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전통인형극에 등장하는 중의 형상화 양상과 그 감성 논리

        허용호 한국구비문학회 2011 口碑文學硏究 Vol.0 No.33

        본 논문에서 필자는 전통인형극에 등장하는 중의 형상화 양상을 살폈다. 중을 형상화하는 시각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형상화 시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나름의 해명까지 시도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그러한 연구 목적에는 ‘불교 혹은 중의 관념적 허위 비판’으로 정리된 전통인형극의 주제에 대하여 다른 시각의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의도가 담겨있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중 신분 인물을 ‘파계승’, ‘수도승’, ‘시주승’으로 유형화하고 그 형상화 양상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이본 별로 종합하여 정리했다. 그 결과, 이른바 ‘불교와 중에 대한 관념적 허위 비판’이라는 주제로는 모아질 수 없는 양상이 나타났다. 전통인형극이 불교와 중에 대하여 어떤 논리적 정합성이나 일관성을 가지고 있지 않음이 드러난 것이다. 이에 필자는 논리적 정합성이나 체계적 일관성과는 다른 해석 방식이 필요함을 제기했다. 로고스적 강박에서 벗어나 특정 대상을 중심으로 한 ‘좋아함/싫어함’ 혹은 ‘긍정/부정’의 관점으로 정리해 보는 것이다. 그것은 감성적 일관성이자 파토스적 일관성이라 칭할 수 있다. 결국 우리의 전통인형극은 크게 두 양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중이나 불교에 대해 감성적으로 긍정하고 배려하는 채록본들과 부정하고 배척하는 채록본들로 나눌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전통인형극에서 중을 형상화하는 감성 논리는 ‘부정과 긍정’ 혹은 ‘배척과 배려’라 할 수 있다. 전통인형극에서 중을 형상화하는 감성 약호는 ‘부정/긍정’, ‘배척/배려’, ‘좋음/싫음’ 등으로 체계화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study a shaping aspects of the buddhist priests who are characters in the traditional puppet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how are exposed viewpoints of the buddhist priests, and what are the reason of that viewpoints. That purpose of this study imply an intention which try to find a different possibility of the viewpoint which is ‘criticism of ideal false of the buddhism or the buddhist priests’. For the above purpose, I study shaping aspects of the buddhist priests who are classified as a Pageseng(an apostate monk), a Sudoseng(a spiritual exercise monk), a Sijuseng(an offering monk). And I put those aspects together according to a variant text. As a result, it arise aspects which is unfocused on the subject which is ‘criticism of ideal false of the Buddhism or the buddhist priests’. It is exposed that the traditional puppet performance don’t have logical coherence of the Buddhism and the buddhist priests. Hence, I bring up a different interpretation to a logical coherence. It is that put a specific object into shape according to the standpoint as ‘likes / dislikes’ or ‘positive / negative’. That can be called emotional coherence or pathos coherence. After all, the traditional puppet performance texts can be divided into two aspects. One texts affirm and take care emotionally the Buddhism and the buddhist priests, the other texts rejcet and negative the Buddhism and the buddhist priests. In conclusion, emotional logic of a shaping aspects of the buddhist priests can be ‘positive / negative’ or ‘consideration / exclusion’. Emotional code a shaping aspects of the buddhist priests can be systematized ‘likes / dislikes’, ‘positive / negative’, ‘consideration / exclusion’ in the traditional puppet performance.

      • KCI등재

        유네스코 체제 하의 강릉단오제

        허용호 국립민속박물관 2016 민속학연구 Vol.0 No.39

        This paper is targeted with the discussions of UNESCO which focused on the Gangneung Danoje for ten years. I have discussed several notable points which are shown the Gangneung Danoje under UNESCO regime. This discussion begin with a definition of UNESCO regime. And I discuss UNESCO regime is formed in what background and orientation. Subsequently, I examine the controversies which connected with the Gangneung Danoje under UNESCO regime. On condition that UNESCO regime is not fixed, I have examined the reason of the change from the Masterpieces of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to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nd the ownership disput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 condition that UNESCO regime is not fixed. Through those discussion, I mention a role of the Gangneung Danoje perform directly or indirectly under UNESCO regime. Thirdly, I discuss the orientation of the Gangneung Danoje. In here, I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entation of UNESCO and the orientationof the Gangneung Danoje which impose tradition, history, original through a return of locality.

      • KCI등재후보

        전통인형연희의 기호학적 연구

        허용호 한국기호학회 2005 기호학연구 Vol.18 No.-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hole life of puppet performing object which is from the molding of puppet to the treatment of puppet after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hole process of puppet performance. And I try to systematize the whole process of puppet performance, ratiocinate the cultural tradition which make a system possible and human desire which is located in the depth of cultural tra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o show in a graphic form as follows. This study which abstract in this way is meaningful in view of confirmation of traditional puppet performance's diverse aspects and cultural tradition. Furthermore, a fruit of this study is systematize traditional puppet performance's diverse aspects. The semiotics make this meaningful and fruit possible. Semiotics is not only to make in to a systematize, but also to make a new perspective possible.

