지침서일 뿐인가? 아니면 性理學의 윤리적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보충적 지침서인가? 이 논문은 이 둘의 입장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통합하여 퇴계의 『活人心方은 정신적 질환에 대한 치료법일 수 있다는 전제를 설정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기존의 『活人心方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한결같이 윤리도덕의 심화 또는 단순히 건강 양생법 정도로 해석하였다. 간혹 의료학적 접근을 하려는 시도가 없지는 않지만 직접적 정신질환 또는 심리치료적 용도는 아니었다. 退溪는 『活人心方을 湯藥과 丸藥이라 하여 「中和湯」과 「和氣丸」이라 불렀다. 동양의학은 우주원리를 인간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는 전통이 있다. 사람의 마음과 몸은 모두 天理의 일부분이며 불가분의 관계이다. 질병이란 신체가 우주의 법칙인 오행에 적절하게 순응하지 못하였을 때 발생된다. 즉 心은 五臟을 主宰하는데 心이 교란되어 五臟六腑의 기혈순환이 원활하지 못하면 七情의 不調和에 의해서 공황장애 우울증, 화병, 불면증, 불안강박, 만성피로증후군, 두통 등의 병증이 발생한다. 이 글에서 퇴계의 『활인심방은 이러한 心의 교란상태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병을 치료하기 위한 처방전이라는 전제 아래 일반적 정신질환 중 세 가지에 집중하여 분석하였다. 이 세 가지 중 첫째는 공황장애이다. 이 장애는 七情傷 중 驚에 의해 발생하는데 그 기저에 있는 감정은 恐과 憂의 상태이다. 이에 대한 『활인심방의 치료법으로서 中和湯은 行好事, 謙和, 存仁 등의 湯藥을 제시한다. 정신장애 중 둘째는 특정공포증이다. 이 장애는 七情傷 중 恐의 감정에 의지하는 증상이다. 恐 감정에 의한 정신적 장애를 벗어나려면 恐을 형성하는 자신의 신념에 대한 문제의식을 발견하고 그 문제의식에 대한 다른 신념 및 방법을 찾는데 있다고 본다. 이에 대한 『活人心方의 치료법은 ‘行方便’과 ‘戒怒’의 중화탕이다. 정신장애 중 셋째는 調絃病이다. 이 病은 恐과 관련된 불안정한 정서, 悲와 관련된 무가치감이나 우울감, 思와 관련이 있는 망상, 환각등의 사고장애가 복합되어 있는 장애이다. 이에 대한 『活人心方의 치료법으로서 中和湯으로 思無邪라는 湯藥이 설정된다. 물론 치료의 주체는 의료법이 인정하는 의료인의 몫이 되겠다. 조현병이란 思考하고 思慮하는 마음에 다른 思考들이 개입되면서 사고의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 탕약에는 思毋邪에 戒怒와 戒暴이라는 약재가 들어있다. 이를 복용하면 분노를 발생시키는 역기능적이고 비합리적 신념이나 思考를 인지하고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증상과 치료법을 살펴볼 때 『活人心方은 단순히 윤리적인 주장 또는 마음수양 정도가 아니라 정신적 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의미를 가진다고 보겠다. Is Toegye's < Hoalinsimbang(活人心方) > just a guide for health? Or is it a supplementary guideline for realizing the ethical Neo-Confucianism?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possibility that Toegye's < Hoalinsimbang > can be used as a psychological treatment method. Previous studies considered Toegye's < Hoalinsimbang > as a cultivation of ethical morality or simply a health care method. Some researchers have tried to approach < Hoalinsimbang > from a medical point of view, but they were not intended for direct psychiatric or psychotherapeutic use. The items of ‘Junghoatang(中和湯)’ and ‘Hoagihoan(和永丸)’ in the < Hoalinsimbang > have the meanings of ‘Decoction(湯藥)’ and ‘Pill(丸藥)’. This study assumes < Hoalinsimbang > as a psychotherapy prescription. In man, both the mind and the body are part of the universe and at the same time are inextricably linked. Disease occurs when the body fails to properly comply with the five elements(五行), the laws of the universe. In addition, the heart is the dominant of the Ojang(五臟) and when the Sim(心) is disturbed, the circulation of the Ojangyukbu(五臟六腑) is not smooth, and the chiljeong(七情) becomes a incongruent. As a result, diseases such as panic disorder, depression, flower sickness, insomnia, anxiety compulsion, chronic fatigue syndrome, and headaches occur. In this study, the following three mental disorders will be examined. The first of them is panic disorder. This disorder is caused by Gyung(驚) among Chiljeongsang(七情傷), and the underlying emotions are Gong(恐) and eu(憂). As a remedy for < Hoalinsimbang >, there are Tangyak, Junghoatang, Haenghosa(行好事), Geumhoa(謙和), and Jonin(存仁). The second is specific phobia. This symptom occurs based on the emotions of Gong during Chiljeongsang. In order to get out of the mental disorder caused by Gong emotion, it is to discover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one's own belief that forms Gong, and to find other beliefs and methods for that problem consciousness. There are Haengbangpeon(行方便) and Geono(戒怒) Junghwatang as treatments for < Hoalinsimbang >. The third is Joheonbeung(調絃病). This disease refers to unstable emotions based on Gong, feelings of worthlessness or depression based on Bi(悲), and thinking disorders due to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based on thoughts. As a cure for this, there is a Tangyak called Samusa(思無邪). Joheonbeung is a disease that occurs when other thoughts intervene in one thought and fail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thoughts. This medicine contains medicinal herbs called Samusa, Geono, and Geopok(戒暴). If you take it, you will be able to objectively understand your anger and cure it. When looking at the above symptoms and treatment, < Hoalinsimbang > is not simply an ethical claim or mind-training, but as a way to treat mental illness.

      • KCI등재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계당우흥십절(溪堂偶興十絶) 연구(硏究)

        이정화 ( Lee Jeong-hwa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5 No.-

        文峯 鄭惟一의 글에는 스승 퇴계가 추구한 산수 생활의 참모습이 담겨 있다. 문봉의 글에 의하면, 퇴계의 산수 생활이 세상을 놀라게 한다거나 남보다 별다른 일을 도모하려는 것과는 무관함을 보여줌으로써 산수 생활의 진정성은 선비의 실천적 삶에 의해 구현됨을 나타내고 있다. 퇴계는 평소에 자신이 지닌 덕과 재주를 남들에게 과시하지 않았으므로 사람들이 그의 학문과 식견의 깊이를 알지 못하였다. 벼슬에서 물러나 산수에서 은거한 이후 그의 문하에서 스승의 삶과 학문의 깊이에 영향 받은 제자들이 많이 배출되었으며, 그들에 의해 진정한 선비이자 스승인 퇴계의 위상이 정립되었다. 퇴계는 朝市의 俗人들보다는 물질적으로 넉넉하게 살지 못하더라도 安分知足으로 수양하는 것이 좋음을 시화하였다. 그의 은거는 타인들에게 인정받기 위해 마지못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자신이 진정으로 원해서 자발적인 마음으로 勇斷을 내린 결과였다. 「溪堂偶興十絶」에서는 산수 속의 자연물을 벗삼아 즐기는 생활의 한 단면을 볼 수 있으니, 이러한 작품에는 自適의 삶을 사는 그의 마음이 투영되어 있다. 퇴계는 산수라는 天然의 공간에서 자연물의 구체적인 형상을 보고 이를 통해 天理를 깨닫는 것이 삶의 묘미임을 시화하였다. 天然의 공간에 깃들어 살며 고요하게 마음을 다스리는 삶이 퇴계가 원하는 산수 생활이었다. 遏人慾存天理에 뿌리를 둔 생활철학은 幽居一味의 묘미를 체득하게 되어 스스로 천리를 깨달았음을 보인 작품에 나타나 있다. 그의 深厚한 서정은 퇴계 특유의 시인적 감성과 求道的 시정신이 혼융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퇴계는 세속적인 마음으로부터 벗어났을 때의 경지를 시화하였으니 이럴 때 그는 超達의 시세계를 표출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스스로 마음을 비우기도 한다. 신선의 공간으로 인식된 산수에 은거하여 經書에 몰두하는 삶을 시화한 작품에서는 인생의 眞樂을 超達의 詩境으로 보여주었다. 소나무 · 대나무 · 매화 · 국화 · 연꽃이 자신의 벗임을 표명한 시에서는 자연과의 교섭이 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자연물은 군자의 덕을 보존할 수 있도록 정신적 가치를 고취시키는 대상이다. 퇴계의 학자적 취향이 산수에서의 은거를 충만한 삶으로 이끈 원동력이 되고있다. 「溪堂偶興十絶」에서 퇴계는 학문을 궁구하는 일이야말로 인생의 眞樂임을 보여주고 있다. Toegye’s pursuit of true life in nature is realized by the scholar’s practical life. Toegye did not show his virtues and talents to others, so people did not know the depth of his studies and insights. After resigning from public office and living in nature, many disciples were influenced by the depths of his life and learning, and the status of Toegye, a true scholar and teacher, was established by them. Toegye was able to live the ordinary mind in poverty, even if he couldn’t live up to the material, rather than the snobs, because he developed his mind. Living in nature wasn’t forced to be recognized by others, but was a result of a voluntary decision that he truly wanted. In his poems, you can see a section of life that recognizes plants in nature like friends, and these works reflect the life of self-satisfaction. Toegye expressed the real taste of life by seeing the concrete shape of natural objects in nature, which is a natural space, and realizing the truth through this. Living in the natural space and calming the mind was the natural life that Toegye wanted. Preserving the providence of heaven by blocking human desire is the core of Toegye’s philosophy of life. He expressed his enlightenment in the natural life of living quietly, and for him this is a real pleasure. The transcendence expressed in his poems indicates that he can live by following the providence of nature without any regret or vain thoughts about the world.

      • KCI등재