      • KCI등재

        무언인형의 연행양상과 존재의미

        허용호 한국공연문화학회 2009 공연문화연구 Vol.0 No.18

        This paper pay attention to silent puppets which appear in the traditional puppet performance. Not only movement of silent puppets which are involved with expression of body of the mime, but also various methods overcome limits of the silent are studied in this paper. Through the study of performance method and historic unfolding aspects, I confirm two main points. First point is that overcome limits of the silent, through the diversity of performance aspects. Second point is that silent puppets have been existed since the early stage of history, and show typical unfolding aspects on their way. Combining two main points, We can say that silent puppets go through continuous unfolding aspects on their way and have meaning of existence. The meaning of existence are that silent puppets seek deviant desire which deviate from everyday life and transcendental desire which seek a freedom through an imagination or an idea. It is interesting that the reasons of existence are associated with the emphasis of necessity which is encouragement of audience's desire and imagination that are necessary of accomplish of mime. After all, silent puppets say that diverse attempts which overcome limits of the silent are accomplished with the performance aspects and historic unfolding aspects, and through that sought unusual communication. Through the performance methods and signification aspects, silent puppets say that diverse groping for which maximize of audience's imagination, stimulation of imagination for audience's spontaneousness, and diverse groping for audience mind performance have been performanced as well. I think that those are the voice of silent puppets for activity of mime in the korea. 본 연구에서 필자는 전통인형연행에 등장하는 무언인형에 주목했다. 무언인형을 실마리로 해서 마임의 ‘몸을 통한 표현’에 연결될 수 있는 인형의 움직임은 물론이고, 무언의 영역을 넘어서려는 여러 방식을 함께 주목했다. 무언인형의 연행방식 고찰과 역사적 전개양상 고찰을 통해서, 필자는 두 가지 사항을 확인했다. 첫 번째 사항은 그 연행양상의 다양성을 통해 무언이라는 한계 혹은 영역을 넘어서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 사항은 역사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지금까지 무언인형은 줄곧 존재해왔으며, 나름의 유형별 전개양상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 두 가지 사항을 종합해 보면, 무언인형은 그 탄생 이래 지속적으로 나름의 전개과정을 거치면서 그 존재이유를 확보하고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적어도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무언인형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그것이 나름의 의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무언인형은 일상에서 벗어나려는 일탈적 욕망과, 상상 혹은 관념을 통한 초월적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욕망을 표출하고자 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것이 곧 무언인형의 존재이유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무언인형의 존재이유는 마임의 완성에 꼭 필요한 존재로 중시되는 관객의 역할, 구체적으로 관객의 욕망과 상상력을 발흥시킬 필요성 강조와 긴밀하게 연관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결국 무언인형은 그 연행양상이나 역사적 전개양상을 통해서 무언을 넘어서려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이를 통하여 ‘일상의 의사소통과는 다른 비일상적 의사소통 방식’을 부단히 모색하고 있었음을 말하고 있다. 또한 그 연행방식과 의미화양상을 통하여 ‘관객의 상상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모색’, ‘관객의 능동화를 위한 상상력 자극과 마음 속의 연행을 위한 여러 모색’을 수행해 왔음을 말하고 있다. 필자는 이것이 한국에서의 마임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무언인형이 건네는 말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최치원의 신격화와 홍성 월계리 용연 마을 공동 제의의 전승 양상