        퇴계의 셀프케어를 통한 입원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력 연구

        권봉숙 ( Kwon Bong-sook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1 퇴계학논총 Vol.37 No.-

        사람의 일생에서 광범위한 스트레스는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통제 영역 안에 있는 것으로 인식한 것과 스스로의 힘으로 다룰 수 없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의 문제들이 있다. 셀프케어는 개인 스스로가 스트레스와 같은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 발생 전에 예방을 위해 노력하는 것과 나아가서 는 건강유지와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退溪 李滉(1501~1570)의 건강증진을 위한 셀프케어는 건강한 생활에 대한 기대 결과를 갖고 계획된 건강생활 프로그램과 동일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퇴계는 신체적 측면에서는 심폐지구력 향상을 위한 去病延壽六字訣, 신체 유연성 증가를 위한 體操導引, 정신적 측면에서는 中和湯과 和氣丸을 적용하였고,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養生法과 治心을 실천하였다. 퇴계의 건강증진 활동은 현대적 개념의 셀프케어 차원으로 활용하는 내용과 다르지 않다. 입원아동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 장애의 문제로 입원을 하면서 일상생활과 달라지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하게 된다. 스트레스에 대한 아동의 반응은 연령에 따른 발달 단계별 과업 성취 정도, 통증이나 시술 등을 통한 과거 경험, 급성이나 만성의 질병 유형과 심각성, 대처기전이나 지지체계에 따라 대처력 정도에서 개인적 차이를 나타낸다. 입원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력 향상을 위해 활용되는 프로그램은 입원아동의 신체 및 정신사회적 요구에 초점을 두고 아동의 나이에 맞는 놀이와 치료 계획과의 균형을 맞춘 아동 생활 프로그램, 스트레스 대처 이론에 근거한 인지적 행동 치료 프로그램 등이 있다. 간호중재에 적용되는 입원아동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으로 제시된 것은 행동의 변화를 통한 대처, 인지적 차원의 해결 방안 설계, 감정 관리, 새로운 정보탐색, 영적지지 그리고 스트레스원의 변화 등이다. 입원아동이 현대사회에서 입원이라는 특수 상황을 경험하고 그 스트레스 상황을 이겨내기 위한 대처력 향상 방법으로 제시된 대처전략과 동등한 차원에서 퇴계의 셀프케어 적용이 논의되었다. 입원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력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의 한 가지 방법으로 활용하기 위한 퇴계의 셀프케어 탐색 결과는 인식의 성립과 인식과정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그 분석적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적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hospitalized children improve their capacity to deal with stress on nursing intervention. Research method used here was methodology of discourse analysis from researcher's nursing practice experience and articles. According to this study, it found three important coping strategies on experience of stress that a nurse is encouraged to have as follows; First, spontaneous natural coping reaction to motivate hospitalized children to improve their capacity to deal with stress on nursing intervention. Second, learn from parents, fosters and supporters to persuade hospitalized children to orient themselves to hospital life, to instruct hospitalized children to know about their disease and support their endurance, to help children to discharge the hospital in an appropriate moment. Third the central concept of Toegye's self-care to manage and support a hospitalized children, to organize good health habit in a daily life. As this result show, further studies on program of hospitalized children’s capacity to deal with stress based on Toegye's self- care were needed on nursing intervention.

      • KCI등재

        퇴계 학문의 성격과 학술사적 의의

        김영우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2 퇴계학논총 Vol.40 No.-

        Toegye’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has formed a united and independent academic system since the acceptance of Neo-Confucianism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In this way, Toegyehak(退溪學) serves as a milestone in the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and set a certain guidance in the later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This article is a consideration for the nature of Toegye’s study in two controversial issues, practice in a moral and political context. There is an opinion that the study of Toegye is less practical than Nammyeong(南冥)’s study. However, this paper criticizes the opinion in that it came from differences in perspective on practice. Also, the paper proves that emphasis on theory in Toegye studies is deeply related to intellectual awareness requested for practice. Furthermore, this article mentioned that the study of Toegye has a nature not only the practice for self-completion but also the basis of Chi-Chi(至治). The study of Toegye is not distinguished from politics, at the same time politics cannot be established without the stage of self-completion based on learning. Therefore, learning has a public meaning, and it is also not differentiated from the study of Seong-wang(聖王), and the study of Sung-in(聖人). In this context, Sage Learning(聖學) is linked to the problem of the existence of the nation beyond the problem of individual self-completion. The political nature of Sage Learning is relevant to the Toegye’s learning that the Seong-wang should correct public sentiment by solidifying Sage Learning. For this, the study of Toegye emphasizes strict criticism of Heterodoxy(異端). In this way, It has many meanings, the study of Toegye. The study is linked to not only the individual practice of morality but also the success and failure of politics, even the existence of the nation. There is an emphasis on precise investigation of theory and also the strict criticism of Heterodoxy, prescribed as a study it is not right. However, the strictness is about the attitude of participating in academic debates, not the exclusivity to other studies. 이 논문은 퇴계 학문의 성격을 도덕과 정치적 실천이라는 두 가지 문제와 관련하여 고찰한 것이다. 퇴계의 학문은 남명의 학문과 비교할 때 실천적 성격이 크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천에 대한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며, 퇴계 학문에서 이론을 강조한 것은 실천을 위해 요청되는 지적 자각과 깊은 관련이 있다. 아울러 퇴계의 학문은 자아 완성을 위한 실천뿐 아니라 至治의 근본이라는 성격도 지닌다. 퇴계의 학문은 정치와 분리되지 않으며, 정치는 학문에 근거한 자아 완성의 단계 없이는 성립할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퇴계에게 있어 학문은 공적 성격을 가지며, 聖王의 학문과 聖人의 학문도 분리되지 않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聖學은 개인의 자아 완성 문제를 넘어 국가 존망의 문제와 연결된다. 퇴계가 성학을 공고히 하여 인심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했던 것은 성학이 갖는 정치적 성격과 무관하지 않다. 이로 인하여 퇴계의 학문은 異端에 대한 엄격한 비판을 강조하게 된다. 이처럼 퇴계에게 있어 학문은 많은 의미가 부여되어 있다. 개인의 도덕 실천뿐 아니라 정치의 성패, 국가 존망의 문제에까지 연결되는 것이었다. 학문의 의미가 이처럼 크기 때문에 엄밀한 이론 탐구가 강조되었으며 바르지 못한 학문으로 규정된 이단에 대한 비판 또한 엄정하였다.