        허용호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7 No.-

        This study pay attention to community ritual of the Yongyen village where is located in the Wallge-ri Hongsung-gun Chungcheongnam-do. That community ritual worship the Choi Chi-Won as a god of village. This study start with check cases which is worship the Choi Chi-Won as a god of village. Next I examine handing down of community ritual of the Yongyen village. And I finish this study, appending a deification of Choi Chi-Won and the center things of attention which emerge in a defied proces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Choi Chi-Won is deified in the Yongyen village. By the way, the aspects of a deification of Choi Chi-Won are differ from the general patterns of deification. Community ritual of the Yongyen village undergoing a change which is ‘from a folk ritual to a confucian saint worship ceremony’, ‘form a ritual of village god to a memorial ceremony of the progenitor of the Gyngju Choi family name’, ‘from a community ritual of village to a cultural event of county’. In the process of change the Choi Chi-Won may be a county god, on the contrary may be the loss of identity as a village god. Therefore I interest in a ritual of the Choi Chi-Won. As it is still moving in a different direc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village deity, a community ritual of the Choi Chi-Won is noteworthy. 무형 유산이라는 측면에서 최치원은 주목할 만한 인물이다. 전국에 산재해 있는 그의 유적지에는 어김없이 시문이나 문장, 비문 등을 남기고 있다. 그의 발길과 마음이 닿은 곳은 유형의 유적만이 남아 있는 것이 아니다. 그 유적과 함께 어김없이 무형유산이 함께 전한다. 본 연구는 바로 그러한 무형유산에 대해 주목했다. 특히 최치원을 마을 신격으로 모시는 충청남도 홍성군 월계리 용연 마을의 공동 제의에 주목했다. 논의는 마을신으로 최치원을 모시는 사례들을 먼저 점검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이어서 용연 마을 공동 제의의 전승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치원의 신격화 과정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주목할 만한 것들을 덧붙이는 것으로 논의를 마무리했다. 논의 결과, 용연 마을에서 최치원은 마을 신격으로 정립되는 단계에 이른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런데 마을 신격으로 정립된 최치원에 대한 근래의 양상은 일반적인 신격화 패턴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월계리 용연 마을 공동 제의의 전승 과정을 살펴보면, ‘민속 신앙 차원의 제의에서 유교 성현 제향’으로, ‘마을신 제의 에서 경주 최씨 시조 추모제’로, ‘마을 차원의 공동 제의에서 고을 차원의 문화 행사’로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중이다. 그 변화가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점에서, 전승 양상은 역동적이다. 구체적으로 최치원이 마을 신격에서 고을 신격으로의 확산이라는 방향으로 갈 수도 있지만, 반대로 마을 신격으로의 정체성 상실이라는 방향으로 갈 수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용연 마을의 최치원 관련 제의가 흥미롭다. 마을 신격으로의 정립이 이루어진 이후에도, 또 다른 방향으로 여전히 살아 움직이고 있어 주목할 만 한 것이다.

      • KCI등재

        연행 인형'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인형 인식 양상

        허용호 한국구비문학회 2004 口碑文學硏究 Vol.0 No.19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figure of puppet on ‘Annals of Chosun Dynasty’. The recognition of puppet was grasped in daily life through the result of study. It is studied on the frame of performance comparing to the cognition of puppet in daily experience. Furthermore this study is conferred like that: How is recognition of puppet appeared through the process of puppet performance? What is cultural grounds or orientation on the cognition of puppet? What is the attitude of human on puppet? Why does people use puppe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The two aspects of performance puppet recognition in Chosun Dynasty come from magic-religious culture orientation and artistic-play culture orientation. These are cultural grounds of puppet performing object. These two types have a common things. The common things related human desire. The puppet of performance can do individual behavior and inhuman things with no hesitation. The puppet of performance is acted mimicry of human but essential character of puppet. But these behavior are managed by human performer. The attribute of managed existence is located in human mentality. The puppet performance is based on magic desire that can control supernatural existence and artistic desire that take off daily life. Human desire which control supernatural phenomenon, appeared magic desire in magic oriented culture and exposured artistic desire in art oriented culture. 이 논문을 통해 필자는, ‘조선시대 우리의 인형 전통은 일천하며 인형은 마를 부르는 흉물로 인식되었다’는 시각이 잘못된 것임을 주장했다. 논의는 일상에서 통용되는 인형 비유에서의 인형 인식 포착을 실마리로 하여, 여러 문헌에 나타나는 인형 연행에서의 인형 인식 고찰로 이어졌다. 이어서 인형 연행 전 과정을 통하여 드러나는 인형 인식의 지향성과 그 문화적 기반에 대한 논의로까지 확장하고, 문화적 기반 이면에 자리한 인간 태도에 대한 필자 나름의 견해를 피력했다. 논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 사람들은 연행 인형을 ‘초자연적 존재/자연적 존재’로 인식한다. 초자연적 존재로 인식되는 연행 인형에 대해 사람들은 경건함과 놀라움의 감정을 드러낸 반면, 자연적 존재로 인식되는 연행 인형에 대해서는 신기함과 흥미의 감정을 드러낸다. 이러한 변별성은 인형 연행의 전 과정을 통해서도 뚜렷하게 드러난다. 이를 바탕으로 할 때, 연행 인형 인식의 두 양상은 서로 변별되는 ‘주술적․종교적 문화 지향성/예술적․오락적 문화 지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두 문화 지향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연행 인형 인식의 두 양상은 인간의 욕망이라는 보다 상위의 차원에서 통합된다. 인간이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초자연적․자연적 제 현상을 자신 마음대로 하려는 욕망이, 주술 지향의 문화 속에서는 ‘초자연적 존재를 마음대로 하려는 주술적 욕망’으로, 예술 지향의 문화에서는 ‘자연적 존재의 일상에서 벗어난 파격적 모습을 드러내려는 예술적 욕망’으로 드러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