      • KCI등재

        21세기 생태환경 문제에서 인간에 대한 해석과 그 역할- 퇴계 이황과 머레이 북친을 중심으로 -

        안유경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2 퇴계학논총 Vol.40 No.-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pretation of humans and the role of Toegye Lee Hwang and Murray Bookchin as part of practical alternatives to today's ecological environment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that humans are the main culprit of environmental problems. As a result, when human responsibility is exercis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humanity or reason, finally can love others and benefit everything, harmonize the entire planet, and create a rational society. This is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Toegye and Bookchin demand from humans. In the end, Toegye and Bookchin both recognize human excellence by distinguishing humans from other natural objects, and on the premise of such trust in humans, it is possible to harmonize with everything in nature when restoring the right human image. 본 논문은 생태환경 문제를 일으키는 주범이 인간이지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역시 인간에게 있다는 시각에서, 오늘날 생태환경 문제에 대한 실천적 대안의 일환으로서 퇴계 이황(1501~1570)과 머레이 북친(1921~2006)의 인간에 대한 해석과 그 역할을 고찰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仁의 실현 또는 이성의 실현을 통해 인간의 책임감이 발휘될 때에 비로소 남을 사랑하고 만물을 이롭게 하여 지구 전체가 조화를 이루며 나아가 합리적 사회를 창조해나갈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퇴계와 북친이 인간에게 요구하는 역할이요 책임감이다. 결국 퇴계와 북친은 모두 인간과 여타 자연물을 구분함으로써 인간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이러한 인간에 대한 신뢰를 전제로 올바른 인간상을 회복할 때에 생태환경 문제를 비롯한 자연만물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退溪(퇴계) 李滉(이황)의 漢文文章(한문문장)의 文脈(문맥)파악 기법

        박종용 ( Park Jong-yong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퇴계학논총 Vol.33 No.-

        본 논문에서 논자는 退溪李滉(1501~1570)이 字義, 語義, 文義, 大義, 語勢와 文勢로 漢文文章의 文脈을 파악했던 방법을 연구하였다.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의 의사소통 방식을 반영한다. 언어가 글로 표현될 때 의미의 앞뒤 연결이나 언어가 표현해내는 것과 관련된 환경을 파악해 낼 수 있는 것은 바로 文脈을 통해서이다. 언어의 맥락은 소통방식에 따라 저맥락(Low-Context) 문화와 고맥락(High-Context) 문화로 나뉜다. 한국이나 중국과 같은 高脈絡문화에서는 교육을 많이 받고 지적 수준이 높은 사람들이 다양한 층위의 내포된 메시지를 잘 이해하며 말하고 듣는 능력도 더 뛰어난 반면에, 미국이나 캐나다와 같은 低脈絡문화에서는 교육을 많이 받고 지적 수준이 높은 비즈니스맨들이 보다 명료하고 분명한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한다. 退溪는 학자가 字義를 조용히 탐색하고 체득한 후에야 비로소 문장이 나타내고자 하는 眞意를 알 수 있다고 하였다. 그래서 그는 문장에서 語義를 특정할 수 있는 믿을 만한 근거가 없을 때는 글자를 억지로 바꾸려 하지 말고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또한 학자가 책을 읽을 때는 반드시 文義를 따라 찾아야 하고, 그 다음으로 주석풀이를 세밀히 살피되 그렇다고 文義에만 얽매여서는 안 된다고 퇴계는 말하였다. 더 나아가 그는 大義를 음미할 때, 요즘 사람들이 쓰는 말로 옛사람의 글을 설명해 내되 먼저 자신에게 분명하고 정연하게 한 후에 마치 옛사람과 마주 보고 말하듯이 하라고 하였다. 퇴계는 학자가 처음부터 끝까지 한 구절씩 음미하여 앞 글자를 볼 때는 마치 뒤 글자가 있다는 것을 모르는 듯이 하고, 앞 구절을 볼 때는 마치 뒤 구절이 있다는 것을 모르듯이 해야 語勢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글이 처음에는 광채를 발하다가 나중에 졸렬하게 이어진다면 이는 文勢가 막히게 되는 원인이므로 글자마다 서로 방해가 되지 않도록 앞뒤 文脈을 살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 그는 사물의 명칭이나 이치를 연구하고 이를 밝힐 수 있을 정도로 정밀한 경지에 이르렀을 때, 그 의미의 실마리가 서로 비슷한 것과 脈絡이 어디로부터 왔는가를 미루어 따져 봐야 한다고도 하였다. This Article explored the method how Toegye Yi Whang(1501~1570) grasped the contexts of sentences through the meaning of a character(字義), the meaning of a word(語義), the meaning of a sentence(文義), the general idea of a passage (大義), an emphasis placed on a word(語勢), and an emphasis placed on sentences(文勢). Languages reflect the communication styles of the cultures that use those languages. Context refers to the linguistic environment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of the meanings in the text. The context of language is divided into low-context culture and high-context culture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mmunication. In high-context culture such as Korea and China, the more educated and sophisticated you are, the greater your ability to both speak and listen with an understanding of implicit, layered messages. By contrast, in low-context cultur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he most educated and sophisticated people are those who communicate in a clear, explicit way Toegye said that scholar reading the text can catch the implicated meaning of the sentence only after quietly searching and acquiring the meaning of a character(字義). He also said that if there is no reliable basis for identifying the meaning of a word(語義) in sentence, it is better to leave it as it is without trying to change it. When scholar reads the text, he must follow the meaning of the sentences, and then look at the commentary but he should not be confined to sentence only. Also, when scholar grasp the general idea of a passage(大義), he explains the former scholars’ words in the present ones and first makes himself clear, as if he were talking to them. Toegye said, “scholar gets to the heart of each passag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and he reads the above letter as if he does not know that there is a letter below, and he reads the above phrase as if he does’t know that there is a letter below, he can understand the emphasis placed on words(語勢).” And if the writing of the text starts to shine in the first place and then becomes lulled afterwards, the emphasis placed on sentences(文勢) will be clogged and then the meaning of the context should be checked so that the letters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o do this, he also said, "In reaching a point of precision enough to study the name and reason of things, scholar should consider the similarities among the clues and the origins of the contexts.

      • KCI등재

        『주자서절요』와 퇴계학

        장윤수 ( Jang Yun-su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3 퇴계학논총 Vol.41 No.-

        필자는 이 논문에서 『주자서절요』의 형성과정과 특징을 설명하고, 이 책이 퇴계학에 있어서 어떤 적극적 의미를 갖는지를 고찰하였다. 퇴계 이황이 탁월한 주자학 전문가였을 뿐만 아니라, 그가 단순히 주자(학)의 아류가 아니라 주자(학)를 넘어서는 주체적이고도 창의적인 사상가였음을 동시에 해명하고자 노력하였다. 구체적인 논의과정에서 『주자대전』이 한국 지식인 사회에 어떻게 수용되고 확산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초간본 『주자대전』의 간행작업과 퇴계의 교감작업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자대전』의 초간본 간행이 1523년(계미년)에 이루어졌다는 『선조실록』의 주장이 잘못되었음을 학계에서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주자서절요』의 내용 검토 부분에서는 먼저 수록된 두편의 서신을 통해 選錄(節要) 방식의 실제 사례를 확인하였으며, 이 책의 체계와 편찬 동기, 편집 방법, 편집 특징, 더 나아가서는 문제점에 대해서까지 고찰하였다. 뒷부분에서는 『주자서절요』가 보급되면서 한국의 지식인 사회를 어떻게 변모시켰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퇴계학의 주체성의 문제에 대해 몇 가지 방면에서 논의하였다. In this paper, I tri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mmary of Master Zhu's Works’ and Toegyehak. I tried to explain at the same time how excellent a Neo-Confucianism expert Toegye Yi Hwang was, and that he was not just a subclass of Zhu Xi, but a subjective and creative thinker beyond Zhu Xi. In the specific discussion process, we examined how ‘Master Zhu's Works’ was accepted and spread to the Korean intellectual community, and considered the publication work of the first edition ‘Master Zhu's Works’ and the correction work of Toegye. In this process, I first confirmed that the record of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at the first publication of ‘Master Zhu's Works’ was issued in 1523 was wrong. In reviewing the contents of ‘The summary of Master Zhu's Works’, the actual case of the editing method was examined through two letters, and the system, compilation motivation, editing method, editing characteristics, and further problems of this book were examined. In the latter part, we looked at how the spread of ‘The summary of Master Zhu's Works’ transformed the intellectual society, and finally, we discussed the subjectivity of Toegyehak in several ways.

      • KCI등재

        퇴계 이황을 통해 본 사단의 純善無惡 고찰

        성지은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3 퇴계학논총 Vol.42 No.-

        This thesis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ne that occurred in the si duan(四端) and the goods that occurred in the qi qing(七情)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he “goods” viewed by Toegye Yi Hwang, a master of Joseon Neo-Confucianism. Toegye saw that even if the phenomenon of good occurs as a result, it cannot be treated as the same goods if the suo cong lai(所從來) of the location is different. Li(理), which has been given the gender of humanity's prediction, is a pure chun shan(純善) in itself, but the spirit is biased by the qing zhuo cui bo(淸濁粹駁), and the phenomenon of good and evil coexist. Therefore, the goods of the division originated from “Li” and the line of the qi qing from “Qi” are different. Of course, Toegye did not regard “Qi” itself as evil, but the phenomenon of evil was not seen as “Qi” because it was expressed in “Qi.” He regarded the good of the Revitalized Division as a pure evil that did not exist any evil, and saw that when “Li” became the main, it was possible to maintain the correctness without bias.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further clarify the definition of the goods that Toegye Yi Hwang viewed by deeply analyzing the Qi fa(氣發)’s qi qing and the Li fa’s(理發) si duan. 본 논문은 조선 성리학의 대가라고 할 수 있는 퇴계 이황이 바라본 ‘선’의 의미를 재고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사단에서 발생한 선과 칠정에서 발생한 선의 차이점을 분석해보았다. 퇴계는 결과적으로 선의 현상이 발생할지라도 所從來가 다르다면 같은 선으로 취급할 수 없다고 보았다. 인의예지의 性을 부여받은 理는 그 자체로 純善 하지만, 氣는 淸濁粹駁의 치우침을 받아 선과 악의 현상이 공존한다. 그러므로 ‘리’에서 發한 사단과 ‘기’에서 발한 칠정의 선은 각각 다르다. 물론 퇴계가 ‘기’ 자체를 악으로 간주한 것은 아니지만, 악의 현상은 ‘기’에서 발현되기에 純善無惡한 선을 ‘기’로 보지 않았다. 그는 理發한 사단의 선을 어떠한 악도 존재하지 않는 순선무악한 선으로 간주하고, ‘리’가 주가 될 때 치우침이 없는 올바름을 유지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氣發한 칠정과 理發한 사단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퇴계 이황이 바라본 선의 정의를 더욱 명확히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